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황려일통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려일통지는 1770년대 말부터 1802년까지 베트남의 왕조 교체기를 다룬 역사서이다. 레 왕조 말기의 권력 투쟁, 떠이선 왕조의 북벌, 청나라의 개입과 패배, 레 소통제의 망명과 죽음, 응우옌 왕조의 성립 등 격동의 시기를 묘사한다. 이 책은 외세 침략에 대한 저항과 민족주의적 관점을 강조하며, 레 소통제의 친청 행보를 비판적으로 다룬다. 주요 등장인물로는 레 왕조, 찐 가문, 떠이선 왕조, 응우옌 왕조의 인물들이 있으며, 베트남 역사에서 중요한 사건들을 기록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의 책 - 동경지여지
    동경지여지는 응우옌 왕조 동카인 연간에 편찬된 지리지로, 후에를 포함한 베트남 북부 및 중부 24개 성을 다루며 총 25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 후 레 왕조 - 대월사기전서
    《대월사기전서》는 베트남의 역사서로, 응오시리엔이 이전의 역사서를 바탕으로 1479년에 15권으로 완성했으며, 이후 수정 및 증보를 거쳐 1697년 레히가 간행한 25권의 정화본이 가장 오래된 판본이다.
  • 후 레 왕조 - 응우옌 주
    응우옌 주는 16세기 중반부터 18세기 후반까지 베트남 남부를 다스린 응우옌 씨 가문의 통치 체제로, 응우옌 황이 광남국을 건설하며 시작되어 정씨와의 갈등 속 남진 정책으로 영토를 확장하고 유럽과의 교류로 군사력을 강화했으나 서산의 난과 정씨의 공격으로 몰락, 응우옌 아인이 응우옌 왕조를 건립하며 마무리되었다.
  • 한문소설 - 세설신어
    《세설신어》는 2~4세기 중국 인물들의 일화와 묘사를 담은 책으로, 36개의 편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역사적 자료이자 구어체 기록으로서 중국 문학에 영향을 미쳤고, 한국에도 전래되어 다양한 판본으로 간행되어 조선 시대에 널리 읽혔다.
  • 한문소설 - 요재지이
    요재지이는 포송령이 지은 문어체 단편 소설집으로, 당나라 전기 소설의 영향을 받아 민간 설화를 바탕으로 여우, 신선, 정령 등 초자연적인 존재에 대한 기이한 이야기들을 담고 있다.
황려일통지
책 정보
제목황려일통지
원제皇黎一統志 (황려일통지)
저자오가문파
언어한문
국가대월
역사적 배경
시기후 레 왕조 말기
떠이선 왕조 초기
내용레 현종부터 레 민제에 이르는 시기의 혼란
떠이선 왕조응우옌후에의 북벌
청나라 군대의 침입과 격퇴
후 레 왕조의 멸망과 응우옌 왕조의 건국 과정 기록
내용 구성
특징역사적 사실과 작가의 주관적 평가 혼합
문체이야기 형식
묘사인물과 사건 생생하게 묘사
기타 정보
관련 서적안남일통지

