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화합물 명명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학 명명법은 화학 화합물의 이름(구두 또는 서면)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규칙과 체계이다. 각 이름은 하나의 화합물을 나타내야 하며, 이상적으로는 화합물의 구조나 화학적 성질도 반영해야 한다. 다양한 명명법이 존재하며, IUPAC 명명법이 널리 사용되지만, 일반명과 CAS 등록 번호와 같은 다른 명명법도 존재한다. 화학 명명법은 어휘학과 달리, 화학 구조와 관련된 고정된 의미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화학 명명법은 연금술 시대부터 라부아지에와 IUPAC를 거쳐 발전해왔으며, 유기 및 무기 화학 분야에서 다양한 종류의 명명법이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학 명명법 - IUPAC 명명법
    IUPAC 명명법은 화학 물질의 명칭을 통일하기 위해 19세기 후반부터 발전해 온 국제적인 체계이며, 무기 및 유기 화합물 명명법과 원자량 표준화 등을 다루며, 다양한 규칙과 유기 화합물 명명법을 포함한다.
  • 화학 명명법 - 화학식
    화학식은 물질의 원소와 비율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분자식, 구조식, 실험식, 시성식 등이 있으며, IUPAC 명명법, 괄호, 위첨자, 특수 기호 등을 사용하여 물질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입체 이성질체 구분이나 반응 메커니즘 설명에는 한계가 있다.
화합물 명명법
화학 명명법
정의화학 물질의 체계적인 명명 규칙
목적각 화합물에 대해 단 하나의 이름만 부여하는 것
사용 분야화학, 약학 등
관련 기관국제 순수·응용 화학 연맹(IUPAC)
명명법 종류
IUPAC 명명법국제적으로 인정받는 표준 명명법
관용명역사적으로 사용되어 온 일반적인 이름 (예: 아세트산)
CAS 등록번호화학 물질 식별을 위한 고유한 숫자 식별자
IUPAC 명명법의 기본 원칙
계통명분자 구조에 따라 체계적으로 명명
치환명명법주사슬의 수소 원자를 다른 원자나 작용기로 치환하여 명명
덧붙임명명법주사슬에 작용기를 덧붙여 명명
헵토명명법헤테로 고리 화합물 명명에 사용
작용기 명명법
작용기분자의 특성을 결정짓는 원자단 (예: -OH, -COOH)
명명 규칙작용기의 종류에 따라 접두사 또는 접미사를 사용하여 명명
역사
초기 명명법연금술 시대부터 사용된 비체계적인 이름
라부아지에 명명법1787년 라부아지에 등이 제안한 체계적인 명명법
제네바 명명법1892년 제네바 회의에서 채택된 유기화합물 명명법
IUPAC 명명법 확립20세기 초 IUPAC에 의해 국제적인 표준 명명법으로 확립

2. 화학 명명법의 목적

화학 명명법은 화학 물질을 명확하게 식별하고, 가능하면 그 구조나 성질까지 나타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하지만 모든 상황에 맞는 단 하나의 완벽한 명명법은 없으며,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명명법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단어의 의미를 수집하고 보고하는 어휘학의 목적과, 의사소통과 관행을 표준화하여 화학 용어가 고정된 의미를 갖도록 하는 화학 명명법의 목적은 서로 다르며 때로는 상충하기도 한다. 특히 인터넷 환경에서는 공식적인 검토 과정 없이 화학 용어의 정의가 빠르게 변할 수 있으며, 이는 표준화된 명명법의 의도와 어긋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특히 대중의 관심이 높은 화학 물질에서 두드러진다. 예를 들어, 레스베라트롤은 명확히 정의된 화합물이지만 일반 대중에게는 그 ''시스''-이성질체와 혼동될 수 있다. 오메가-3 지방산은 공식적인 정의가 비교적 넓은 화학 구조의 종류를 포괄한다. 폴리페놀의 경우, 공식적인 정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용어의 오역이나 오용으로 인해 구조와 활성 사이의 관계(SAR)를 이해하는 데 혼란을 야기하기도 한다.

