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효공장황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효공장황후는 명나라 선덕제의 황후이자, 정통제와 경태제 시기의 황태후였다. 손씨는 1410년 궁녀로 입궁하여 선덕제의 첩실이 되었고, 선덕 3년(1428년) 황후로 책봉되었다. 선덕제가 죽자 황태후가 되었으며, 정통제가 토목의 변으로 포로가 되자 경태제를 옹립했다. 경태제가 폐위되고 정통제가 복위한 후에는 성렬자수황태후의 존호를 받았으며, 1462년 사망 후 효공의헌자인장렬제천배성장황후의 시호와 함께 경릉에 묻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99년 출생 - 선덕제
    선덕제는 명나라의 5대 황제로, 뛰어난 능력과 정치적 경험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통치를 이룩하고 정화의 남방 항해를 재개하는 등 업적을 남겼으나, 환관의 권력 강화는 비판받기도 하며, 문인화가로서 재능도 보인 그의 치세는 명나라 전성기로 평가된다.
  • 1399년 출생 - 김문기
    김문기는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단종 복위 운동을 추진하다 처형되었으며, 사육신 포함 여부에 논쟁이 있고, 저서로 《백촌유사》와 《백촌선생문집》이 있다.
  • 1462년 사망 - 양녕대군
    양녕대군은 조선 태종의 장남으로 왕세자였으나 폐위되었고, 동생 세종을 도왔으며 숭례문 현판 글씨를 쓰는 등 예술적 재능을 보였다.
  • 1462년 사망 - 바실리 2세
    바실리 2세는 삼촌, 사촌들과의 권력 투쟁 속에서 모스크바 대공국의 대공으로 중앙 집권화를 추진하고 러시아 정교회의 독립을 지지하여 모스크바의 위상을 높였으며 말년에는 실명했으나 이반 3세의 도움으로 통치를 이어갔다.
  • 명나라의 황태후 - 효숙황후
    효숙황후는 명나라 영종의 후궁이자 성화제의 생모로, 후궁 시녀 출신으로 빈이 되었고 아들 성화제 즉위 후 황태후, 손자 홍치제 즉위 후 태황태후로서 막강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며 명나라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권력 남용 논란 등 긍정적·부정적 평가가 공존한다.
  • 명나라의 황태후 - 여태후 (주표)
효공장황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효공장황후 손씨
신상 정보
손묘인 (孫渺引)
출생건문 원년 3월 13일 (1399년)
출생지제남부 추평현
사망천순 6년 9월 26일 (1462년)
사망지순천부, 자금성
묻힌 곳경릉
씨족손 (孫)
아버지손충 (孫忠)
어머니동원정 (董元貞), 회창백부인 동씨
배우자
배우자선덕제
결혼1417년
혼인 종료1435년 (사망)
자녀
자녀정통제
상덕대장공주
경력
황후 즉위선덕 3년 3월 16일 (1428년)
황후 퇴위선덕 10년 3월 7일 (1435년)
황태후 즉위1435년
황태후 퇴위1462년
존호
시호효공의헌자인장렬제천배성장황후 (孝恭懿憲慈仁莊烈齊天配聖章皇后)
능묘
능묘경릉 (景陵)

2. 생애

영락 8년(1410년), 태자비 장씨의 어머니 팽성백부인의 추천으로 궁녀로 입궁하였다. 영락 15년(1417년), 영락제가 손씨를 황태손 주첨기의 첩실로 간택하여 빈(嬪)으로 책봉되었다. 홍희 원년(1425년), 홍희제가 붕어하고 주첨기가 황제로 즉위하면서 귀비가 되었다.

선덕 3년(1428년), 황후 호선상이 아들을 낳지 못한다는 이유로 폐위되면서 손씨가 황후로 책봉되었다.

정통 14년(1449년), 정통제토목의 변으로 몽골에 포로로 잡히자, 손씨는 신하들의 의견을 따라 성왕(郕王) 주기옥(朱祁鈺)을 경태제로 옹립하고 상성황태후(上聖皇太后)로 존숭받았다. 경태 8년(1457년), 탈문의 변으로 경태제가 폐위되고 태상황 주기진이 복위하면서 성렬자수황태후(聖烈慈壽皇太后)로 존호가 변경되었다.

천순 6년 9월(1462년) 붕어하였다. 시호는 '''효공의헌자인장렬제천배성장황후'''(孝恭懿憲慈仁莊烈齊天配聖章皇后)이며, 능호는 경릉이다.[7]

2. 1. 초기 생애

손씨는 1399년 산둥성 추핑현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손우(孫愚)는 영성현(永城縣)의 종9품 주부(主簿)였고, 어머니는 동씨(董氏)였다. 손씨는 지적이고 용모가 아름다워 고향에서 명성이 자자했다.[10]

영락 8년(1410년), 10대 때 태자비 장씨의 어머니 팽성백부인의 추천으로 태자(훗날의 홍희제)의 저택에 들어가 주첨기의 마음에 들어 서로 그리워하게 되었다. 그러나 영락제는 손씨를 서황후에게 맡겨 교육하게 하였다. 영락 15년(1417년), 영락제에 의해 호선상이 주첨기의 비(정실)로 간택되었고, 손씨는 빈(측실)이 되었다.[3] 주첨기는 손씨를 총애하여 호선상을 그다지 총애하지 않았다.

