화유옹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유옹주는 조선 영조와 귀인 조씨의 둘째 딸로, 1740년에 태어났다. 1746년 화유옹주로 봉해졌으며, 1753년 황인점과 혼인하여 2년 후 출궁했다. 종기를 앓다 1777년에 사망했으며, 정조는 장례를 지원하고 제문을 지어 애도했다. 묘는 부천시 여월동에 있으며, 아들 황기옥은 효자 증직을 받았고, 정조 때 의성 현령으로 봉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영조의 자녀 - 화완옹주
화완옹주는 영조의 딸이자 소론 가문 정치달의 부인으로, 영조의 총애를 받았으나 사도세자와의 불화와 양자 정후겸의 정치 활동으로 정조 즉위 후 옹주 칭호를 삭탈당하고 유배를 갔다가 사면 후 파주에서 생을 마감하며 영조, 사도세자, 정조 시대 정치적 갈등과 관련된 삶을 살았다. - 조선 영조의 자녀 - 화령옹주
화령옹주는 조선 영조의 딸이자 사도세자의 이복 여동생으로, 심능건과 결혼하여 2남 2녀를 두었으며 정조의 배려로 작위를 유지하다가 1821년에 사망했다. - 1777년 사망 - 요한 하인리히 람베르트
요한 하인리히 람베르트는 스위스 태생의 독일 과학자, 수학자, 철학자, 천문학자로, 원주율의 무리수성 증명, 쌍곡선 함수 삼각법 도입, 비유클리드 기하학 추측 제시 등 수학과 과학 분야는 물론 '현상학' 용어 사용과 칸트와의 서신 교환 등 철학 분야에도 기여했다. - 1777년 사망 - 응우옌푹즈엉
응우옌푹즈엉은 응우옌푹하오의 아들이자 응우옌푹코앗의 손자로 현명하고 덕이 있다는 평을 받았으나, 떠이선 반란으로 1777년 처형당했으며 후에 자롱 황제에 의해 효혜왕으로 추존되었다. - 1740년 출생 - 김귀주
김귀주는 조선 영조와 정조 시대의 문신이자 정순왕후의 오빠로, 홍봉한과 대립하다 정조 즉위 후 숙청되었으며, 사후 정순왕후 수렴청정 기간에 복권되었다가 다시 삭탈관작되었다. - 1740년 출생 - 베네딕트 아널드
베네딕트 아널드는 미국 독립 전쟁에서 대륙군 장군으로 활약했으나 영국으로 투항하여 배신자로 역사에 기록되었으며, 타이콘데로가 요새 점령 등에서 활약했으나 웨스트포인트를 넘기려다 발각되어 영국군에 합류, 준장으로 임명되었고 배신 행위로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화유옹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화유옹주 |
한글 | 화유옹주 |
한자 | 和柔翁主 |
로마자 표기 | Hwayu Ongju |
출생과 사망 | |
출생일 | 1740년 9월 29일 (음력) |
사망일 | 1777년 5월 21일 (음력) |
묘지 | 경기도 부천시 원미로281번길 35 황인점 · 화유옹주묘 |
가문 | |
왕가 | 전주 이씨 (출생) |
외가 | 창원 황씨 (결혼) |
왕조 | 이씨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영조 |
어머니 | 귀인 조씨 |
배우자 | 창성위 황인점 |
자녀 | 1남 1녀 (황기옥, 황씨) |
작위 및 기타 | |
칭호 | 조선 영조의 옹주, 화유귀주 |
종교 | 한국 불교 |
2. 생애
화유옹주는 1740년 9월 29일 영조와 귀인 조씨의 둘째 딸이자 막내딸로 태어났다. 이름은 전해지지 않으며, 1746년 화유(和柔)라는 봉호를 받았다.[3][4]
1752년 12월 5일, 창성위(昌城尉) 황인점(黃仁點)과의 혼인이 결정되었으나, 이복 언니인 화협옹주의 죽음으로 인해 연기되었다.[5] 이듬해인 1753년 2월 27일 황인점과 혼인하였으며, 결혼 후에도 아버지 영조가 여러 차례 옹주의 집에 방문하였다.[6][7]
화유옹주는 아들과 함께 종기를 앓았는데, 아들은 회복하였으나 옹주는 1777년 5월 21일(음력) 사망하였다. 묘소는 남편 황인점과 함께 경기도 부천시에 마련되었다.[8]
2. 1. 출생과 혼인

1740년 (영조 16년) 9월 29일, 영조와 당시 숙원 조씨(淑媛 趙氏)의 둘째 딸이자 막내딸로 태어났다. 이름은 기록에 남아있지 않다.
