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전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회전수는 앙리 푸앵카레에 의해 처음 정의되었으며, 원의 자기 위상 동형사상에 부여되는 불변량이다. 실직선 또는 원 위에서 정의되며, 함수의 반복을 사용하여 계산된다. 회전수는 원의 자기 위상 동형의 군에서 원군으로 가는 군 준동형이며, 위상 공액 및 단조 위상적 반공액에 대해 불변하다. 회전수는 유리수 또는 무리수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원의 자기 위상 동형을 분류하는 데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정점 - 도메인 이론
도메인 이론은 정보 조각과 부분 계산 결과로 해석되는 부분 순서 집합을 연구하여 정보 확장, 일관성 분석, 계산 과정의 수렴성 및 연속성을 형식화하는 분야로, 람다 대수 의미론 연구에서 동기를 얻어 컴퓨터 과학에 응용된다. - 고정점 - 브라우어르 고정점 정리
브라우어르 고정점 정리는 콤팩트 볼록 집합에서 자기 자신으로 가는 연속 함수는 반드시 고정점을 가진다는 정리로, 다양한 공간에서 여러 형태로 표현되며 함수해석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동역학계 - 가상일
가상일은 역학계에서 외력이 가상 변위에 대해 하는 일의 합으로, 정역학에서는 계의 정적 평형 조건으로 활용되며, 달랑베르 원리를 통해 동역학에도 적용되어 구조 해석 및 계산에 널리 쓰이는 물리량이다. - 동역학계 - 위상 공간 (물리학)
위상 공간은 역학계의 모든 가능한 상태를 모아 시스템의 상태 변수를 좌표로 나타낸 공간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궤적을 그리며 시스템의 동역학적 거동을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 - 위상수학 - 뫼비우스의 띠
"상상력" 한가 아닌 답변을 바랍니다. - 위상수학 - 공간
공간은 물체의 위치와 운동을 기술하는 배경으로, 시간과 함께 시공간을 구성하며, 학문 분야에 따라 정의와 관점이 다르지만, 현대 물리학에서는 고차원 공간을 가정하기도 한다.
회전수 |
---|
2. 역사
1885년, 앙리 푸앵카레가 처음 정의했으며, 이는 행성 궤도의 근일점 세차 운동과 관련이 있었다. 푸앵카레는 이후 회전수의 유리수에 따른 주기 궤도의 존재를 특징짓는 정리를 증명했다.
회전수는 실직선 또는 원에서 정의되는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에 대해, 반복 적용했을 때 나타나는 평균적인 변화량을 나타내는 값이다. 앙리 푸앵카레가 이 값이 항상 존재하며 시작점에 상관없이 일정함을 증명하였다.
3. 정의
3. 1. 실직선 위에서의 정의
실직선 위에서 자기 위상 동형 사상 가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고 가정하자.
:
이 때, 의 회전수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여기서 이다. 이 극한은 항상 존재하며, 에 상관없이 일정하다. 이는 앙리 푸앵카레가 증명하였다.
의 주기성으로 인해, 원의 방향을 보존하는 자기 위상 동형 을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의 회전수 는 의 회전수와 같다. 와 는 같은 에 대응하지만 회전수가 정수 만큼 다르므로, 의 회전수는 의 원소이다. 예를 들어, 이다.
이 원 의 방향을 보존하는 위상동형사상이라면, 실수선에 대한 위상동형사상 으로 리프트될 수 있으며, 다음을 만족한다.
:
여기서 모든 실수이고, 모든 정수이다.
의 회전수는 의 반복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앙리 푸앵카레는 이 극한이 존재하며 시작점 선택에 관계없이 일정함을 증명했다. 리프트 는 정수 modulo로 유일하므로 회전수는 의 잘 정의된 원소이다. 직관적으로, 이는 의 궤도를 따라 평균 회전 각도를 측정한다.
