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진이 (2006년 드라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드라마 《황진이》는 2006년에 방영된 KBS의 텔레비전 드라마이다. 하지원이 주인공 황진이 역을 맡아, 조선 시대 기생 황진이의 삶을 그렸다. 드라마는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큰 인기를 얻었으며, 황진이의 예술혼과 여성의 주체적인 삶을 조명하여 사회문화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황진이를 소재로 한 작품 - 황진이 (2007년 영화)
영화 《황진이》는 16세기 조선 시대를 배경으로, 기생 황진이의 삶을 그린 작품이며, 송혜교가 주연을 맡아 미술적 완성도와 연기력으로 호평을 받았다. - 황진이를 소재로 한 작품 - 황진이 (1982년 드라마)
1982년 KBS1에서 방영된 드라마 황진이는 조선 시대 명기 황진이의 삶을 그린 작품으로, 이미숙이 황진이 역을, 원미경이 옥향 역을 맡았으나 원미경의 중도하차로 홍진희가 소옥화 역으로 합류하였다. - 윤선주 시나리오 작품 - 한반도 (드라마)
한반도는 가상의 통일 한반도를 배경으로 남북 과학자 간의 로맨스와 열강들의 암투를 그린 드라마로, 100억 원의 제작비에도 불구하고 저조한 시청률로 방영 횟수가 축소되었다. - 윤선주 시나리오 작품 - 스타트 (드라마)
스타트 (드라마)는 1996년부터 1997년까지 방영된 드라마로, 강성진, 주민준, 김정민 등이 출연하여 총 49개의 에피소드로 구성되었다. - 김탁환 - 불멸의 이순신
불멸의 이순신은 임진왜란을 배경으로 이순신의 일대기를 그린 KBS 대하드라마로, 김훈의 《칼의 노래》, 김탁환의 《불멸》 등을 원작으로 하며 김명민이 이순신 역을 맡아 높은 인기를 얻고 작품성과 연기력을 인정받았다. - 김탁환 - 천둥소리 (2000년 드라마)
천둥소리는 2000년에 방영된 드라마로, 허균을 주인공으로 하여 조선 사회의 모순과 개혁을 다루었으며, 최재성이 허균 역을, 김명수가 권필 역을 맡았고, 소설 표절 시비에 휘말리기도 했다.
황진이 (2006년 드라마)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장르 | 사극 드라마 로맨스 |
극본 | 윤선주 |
연출 | 김철규 |
프로듀서 | 이성주 |
출연 | 하지원 김영애 왕빛나 김재원 류태준 장근석 |
음악 | 이임우 |
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방송 횟수 | 24 |
방송 시간 | 수요일, 목요일 밤 21:55 (KST) |
방송 채널 | KBS2 |
방송 기간 | 2006년 10월 11일 - 2006년 12월 28일 |
제작사 | Olive9 KBS 미디어 |
2. 역사적 배경
드라마 <황진이>는 기생 황진이가 활동했던 16세기 조선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이 시기는 남존여비 사상이 사회 전반을 지배하고 있었으며, 양반과 노비 등으로 나뉘는 엄격한 신분 제도가 법적으로 시행되어 개인의 삶과 운명을 크게 좌우했다. 특히 기생은 신분상 노비 계급에 속했으나, 양반 지배층을 상대하는 예기로서 시 · 서 · 화(詩 · 書 · 畵)는 물론 춤과 음악 등 높은 수준의 예술적 소양을 갖춰야 하는 독특한 위치에 있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은 주인공 황진이가 여성이자 기생으로서 겪는 사회적 제약과 차별, 그리고 이를 극복하고 예술가로서 자신의 삶을 개척해 나가는 과정의 중요한 바탕이 된다.
2. 1. 조선의 신분제도
16세기경 조선 왕조 시대는 엄격한 신분 제도가 법으로 시행되던 사회였다. 이 제도에 따라 신분은 세습되어, 양반 (귀족 계급)의 자식은 양반이 되고 기생 (노비 계급)의 자식은 기생이 되는 것이 법으로 정해져 있었다.기생은 신분상 노비 계급에 속했지만, 일반적인 노비와는 구별되는 독특한 위치를 지녔다. 이들은 양반 지배층을 상대하는 예기로서 활동하며, 양반들의 요구에 맞춰 노래, 춤, 접대 등을 제공했다. 따라서 기생에게는 양반과 대등하게 교류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은 학식과 그들을 만족시킬 만한 수준 높은 예능 실력이 요구되었다.
