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환대는 낯선 사람을 환영하고 그들에게 음식, 숙소, 안전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는 단어로, 라틴어 'hospes'에서 유래했다. 고대 문화부터 중요한 관습으로 여겨졌으며, 알바니아, 고대 그리스, 인도, 네팔, 유대교, 기독교, 파슈툰족, 이슬람, 켈트족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각기 다른 형태로 나타났다. 현대 사회에서는 에티켓과 오락의 측면이 강조되지만, 인류학에서는 주인과 손님 사이의 불평등한 관계, 무조건적인 환대와 조건적인 환대의 구분, 그리고 환대가 억압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점 등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화 - 문화유산
문화유산은 유형문화유산, 무형문화유산, 자연유산, 디지털 유산으로 나뉘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은 기념물, 건축물군, 유적으로 문화유산을 구분하고 문화적 경관 개념을 추가하여 인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중요한 자료로서 각국에서 보호하고 있으며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보존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 문화 - 단혼
단혼 또는 일부일처제는 한 번에 한 사람하고만 결혼하거나 성관계를 갖는 것으로, 중혼 또는 다처제와 대조되며, 사회적, 성적, 유전적 형태로 세분화될 수 있고, 현대 사회 대부분의 국가에서 법적으로 시행되며, 여성 권리 운동의 옹호를 받는다. - 인간 관계 - 동성애
동성애는 동성 간의 성적 매력, 행위, 애정을 의미하는 용어로, LGBT와 같은 포괄적인 용어가 사용되며 사회적 인식 변화와 함께 동성애자 권리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나,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 인간 관계 - 연인
연인은 서로 사랑하는 관계를 뜻하며, 일본어의 '이모세', '오모히비토', '애인'과 영어의 'boyfriend', 'girlfriend', 'steady' 등 다양한 표현이 존재하지만, '아베크'는 점차 사용되지 않는 추세이다.
환대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정의 | 손님을 따뜻하게 맞이하고 즐겁게 해주는 행위 또는 관습 |
관련 개념 | 대접 접대 친절 관용 환영 |
사회적 의미 | |
역할 | 손님과 주최자 간의 관계 형성 사회적 유대 강화 문화 교류 촉진 |
중요성 | 긍정적인 경험 제공 신뢰 구축 관계 강화 |
윤리적 측면 | |
책임 | 손님의 안전과 편안함 보장 존중과 배려 공정하고 평등한 대우 |
기대 | 감사의 표현 주최자의 노력 존중 긍정적인 태도 유지 |
문화적 차이 | |
표현 방식 | 음식 제공 선물 교환 의례적인 행동 |
중요도 | 문화마다 환대에 대한 기대와 관습이 다를 수 있음 |
상업적 환대 | |
분야 | 호텔 레스토랑 관광 이벤트 |
목적 | 고객 만족도 향상 및 긍정적인 인상 제공 |
환대의 정신 | |
핵심 가치 | 타인에 대한 배려와 존중 따뜻함과 친절함 긍정적인 태도 |
중요성 | 손님의 마음을 움직이고 감동을 주는 데 중요한 역할 |
2. 어원
"환대"(Hospitality)는 hospes|호스페스la[5]에서 유래하며, "주인", "손님", 또는 "낯선 사람"을 의미한다. Hospes|호스페스la는 "낯선 사람" 또는 "적"을 의미하는 hostis|호스티스la에서 파생되었으며, "적대적인"과 같은 용어의 어원이기도 하다. 은유적으로 hospitalis|호스피탈리스la는 손님 방, 손님 숙소, 여관을 의미한다.[6] 따라서 Hospes/hostis|호스페스/호스티스la는 영어 단어 "host"(주인), "hospitality"(환대), "hospice"(호스피스), "hostel"(호스텔), "hotel"(호텔)의 어원이다.
서비스업 종사자는 연기일지라도 타인에게 기쁨을 주는 태도와 립서비스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상에서도 이러한 심리 작용은 알게 모르게 작용하는데, 상대방에게 기쁨을 주려는 마음이 없다면 원만한 인간관계는 성립하기 어렵다. 타인에게 기쁨을 주는 것이 자신의 기쁨이 되거나, 타인에게 미움받고 싶지 않다는 심리가 작용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경우보다 이러한 심리가 강한 경우를 '서비스 정신'이라고 부른다.
