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황인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인점은 창원 황씨 출신으로, 호조참판 황재의 아들이자 이조판서 황인검의 이복 동생이다. 1751년 영조의 딸 화유옹주와 혼인하여 창성위에 봉해졌으며, 1753년 화유옹주와 결혼하여 1남 1녀를 두었다. 그는 정조 때 진하 겸 사은사로 여러 차례 청나라에 다녀왔으며, 1784년 이승훈이 천주교 서적을 반입한 사건으로 1801년 신유박해 때 관직이 삭탈되었다. 1802년에 사망하였으며, 아들 황기옥은 먼저 세상을 떠났고, 서녀는 김손근과 혼인했으나 도적에게 살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의 부마 - 윤사로
    윤사로는 세조의 계유정난 공신으로 의정부 좌찬성 등 요직을 역임하며 세조 정권에 기여하고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는 등 권력층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했으나 젊은 나이에 사망하여 조선왕조실록에 영민함과 청렴함이 기록됨과 동시에 재산 축적에 대한 비판도 함께 제시된 조선 전기의 인물이다.
  • 조선의 부마 - 심종
    심종은 고려 말, 조선 초의 인물로, 태조 이성계의 사위가 되어 청원군에 봉해지고, 제1차 왕자의 난 때 공신에 책록되었으나, 회안군 이방간과 내통한 죄로 폐서인되어 사망했다.
  • 1740년 출생 - 김귀주
    김귀주는 조선 영조와 정조 시대의 문신이자 정순왕후의 오빠로, 홍봉한과 대립하다 정조 즉위 후 숙청되었으며, 사후 정순왕후 수렴청정 기간에 복권되었다가 다시 삭탈관작되었다.
  • 1740년 출생 - 베네딕트 아널드
    베네딕트 아널드는 미국 독립 전쟁에서 대륙군 장군으로 활약했으나 영국으로 투항하여 배신자로 역사에 기록되었으며, 타이콘데로가 요새 점령 등에서 활약했으나 웨스트포인트를 넘기려다 발각되어 영국군에 합류, 준장으로 임명되었고 배신 행위로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1802년 사망 - 쇼온왕
    쇼온왕은 류큐 왕국 제2쇼씨 왕조의 18대 국왕으로,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교육 진흥과 대외 관계 유지에 힘썼으나 요절하였다.
  • 1802년 사망 - 알렉산드르 라디셰프
    알렉산드르 라디셰프는 18세기 러시아 계몽주의 사상가이자 작가로, 농노제와 전제정치를 비판하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모스크바까지의 여행』을 출판하여 사형 선고 후 시베리아로 유배되었으나, 귀환 후 잠시 법 개정에 참여하다 자살했으며, 그의 저서는 러시아 사회 개혁과 후대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황인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황인점
한자 표기黃仁點
작위조선 영조의 부마
창성위昌城尉
출생일1740년
가문창원 황씨
아버지황재
어머니덕수 이씨
배우자화유옹주
자녀1남 2녀
황기옥 · 김제만의 처
김손근의 처 (서녀)
능묘황인점 · 화유옹주묘
경기도 부천시 원미로281번길 35

2. 생애

영조가 세상을 떠나자 영조의 애책문을 썼으며, 정조 즉위 후 진하 겸 사은사로 임명되어 서호수, 김이희 등이 그를 따랐다.[3]

1777년(정조 1년), 아내 화유옹주가 종기로 사망하였다.[4]

1784년(정조 8년) 연경행에 동행했던 이승훈이 《천주실의》 등 천주교 관련 서적들을 반입했는데, 이후 1801년(순조 1년) 신유박해 때 당시 정사로서 이승훈의 서책 반입을 막지 못했다는 이유로 관직이 삭탈되었다.[5]

1802년(순조 2년) 10월 4일 사망하였다.

자녀는 1남 2녀를 두었는데 아들 황기옥은 먼저 세상을 떠났다. 측실이 낳은 서녀 황씨는 순원왕후의 큰아버지이자 김조순의 형인 김용순의 아들 김손근과 혼인했으나 1827년(순조 27년) 4월, 평안도 덕천에서 도적에게 살해되었다.[6] 황씨를 죽인 범인은 붙잡혀 효수되었다.

2. 1. 초기 생애 및 혼인

본관은 창원로 호조참판을 지낸 황재(黃梓)의 셋째 아들이며, 이조판서를 지낸 황인검(黃仁儉)의 이복 동생이다.

1751년(영조 27년) 영조의 10녀 화유옹주와 혼인이 결정되어 창성위(昌城尉)에 봉해졌다.[1] 화유옹주와의 혼례를 앞두고 화유옹주의 이복 언니인 화협옹주가 사망하자 영조화유옹주와 황인점의 길례를 중지할 것을 명하였다.[2]

1753년(영조 29년) 2월 27일, 화유옹주와 혼인하였고, 2년 후에 출궁하였다. 화유옹주와의 사이에서 1남 1녀를 두었다.