여성의 사회 활동이 제한적이던 시대였음에도, 기생은 자신의 재능을 통해 양반 사회와 관계를 맺고 문화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그러나 근본적으로는 엄격한 신분제의 틀 안에서 활동해야 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2. 2. 여성의 삶
남존여비 사상이 팽배했던 조선 시대는 여성의 삶에 많은 제약이 따랐다. 드라마 속 주인공 황진이는 이러한 시대에 태어나 기생의 딸이라는 신분적 한계를 안고 살아간다. 당시 기생은 양반 지배층을 위한 가수, 무용가, 접대부 역할을 수행하는 존재였으며, 그들의 변덕에 맞춰 생활해야 했다. 엄격한 신분 제도 하에서 기생의 딸은 대를 이어 기생이 되어야 하는 운명에 놓여 있었다. 황진이의 어머니 현금은 딸이 자신과 같은 기생의 삶, 즉 남성의 노리개와 같은 삶을 살기를 원치 않아 산사로 보내지만, 황진이는 결국 기생의 길을 걷게 된다.기생은 비록 노비 계급에 속하는 낮은 신분이었지만, 양반을 상대하는 예기였기에 높은 수준의 학식과 예능을 갖춰야 하는 모순적인 위치에 있었다. 황진이는 뛰어난 재능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신분 차이로 인해 사랑하는 양반 자제 김은호와의 관계를 인정받지 못하고 비극적인 이별을 겪는다.[6] 이는 당시 여성, 특히 낮은 신분의 여성이 겪어야 했던 사회적 제약과 차별을 보여준다.
여성이 사회적으로 보이지 않는 존재처럼 취급받던 시대적 배경 속에서, 황진이는 시 · 서 · 화(詩 · 書 · 畵) 및 춤과 음악에 대한 천부적인 재능을 바탕으로 조선 최고의 기생으로 성장한다. 그녀는 당대 남성 중심 사회의 규범에 도전하며 자신의 예술 세계를 구축하고, 결국 중종과 조정으로부터도 인정받는 인물이 된다. 이는 계급 사회의 한계 속에서도 자신의 삶을 개척하려 했던 한 여성의 모습을 보여주며, 동시에 당시 여성들이 처했던 억압적인 현실을 반영한다.
2. 3. 예술과 문화
16세기 조선은 남존여비 사상이 강하고 엄격한 신분 제도가 시행되던 사회였다. 법적으로 "양반의 자식은 양반, 기생의 자식은 기생"으로 정해져 있어 신분 대물림이 일반적이었다. 기생은 신분상 노비 계급에 속했지만, 양반층을 상대하는 예기로서 높은 수준의 학식과 예술적 소양을 갖춰야 했다. 시 · 서 · 화(詩 · 書 · 畵)는 물론 노래, 춤, 악기 연주 등 다방면에 능통해야 양반들의 요구를 만족시키고 예술적으로 교류할 수 있었다.드라마 <황진이>는 이러한 시대적 배경 아래, 기생 황진이가 예술가로서 성장하고 활동하는 과정을 그린다. 주인공 황진이는 기생 현금의 딸로 태어나 기생의 길을 걷게 되지만, 춤과 거문고 연주, 시문에 천부적인 재능을 보인다. 그녀는 당대 최고의 궁중 무용가이자 스승인 임백무 밑에서 훈련을 받으며 조선 최고의 기생이 되고자 한다.
황진이는 자신의 예술을 통해 단순히 남성들의 유흥을 돕는 것을 넘어, 때로는 그들을 압도하고[6]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낸다. 신분 차이로 인한 첫사랑의 비극을 겪은 후 잠시 예술을 멀리하기도 하지만, 시인 김정한과의 만남 등을 계기로 다시 예술가의 길을 걷는다. 결국 황진이는 뛰어난 미모와 재치, 그리고 무엇보다 시, 노래, 춤 등 다방면에 걸친 예술적 성취를 통해 당대의 유력한 귀족들과 교류하고 중종과 조정으로부터도 인정을 받는 16세기 조선의 대표적인 예술가이자 기생으로 자리매김한다. 이는 여성이 사회적으로 많은 제약을 받던 시대에 예술을 통해 자신의 가치를 증명하고 사회적 한계를 넘어서려 했던 인물의 모습을 보여주는 동시에, 당시 기생 문화가 조선 사회의 예술과 문화에서 차지했던 독특한 위치를 반영한다.