3. 역사적 관습
4. 세계 각지의 환대 문화
세계 각지에는 다양한 환대 문화가 존재한다.4. 1. 알바니아
알바니아인들에게 환대(mikpritjasq)는 전통 사회의 불가분의 요소이며, 알바니아 전통 관습법(카눈)으로도 규정되어 있다. 환대, 명예, 그리고 베사는 북부 알바니아 부족 사회의 기둥이다.[8] 수많은 외국 방문객들이 역사적으로 북부와 남부 알바니아인들의 환대를 기록해 왔다. 특히 외국 여행객과 외교관, 그리고 여러 저명한 역사가와 인류학자들은 북부 알바니아 고지대 주민들의 환대를 "엄숙하게, 낭만적으로, 그리고 찬양하며" 기록했다.[8]
외국 방문객들이 알바니아의 환대에 감탄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환대가 표현되는 의식과 형태, 숙주와 손님 사이에 피의 복수(피의 복수)가 있더라도 손님을 타협 없이 보호하는 보편적인 적용, 알바니아 사회와 개인 생활에서 도덕적 원칙으로서의 중심적 역할(카눈에서 기본적인 사회 제도로 규정되고 성화됨), 그리고 북부 알바니아 산악 지대의 외딴, 혹독하고 지리적으로 불리한 지역이 일반적으로 물질적 자원이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제공 가능한 최상의 자원으로 제공되는 특별한 이타적인 호소와 적용 등이다.[8]
알바니아의 환대 법은 카눈에 의해 "알바니아인의 집은 신과 손님에게 속한다."라고 간단히 설명된다. 즉, 최고의 윤리적 범주를 나타내는 손님은 집주인 자신보다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손님의 역할은 피보다 더 중요한데, 관습에 따르면 아버지나 아들의 피를 흘린 사람을 용서할 가능성이 있지만, 손님의 피를 흘린 사람은 결코 용서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알바니아 전통에서 손님은 사실상 반신으로 여겨지며, 다른 모든 인간관계보다 우러러 존경받는다.[8]
알바니아인들이 전통적인 환대와 베사 관습을 엄격하게 준수한 것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이탈리아와 독일 점령 시대 유대인들을 대하는 태도에서 특히 주목할 만하다. 실제로 알바니아에 숨어 있던 유대인들은 알바니아인들에게 배신당하거나 독일군에게 넘겨지지 않았으며, 그 결과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무렵 알바니아의 유대인 수는 전쟁 시작 당시보다 11배나 많았다.[9]
4. 2. 고대 그리스
고대 그리스에서는 환대가 권리였으며, 주인은 손님의 필요를 충족시켜야 할 의무가 있었다. 반대로 손님은 일련의 행동 규범을 따라야 했다. 고대 그리스 용어 크세니아|xeniagrc—신이 개입된 경우 테옥세니아|theoxeniagrc—는 이러한 의례화된 손님-우정 관계를 나타낸다. 이 관계는 호메로스 서사시, 특히 ''오디세이''에 명시되어 있다.[10] 그리스 사회에서 환대의 법칙을 준수하는 사람의 능력은 고귀함과 사회적 지위를 결정했다. 호메로스 시대 이후 고대 그리스인들은 환대와 난로의 여신이 원래 여섯 올림포스 신 중 하나인 헤스티아라고 믿었다.
4. 3. 인도와 네팔
인도와 네팔에서 환대는 "손님은 신이다"라는 뜻의 Atithi Devo Bhava|아티티 데보 바바sa 원칙을 기반으로 한다.[11] 이 원칙은 손님이 환대를 베푼 사람에게 보상하는 신으로 드러나는 여러 이야기에 나타난다. 이로부터 집에서나 모든 사회적 상황에서 손님에게 친절을 베푸는 인도 또는 네팔의 관습이 생겨났다. 윤리와 도덕에 관한 고대 인도 저작인 Tirukkuṛaḷ은 81절부터 90절까지 환대의 윤리를 설명하며, 별도의 장(9장)을 할애하고 있다.[11]
4. 4. 유대교
유대교는 창세기 ( 및 )에 나오는 아브라함과 롯의 예를 바탕으로 낯선 이와 손님에 대한 환대를 칭찬한다. 히브리어로 이러한 행위는 "손님 맞이"를 의미하는 이라고 한다.[12] 주인은 손님에게 음식, 편안함, 오락을 제공해야 하며,[12] 방문이 끝나면 관례적으로 손님을 집 밖으로 배웅하고 안전한 여정을 기원한다.[13]
아브라함은 다음 세 가지를 제공하는 기준을 세웠다.
이 히브리어 단어의 첫 글자는 아이셀을 의미한다().
