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고 그로티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고 그로티우스는 1583년 네덜란드에서 태어나 국제법의 아버지로 불리는 법학자이다. 16세에 레이던 대학교를 졸업하고 로테르담 주지사를 역임했으며, 종교적 이유로 투옥되었다가 탈출하여 망명 생활을 했다. 스웨덴 대사를 지내며 30년 전쟁 종결을 위한 협상에 참여했고, 저서로 《전쟁과 평화의 법》, 《자유 해론》 등이 있다. 그는 자연법에 기초한 국제법을 주창하여 전쟁의 정당한 이유를 제시하고, 바다의 자유로운 이용을 주장했다. 그의 사상은 국제법과 한국의 국제 관계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후고 그로티우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휘고 더 그로트 (Hugo de Groot), 휴이흐 더 그로트 (Huig de Groot) |
영어 이름 | 휴고 그로티우스 (Hugo Grotius) |
출생 | 1583년 4월 10일 |
출생지 | 네덜란드 공화국 홀란트 백작령 델프트 |
사망 | 1645년 8월 28일 (향년 62세) |
사망지 | 스웨덴 포메라니아 로스토크 |
국적 | 네덜란드 |
직업 | 법학자 정치인 저술가 철학자 신학자 |
학력 | 레이던 대학교 |
종교 | 서양 철학 |
학문적 배경 | |
분야 | 서양 철학 |
사상 | 자연법 인문주의 |
주요 관심사 | 전쟁 철학 국제법 정치 철학 |
영향을 준 인물 | 모드레비우스 장 보댕 프란시스코 수아레스 유스투스 립시우스 알베리코 젠틸리 아리스토텔레스 키케로 에라스무스 비토리아 |
영향을 받은 인물 | 구스타브 2세 아돌프 밀턴 토마지우스 셀던 홉스 컴벌랜드 크라스 푸펜도르프 로크 흄 기번 볼테르 루소 몽테스키외 비코 빈케르스후크 바르베라크 스피노자 라이프니츠 슈미트 바텔 칸트 스코틀랜드 계몽주의 미국 건국의 아버지들 |
주목할 만한 아이디어 | 자연권 이론 자연법에 근거한 정당방위 원칙 정부 속죄 이론 |
서명 | |
![]() |
2. 생애
델프트에서 태어나 15세 때 레이던 대학교를 졸업하고, 1613년 로테르담의 주지사가 되었다.[22] 1619년 칼뱅주의를 반대하다 종신형을 선고받았으나, 아내의 도움으로 탈출하였다.[1]
1635년부터 1645년까지 프랑스 주재 스웨덴 대사를 지냈다.[26] 62세의 나이로 로스토크에서 사망하였는데, "국제법의 아버지" 그로티우스가 사망하고 3년 뒤에 "국제법의 출발점"이라는 1648년 웨스트팔리아 조약이 체결되었다.
그로티우스의 좌우명은 ''Ruit hora'' ("시간은 흘러간다")였으며, "많은 것을 이해했지만, 아무것도 이루지 못했다"라는 말을 남긴 것으로 전해진다. 그의 친구와 지인으로는 프란시스쿠스 유니우스, 다니엘 하인시우스, 게르하르트 요한 보시우스, 요하네스 메르시우스, 시몬 스테빈, 자크 오귀스트 드 투, 에르피니우스, 뱅자맹 오베리 뒤 모리에 등이 있으며, 브라반트 출신 예수회 신부 안드레아스 쇼투스와도 친분이 있었다.
그로티우스는 섭정관이자 외교관이었던 피터 데 흐로트의 아버지였다.
2. 1. 유년기
80년 전쟁 중 델프트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얀 데 흐로트는 라이덴 대학교에서 유스투스 리프시우스와 함께 공부한 적도 있는 인물이었다.[8] 어린 시절부터 인문주의와 아리스토텔레스주의 교육을 받았으며, 8세 무렵에는 라틴어 시를 쓸 정도로 신동이었다.[19] 11세에 레이던 대학교에 입학하여, 프란시스쿠스 유니우스, 요제프 유스투스 스칼리게르, 루돌프 스넬리우스 등 당대 북유럽 최고 지성인들에게 배웠다.[9] 16세(1599년)에 마르티아누스 카펠라의 7자유과에 관한 저서를 편집한 첫 번째 책을 출판했다.2. 2. 초기 경력
1598년, 15세의 나이에 요한 판 올덴바르네펠트를 따라 프랑스 앙리 4세에게 외교 임무를 수행했다.[11] 프랑스에 머무는 동안 오를레앙 대학교에서 법학 학위를 취득했다.[11] 1599년 헤이그에서 변호사로 임명되었고,[11] 1601년에는 홀란트 주의 공식 역사학자로 임명되었다.[6]1604년 네덜란드 상인들이 싱가포르 해협에서 포르투갈 캐랙과 그 화물을 압수한 사건과 관련된 법적 절차에 관여하면서 국제 정의 문제에 대해 체계적으로 글을 쓰기 시작했다.