3. 등장인물
- 하지원 - 황진이 역
- 심은경 - 어린 황진이 역
- 김영애 - 임백무 역
- 왕빛나 - 부용 역
- 김재원 - 김정헌 역
- 류태준 - 벽계수 역
- 장근석 - 김은호 역
- 전미선 - 진현금, 황진이의 어머니 역
- 이시환 - 이생 역
- 김보연 - 매향 역
- 조성하 - 엄수 역
- 이인혜 - 개똥/단심 역
- 정경순 - 금춘 역
- 송이우 - 앵무 역
- 유연지 - 섬섬 역
- 김선화 - 개똥의 하녀 역
- 조예나 - 향림 역
- 미세 - 애랑 역
- 이지은 - 금홍 역
- 황은하 - 한연우/월향 역
- 현석 - 성익환 역
- 서현진 - 정가은 역
- 김승욱 - 장수만 역
- 이대루 - 주지 역
- 조재완 - 장이 역
- 이희도 - 김참판 역
- 안해숙 - 차씨 부인 역
- 문천식 - 덕팔 역
- 정상훈 - 상수 역
- 최상훈 - 정축 역
- 윤재랑 - 연홍 역
- 박귀순 - 상좌승 역
- 손성윤 - 기생 역
- 이인
3. 1. 주요 인물
- 하지원 : '''황진이''' / '''명월''' 역 (아역: 심은경)
- : 주인공. 기명은 명월(明月). 어릴 때부터 춤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으며, 임백무에게 발탁되어 기생의 길을 걷는다. 춤 연습에 매진하며 시(詩)에도 재능을 보인다. 동기 수련 중 양반 김은호와 만나 사랑에 빠진다. 은호 사후 큰 심경의 변화를 겪으며, 이후 김정한과 인연을 맺고 그의 아이를 임신했으나 유산한다. 미모와 거문고 연주로 명성을 얻는다.
- 김영애 : '''임백무''' 역
- : 황진이의 스승이자 개성 송도 교방의 행수. 어린 진이의 재능을 알아보고 기생으로 이끈다. 당대 최고의 춤꾼이었으며, 비기(祕技)인 '학춤'의 유일한 전수자이다. 예능의 길을 강조하며 진이에게 엄격하게 대한다. 진이가 자신만의 '학춤'을 선보이자 갈등을 겪는다. 벽계수에게 모욕을 당한 뒤 반발하다 옥에 갇히고, 후에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 왕빛나 : '''부용''' 역
- : 매향의 제자이자 황진이의 경쟁자. 스승에게 직접 전수받은 '검무'가 특기이다. 권력 지향적이며 계략을 꾸미지만, 때로는 허술한 모습을 보인다. 검무를 통해 진이를 위기로 몰아넣기도 한다.
- 김재원 : '''김정한''' 역
- : 예조판서 직책을 맡은 고위 관료로 중종의 신임을 받는다. 송도 지방을 떠돌던 중 명월(황진이)을 만나 사랑에 빠져 도피 행각을 벌인다. 3년 후 붙잡혀 능지형 선고를 받지만, 명월의 노력으로 사면되어 복직하지만, 이후 명월에게 집착하며, 사소한 다툼 끝에 명월의 유산을 초래한다.
- 류태준 : '''벽계수''' 역
- : 왕족. 처음에는 예술을 즐기는 풍류객이었으나, 명월(황진이)을 만난 후 소유욕에 눈이 멀어 그녀를 얻으려 한다. 김정한과는 친구 사이이다. 후에는 다시 본래의 모습으로 돌아와 단심이 낳은 자신의 아이를 거둔다.
- 장근석 : '''김은호''' 역
- : 양반 자제이자 황진이의 첫사랑. 정혼자가 있지만 신분 차이를 넘어 진이와 사랑에 빠진다. 당시의 신분 질서에 의문을 품는다. 진이와 함께하려 하지만 폐렴에 걸려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난다.[6]
- 전미선 : '''진현금''' 역
- : 황진이의 어머니이자 기생. 정신적 충격으로 시력을 잃었다. 딸이 기생이 되는 것을 반대하여 어릴 적 절에 맡겼으나, 결국 진이는 기생의 길을 걷게 된다. 가야금의 명수이며, 개똥(단심)에게 거문고를 가르친다. '현금'은 거문고의 다른 이름이기도 하다.
- 이시환 : '''무명''' / '''이생''' 역
- : 명월(황진이)의 호위 무사. 과묵하며 위기에 처한 명월을 늘 돕는다. 명월을 남몰래 연모한다. 정체는 영의정의 아들이다.