4. 5. 기독교
기독교에서 환대는 덕목이다. 이는 낯선 이들에 대한 동정심을 일깨워주고 방문객을 환영해야 한다는 규칙을 상기시켜 준다.[14] 이는 예를 들어 방문객의 발을 씻기는 관습이나 평화의 입맞춤과 같이 구약 성경에서 발견되는 덕목이다.[15] 예수는 신약 성경에서 낯선 이를 환영한 자는 자신을 환영한 것이라고 가르쳤다.[16] 그는 형제와 이웃의 의미를 낯선 이를 포함하도록 확장하여 그들이 환대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17][21]
요한 바오로 2세는 “형제자매들을 돌봄과 기꺼운 마음으로 맞이하는 것은 특별한 경우에만 국한되어서는 안 되며, 모든 신자들에게 일상생활에서의 봉사의 ‘습관’이 되어야 한다.”라고 적었다.[18] 또한 “그리스도께 마음을 연 사람들만이 결코 형식적이거나 피상적이지 않고 ‘온화함’과 ‘숭고함’으로 특징지어지는 환대를 베풀 수 있다”고 말했다.[19] 일부 서구 국가들은 성경을 바탕으로 이민자들을 위한 환대 문화를 발전시켰다.[20] 일부 기독교 신앙에서는 손님이 자신의 방문으로 인해 과도한 추가 노력을 요구한다고 느껴서는 안 된다고 한다.[21]
4. 6. 파슈툰족
멜마스탸́|Melmastyáps는 파슈툰왈리의 주요 원칙 중 하나이다. 이는 보상이나 호의를 기대하지 않고 모든 방문객(인종, 종교, 국적, 경제적 지위에 관계없이)에게 환대와 깊은 존경심을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파슈툰족은 환대를 보이기 위해 엄청난 노력을 기울일 것이다.[22]
4. 7. 이슬람
이슬람에서는 “평화가 당신에게 있기를 (아스살람 알라이쿰(Assalamu Alaikum))”이라는 말을 통해 선의를 표현하는 데 강조점을 둔다. 이러한 관행은 무함마드의 가르침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손님은 물론 포로의 대우에도 적용된다. 정통 자료와 꾸란 구절들은 이러한 사람들에게 친절과 평화를 보이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23]
아부 아지즈 이븐 우마이르는 다음과 같이 전했다. "나는 바드르 전투(battle of Badr) 당일 포로 중 한 명이었습니다. 무함마드는 '나는 너희에게 포로들을 잘 대해야 한다고 명한다'라고 말했습니다. 내가 이슬람을 받아들인 후, 나는 안사르 (
وَادْعُ إِلَىٰ رَبِّكَ بِٱلْحِكْمَةِ وَٱلْمَوْعِظَةِ ٱلْحَسَنَةِ ۖ وَجَٰدِلْهُم بِٱلَّتِى هِىَ أَحْسَنُ|와드우 일라 라비카 빌히크마티 왈마우이자티 알하사나티 와자딜훔 빌라티 히야 아흐산ar
: 지혜와 아름다운 설교로 너의 주의 길로 (모두를) 초대하고, 가장 훌륭하고 친절한 방법으로 그들과 논쟁하라.
이슬람에서 좋은 환대는 사업에서도 중요하다. 또 다른 보고에 따르면,[24] 무함마드는 시장에서 음식 더미를 지나가다 그 안에 손을 넣어 표면은 말랐지만 젖어 있음을 느꼈다. 그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 "음식 주인이시여, 이것은 무엇입니까?"
>
> 그 사람은 "하느님의 사자여, 비에 손상되었습니다."라고 말했다.
>
> 그는 "왜 비에 손상된 음식을 위에 올려놓지 않았습니까?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우리를 속이는 자는 우리 중 하나가 아닙니다."
4. 8. 켈트족
켈트 사회는 환대를 중요하게 여겼으며, 특히 보호라는 측면을 강조했다. 피난처를 요청하는 사람을 받아들인 주인은 손님에게 음식과 숙소를 제공하고, 그들이 자신의 보호 아래에서 안전하게 지낼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할 의무가 있었다.[25]
4. 9. 북유럽
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 덴마크, 네덜란드에서는 다른 가족의 아이들에게 음식을 제공하는 것을 부적절하게 여기는 경우가 많다. 방문한 아이들에게 저녁 식사 시간에 자리를 뜨거나 다른 방에서 기다리라고 요청하거나, 주최 가족이 방문객의 부모에게 전화하여 허락을 구하는 경우도 있다.[26]
5. 현대적 용법
오늘날 서구에서 환대는 보호와 생존의 문제보다는 에티켓과 오락에 더 관련이 깊다. 그러나 여전히 손님에 대한 존중, 필요 충족, 동등한 대우를 포함한다. 문화와 하위 문화에 따라 낯선 사람, 개인적인 친구, 내집단 구성원에게 베푸는 환대의 정도는 다르다.