이처럼, 특히 건강 효능과 관련하여 대중적 관심이 높은 화합물의 경우, 인터넷 등에서 의미가 빠르게 변하는 현상은 화학 명명법이 추구하는 단일하고 명확한 의미 전달을 어렵게 만들고, 결과적으로 화학 구조와 생체 활성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혼란을 줄 수 있다.

2. 1. 명확성

화학 명명법의 주요 목적은 화학 화합물의 구두 또는 서면 이름을 명확하게 하는 것이다. 즉, 각 이름은 하나의 화합물을 지칭해야 한다. 부차적으로, 각 화합물은 하나의 이름만 가져야 하지만, 경우에 따라 몇 가지 대체 이름이 허용된다.

가급적이면, 이름은 화합물의 구조나 화학적 성질도 나타내야 한다. 이는 국제 화학 식별자(InChI) 명명법으로 달성된다. 그러나 미국 화학회(American Chemical Society)의 CAS 등록 번호 명명법은 화합물의 구조를 나타내지 않는다.

사용되는 명명법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르므로, 단일의 올바른 명명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오히려, 서로 다른 상황에 서로 다른 명명법이 적합하다.

일반명은 문맥이 주어지면 화학 화합물을 성공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문맥이 없더라도, 이름은 적어도 화학 조성을 나타내야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름이 원자의 3차원 배치를 나타낼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국제 순수·응용 화학 연합(IUPAC) 시스템에 더 많은 규칙을 추가해야 하며 (화학 초록 서비스(CAS) 시스템이 이 맥락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시스템이다), 그 결과 이름이 더 길고 익숙하지 않게 된다.

IUPAC 시스템은 관련 화합물을 구별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자주 받는다 (예를 들어, IUPAC가 구별하지 않는 황의 동소체의 서로 다른 반응성). IUPAC는 CAS 번호보다 사람이 읽기 쉽다는 장점이 있지만, 일부 더 크고 관련된 분자 (예: 라파마이신)에 대한 IUPAC 이름은 거의 사람이 읽을 수 없으므로 대신 일반명을 사용한다.

2. 2. 구조 및 성질 반영 (이상적인 경우)

이상적으로, 화합물 이름은 그 구조나 화학적 성질까지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국제 화학 식별자(InChI) 명명법은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려는 시도 중 하나이다. 반면, 미국 화학회(American Chemical Society)의 CAS 등록 번호는 화합물의 구조 정보를 담고 있지 않다.

더 나아가, 원자의 3차원 배열까지 이름에 반영해야 할 경우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표준 명명법(예: 화학 초록 서비스 시스템)에 추가적인 규칙이 필요하며, 이로 인해 이름이 더 길고 복잡해지는 경향이 있다.

IUPAC 명명법은 때때로 구조나 성질이 미묘하게 다른 관련 화합물들(예: 황의 동소체)을 명확히 구별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IUPAC 명명법은 CAS 등록 번호보다 사람이 이해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지만, 라파마이신과 같이 크고 복잡한 분자의 경우 IUPAC 이름의 가독성이 매우 떨어져 일반명이 대신 사용되기도 한다.

2. 3. 다양한 명명법의 필요성

화학 명명법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어떤 화합물을 가리키는지 명확하게 하는 것이다. 즉, 하나의 이름은 오직 하나의 화합물만을 나타내야 한다. 반대로 하나의 화합물은 하나의 이름만 갖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실제로는 몇 가지 다른 이름이 함께 쓰이기도 한다.

가급적 이름만으로도 화합물의 구조나 화학적 성질을 알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InChI 명명법은 이러한 목표를 달성한다. 하지만 미국 화학회(American Chemical Society)에서 사용하는 CAS 등록 번호는 화합물의 구조 정보를 직접적으로 담고 있지는 않다.