- 김보연 : '''매향''' 역
- : 임백무의 경쟁자이자 궁중 기생을 관장하는 여악(女樂)의 행수. 백무와 같은 스승 밑에서 배웠다. 백무를 경쟁 상대로 여기지만 그녀의 춤 실력은 인정한다. '검무'와 '북춤'이 특기이다. 백무에게는 적대적이지만 제자인 황진이의 재능은 높이 평가한다. 제자 부용에게 엄하게 대하면서도 그 노력을 인정하는 복합적인 인물이다.
- 이인혜 : '''개똥''' / '''단심''' 역
- : 황진이의 친구이자 교방의 하녀. 진이와 김은호의 사랑을 돕는다. 진현금에게 거문고를 배워 기생 '단심'이 된다. 벽계수와 관계를 맺고 그의 아이를 낳는다.
- 조성하 : '''엄수''' 역
- : 송도 교방의 악사. 오랫동안 눈이 먼 진현금을 보살피며 그녀의 깊은 신뢰를 받는다.
- 김정결 : '''서경덕''' 역
- : 송도의 저명한 유학자. 호는 화담(花潭). 시장에서 춤추는 명월(황진이)을 꾸짖지만, 훗날 그녀의 마지막 스승이 되어 춤의 참된 의미를 가르친다.
3. 2. 조연
3. 2. 1. 송도 교방 사람들
- 전미선 : 진현금 역 - 황진이의 어머니이자 전직 기생. 가야금의 명인으로, 정신적 충격으로 시력을 잃었다. 딸이 기생이 되는 것을 반대했지만, 운명처럼 기생의 길로 들어서는 것을 지켜본다. 개똥이에게 거문고를 가르쳐 기생의 길을 열어준다.
- 조성하 : 엄수 역 - 송도 교방의 악사. 오랫동안 눈이 불편한 현금을 곁에서 보살피며 깊은 신뢰를 얻고 있다.
- 정경순 : 금춘(今春) 역 - 송도 교방의 교육 담당 기생. 노래에 뛰어난 재능을 가졌다.
- 이인혜 : 개똥이 / 단심(丹心) 역 - 황진이의 친구이자 교방의 하녀 출신 기생. 황진이와 김은호의 사랑을 지지한다. 현금에게 거문고를 배워 기생 '단심'이 된다.
- 송이우 : 앵무(鸚鵡) 역 - 황진이와 함께 수련한 동기 기생.
- 유연지 : 섬섬(纖纖) 역 - 황진이의 동기 기생. 가난한 집안을 돕기 위해 기생이 되었으며, 신분 차이 나는 사랑으로 고민하다 비극적인 선택을 한다.
- 김선화 : 개똥어멈 역 - 교방의 하인으로 개똥이의 어머니.
- 조예나 : 향림 역 - 황진이의 동기 기생.
- 미세 : 애랑 역 - 황진이의 동기 기생.
- 이지은 : 금홍 역 - 송도 교방의 기생.
- 김영애 : 취선 역 - 황진이의 선배 기생. 임백무의 뒤를 이어 교방 행수가 된다.
- 황은하 : 월향 역 - 송도 교방의 기생.
- 문천식 : 덕팔 역 - 본래 김은호 집의 하인이었으나, 은호 사후 송도 교방에서 일하며 황진이를 돕는다. 단심에게 호감을 보인다.
- 조재완 : 장이 역 - 송도 교방의 하인. 동기 기생인 섬섬을 남몰래 좋아한다.
3. 2. 2. 여악 (궁중 기생)
wikitext배역 | 배우 | 비고 |
---|---|---|
진현금 | 전미선 | 악기(樂妓) |
엄수 | 조성하 | |
매향(梅香) | 김보연 | 무기(舞妓) |
개똥이 / 단심(丹心) | 이인혜 | |
금춘(今春) | 정경순 | |
앵무(鸚鵡) | 송이우 | |
섬섬(纖纖) | 유연지 | |
개똥어멈 | 김선화 | |
향림 | 조예나 | |
애랑 | 미세 | |
금홍 | 이지은 | |
취선 | 김영애 | |
한연우 / 월향 | 황은하 | |
정가은 | 서현진 | |
연홍 | 윤재랑 | |
기생 | 손성윤 | |
월량 | 황은아 | 부용의 측근 (더빙: 미즈오치 사치코) |
3. 2. 3. 그 외 인물
- 김종결 : 화담 서경덕 역 - 송도의 저명한 유학자. 훗날 황진이의 스승이 된다.