서비스업 종사자는 연기일지라도 타인에게 기쁨을 주는 듯한 태도와 립서비스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상적인 인간관계에서도 이러한 심리 작용은 자각 여부와 관계없이 항상 작용한다. 상대에게 기쁨을 주려는 마음이 없다면 이기주의 충돌로 원만한 관계가 성립되지 않기 때문이다. 타인에게 기쁨을 주는 것이 자신의 기쁨이 되거나, 타인에게 미움받고 싶지 않다는 심리가 작용하므로, 이러한 심리 작용은 흔히 볼 수 있다.
일반적인 경우보다 이러한 심리 작용이 강한 경우를 '''서비스 정신'''이라고 부른다.
5. 1. 환대의 인류학
인류학에서 환대는 다양한 형태의 교환을 매개로 하는 주인과 손님 사이의 불평등한 관계로 분석되어 왔다.[27]자크 데리다는 무조건적인 환대와 조건적인 환대를 구분하는, 환대를 이해하기 위한 모델을 제시한다. 수 세기 동안 철학자들은 환대의 문제를 고찰해 왔다. 데리다는 환대에 암묵적인 적대감이 있다고 보았다. 왜냐하면 사람을 낯선 사람으로 다루고 자신과 거리를 두어야 하기 때문이다. 데리다는 이러한 내재적인 갈등을 "hostipitality"(적대적 환대)라는 합성어로 명명한다.[28] 환대는 (언어와 같이) 역설적인 상황을 제시하는데, 환대의 신성한 법칙에 따라 환영받는 사람들을 포함하려면 다른 사람들은 거부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줄리아 크리스테바는 이방인의 취약성을 이용하여 그들을 소유물로 만들려는 "타락한 환대"의 위험에 대해 경고한다.[29] 환대는 주인-손님 만남 과정에서 긴장을 완화시켜 다른 사람들에 대한 호기심과 낯선 사람들에 대한 두려움을 결합하는 경계 영역을 만들어낸다.[30] 환대는 낯선 사람들이 여행 중에 도움을 받고 보호받아야 한다는 믿음에 중심을 둔다.[31] 그러나 일부는 이에 동의하지 않는다. 앤서니 패그든은 환대의 개념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자유로운 통행의 권리를 부과함으로써 아메리카 대륙 정복을 정당화하는 데 이용되었는지, 그리고 이것이 현대 국가의 형성에 유리하게 작용했는지를 설명한다. 이는 환대가 다른 사람들을 억압하기 위해 이데올로기적으로 왜곡될 수 있는 정치적 제도임을 시사한다.[32]
6. 과도한 서비스 정신 (일본)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사람은 누구든, 비록 그것이 연기일지라도, 다른 사람에게 기쁨을 주는 듯한 태도와 립서비스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일상적인 인간관계에서도 이러한 심리 작용은 자각과 관계없이 다소간 항상 작용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만약 상대에게 기쁨을 주려는 마음이 전혀 없이 상대에게 접근한다면, 이기주의의 충돌이 되어 원만한 인간관계는 성립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다른 사람에게 기쁨을 주는 것이 당사자의 기쁨이 되는 심리 작용이나, 다른 사람에게 싫어지고 싶지 않다는 마음이 작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심리 작용은 매우 흔하게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일반적인 경우보다 이러한 심리 작용이 강한 경우를 가리켜 '''서비스 정신'''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태재지(太宰治)는 독자에게 행복을 느끼게 하는 것이 작가의 일이라고 생각하며, 과도할 정도의 광대 같은 서비스 정신을 발휘하여 문학 세계에 머무르지 않고 사생활에서도 다채로운 행동으로 사람들의 이목을 끌었다. 미시마 유키오(三島由紀夫)도 마찬가지로 남다른 서비스 정신의 소유자였다.
에른스트 크레치머(エルンスト・クレッチマー)의 성격 분류에서 분열성 유형(S형) 경향이 있는 사람들 중 일부에 이러한 과도한 서비스 정신을 가진 사람이 많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유형은 외견상 비사교적이고, 진지하며 유머가 없고, 섬세하여 속물적인 것을 경멸하며, 자신만의 세계를 만들어 그에 열중하는 유형으로 여겨지지만, 동시에 제삼자에게는 쉽게 이해하기 어려운 성격이기도 하며, 다른 사람이 상상도 못할 기이한 행동을 태연하게 하거나 세간의 주목을 받는 경우가 있다. 앞서 언급한 태재나 미시마, 또는 아쿠타가와 류노스케(芥川龍之介)도 이 유형에 속한다. 실사 필름에는 진지하다고 여겨지는 아쿠타가와가 나무에 올라 카메라를 향해 장난스러운 제스처를 하는 모습이 남아 있다.