1608년, 마리아 판 레이게르베르흐와 결혼하여 8명의 자녀를 두었다(4명은 요절).[9]
2. 3. 법률가 경력과 아르미니우스 논쟁
요한 판 올덴바르네펠트와의 관계로 후고 그로티우스는 정치 경력을 발전시켰다. 1605년 올덴바르네펠트의 전속 고문이 되었고, 1607년에는 홀란트 주, 젤란트 주, 프리슬란트 주의 재정 수석 변호사가 되었으며, 1613년에는 로테르담의 연금 생활자가 되었다.[22]이 시기 라이덴 대학교 신학 교수 야코부스 아르미니우스와 그의 추종자들(아르미니우스주의)과 칼뱅주의 신학자 프란시스쿠스 고마루스와 그의 추종자들(고마루스주의) 사이에 신학 논쟁이 일어났다. 그로티우스는 종교적 관용을 지지하는 아르미니우스주의자들과 정통 칼뱅주의자들 사이의 정치-종교적 갈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22]
그로티우스는 시민 당국이 종교 당국의 뜻과 무관하게 대학 교수를 임명할 권한을 옹호하며 논쟁에 참여했다. 1613년 말 또는 1614년 초, 관용 정책을 표현하는 칙령 《Decretum pro pace ecclesiarum》를 작성했다. 이 칙령은 시민 질서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교리만 강요하고, 모호한 신학적 교리에 대한 이견은 개인의 양심에 맡겨야 한다는 그의 관점을 반영한다. 1617년 초, 헤이그 클로스터케르크에서 반(反) 아르미니우스주의자들에게 설교할 기회를 줄 것인가에 대한 문제를 놓고 논쟁을 벌였다.[22]
2. 4. 체포와 망명
시민 당국과 종교 당국 간의 갈등이 심화되면서, 올덴바르네펠트는 1617년 8월 4일 샤프 결의안을 통해 지방 당국에 군대를 징집할 권한을 부여할 것을 제안했다. 그러나 이는 공화국의 군사력 통일성을 훼손하는 것이었기에, 총사령관 오라녜 공 마우리츠는 이를 허용할 수 없었다.[1] 마우리츠는 자신이 지지했던 고마리스트의 우위를 굳히고, 올덴바르네펠트를 제거할 기회를 잡았다.[1]1619년 7월, 네덜란드 총회 다수는 위트레흐트의 보조 군대를 해산할 권한을 마우리츠에게 부여했다. 그로티우스는 이에 저항하기 위해 위트레흐트 주에 임무를 수행했지만, 마우리츠가 승리했다.[1] 1618년 8월 29일, 네덜란드 총회는 마우리츠에게 올덴바르네펠트, 그로티우스, 롬보트 호거베츠를 체포할 권한을 부여했다.[1] 이들은 네덜란드 총회에서 파견된 판사들로 구성된 법정에서 재판을 받았다. 올덴바르네펠트는 사형을 선고받고 1619년에 참수되었으며, 그로티우스는 종신형을 선고받고 뢰브스테인 성에 수감되었다.[1]
1621년, 그로티우스는 아내와 하녀 엘스제 판 하우웨닝의 도움으로 책 상자에 숨어 성을 탈출하여 파리로 망명했다.[1]
2. 5. 파리 생활과 스웨덴 대사
파리로 도피한 후고 그로티우스는 당국으로부터 연간 왕실 연금을 받았다. 1621년부터 1644년까지 거의 끊임없이 프랑스에 거주했다. 1625년 프랑스에서 그는 가장 유명한 저서인 ''전쟁과 평화의 법''(De jure belli ac pacis)을 출판하여 루이 13세에게 헌정했다.[26]1631년, 네덜란드로 돌아가려고 시도했지만 당국은 여전히 그에게 적대적이었다. 1632년 그는 함부르크로 이주했다. 1634년, 스웨덴 국왕 구스타브 2세 아돌프의 후계자 섭정 악셀 옥센셰르나는 그로티우스를 주 프랑스 스웨덴 대사로 임명했다. 그로티우스는 1645년 직책에서 물러날 때까지 10년 동안 30년 전쟁 종결을 위해 스웨덴을 대신하여 협상하는 임무를 수행했다.[26]
