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윤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윤석은 18세기 조선의 문신이자 학자이다. 1744년부터 이기론에 관한 저서인 《이수신편》 편찬을 시작했으며, 1759년 진사복시에 합격하고 1766년 장릉참봉을 제수받았다. 충청남도 전의현감을 역임한 후 1787년 관직에서 물러나 학문에 전념했다. 저서로는 《이재난고》, 《이재유고》, 《화음방언자의해》, 《자모변》 등이 있으며, 특히 《화음방언자의해》와 《자모변》은 국어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의 언어학자 - 신숙주
신숙주는 조선 전기의 문신, 학자, 언어학자, 외교관, 정치인으로, 훈민정음 창제에 참여하고 세조 즉위 후 주요 관직을 역임하며 외교와 국방에 기여했으며, 《해동제국기》, 《동국정운》 등의 저술을 남기고 영의정을 지냈다. - 조선의 언어학자 - 유길준
유길준은 조선 후기 개화 사상가이자 정치가, 언론인으로, 서구 문물을 접한 후 갑신정변 연루, 갑오개혁 참여, 아관파천 이후 망명, 애국계몽운동 전개 등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으나, 근대화에 기여했음에도 친일 행적에 대한 비판도 있는 인물이다. - 1791년 사망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출신의 천재 작곡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는 다양한 장르에 걸쳐 900곡이 넘는 방대한 작품을 남겼고, 유럽 순회 연주 여행과 빈에서의 프리랜서 활동을 통해 성공적인 음악가 경력을 쌓았으며, 그의 음악은 독일 고전주의 음악의 정수로 평가받는다. - 1791년 사망 - 권일신
권일신은 조선 후기 천주교 신자이자 전교자로, 이승훈에게 세례를 받은 후 형 권철신과 함께 충청도 지역에 천주교를 전파하는 데 기여했으며, 가성직 제도 문제점을 인지 후 평신도로 돌아가 중국에 성직자 파견을 요청하다 신해박해 때 배교 후 고문 후유증으로 사망했다. - 1729년 출생 - 에드먼드 버크
에드먼드 버크는 1729년 아일랜드에서 태어난 정치인, 철학자, 작가로, 영국 의회 하원 의원으로서 보수주의 사상을 주창하며 프랑스 혁명을 비판하고 전통, 질서, 점진적 개혁을 강조했다. - 1729년 출생 - 예카테리나 2세
예카테리나 2세는 1762년부터 1796년까지 러시아 제국을 통치한 여제로, 계몽주의 정책 추진, 영토 확장, 문화 예술 장려를 통해 러시아 제국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황윤석 | |
---|---|
기본 정보 | |
이름 | 황윤석 |
한글 | 황윤석 |
한자 | 黃胤錫 |
가나 | ファン・ユンソク |
로마자 표기 | Hwang Yun-seok |
일본어 읽기 | こう いんしゃく |
다른 사람 | |
동명이인 | 대한민국의 여판사 |
참고 문헌 | |
도서 | 강신항 외, 이재난고로 보는 조선 지식인의 생활사,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11-30, 180쪽, ISBN 978-89-7105-641-7 |
2. 생애
1744년에 이기론(理気論)에 관한 방대한 저서인 「理藪新編」 편찬에 착수했다. 1759년 진사복시(進士覆試)에 합격하고, 1766년 장릉참봉(莊陵参奉)에 제수되었다. 충청남도 전의현감(全義県監) 등을 역임한 후, 1787년 관직에서 물러나 학문 연구에 전념했다. 저서로는 「頤齋遺稿」, 「頤齋亂稿」 등이 있다.
2. 1. 관직 생활
1759년(영조 35) 진사복시(進士覆試)에 합격하고, 1766년(영조 42) 장릉참봉(莊陵参奉)에 제수되었다. 충청남도 전의현감(全義県監) 등을 역임한 후, 1787년(정조 11) 관직에서 물러나 학문 연구에 전념했다.3. 사상 및 학문적 업적
황윤석은 이기론 연구에 매진하여, 1744년 이 분야의 저서 《이수신편》 편찬에 착수하였다.[1] 그는 1759년 과거(科擧) 진사복시(進士覆試)에 합격하고, 1766년 장릉참봉(荘陵参奉)에 임명되었다. 이후 충청남도 전의현감(全義県監) 등을 지낸 후, 1787년 관직에서 물러나 학문 연구에 전념했다.
저서로는 《이수신편》 외에 《이재유고》, 《이재난고》 등이 있다.
3. 1. 이기론 연구
1744년부터 이기론에 관한 방대한 저서인 《이수신편》 편찬에 착수하였다.[1]4. 저서
- 《이재난고(頤齋亂藁)》 - 시도유형문화재 제111호이다.[1]
- 《이재유고(頤齋遺稿)》 - 25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 《이재속고》(頤齋續稿)[1]
- 《이수신편》(理藪新編)[1]
- 《자지록》(恣知錄)[1]
- 《화음방언자의해》(華音方言字義解) - 《자모변》과 함께 오늘날 국어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1]
- 《자모변》(字母辨)[1]
4. 1. 《이재난고》(頤齋亂藁)
《이재난고(頤齋亂藁)》는 시도유형문화재 제111호로 지정되었다.[1] 황윤석의 저서로는 그 외에 《이재유고》(頤齋遺稿), 《이재속고》(頤齋續稿), 《이수신편》(理藪新編), 《자지록》(恣知錄), 《화음방언자의해》(華音方言字義解), 《자모변》(字母辨) 등이 있다. 《화음방언자의해》와 《자모변》은 오늘날 국어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1]4. 2. 《이재유고》(頤齋遺稿)
25권으로 구성되어 있다.4. 3. 《이재속고》(頤齋續稿)
《이재속고》(頤齋續稿)는 황윤석의 저서 중 하나이다.4. 4. 《이수신편》(理藪新編)
1744년에 이기론(理氣論)에 관한 방대한 저서인 《이수신편》의 편찬에 착수하였다.[1]연도 | 내용 |
---|---|
1744년 | 이기론(理氣論)에 관한 방대한 저서인 《이수신편》 편찬 착수 |
1759년 | 과거(科挙) 진사복시(進士覆試) 합격 |
1766년 | 장릉참봉(荘陵参奉) 제수 |
1787년 | 관직에서 물러나 학문 연구에 전념 |
4. 5. 《자지록》(恣知錄)
《자지록》(恣知錄)은 황윤석의 저서 중 하나이다. 그 외 저서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이재난고》(頤齋亂藁) - 시도유형문화재 제111호
- 《이재유고(頤齋遺稿)》 25권
- 《이재속고》(頤齋續稿)
- 《이수신편》(理藪新編)
- 《화음방언자의해》(華音方言字義解) : 《자모변》과 함께 오늘날 국어 연구에 있어서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 《자모변》(字母辨)
4. 6. 《화음방언자의해》(華音方言字義解)
華音方言字義解중국어는 오늘날 국어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1]4. 7. 《자모변》(字母辨)
字母辨중국어은 오늘날 국어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