어떤 명명법이 절대적으로 옳다고 할 수는 없다. 사용하는 사람의 목적이나 상황에 따라 적합한 명명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일반명은 특정 문맥 안에서는 화합물을 충분히 구별할 수 있게 해준다. 문맥이 없더라도 최소한 화학 조성 정도는 이름에서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더 나아가 원자의 3차원적인 배열까지 정확히 나타내야 할 때도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표준 IUPAC 시스템에 더 복잡한 규칙을 추가해야 한다. CAS 시스템이 이런 경우에 흔히 사용되지만, 이름이 매우 길고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IUPAC 시스템은 비슷한 화합물들을 명확히 구별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예를 들어, 황의 동소체처럼 반응성이 다른 물질들을 IUPAC 이름으로는 구분하기 어려울 수 있다. IUPAC 이름은 CAS 번호보다는 사람이 이해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지만, 라파마이신처럼 매우 크고 복잡한 분자의 경우 IUPAC 이름 역시 이해하기 어려워 일반명을 대신 사용하기도 한다.

3. 화학 명명법과 어휘학의 차이

화학 물질의 이름을 정하는 화학 명명법은 특정 화학 화합물을 가리키는 이름을 명확하게 하는 것을 가장 중요한 목표로 삼는다. 즉, 하나의 이름은 오직 하나의 화합물만을 지칭해야 한다. 부수적으로는 하나의 화합물이 하나의 이름만을 갖도록 하는 것을 지향하지만, 경우에 따라 여러 대체 이름이 허용되기도 한다.

이상적으로는, 화학명은 그 화합물의 구조나 화학적 성질에 대한 정보도 담고 있어야 한다. 국제 화학 식별자(InChI) 명명법이 이러한 목표를 추구하는 대표적인 예이다. 반면, 미국 화학회(American Chemical Society)에서 사용하는 CAS 등록 번호는 화합물의 구조 정보를 직접적으로 나타내지는 않는다.

어떤 명명법을 사용할지는 전적으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모든 상황에 적용되는 '유일하게 올바른' 명명법이란 존재하지 않으며, 상황에 따라 가장 적합한 명명법을 선택하여 사용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일반명은 특정 문맥 속에서는 화학 화합물을 충분히 식별할 수 있게 해주며, 최소한 화학 조성에 대한 정보는 전달해야 한다. 만약 원자의 3차원 배열까지 정확히 표현해야 한다면, IUPAC의 표준 명명법에 더 많은 규칙을 추가해야 하며, 이 경우 화학 초록 서비스(CAS) 시스템이 흔히 사용된다. 하지만 이는 이름이 더 길고 복잡해지는 결과를 낳는다.

IUPAC 명명법은 CAS 등록 번호보다 사람이 이해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지만, 때로는 구조적으로 유사하지만 성질이 다른 화합물을 명확히 구분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예: 황의 동소체 간의 반응성 차이). 또한, 라파마이신과 같이 매우 크고 복잡한 분자의 경우 IUPAC 이름이 너무 길고 어려워 사실상 해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대신 일반명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3. 1. 대중적 용어와의 혼동

일반적으로 단어의 의미를 다루는 어휘학의 목적과 화학 물질의 이름을 정하는 화학 명명법의 목적은 서로 다르며, 때로는 상반되기도 한다. 사전은 단어가 실제로 사용되는 용례를 수집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는 의미를 기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공식적인 편집 과정이 부족한 인터넷 사전의 경우, 화학 용어의 정의가 공식적이거나 역사적인 의미와 관계없이 빠르게 변할 수 있다.

반면, IUPAC 명명법과 같은 화학 명명법은 의사소통과 연구 관행을 표준화하는 데 목적을 둔다. 화학 용어가 사용될 때 특정 화학 구조와 명확하게 연결된 의미를 갖도록 하여, 그 화학적 특성과 분자 기능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돕기 위함이다.