2. 6. 죽음
1634년 주 프랑스 스웨덴 대사로 일할 기회를 얻었다. 당시 스웨덴 국왕 구스타브 2세 아돌프는 전장에서 군대를 지휘할 때 항상 안장에 그로티우스의 『전쟁과 평화의 법』을 휴대했다고 한다.[26] 악셀 옥센셰르나는 구스타브 2세 아돌프의 뒤를 이어 그로티우스를 주 프랑스 스웨덴 대사로 고용했다. 그로티우스는 1645년에 그 직에서 해임될 때까지 망명 기간 동안 사용했던 파리의 자택을 이용했다.그로티우스의 최후는 갑작스러웠다. 프랑스에서 스웨덴으로 가는 도중, 그로티우스가 탄 배가 난파하여 로스토크에 표류했다. 쇠약해진 그로티우스는 로스토크에서 1645년 8월 28일에 병사했다. 그의 유해는 청춘 시절을 보낸 델프트 신 교회에 안장되었다.

3. 사상
스페인과 네덜란드 간의 80년 전쟁, 가톨릭 국가와 프로테스탄트 국가 간의 30년 전쟁 시기에 살았던 그로티우스는 국가 간 및 종교 간의 갈등 문제에 깊이 관심을 가졌다.
그가 감옥에서 시작하여 파리 망명 중에 출판한 《전쟁과 평화의 법 세 권》(《전쟁과 평화의 법에 관하여: 세 권》)은 광범위한 도덕적 합의를 바탕으로 이러한 갈등을 억제하려는 노력이었다. 1625년 처음 출판되었으며, 루이 13세에게 헌정되었다. 이 책은 지역 관습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과 국가에 구속력이 있는 자연법의 원칙 체계를 발전시킨다. 이 작품은 세 권으로 나뉜다.
- 제1권은 전쟁과 자연 정의에 대한 그의 개념을 발전시키며, 전쟁이 정당화될 수 있는 몇 가지 상황이 있다고 주장한다.
- 제2권은 전쟁의 세 가지 '정당한 이유'를 식별한다: 자기 방어, 배상, 처벌; 그로티우스는 이러한 전쟁의 권리가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과 그렇지 않은 상황을 고려한다.
- 제3권은 일단 시작된 전쟁의 수행을 규율하는 규칙의 문제를 다룬다; 영향력 있게도 그로티우스는 전쟁의 모든 당사자가 그들의 이유가 정당한지 여부에 관계없이 그러한 규칙에 의해 구속된다고 주장했다.
그로티우스는 다음과 같이 적었다.
>나는... 국가 간에도 공통의 법이 존재하며, 이는 전쟁과 전쟁 중에 모두 유효하다고 확신하여, 이 주제에 대해 글을 쓸 많은 중요한 이유를 갖게 되었다. 기독교 세계 전체에서 나는 야만족조차 부끄러워할 만한 전쟁과 관련된 자제가 부족하다는 것을 관찰했다. 나는 사람들이 사소한 이유나 아무 이유 없이 무기를 들고, 일단 무기를 들면 더 이상 신성한 법이나 인간의 법을 존중하지 않는다는 것을 관찰했다. 마치 일반적인 법령에 따라 모든 범죄를 저지르기 위해 광기가 공개적으로 풀려난 것과 같다.[21]
3. 1. 국제법

중세와 근대의 접점에 살면서 유럽에서 벌어진 수많은 전쟁을 목격한 그로티우스는 전쟁 방지 방법을 고민했고, 국제법 이론을 떠올리게 되었다.[21] 그는 《전쟁과 평화의 법》에서 전쟁의 정당한 원인으로 자기방위, 재산 회복, 처벌의 세 가지 요인을 한정하여 정당한 전쟁의 범위를 설정하였다.