- 미상 : 지독선사 역
- 박찬환 : 중종 역 - 조선의 제11대 국왕. 김정헌을 신임한다.
- 현석 : 성익환 역 - 정축의 후임 송도 유수. 백무와 오랜 인연이 있다.
- 서현진 : 정가은 역 - 정축의 딸이자 김은호의 정혼자.
- 김승욱 : 장수만 역 - 호장.
- 오대규 : 황진사 역 - 황진이의 아버지.
- 이대로 : 주지 역 - 황진이가 어린 시절 머물렀던 절의 주지 스님.
- 조재완 : 장이 역
- 이희도 : 김참판 역 - 김은호의 아버지. 고위 관료이지만 사생활이 문란하다.
- 안해숙 : 차씨 부인 역 - 김은호의 어머니. 신분에 대한 자부심이 강하며, 아들과 황진이의 관계를 강하게 반대한다.
- 문천식 : 덕팔 역
- 정상훈 : 상수 역 - 기생들과 어울려 노는 한량인 양반 자제.
- 최상훈 : 정축 역 - 송도 유수.
- 윤재량 : 연흥 역 - 정가은의 남동생.
- 김하은
- 고규필
- 나경민
- 최지해
- 조성하 : 엄수 역 - 송도 교방의 악사. 눈이 먼 현금을 오랫동안 곁에서 보살핀다.
- 이인혜 : 개똥 / 단심 역 - 황진이의 친구. 교방의 하녀였으나 현금에게 거문고를 배우며 기생 단심이 된다.
- 정경순 : 금춘 역
- 송이우 : 앵무 역
- 유연지 : 섬섬 역
- 김선화 : 개똥의 하녀 역
- 조예나 : 향림 역
- 미세 : 애랑 역
- 이지은 : 금홍 역
- 황은하 : 한연우 / 월향 역
- 박귀순 : 상좌승 역
- 손성윤 : 기생 역
- 이인
- 이정웅 : 김은호의 스승 역
- 박동빈 : 장 역 - 명나라 사신. 조선의 기생과 향악을 업신여긴다.
4. 줄거리
기생 황진이는 남존여비 사상이 팽배했던 조선 시대, 기생 현금의 딸이자 양반의 사생아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딸이 자신과 같은 기생의 길을 걷지 않기를 바라며 외딴 사찰에 보내지만, 황진이는 우연히 본 기생 공연에 매료되어 스스로 기방을 찾아가 조선 최고의 기생이 되기 위한 길을 걷기 시작한다. 당대 최고의 궁중 무용가 임백무 밑에서 춤과 거문고 등 예인의 기예를 익히며 뛰어난 재능을 보인다.
성장한 황진이는 양반 자제 김은호와 신분을 초월한 사랑에 빠지지만, 집안의 반대와 사회적 제약 속에 김은호가 폐렴으로 요절하면서 첫사랑은 비극으로 끝난다.[6] 깊은 슬픔에 빠진 황진이는 춤을 포기하고 5년간 방황하며 술과 슬픔에 잠겨 지낸다.
이후 시인 김정헌의 도움으로 다시 삶의 의지를 찾고 그와 새로운 관계를 맺지만 순탄치 않다. 한편, 왕족 벽계수의 집요한 구애를 거절하고, 춤과 사랑의 경쟁자인 기생 부용과 끊임없이 대립한다. 헌신적인 호위무사 이생은 묵묵히 그녀의 곁을 지킨다. 황진이는 스승 임백무가 첫사랑 김은호의 죽음과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스승과 깊은 갈등을 겪고, 예술적으로도 대립하며 운명적인 학춤 대결을 준비하게 된다.
여성의 활동이 제약되던 시대적 한계 속에서도 황진이는 뛰어난 시 · 서 · 화(詩 · 書 · 畵) 실력과 춤, 노래로 16세기 조선을 대표하는 예인으로 명성을 떨친다. 그녀의 아름다움과 재능은 미천한 신분을 넘어 당대의 권력자들과 교류하게 했고, 마침내 중종과 조정으로부터 인정을 받는다. 황진이는 예술에 대한 끊임없는 열정으로 시대를 앞서 나간 여성으로 평가받으며, 존경과 비난 속에서도 역사에 뚜렷한 발자취를 남긴 인물로 그려진다.