3. 2. 원 위에서의 정의
실직선의 자기 위상 동형 가 다음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
그렇다면, 의 '''회전수''' 는 다음과 같다.
:
여기서
:
이다. 이 극한은 항상 존재하며, 에 상관없다는 것을 보일 수 있으며, 이는 앙리 푸앵카레가 증명하였다.
의 주기성으로 인하여, 이로부터 원의 방향을 보존하는 자기 위상 동형 을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의 '''회전수''' 는 의 회전수와 같다. 와 는 같은 에 대응하지만 회전수가 정수 만큼 다르므로, 의 회전수는 의 원소이다. 예를 들어, 이다.
이 원 의 방향을 보존하는 위상동형사상이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는 실수선에 대한 위상동형사상 으로 리프트될 수 있으며, 다음을 만족한다.
:
여기서 는 모든 실수이고, 은 모든 정수이다.
의 '''회전수'''는 의 반복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앙리 푸앵카레는 이 극한이 존재하며 시작점 의 선택에 관계없이 일정함을 증명했다. 리프트 는 정수 modulo로 유일하므로 회전수는 의 잘 정의된 원소이다. 직관적으로, 이는 의 궤도를 따라 평균 회전 각도를 측정한다.
4. 성질
회전수 \(\omega\)는 원의 방향 보존 자기 위상 동형군 \(\operatorname{Homeo}^+(\mathbb S^1)\)에서 원군 \(\mathbb S^1\cong\mathbb R/\mathbb Z\)으로 가는 군 준동형이다. \(\operatorname{Homeo}^+(\mathbb S^1)\)에 \(\mathcal C^0\) 위상을 주어 위상군으로 만들면, 회전수는 연속 함수가 된다.
회전수는 위상 공액에 대해 불변하며, 단조 위상적 반공액에 대해서도 불변한다. 원의 두 방향 보존 자기 위상 동형 \(f, g\colon\mathbb S^1\to\mathbb S^1\) 및 연속 함수 \(h\colon\mathbb S^1\to\mathbb S^1\)에 대하여, \(h\circ f=g\circ h\)라면 \(\omega(f)=\omega(g)\)이다.
만약 \(f\)가 \(2\pi N\)만큼 회전(\(0 < N < 1\))하면, \(F(x) = x + N\)이고 회전수는 \(N\)이다(무리 회전 참조).
회전수는 원의 동형 사상 그룹(\(\mathcal C^0\) 위상)에서 원으로 가는 사상으로서 "연속적"이다.
4. 1. 원의 자기 위상 동형 분류
앙리 푸앵카레와 아르노 당주아는 회전수를 사용하여 원의 자기 위상 동형 들을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1. 만약 의 회전수가 유리수 라면 (), 는 하나 이상의 주기적 궤도를 가지며, 의 모든 주기적 궤도의 주기는 이다. 또한, 의 모든 궤도는 주기적 궤도로 수렴한다. (반면, 에서 수렴하는 주기적 궤도와 에서 수렴하는 주기적 궤도는 일반적으로 다를 수 있다.)
- 2. 만약 의 회전수가 무리수라면, 는 주기적 궤도를 갖지 않는다. 이 경우,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경우가 가능하다.
- * 2(a). 는 적어도 하나의 조밀 궤도를 갖는다. 이 경우, 인 방향 보존 위상 동형 이 존재하며, 모든 궤도가 조밀하다.
- * 2(b). 의 모든 궤도는 조밀하지 않다. 이 경우, 인 칸토어 집합 가 존재한다. 이 경우, 의 모든 궤도는 에 수렴하며, 마찬가지로 의 모든 궤도 역시 에 수렴한다. 이 경우, 가 되는 연속 함수 가 존재하며, 는 의 각 연결 성분 위에서 상수 함수이다.
또한, 만약 가 함수라면 항상 1이거나 2(a)에 해당한다. (이는 아르노 당주아가 증명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