1746년 (영조 22년), 영조는 비망기를 내려 옹주에게 '''화유옹주'''(和柔翁主)라는 봉호를 내렸다.[9][3][4]
1752년 (영조 28년) 10월 5일, 호조참판(戶曹參判) 황재(黃梓)의 아들인 창성위(昌城尉) 황인점(黃仁點)과의 혼인이 결정되었다.[10] 그러나 그해 11월 이복 언니인 화협옹주가 사망하자, 영조는 화유옹주의 길례(결혼식)를 중지하도록 명하였다.[10][5]
1753년 (영조 29년) 2월 27일, 황인점과 혼인하였고,[6][7] 2년 후에 출궁하였다. 이후에도 영조는 여러 차례 화유옹주의 저택을 직접 방문하였다.[6][7]
2. 2. 사망
화유옹주는 종기를 심하게 앓았는데, 이때 아들인 황기옥이 정성껏 병수발을 들었다. 《일성록》에 따르면 황기옥은 어머니가 종기를 앓자 얼굴과 말에 초조한 빛을 보였으며, 직접 입으로 종기를 빨기까지 했다고 한다. 또한 화유옹주가 위독해지자 울부짖으며 하늘에 빌고 손가락을 잘라 피를 올려 생명을 하루 연장시켰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화유옹주는 1777년(정조 1년) 5월 21일에 세상을 떠났다.[11]화유옹주가 사망하자 정조는 관곽, 단주(緞紬), 미두(米豆), 전포(錢布) 등을 부조하고, 3년간 녹봉을 그대로 지급하라고 명하였다.[11] 또한 정조는 직접 화유옹주의 제문을 지어 깊은 애도의 뜻을 표했다. 《홍재전서》 제22권에는 정조가 지은 제문이 실려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아름다우신 고모님이여,
: 복록을 크게 하셨으니, 자손에게 미쳐서
: 지란(芝蘭) 같은 자손이 있네.
:
: 가아가 인끈을 차고서 남쪽 고을을 다스리게 되니
: 이에 위패를 받들어 때에 맞추어 풍성한 제사를 드리게 되었네.
: 백 년에 보기 드문 일
: 이보다 성대한 것이 없으니 도위가 명을 가지고 감에
: 내가 몸소 제문을 지어 고하게 하네.
: 영령이 옆에 계시는 듯하니 나의 잔을 기울이기 바라네.
: ----
: 《홍재전서》 제22권 제문(祭文) 4, 정조 지음 (현대어 번역: 김홍영, 1998)
화유옹주의 묘는 남편 황인점과 함께 경기도 부천시 여월동 산 32번지에 있으며, 어머니인 귀인 조씨의 묘도 근처에 조성되어 있다.
1791년(정조 15년)에는 정조가 화유옹주의 아들 황기옥을 의성 현령(義城縣令)으로 임명하였다.
3. 가족 관계
wikitext
구분 | 관계 | 이름 | 생몰년 | 비고 |
---|---|---|---|---|
부모 | 아버지 | 영조 | 1694년 ~ 1776년 | 조선 제21대 국왕 |
생모 | 귀인 조씨 | 1707년 ~ 1780년 | ||
법모 | 정성왕후 서씨 | 1693년 ~ 1757년 | 영조의 정비 | |
형제자매 | 언니 | 옹주 | 1735년 ~ 1736년 | 조졸 |
배우자 | 부군 | 창성위 황인점(黃仁點) | 1732년 ~ 1802년 | |
자녀 | 장남 | 황기옥(黃基玉) | 1756년 ~ 1794년 | |
며느리 | 여산 송씨 | ? ~ ? | 황기옥의 처 | |
장녀 | 창원 황씨 | 1759년 ~ ? | ||
사위 | 김제만(金濟萬) | ? ~ ? | 장녀 황씨의 남편 | |
양녀 | 창원 황씨 | 1801년 ~ 1827년 |
참조
[1]
서적
왕이 못된 세자들
https://books.google[...]
김영사
2006-10-09
[2]
서적
열하일기 3
https://books.google[...]
돌베개
2009-09-21
[3]
문서
승정원일기
[4]
서적
원본 한중록 (한국고전문학전집 004)
https://books.google[...]
문학동네
2010
[5]
문서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6]
서적
한중록 (한국고전문학전집 003)
https://books.google[...]
문학동네
2019-10-29
[7]
서적
권력과 인간: 사도세자의 죽음과 조선 왕실
https://books.google[...]
문학동네
2021-02-26
[8]
문서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9]
문서
승정원일기
[10]
문서
영조실록
[11]
문서
화유옹주의 졸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