토머스 아퀴나스가 합리화한 자연법을 더욱 발전시켜, 자연법의 기초를 신(神)이 아닌 인간 이성에 둠으로써 자연법의 세속화를 이끌었다. 그는 국제 사회에 자연법을 적용하고, 개인의 자연권에 상당하는 국가주권 간의 자연법적 질서를 통해 국제법의 기초를 세웠다. 비록 그의 자연법론과 국제법론이 독창적인 것은 아니며, 비토리아, 수아레스 등 이전 학자들의 여러 학설을 집대성한 것에 불과하다는 평가도 존재한다.
1609년, 그로티우스는 『자유 해론』(원제: ''Mare Liberum'')을 저술했다. 그로티우스는 이 책을 통해 바다는 국제적인 영역이며, 모든 국가는 바다에서 펼쳐지는 무역을 위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당시 영국은 무역에서 네덜란드와 경쟁 관계에 있었기 때문에 그로티우스의 주장에 정면으로 반대했다. 스코틀랜드인 법학자인 윌리엄 웰워드가 영어로 최초로 해사법에 대해 저술한 인물이며, 1613년에는 그로티우스에 대항하는 형태로 ''『Mare Liberum in An Abridgement of All Sea-Lawes』''를 집필했다. 그로티우스는 이에 반론하는 형태로 1615년, ''Defensio capitis quinti Maris Liberi oppugnati a Gulielmo Welwodo''를 저술했다. 1635년, 존 셀던은 『봉쇄 해론』(원제: ''Mare clausum'')에서 바다는 원칙적으로 육지의 영역과 같은 적용을 받는다고 주장했다.
해사법을 둘러싼 논의가 성숙되면서 해양 국가들은 해사법 정비를 추진하게 되었다. 네덜란드 법학자인 코르넬리우스 판 바잉케르스후크는 저서 『해양 주권론』(원제: ''De dominio maris'')(1702년)에서 육지를 보호하기 위해 대포가 닿는 범위 내의 바다의 지배권(영해)은 그 연안의 국가가 보유한다고 주장했다. 이 주장은 각국에서 지지받아 영해는 3마일로 정해졌다.
이 논쟁은 최종적으로 경제 논쟁으로까지 발전했다. 설령 몰루카 제도에서 육두구와 정향을 독점하고 있었다고 해도, 네덜란드는 자유 무역을 주장한 반면, 영국은 1651년 항해법을 제정하여 영국의 항만에 영국 선적 이외의 입항을 금지했다. 항해법의 제정으로 제1차 영국-네덜란드 전쟁이 발발했다.
그로티우스의 국제법 사상은 한국의 국제 관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그의 '자유 해론'은 독도 영유권 문제와 관련하여 한국의 입장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근거 중 하나로 활용되기도 한다. 또한, 그의 '정당한 전쟁론'은 한국전쟁 당시 유엔군의 참전을 정당화하는 이론적 근거로 작용하기도 했다.
3. 2. 속죄론
후고 그로티우스는 "정부적 속죄론"으로 알려진 속죄에 대한 독특한 견해를 발전시켰다. 그는 예수의 희생적인 죽음이 아버지가 우주에 대한 정의로운 통치를 유지하면서도 용서하기 위해 일어났다고 이론화했다. 이 아이디어는 존 마일리와 같은 신학자들에 의해 더욱 발전되었으며, 감리교 알미니우스주의에서 속죄에 대한 주요 견해 중 하나가 되었다.[14]4. 주요 저서
- De jure belli ac pacis libri tresla (1625, 전쟁과 평화의 법) : 3부로 구성되어 있다.[25]
- 1부: 전쟁과 자연적 정의의 개념을 전개하고, 어떤 경우에 전쟁이 정당한지에 대해 논하였다.
- 2부: 전쟁의 세 가지 정당한 이유로 자기 방어, 피해에 대한 보복, 그리고 징벌을 제시하였다.
- 3부: 전쟁 발발 시 어떤 원칙과 법규가 존재하는지 논하였다.
- De Jure Praedae Commentariusla (1604, 포획법론) : 옳은 전쟁론에 대한 글로, 형벌은 정의를 세우는 데 필요하며, 사람의 가장 큰 의무는 자신을 보호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물자 공급 및 충당은 자연법의 전제조건에 해당한다고 주장했다.
- Mare Liberumla (1609, 자유해양론) : 바다는 국제 영토이며 모든 국가가 항해 무역에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 새로운 원칙을 제시하였다. 공해 자유를 주장하여 네덜란드가 무역 독점을 깨는 데 이념적 정당성을 제공했다.