이러한 목적의 차이는 대중의 관심을 끄는 특정 화학 물질의 경우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

  • '''레스베라트롤''': 명확하게 정의된 단일 화합물이지만, 대중적으로는 그 ''시스''-이성질체와 혼동되기도 한다.
  • '''오메가-3 지방산''': 공식적인 정의에 따라 상당히 넓은 범위의 화합물을 포함하지만, 비교적 잘 정의된 화학 구조의 한 종류이다.
  • '''폴리페놀''': 공식적인 정의가 존재하지만, 용어의 잘못된 번역이나 일반적인 오용으로 인해 실제 사용에서 심각한 오류가 발생한다. 이는 구조와 활성 사이의 관계(SAR)를 파악하는 데 모호성을 야기하는 넓은 범위의 구조적 종류이다.


특히 건강에 좋다고 알려진 화합물의 경우, 인터넷 등에서 그 의미가 빠르게 변하면서 화학 명명법이 추구하는 단일하고 명확한 의미(그리고 이를 통한 SAR 이해)를 유지하기 어렵게 만든다. 폴리페놀의 사례는 이러한 문제를 잘 보여주는데, 다양한 인터넷 정보나 일상적인 용법이 폴리페놀 구조와 생체 활성을 연결하는 어떠한 공인된 화학 명명법과도 충돌하는 경우가 많다.

4. 화학 명명법의 역사

초기 연금술 시대의 명명법은 물질을 묘사하는 데 중점을 두었으나, 현대 화학에서 요구하는 체계성과는 거리가 멀었다. 화학 원소와 화합물의 구분이 명확해진 18세기 후반, 프랑스의 앙투안 라부아지에, 루이-베르나르 귀통 드 모르보 등을 중심으로 보다 체계적인 화학 명명법의 기초가 마련되었다. 이들의 노력은 Méthode de nomenclature chimique프랑스어(화학 명명법 방법)과 라부아지에의 ''화학 원론'' 등을 통해 확산되었으며, 옌스 야코브 베르셀리우스 등에 의해 다른 언어권으로 전파되었다.[10][11][12][14][15][16][17]

19세기 중반 유기 화학의 급격한 발전은 기존 명명법의 한계를 드러냈고, 더욱 정교하고 통일된 명명법의 필요성을 증대시켰다. 이에 대한 국제적인 논의가 시작되어 1892년 제네바 규칙이라는 표준화된 제안이 마련되었다.[18] 이후 제1차 세계 대전 등의 부침을 겪었으나, 최종적으로 국제 순수·응용 화학 연합(IUPAC)이 설립되어 유기, 무기, 생화학 등 화학 전반의 명명법을 제정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맡게 되었다.[1]

4. 1. 연금술 시대의 명명법

연금술 명명법은 물질을 묘사하는 방식이었지만, 현대 화학에서처럼 물질의 구성 성분이나 구조를 효과적으로 나타내지는 못했다. 초기 연금술 실천가들이 의도적으로 모호한 명칭을 사용했는지, 아니면 그들이 따르던 독특하고 때로는 난해한 이론 때문에 명칭이 복잡해졌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있다. 두 가지 설명 모두 어느 정도 타당성을 가질 수 있다. 주목할 점은 18세기 후반 프랑스 화학자 앙투안 라부아지에가 화학 원소와 화합물의 구분을 명확히 하면서, 최초의 현대적인 화학 명명법 체계가 등장했다는 사실이다.

4. 2. 라부아지에와 ''화학 명명법 방법'' (Méthode de nomenclature chimique)

263x263px


프랑스 화학자 루이-베르나르 귀통 드 모르보는 1782년에 자신의 권고안을 발표하며[10], 그의 "일관된 명명법"이 "이해를 돕고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기를 바랐다. 이 체계는 1787년 라부아지에, 클로드 루이 베르톨레, 앙투안 프랑수아 드 푸르크루아와 공동으로 출판된 ''Méthode de nomenclature chimique프랑스어''(화학 명명법 방법)에서 더욱 정교해졌다.[11] 이 책은 1788년 제임스 세인트 존에 의해 ''화학 명명법 방법''(Method of Chymical Nomenclature영어)으로 영어로 번역되었다.[12]