4. 1. 어린 시절과 기생 입문
황진이는 남존여비 사상이 팽배했던 조선 시대에 양반의 사생아이자 눈먼 기생 현금의 딸로 태어났다. 당시 기생은 양반 지배층의 필요에 따라 노래하고 춤추며 접대하는 존재였다. 어머니 현금은 어린 딸이 자신과 같은 기생의 길을 걷는 것을 원치 않았고, 단순한 남성의 노리개 이상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 황진이를 외딴 산속 사찰로 보내 늙은 스님에게 맡겼다.그러나 일곱 살 되던 해, 황진이는 우연히 사찰을 몰래 빠져나와 기생들의 공연을 보게 된다. 춤과 노래의 아름다움에 매료된 황진이는 운명처럼 기방으로 도망쳐 그곳에서 처음으로 어머니 현금을 만난다. 곧 황진이가 춤과 거문고 연주에 뛰어난 재능을 가졌음이 밝혀지고, 그날부터 조선 최고의 기생이 되기 위한 훈련을 시작한다. 그녀는 당대 최고의 궁중 무용가이자 제자들에게 엄격하며 심리 조작에도 능했던 스승 임백무 밑에서 가르침을 받게 된다.
조선 왕조는 "양반의 자식은 양반, 기생의 자식은 기생"으로 정해진 엄격한 신분 제도 사회였다. 기생은 비록 신분은 낮았으나, 양반을 상대하는 예기(藝妓)로서 높은 수준의 학식과 예능을 갖춰야 했다. 황진이는 이러한 시대적 한계 속에서도 타고난 재능과 꼿꼿한 기상으로 자신의 길을 개척해 나가기 시작한다.
4. 2. 첫사랑과 시련
황진이는 권세 있는 양반의 아들 김은호(장근석)와 사랑에 빠진다. 김은호에게는 양반 가문의 정혼자가 있었지만, 그는 신분 차이를 넘어 기생인 황진이와 사랑을 키워나간다. 당시 조선의 엄격한 신분 제도는 양반과 천민(기생)의 결합을 용납하지 않았으며, 김은호는 이러한 사회 제도에 의문을 품고 맞서려 했다. 그러나 김은호의 부모는 두 사람의 관계를 강하게 반대한다. 결국 황진이와의 도피를 시도하던 중 김은호는 폐렴에 걸려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나고, 황진이의 첫사랑은 비극으로 끝맺는다.[6]첫사랑 김은호를 잃은 슬픔에 황진이는 춤을 포기한다. 이후 5년 동안 그녀는 음악 연주와 대화로 세월을 보내며 밤에는 깊은 슬픔과 술에 빠져 지낸다. 삶의 의욕을 잃고 술에 취해 스스로 목숨을 끊으려 하기도 하지만, 시인 김정헌(김재원)의 도움으로 목숨을 건진다. 이후 황진이는 김정헌과 불안정한 관계를 시작한다. 그와의 사이에서 아이를 가지지만 사소한 다툼 끝에 유산하는 아픔을 겪기도 한다. 이 시기 황진이는 자신에게 집착하는 왕족 벽계수(류태준)를 계속해서 거절하고, 춤과 사랑의 경쟁자인 부용(왕빛나)과 대립하는 등 시련을 겪는다. 헌신적인 호위무사 이생(이시환)이 묵묵히 그녀의 곁을 지킨다. 훗날 황진이는 스승 임백무(김영애)의 음모가 김은호의 죽음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스승과의 관계에도 갈등과 씁쓸함이 쌓여간다.
4. 3. 예술적 성장과 갈등
황진이는 스승 임백무 (김영애) 밑에서 조선 최고의 기생이 되기 위한 수련을 시작한다. 백무는 어린 진이의 춤 재능을 한눈에 간파하고 기생의 길로 이끌지만, 예능 외의 일에 관심을 보이는 진이에게 매우 엄격하게 대한다. 백무는 진이를 조선 제일의 기생으로 키우고자 했으며, 이 과정에서 두 사람 사이에는 스승과 제자 이상의 복잡한 감정이 싹튼다.진이는 수련 과정에서 양반 자제 김은호 (장근석)와 만나 신분을 초월한 첫사랑에 빠진다. 그러나 은호 부모의 극심한 반대와 사회적 신분의 벽에 부딪히고, 결국 은호가 폐렴으로 요절하면서 사랑은 비극으로 끝난다.[6] 첫사랑을 잃은 깊은 슬픔에 잠긴 진이는 춤에 대한 열정을 잃고 5년 동안 기방을 떠나 방황하며 술과 슬픔으로 세월을 보낸다.