7. 한국의 환대 문화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사람은 누구든, 비록 그것이 연기일지라도, 다른 사람에게 기쁨을 주는 듯한 태도와 립서비스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일상적인 인간관계에서도 이러한 심리 작용은 자각과 관계없이 다소간 항상 작용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만약 상대에게 기쁨을 주려는 마음이 전혀 없이 상대에게 접근한다면, 이기주의의 충돌이 되어 원만한 인간관계는 성립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다른 사람에게 기쁨을 주는 것이 당사자의 기쁨이 되는 심리 작용이나, 다른 사람에게 싫어지고 싶지 않다는 마음이 작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심리 작용은 매우 흔하게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일반적인 경우보다 이러한 심리 작용이 강한 경우를 가리켜 '''서비스 정신'''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참조
[1]
서적
The Symbolism of Heraldry
https://archive.org/[...]
G. Redway
[2]
서적
The Curiosities of Heraldry
https://archive.org/[...]
J. R. Smith
[3]
서적
A Display of Heraldry
S. Roycroft & R. Blome
[4]
서적
Encyclopédie ou Dictionnaire raisonné des sciences, des arts et des métiers
The Encyclopedia of Diderot & d'Alembert Collaborative Translation Project
[5]
서적
Elementary Latin Dictionary
Oxford Univ. Press
[6]
서적
Cassell's Latin Dictionary
Funk & Wagnalls Company
[7]
서적
Making Room: Recovering Hospitality as a Christian Tradition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8]
학술지
Of Time, Honor, and Memory: Oral Law in Albania
https://journal.oral[...]
[9]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Albani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10]
서적
The Stranger's Welcome: Oral Theory and the Aesthetics of the Homeric Hospitality Scen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1]
웹사이트, 서적
Tirukkuṛaḷ, Thirukkural English Translation and Commentary
http://ebooks.gutenb[...]
W. H. Allen, & Co
[12]
서적
Ahavath chesed: the Love of Kindness
Feldheim
1888
[13]
문서
Babylonian Talmud Sotah, 46B.
[14]
서적
L'hospitalité au XVIIIe siècle
Presses Universitaires Blaise Pascal
[15]
서적
Evangelical Dictionary of Theology
Baker Academic
[16]
서적
Hospitality and World Politics
Springer
[17]
웹사이트
The Good Samaritan
https://www.christia[...]
[18]
웹사이트
Address of His Holiness Pope John Paul II to volunteer workers
https://www.vatican.[...]
Libreria Editrice Vaticana
1997-03-08
[19]
웹사이트
Pastoral visit to the island of Ischia. Homily of John Paul II
https://www.vatican.[...]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02-05-05
[20]
서적
History, Memory and Migration: Perceptions of the Past and the Politics of Incorporation
Palgrave Macmillan
[21]
웹사이트
Hospitality Is Biblical — and It's Not Optional
https://www.catholic[...]
[22]
서적
Afghanistan the People, Hunting Bin Laden: How Al-Qaeda Is Winning the War on Terror, Pakistan and the Emergence of Islamic Militancy in Afghanistan
[23]
문서
al-Mu’jam al-Kabīr, 18444.
[24]
문서
Saheeh Muslim
[25]
서적
Scottish Highlanders
Barnes & Noble Books
[26]
뉴스
Do Swedish People Feed Their Guests?
https://www.nytimes.[...]
2022-06-02
[27]
학술지
Hospitality and Immigration in a Greek Urban Neighborhood: An Ethnography of Mimesis: Hospitality and Immigration in a Greek Urban Neighborhood
https://onlinelibrar[...]
[28]
학술지
Hostipitality
[29]
서적
Extranjeros para nosotros mismos
Plaza & Janes Editores
[30]
학술지
The anthropology of tourism
[31]
학술지
Towards an understanding of employee empowerment in hospitality services
[32]
서적
Lords of all the worlds: ideologies of empire in Spain, Britain and France c. 1500–c. 1850
Yale University Press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밀라노 올림픽' 서울서 설명회…김연아도 "마음껏 즐겼으면" | JTBC 뉴스
스피커스 #39 관계의 힘, 지역을 바꾸다!
윤석열 지지자와 친구가 될 수 있을까 [박권일의 다이내믹 도넛]
세종대 호텔관광경영학과 이슬기 교수, 국제학술지 ‘Tourism Management Perspectives’ 부편집장에 선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