2. 황려일통지의 구성

wikitext

고전 중국어영어
01鄧宣妃寵冠後宮총애받는 덩 티 후에는 후궁의 수장이 되었고,
02立奠都七輔受遺일곱 명의 보좌관이 트린 슴의 유언을 받아 디엔 도를 옹립했고,
03楊元舅議斬驕兵양 원주(Head Uncle Dương)는 오만한 병사들을 처형할 것을 제안했고,
04復師讎阮有整援外兵응우옌 흐우 찐은 스승의 복수를 위해 외국 군대를 빌렸고,
05扶正統上公覲闕고위 군주는 정통 [지배자]를 돕기 위해 궁궐에 들어갔고,
06西山王潛師返國떠이선 왕은 군대를 몰래 그의 나라로 철수시켰고,
07翊皇家武成道再出師무 탄(Vũ Thành) 군대는 황실을 돕기 위해 다시 출정했고,
08楊御史就擒獻俘太學양 어사(Inspector Dương)는 체포되어 타이 혹 집(Thái Học house)에 바쳐졌고,
09敵將武文任提兵掠境적장 부 반 념은 군대를 동원하여 국경을 침략했고,
10麟洋侯扶王泛海走安廣린 양 후작은 바다를 통해 왕을 옌 꽝(Yên Quảng)까지 호위했고,
11西山再入城據其國떠이선은 성에 들어가 그 나라를 다시 점령했고,
12黎陪臣投內地乞兵레(Lê) 측근들은 내지로 피신하여 군대를 요청했고,
13懾先聲強敵避鋒강력한 적은 소식을 듣고 물러났고,
14戰玉洄清師敗績청나라 군대는 응옥 호이에서 패배했고,
15定北河平王受封박 빈 왕(King Bắc Bình)은 탕롱을 평정한 후 [안남 왕(King of Annam) 칭호]를 받았고,
16祭苓塘清使受欺청나라 사신은 장례식에서 속았고,
17定昇龍偽王就擒가짜 왕은 [지아 롱(Gia Long)]이 탕롱을 평정한 후 체포되었고,


2. 1. 1장 ~ 8장

1장에서는 총애받는 덩 티 후에(Đặng Thị Huệ)가 후궁의 수장이 되었고, 폐위된 트린 카이(Trịnh Khải)는 어두운 방으로 추방되었다는 내용이 나온다. 이는 레 왕조 말기 권력 투쟁의 서막을 알리는 사건으로, 덩 티 후에는 찐 가문의 권신 찐 슴(Trịnh Sâm)의 총애를 받아 권력을 휘두른 인물이다.
2장에서는 일곱 명의 보좌관이 트린 슴(Trịnh Sâm)의 유언을 받아 트린 칸(디엔 도)을 옹립했고, 세 군대는 휘 공작을 처치한 후 군주를 옹립했다는 내용이 나온다. 이는 찐 가문 내부의 권력 다툼을 보여주는 사건으로, 찐 슴 사후 그의 아들 찐 칸이 옹립되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찐 카이(Trịnh Khải)가 권력을 잡게 된다.
3장에서는 양 원주(Head Uncle Dương)는 오만한 병사들을 처형할 것을 제안했고, 응우옌 칸(Nguyễn Khản) 국사는 내란을 진압할 계획을 세웠다는 내용이 나온다. 이는 찐 가문의 전횡에 대한 반발과 그로 인한 혼란을 보여주는 사건이다.
4장에서는 응우옌 흐우 찐(Nguyễn Hữu Chỉnh)은 스승의 복수를 위해 외국 군대를 빌렸고, 리 쩐 공(Mister Lý Trần)은 국가의 투쟁에서 전 군주를 따라 죽었다는 내용이 나온다. 응우옌 흐우 찐은 찐 가문에 의해 숙청된 응우옌 칸의 부하로, 이후 떠이선 왕조의 응우옌 후에(Nguyễn Huệ)에게 의탁하여 활약하게 된다.
5장에서는 고위 군주(Quang Trung)는 정통 [지배자](Lê Hiển Tông)를 돕기 위해 궁궐에 들어갔고, 공주(Lê Ngọc Hân)는 이웃 나라 [장군]과 결혼한 후 수레를 탔다는 내용이 나온다. 여기서 고위 군주는 응우옌 후에를 가리키며, 레 응옥 헌(Lê Ngọc Hân) 공주와의 혼인을 통해 레 왕조와 떠이선 왕조의 연합이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6장에서는 떠이선 왕(Nguyễn Nhạc)은 군대를 몰래 그의 나라로 철수시켰고, 동양 후작들은 왕을 돕기 위해 의를 외쳤다는 내용이 나온다. 이는 응우옌 후에의 북벌 이후, 응우옌 냑이 자신의 세력을 보전하기 위해 군대를 철수시킨 사건을 가리킨다.
7장에서는 무 탄(Vũ Thành) 군대는 황실을 돕기 위해 다시 출정했고, 옌 도 왕(Trịnh Bồng)은 찐(Trịnh)의 궁궐이 불타자 도망갔다는 내용이 나온다. 이는 응우옌 후에의 2차 북벌로 인해 찐 가문의 몰락이 가속화되었음을 보여준다.
8장에서는 양 어사(Inspector Dương)는 체포되어 타이 혹 집(Thái Học house)(Temple of Literature, Hanoi#Fifth Courtyard)에 바쳐졌고, 호앙 군 공작은 서성에서 패배하여 죽음을 허락받았다는 내용이 나온다. 이는 찐 가문의 잔당 세력이 완전히 소탕되었음을 보여준다.