''화학 명명법 방법''에는 이전의 화학 명칭과 새로운 대응 명칭, 그리고 그 반대의 경우를 나열한 편리한 사전이 포함되어 있었다. 새로운 명칭은 국제 독자들을 위해 프랑스어와 라틴어로 제공되었다. 현대 독자에게 이 사전은 새로운 명칭보다는 이전 명칭을 발견하고 이해하는 데 여전히 유용하다. 영어 버전에서는 새로운 명칭이 영어에 맞게 조정되었지만, 항상 현재의 관례와 일치하지는 않았다. 예를 들어, 번역자인 세인트 존은 "acetate" 대신 "acetat"를 사용했다. 기체의 경우, 새로운 명칭에서 "gas"(gaz프랑스어)라는 단어가 일관되게 사용되면서 대중화되었지만, 이전 명칭은 접사 "air"를 사용했다.

4. 3. ''화학 원론'' (Traité élémentaire de chimie)

새로운 명명 체계는 라부아지에(Lavoisier)가 1789년에 출판한 교과서인 ''화학 원론''[14]을 통해 더 널리 알려졌다. 이 책은 1790년 로버트 커에 의해 ''Elements of Chemistry''라는 제목으로 영어로 번역되었고,[15] 라부아지에가 1794년 단두대에서 처형된 이후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스웨덴의 화학자 옌스 야코브 베르셀리우스[16][17]는 이 프로젝트를 지지했으며, 이 아이디어를 독일어권 국가들에 맞게 적용했다.

''화학 원론''에는 최초의 현대적인 원소 목록("단순 물질")이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새로운 이름에 대한 설명을 돕기 위해 이전 이름들도 함께 제시되었다. 일부 원소 이름은 새롭게 만들어졌으며, 프랑스어 이름과 유사한 영어 이름이 붙여졌다. 예를 들어, 새로운 "원소"로 제시된 ''열량''(caloric)의 경우, 새로운 이름과 함께 라부아지에가 만든 몇 가지 "오래된" 이름(''화열 유체'' 및 ''불과 열의 물질'')도 언급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원소 이름은 기존에 사용되던 것을 유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물질들이 원소로서의 지위를 갖게 된 것은 화학 혁명의 중요한 결과 중 하나였다.

4. 4. 제네바 규칙 (Geneva Rules)

가이톤의 권고는 주로 무기 화합물에 관한 것이었다. 19세기 중반에 이르러 유기 화학 분야가 크게 발전하고 유기 화합물의 구조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면서, 기존의 명명법을 넘어선 더 체계적인 명명법 시스템의 필요성이 커졌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1892년, 여러 나라의 화학회가 모여 스위스 제네바에서 국제 회의를 개최했다. 이 회의에서 처음으로 널리 인정받는 표준화된 명명법 제안, 즉 제네바 규칙이 만들어졌다.[18]

4. 5. IUPAC 명명법

1913년 국제 화학 학회 연합 이사회에서 화합물 명명법 관련 위원회가 처음 설립되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발발로 인해 활동이 중단되었다. 전쟁이 끝난 후, 이 작업은 새로 결성된 국제 순수·응용 화학 연합 (IUPAC)으로 넘겨졌다. IUPAC은 1921년에 유기화학, 무기화학 및 생화학 명명법 위원회를 처음으로 임명했으며, 이 위원회들은 오늘날까지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1]

5. 화학 명명법의 종류

명명법은 유기 화학 및 무기 화학 모두에 대해 개발되었다. 또한 구조와 관련된 지정도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구조 지표(화학) 문서를 참조할 수 있다.