이 시기에 진이는 예조판서 김정헌 (김재원)을 만난다. 정헌은 자살을 시도하려던 진이를 구해주고, 두 사람은 위태로운 관계를 시작한다. 진이는 정헌과의 사이에서 아이를 가지지만, 사소한 다툼 끝에 유산하는 아픔을 겪는다. 한편, 왕족인 벽계수 (류태준)는 진이의 아름다움과 재능에 매료되어 강한 집착을 보이며 그녀를 소유하려 하지만, 진이는 이를 계속 거절한다. 벽계수는 권력을 이용하여 진이와 그녀의 스승 백무를 압박하기도 한다.
예술적 경쟁 또한 치열했다. 진이는 매향 (김보연)의 제자이자 뛰어난 춤 실력을 가진 부용 (왕빛나)과 끊임없이 경쟁하고 대립한다. 부용은 권력 지향적이며 여러 계략을 통해 진이를 위기에 빠뜨리려 시도한다.
스승 임백무와의 갈등은 점차 깊어진다. 진이는 백무의 계략이 은호의 죽음과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큰 충격과 배신감을 느낀다. 또한, 진이가 독자적으로 터득한 '학춤'에 대해 백무가 질투심을 느끼면서 두 사람 사이의 예술적, 감정적 대립은 극으로 치닫는다. 이는 결국 운명적인 학춤 대결로 이어지게 된다. 이러한 수많은 시련 속에서도 진이의 곁에는 헌신적인 호위무사 이생 (무명, 이시환)이 묵묵히 그녀를 지켜준다.
4. 4. 만년의 삶
여성이 사회적으로 제약받던 조선 시대에, 황진이는 뛰어난 기생이자 가수, 무용가, 시인으로 이름을 떨쳤다. 그녀의 빼어난 아름다움과 뛰어난 재치, 깊은 지성은 미천한 신분에서 벗어나 당대 가장 강력한 귀족들과 교류하는 발판이 되었다. 결국 중종과 조정으로부터 예술적 재능을 인정받기에 이르렀다.엄격한 신분제 사회 속에서도 황진이는 시대를 앞서가는 면모를 보이며, 예술에 대한 끊임없는 열정으로 자신의 삶을 다채롭게 가꾸어 나갔다. 그녀의 삶은 당대에 존경과 비난을 동시에 받았지만, 역사에 뚜렷한 족적을 남겼다.
5. 드라마 제작
'황진이'의 촬영 일정은 텔레비전 드라마로서는 특히나 고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때로는 7일 동안 쉬지 않고 촬영을 진행하기도 했다.[1] 하지원, 왕빛나, 김재원, 장근석 등 젊은 배우들과 함께 김영애, 김보연과 같은 중견 배우들이 다수 출연하여 극의 완성도를 높였다.[1]
드라마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상품들이 발매되었다.
구분 | 내용 | 발매 정보 |
---|---|---|
OST | 《황진이》 오리지널 사운드트랙 [CD+DVD] (총 11곡, 33분) | 발매원: 포니캐년 |
일본판 DVD | 《황진이》 완전판 DVD-BOX I [DVD 5매] (제1화~제12화, 특전 약 45분 포함 총 765분) | 발매원: VAP (2008년 9월 26일) |
한국판 DVD | 《황진이》 DVD BOX [DVD 9매] (총 24화, 특전 85분 포함 총 1480분) ※ 한국어 자막 없음, 리전 코드 3 | - |
가이드북 | 《한국 드라마 가이드 황진이》 | 일본방송출판협회 (2008년 6월), ISBN 4144071537 |
소설 (1) | 《황진이》 (1) (하야카와 문고) | 김탁환 (저), 요네즈 아쓰야 (번역), 하야카와 쇼보 (2008년 8월 25일), ISBN 4150411492 |
소설 (2) | 《황진이》 (2) (하야카와 문고) | 김탁환 (저), 요네즈 아쓰야 (번역), 하야카와 쇼보 (2008년 9월 25일), ISBN 4150411522 |
5. 1. 의상 및 미술
김혜선이 디자인한 의상, 춤, 음악은 화려함과 관능미로 호평을 받았다.[1]5. 2. 음악
김혜선이 디자인한 의상, 춤과 함께 드라마의 음악 역시 화려함과 관능미로 호평을 받았다.[1]6. 평가 및 영향
:최저 시청률과 최고 시청률은 시청률 조사회사와 지역별로 시청률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2006년 | ||||
---|---|---|---|---|
회차 | 방송일 | TNmS 시청률[10] | AGB 시청률[11] | |
대한민국(전국) | 대한민국(전국) | 서울(수도권) | ||
제1회 | 10월 11일 | 20.1% | 18.5% | 18.5% |
제2회 | 10월 12일 | 20.9% | 17.5% | 16.5% |