2. 2. 9장 ~ 17장

1770년대 말부터 1802년까지 베트남은 떠이선 왕조의 북벌, 청나라 군대의 개입과 패배, 레 소통제의 망명과 죽음, 응우옌 왕조의 성립 등 왕조 교체기의 혼란을 겪었다. 이 시기 청나라의 개입은 외세의 침략으로 규정되며, 이에 맞서 싸운 떠이선 왕조의 저항은 민족주의적 관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반면, 레 소통제의 친청 행보는 비판적으로 다뤄진다. 응우옌 왕조의 성립은 베트남 역사의 새로운 시대가 열렸음을 보여준다.

9장에서는 적장 부 반 념이 군대를 동원하여 국경을 침략하고, 재상 쩐 꽁 챤(Trần Công Xán)이 국경 협상을 위한 사신으로 파견되는 내용이 기록되어있다. 10장에서는 린 양 후작이 왕을 옌 꽝(Yên Quảng)까지 호위하고, 방 공작 찐은 레 소통제에게 강을 건너 랑선으로 갈 것을 요청하는 상황이 묘사된다.

11장에서 떠이선 군은 다시 성을 점령하고, 레 소통제는 옛 수도로 세 번 귀환을 시도했다. 12장에서는 레 왕조의 측근들이 청나라로 피신하여 군대를 요청하고, 손사의(Commander Sun)가 이끄는 청나라 군대가 국경을 넘는 상황이 전개된다. 13장에서는 강력한 적이 소식을 듣고 물러났고, 레 소통제는 [안남 왕(King of Annam) 칭호]를 받은 후 돌아왔다고 기록되었다.

14장에서는 응옥호이 전투에서 청나라 군대가 패배하고, 레 황제는 용 성을 버리고 옌(베이징)으로 도망가는 상황이 묘사된다. 15장에서는 꽝쭝(King Bắc Bình)이 탕롱을 평정한 후 [안남 왕(King of Annam) 칭호]를 받고, 레 황제의 형제는 투옌 꽝(Tuyên Quang) 전투에서 살해당하는 내용이 담겨있다.

16장에는 청나라 사신이 장례식에서 속임을 당하고, 레 황제가 원한을 품은 채 옌징에서 죽음을 맞이하는 비극적인 내용이 기록되었다. 17장은 가짜 왕이 지아 롱에게 사로잡히고, 태후가 반 탁(Bàn Thạch)에서 열린 장례식에서 자결하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3. 주요 등장인물

3. 1. 레 왕조

3. 2. 찐 가문

3. 3. 떠이선 왕조

3. 4. 응우옌 왕조

4. 역사적 배경 및 의의

4. 1. 레 왕조 말기의 정치 상황

4. 2. 떠이선 왕조의 흥망성쇠

4. 3. 응우옌 왕조의 성립

4. 4. 역사적, 문학적 의의

5. 한국사와의 비교 및 시사점

5. 1. 외세 개입과 자주 독립

5. 2. 권력 투쟁과 민생 안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