2. 2. 황후 시절

홍희제가 붕어하고 주첨기가 황제로 즉위하면서 손씨는 귀비(貴妃)에 책봉되었다.[10] 선덕 3년, 황후 호선상이 아들을 낳지 못하고 병을 앓는다는 이유로 폐위되면서 손씨가 황후로 책봉되었다. 이때 아버지 손우(孫愚)는 손충(孫忠)으로 개명하고 회창백(會昌伯)에 봉해졌다.

손황후는 책봉 후 조정 회의를 열고 환관 및 여관들과 정기적으로 만났다. 그녀의 공식적인 임무에는 인사 평가, 예산 승인, 왕실 혼인 계획 등이 포함되었다. 황제의 후궁들과 황실 공주들은 정기적으로 그녀를 방문했다. 그녀는 시어머니인 장황후에게 매일 가족 문제에 대해 보고했다. 또한 종묘에서 제례를 거행했다. 특별한 경우에는 황제의 거처에서 황제와 함께 식사하기도 했다.[10]

2. 3. 황태후 시절

선덕제1435년 갑작스럽게 붕어(崩御)하자, 그의 아들 주기진정통제로 즉위하면서 손씨는 황태후가 되었다.[4] 황태후가 된 손씨는 조정의 중요한 문제에 대해 보고를 받았다.[4]

1449년, 정통제토목의 변으로 몽골의 포로가 되자, 손씨는 신하들의 건의를 받아들여 성왕(郕王) 주기옥경태제로 옹립하고, 상성황태후(上聖皇太后)로 존숭받았다.[5] 몽골은 두 명의 황제가 있는 것이 적들 사이에 불안정을 야기할 것임을 알고 곧 영종(정통제)를 석방했고, 영종은 처음에는 가택 연금되었다.

1457년 (경태 8년), 탈문의 변으로 경태제가 폐위되고 태상황 주기진(정통제)이 복위하면서 손씨는 성렬자수황태후(聖烈慈壽皇太后)로 존호를 받았다.[5]

2. 4. 사망

천순 6년(1462년) 9월, 손씨는 붕어하였다. 같은 해 9월 '''효공의헌자인장렬제천배성장황후'''(孝恭懿憲慈仁莊烈齊天配聖章皇后)로 추시되었으며, 능호는 경릉이다.[7]

3. 가족 관계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손충(孫忠)본명 손우(孫愚). 회창백에 봉해짐.
어머니동씨(董氏)
오빠손기종친군위 지휘관
오빠불명금의위 부지휘관
오빠불명친군위 지휘관
오빠불명친군위 지휘관
오빠불명친군위 지휘관


3. 1. 자녀


  • 아들: 주기진 (선덕제의 첫째 아들)[10]
  • 딸: 상덕공주 (1424년 ~ 1470년, 선덕제의 셋째 딸) - 설환(薛桓)에게 하가

4. 평가 및 대중 문화

=== 평가 ===

효공장황후 손씨는 명나라 중기의 중요한 정치적 인물이었다. 특히 토목의 변 이후 경태제를 옹립하고, 이후 정통제(영종)의 복위를 돕는 등 왕조의 안정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10] 그러나 일부 역사학자들은 그녀가 궁궐 여성 억제 관습에 따라 정치에 개입한 것을 비판하기도 한다.

=== 대중 문화 ===

4. 1. 평가

효공장황후 손씨는 명나라 중기의 중요한 정치적 인물이었다. 특히 토목의 변 이후 경태제를 옹립하고, 이후 정통제(영종)의 복위를 돕는 등 왕조의 안정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10] 그러나 일부 역사학자들은 그녀가 궁궐 여성 억제 관습에 따라 정치에 개입한 것을 비판하기도 한다.

4. 2. 대중 문화

참조

[1] 서적 Papers on Far Eastern History Department of Far Eastern History,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 서적 Asian Profile Asian Research Service
[3] 웹사이트 The Xuande Emperor (宣德 [ɕɥántɤ̌]; Beijing, 16 March 1399– 31 January 1435) was Emperor of China from 1425 to 1435. His era name means "Proclamation of Virtue". http://www.nouahsark[...] 2021-05-22
[4] 서적 Ming China, 1368-1644: A Concise History of a Resilient Empire Rowman & Littlefield
[5] 서적 中国历代后妃大观 海天出版社
[6] 서적 History of Ming Dynasty (Part I): 二十四史 明史 DeepLogic
[7] 서적 中华书局出品--威柄在御:明嘉靖初年的皇权、经世与政争 Beijing Book Co. Inc. 2021-01-01
[8] 웹사이트 "Ming Dynasty (2019): Cast & Crew." MyDramaList.com 2024-04-28
[9] 웹사이트 "Shang Shi (Royal Feast): Cast & Crew." MyDramaList.com 2024-04-28
[10] 문서 외史によると、宮人の子を取って自分の子として養っ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