제3회 | 10월 18일 | 18.4% | 17.1% | 16.6% |
제4회 | 10월 19일 | 18.7% | 17.4% | 17.1% |
제5회 | 10월 25일 | 16.9% | 16.2% | 15.3% |
제6회 | 10월 26일 | 17.7% | 17.9% | 18.7% |
제7회 | 11월 1일 | 17.2% | 16.3% | 16.1% |
제8회 | 11월 2일 | 19.2% | 17.6% | 17.7% |
제9회 | 11월 8일 | 16.6% | 17.3% | 16.4% |
제10회 | 11월 9일 | 19.7% | 18.6% | 19.1% |
제11회 | 11월 15일 | 23.3% | 22.3% | 22.6% |
제12회 | 11월 16일 | 24.9% | 24.6% | 24.0% |
제13회 | 11월 22일 | 24.6% | 22.4% | 22.0% |
제14회 | 11월 23일 | 26.7% | 26.3% | 26.1% |
제15회 | 11월 29일 | 22.9% | 22.1% | 22.5% |
제16회 | 11월 30일 | 23.9% | 22.1% | 22.5% |
제17회 | 12월 6일 | 23.0% | 19.9% | 19.7% |
제18회 | 12월 7일 | 24.8% | 23.8% | 23.5% |
제19회 | 12월 13일 | 22.9% | 19.9% | 20.6% |
제20회 | 12월 14일 | 22.9% | 20.5% | 20.2% |
제21회 | 12월 20일 | 22.2% | 20.6% | 20.7% |
제22회 | 12월 21일 | 24.3% | 22.9% | 22.9% |
제23회 | 12월 27일 | 24.1% | 20.8% | 21.9% |
제24회 | 12월 28일 | 29.3% | 27.1% | 27.8% |
평균 시청률 | 21.9% | 20.4% | 20.4% |
6. 1. 수상 경력
연도 | 시상식 | 부문 | 수상자(작품) |
---|---|---|---|
2006년 | KBS 연기대상 | 대상 | 하지원 |
여자 조연상 | 왕빛나 | ||
여자 조연상 | 전미선 | ||
청소년 연기상 | 심은경 | ||
베스트 커플상 | 하지원 & 장근석 | ||
네티즌상 | 하지원 | ||
작가상 | 윤선주 | ||
2007년 | 제2회 서울 드라마 어워즈 | 미술감독상 | 이철호 |
한국방송대상 | 통합탤런트상 | 하지원 |
참조
[1]
웹사이트
Broadcasters Award Top-Rated Dramas
http://times.hankook[...]
Hankook Ilbo
2008-06-16
[2]
웹사이트
Flowering of the feminine
http://www.theage.co[...]
The Age
2008-06-16
[3]
웹사이트
South Korea's gisaeng a cultural craze
http://www.jsonline.[...]
Milwaukee Journal Sentinel
2008-06-16
[4]
웹사이트
송혜교의 고고함 vs 하지원의 열정, '황진이'의 두 모습
http://news.hankooki[...]
Hankook Ilbo
2008-06-16
[5]
웹사이트
http://www.chosun.co[...]
The Chosun Ilbo
2008-06-16
[6]
웹사이트
Hwang Jini TV Series (2006)
http://www.asiandb.c[...]
Asiandb.com
2008-06-16
[7]
문서
のちに2011年3月15日から同年3月22日にかけてBS-TBSでも放送された(日本語吹き替え版で1日あたり4話ずつの連続放送。ただし放送時間は各54分に短縮された)
[8]
인용
하지원 ‘스크린퀸’ 이번엔 여자복서 변신
http://v.entertain.m[...]
뉴스엔
2018-12-04
[9]
인용
송혜교에 맞설 '청순·관능 여인' 누구?
http://sports.hankoo[...]
스포츠한국(노컷뉴스)
2018-12-04
[10]
TNmS 멀티미디어 홈페이지
http://www.tnms.tv/r[...]
[11]
웹인용
닐슨코리아 리서치 홈페이지
http://www.agbnielse[...]
2022-08-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