- De veritate religionis Christianaela (1627, 기독교의 진리에 관하여) : 기독교의 진리에 대한 초보적이지만 체계적인 주장을 제시한 라틴어 산문 작품이다. 옹호론 분야의 최초의 프로테스탄트 교과서로 평가받는다.[24] 신의 존재, 유일성, 완전성, 무한성, 영원함, 전능, 전지, 완전한 선함, 만물의 원인임을 논증했다.[24]
5. 영향
프랜시스 허치슨, 애덤 스미스, 토머스 리드, 데이비드 흄 등의 스코틀랜드 계몽주의자들과 피에르 베일,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등은 후고 그로티우스를 높이 평가했다.[17] 반면에 볼테르는 그를 지루하다고 평가했고, 장 자크 루소는 인간 본성에 대한 다른 입장을 보였다.[17]
그로티우스의 자연법 개념은 17세기와 18세기의 철학 및 신학 논쟁과 정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사무엘 푸펜도르프와 존 로크를 통해 그의 사상은 잉글랜드 명예 혁명과 미국 독립 혁명의 문화적 배경의 일부가 되었다.
구스타브 2세 아돌프 스웨덴 국왕은 군대를 이끌 때마다 《전쟁과 평화의 법》을 소지했다고 한다. 반면, 제임스 1세 영국 국왕은 이 책을 소개받고 매우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앤드루 딕슨 화이트는 그로티우스가 국제법에서 유럽을 위한 올바른 이성의 가르침을 생각해냈고, 이를 통해 인류 역사의 흐름에 고귀한 변화를 가져왔다고 평가했다.
20세기 후반, 그로티우스의 윤리적 업적의 독창성에 대한 논쟁이 벌어지면서 그의 저작은 다시금 주목을 받았다.
참조
[1]
문서
"Andrzej FRYCZ Modrzewski (Fricius Modrevius)" with bibliography.
http://literat.ug.ed[...]
2011-09-28
[2]
논문
Andreas Fricius Modrevius—A Polish Political Theorist of the Sixteenth Century
https://www.cambridg[...]
1946
[3]
서적
Jean Bodin
Oxford University Press
[4]
서적
A hand-book for travellers on the continent: being a guide through Holland, Belgium, Prussia
https://archive.org/[...]
BIBLIOBAZAAR
[5]
서적
History of Holland, from the beginning of the tenth to the end of the Eighteenth Century, Volume 2
https://books.google[...]
General Books
[6]
웹사이트
Hugo Grotius {{!}} Dutch statesman and scholar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4-21
[7]
서적
Hugo Grotius, the Portuguese and Free Trade in the East Indies
NUS Press & KITLV Press
[8]
서적
Hugo Grotius: A Lifelong Struggle for Peace in Church and State, 1583 – 1645
BRILL
[9]
서적
Property, Piracy and Punishment: Hugo Grotius on War and Booty in De iure praedae: Concepts and Contexts
BRILL
[10]
서적
Just War Thinkers: From Cicero to the 21st Century
Routledge
[11]
서적
A History of Political Philosophy: From Thucydides to Locke
Global Scholarly Publications
[12]
웹사이트
Hugo Grotius {{!}} Dutch statesman and scholar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4-21
[13]
서적
Annals of the War in the Low Countries, ed. with an introduction by J. Waszink
https://doi.org/10.1[...]
Leuven UP
[14]
웹사이트
The Santa Catarina Incident
https://eresources.n[...]
The National Library Board, Government of Singapore
2021-04-01
[15]
백과사전
[16]
웹사이트
Hugo de Groot: one of the greatest Dutch thinkers of all time
https://dutchreview.[...]
2019-12-10
[17]
웹사이트
Hugo Grotius - Later life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4-21
[18]
백과사전
Hugo Grotius Dutch statesman and scholar
https://www.britanni[...]
[19]
사전
人物学習辞典2巻 オハ~サト
児山敬一
[20]
문서
Vreeland (1919), chapter 1
[21]
문서
Ittersum (2006), chapter 1.
[22]
서적
新版世界各国史 14 スイス・ベネルクス史
山川出版社
[23]
문서
太田 (2003) p.102
[24]
문서
太田 (2003) p.96
[25]
간행물
關西大學法學論集 第五六巻 四号
関西大学法学会
[26]
서적
The Rights of War and Peace
Liberty Fund
[27]
웹인용
≪리폼드뉴스≫ 리차드 박스터의 “보편속죄론”에 관한 고찰
http://www.reformedn[...]
2020-03-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