2. 2. 왕실 인척으로서의 활동

1751년(영조 27년) 영조의 10녀 화유옹주와 혼인이 결정되어 창성위(昌城尉)에 봉해졌다.[1] 화유옹주와의 혼례를 앞두고 화유옹주의 이복 언니인 화협옹주가 사망하자 영조는 화유옹주와 황인점의 길례를 중지할 것을 명하였다.[2]

1753년(영조 29년) 2월 27일, 화유옹주와 혼인하였고, 2년 후에 출궁하였다. 화유옹주와의 사이에서 1남 1녀를 두었다.

영조가 세상을 떠나자 영조의 애책문을 썼으며, 정조가 즉위한 뒤 진하 겸 사은사(進賀兼謝恩使)로 임명되었다. 이때 서호수가 부사(副使)로, 김이희가 서장관(書狀官)으로 그를 따랐다.[3]

1777년(정조 1년), 아내 화유옹주가 종기를 앓다가 세상을 떠났다.[4]

1776년(정조 즉위년)부터 1793년(정조 17년)까지 17년간 진하 겸 사은정사(進賀兼謝恩正使) 1회, 동지 겸 사은정사(冬至兼謝恩正使) 3회, 동지정사 1회, 성절 겸 사은정사(聖節兼謝恩正使) 1회 등 모두 여섯 차례에 걸쳐 청나라 수도 연경(燕京)에 다녀왔다.

1784년(정조 8년) 연경행에 동행했던 이승훈이 《천주실의》 등 천주교 관련 서적들을 반입했는데, 이후 1801년(순조 1년) 신유박해 때 당시 정사로서 이승훈의 서책 반입을 막지 못했다는 이유로 관직이 삭탈되었다.[5]

2. 3. 청나라 사신 행적

1776년(정조 즉위년)부터 1793년(정조 17년)까지 17년간 진하 겸 사은정사(進賀兼謝恩正使) 1회, 동지 겸 사은정사(冬至兼謝恩正使) 3회, 동지정사 1회, 성절 겸 사은정사(聖節兼謝恩正使) 1회 등 모두 여섯 차례에 걸쳐 청나라 수도 연경에 다녀왔다.[3]

1784년(정조 8년) 연경행에 동행했던 이승훈이 《천주실의》 등 천주교 관련 서적들을 들여왔는데, 이후 1801년(순조 1년) 신유박해 때 이승훈의 서책 반입을 막지 못했다는 이유로 관직이 삭탈되었다.[5]

2. 4. 신유박해 연루와 관직 삭탈

1784년(정조 8년) 이승훈이 황인점의 연경행에 동행하여 《천주실의》 등 천주교 관련 서적들을 조선에 들여왔다. 이후 1801년(순조 1년) 신유박해 때, 당시 정사로서 이승훈의 서책 반입을 막지 못했다는 이유로 관직이 삭탈되었다.[5]

2. 5. 사망

1802년(순조 2년) 10월 4일에 사망하였다.

1801년(순조 1년) 신유박해 때, 1784년(정조 8년) 연경행에 동행했던 이승훈이 《천주실의》 등 천주교 관련 서적을 반입한 것을 막지 못했다는 이유로 관직이 삭탈되었다.[5]

자녀로는 1남 2녀를 두었는데, 아들 황기옥은 먼저 세상을 떠났다. 측실이 낳은 서녀 황씨는 순원왕후의 큰아버지이자 김조순의 형인 김용순의 아들 김손근과 혼인했으나, 1827년(순조 27년) 4월 평안도 덕천에서 도적에게 살해되었다.[6] 황씨를 죽인 범인은 붙잡혀 효수되었다.

3.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황재(黃梓, 1689 ~ 1756)
전어머니안동 권씨(安東 權氏, 1687 ~ 1723)권상하의 손녀
황인검(黃仁檢, 1711 ~ 1765)
어머니덕수 이씨(德水 李氏)이성진(李性鎭)의 딸
황인렴(黃仁廉, ? ~ 1775)
누이서매수(徐邁洙)의 처
누이홍병문(洪秉文)의 처
아내화유옹주(和柔翁主, 1740 ~ 1777)
장남황기옥(黃基玉, 1760 ~ 1794)
며느리여산 송씨(礪山 宋氏)
장녀창원 황씨(昌原 黃氏, 생몰년 미상)
사위김제만(金濟萬, 생몰년 미상)
측실미상
서녀창원 황씨(昌原 黃氏, 1801 ~ 1827)도적에 의해 피살됨[7]
사위김손근(金遜根, 1800 ~ 1833)순원왕후의 사촌 동생


참조

[1] 실록 영조실록 74권, 영조 27년(1751년 청 건륭(乾隆) 16년) 10월 5일 (무술)
[2] 실록 영조실록 78권, 영조 28년(1752년 청 건륭(乾隆) 17년) 11월 27일 (갑신)
[3] 실록 정조실록 2권, 정조 즉위년(1776년 청 건륭(乾隆) 41년) 9월 24일 (임진)
[4] 실록 정조실록 3권, 정조 1년(1777년 청 건륭(乾隆) 42년) 5월 21일 (을유)
[5] 실록 순조실록 2권, 순조 1년(1801년 청 가경(嘉慶) 6년) 3월 3일 (기묘)
[6] 실록 순조실록 29권, 순조 27년(1827년 청 도광(道光) 7년) 4월 27일 (임신)
[7] 실록 순조실록 29권, 순조 27년(1827년 청 도광(道光) 7년) 4월 27일 (임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