5. 1. 유기 화학 명명법


  • 첨가 명명법
  • 접속 명명법
  • 작용기 종류 명명법, 라디칼 작용기 명명법이라고도 함
  • 융합 명명법
  • 한츠-비트만 명명법
  • 곱셈 명명법
  • 치환 명명법
  • 감산 명명법

5. 2. 무기 화학 명명법

무기 화합물의 이름을 짓는 방법은 국제 순수·응용 화학 연합(IUPAC)에서 정한 규칙을 따른다. 주요 명명법으로는 치환 명명법과 첨가 명명법 등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IUPAC 무기 화학 명명법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5. 2. 1. 치환 명명법 (Substitutive nomenclature)

이 명명법은 일반적으로 확립된 IUPAC 유기 명명법을 따른다. 주족 원소(13-17족)의 수소화물은 기본 이름에 "-ane"을 붙여 명명한다. 예를 들어 보레인(BH3), 옥시데인(H2O), 포스페인(PH3) 등이 있다. 하지만 포스핀이라는 이름도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IUPAC에서는 권장하지 않는다. 따라서 PCl3 화합물은 치환 방식으로 트리클로로포스페인(염소가 "치환"됨)으로 명명된다. 그러나 이러한 이름(또는 어간)이 모두 원소 이름에서 파생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NH3아잔이라고 불린다.

5. 2. 2. 첨가 명명법 (Additive nomenclature)

이 명명법은 주로 배위 화합물을 위해 개발되었지만 더 넓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oCl(NH3)5]Cl2는 펜타암민클로로도코발트(III) 염화물로 명명된다.

리간드 역시 특별한 명명 규칙을 따른다. 치환 명명법에서 염화물(chloride)은 접두사 클로로-(chloro-)가 되지만, 리간드의 경우에는 클로리도-(chlorido-)가 된다.

참조

[1] 서적 Nomenclature of Organic Chemistry Butterworths
[2] 서적 Nomenclature of Organic Chemistry International Union of Pure and Applied Chemistry/Pergamon Press
[2] 서적 A Guide to IUPAC Nomenclature of Organic Compounds International Union of Pure and Applied Chemistry/Blackwell Science
[2] 서적 Nomenclature of Organic Chemistry (Provisional Recommendations) https://old.iupac.or[...] International Union of Pure and Applied Chemistry 2004-10-27
[3] 서적 Nomenclature of Inorganic Chemistry https://old.iupac.or[...] Royal Society of Chemistry/IUPAC
[4] 서적 Quantities, Units and Symbols in Physical Chemistry https://old.iupac.or[...] Blackwell Science
[5] 서적 Compendium of Chemical Terminology, IMPACT Recommendations (2nd Ed.)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6] 서적 Biochemical Nomenclature and Related Documents Portland Press
[7] 서적 Compendium of Analytical Nomenclature https://media.iupac.[...] Blackwell Science
[8] 서적 Compendium of Macromolecular Nomenclature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9] 서적 Compendium of Terminology and Nomenclature of Properties in Clinical Laboratory Sciences Blackwell Science
[10] 논문 Mémoire sur les dénominations chimiques, la necessité d'en perfectionner le système et les règles pour y parvenir
[11] 서적 Méthode de Nomenclature Chimique https://archive.org/[...] Cuchet
[12] 서적 Method of chymical nomenclature, proposed by Messrs. de Morveau, Lavoisier, Bertholet, and de Fourcroy: To which is added A new system of chymical characters adapted to the nomenclature by Mess. Hassenfratz and Adet https://archive.org/[...] G. Kearsley
[13]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the New Chymical Nomenclature https://web.lemoyne.[...]
[14] 서적 Traité Élémentaire de Chimie https://archive.org/[...] Deterville
[15] 서적 Elements of Chemistry, in a New Systematic Order, Containing All the Modern Discoveries https://www.gutenber[...] William Creech
[16] 논문 Essai sur la nomenclature chimique
[17] 논문 Jöns Jacob Berzelius A Guide to the Perplexed Chemist
[18] 간행물 Congrès de nomenclature chimique, Genève 1892 https://gallica.bnf.[...]
[19] 논문 The Origin of the Oxidation-State Concept 2007
[20] 논문 Men of History, Men of Category https://www.jstor.or[...] 2001-09
[21] 논문 Aestheticizing the Laboratory: "Delirium," the Chemists, and the Boundaries of Language https://www.tandfonl[...] 2007-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