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지와라노 가네타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지와라노 가네타카는 995년에 종5위 상에 직서되었으며, 아버지 후지와라노 미치카네가 단명한 후 숙부 후지와라노 미치나가의 측근으로 활동했다. 우효에노사, 사콘에노쇼쇼 등을 거쳐 1002년에 종3위, 우콘에노츄조에 올랐고, 1008년에는 산기에 임명되었으나, 이후 승진에서 밀려났다. 1013년에는 마굿간 사람을 죽이는 사건을 일으켰으며, 1014년에는 하녀와의 분쟁으로 소송이 벌어지기도 했다. 1016년에는 동생 가네쓰나를 위해 우콘에노츄조를 사임했으며, 아쓰아키라 친왕의 황태자 사퇴에 관여했다는 소문이 있었다. 1024년에 정2위에 올랐으며, 1035년에 츄나곤을 사임하고, 1046년에 출가하여 1053년에 69세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53년 사망 - 유영 (북송)
유영은 북송 시대의 시인으로, 과거 시험에 여러 번 낙방한 후 기녀들과 교류하며 통속적인 사를 지어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으며, 만사 형식을 발전시키고 염정 및 기여행역을 소재로 송사의 발전에 기여했다. - 985년 출생 - 알하킴 비아므르 알라
알하킴 비아므르 알라는 파티마 왕조의 6대 칼리프이자 이스마일파 이맘으로, 불안정한 통치 속에서 이스마일파 이념 강조, 학문 장려, 종교적 억압 등의 행적을 보였으며 드루즈파 형성 시기에 실종되어 여러 추측을 낳았다. - 구조류 - 후지와라노 아키미쓰
후지와라 북가 출신의 헤이안 시대 공경인 후지와라노 아키미쓰는 대신을 역임했으나 후지와라노 미치나가와의 갈등과 정치적 실수, 딸 관련 사건 등으로 불명예스러운 별명을 얻었지만, 조정에 기여한 공로와 유소쿠코지쓰에 대한 지식은 재평가되기도 한다. - 구조류 - 후지와라노 가네이에
후지와라노 가네이에는 헤이안 시대 공경으로, 엔유, 가잔, 이치조 천황 시대에 재상을 지내며 이치조 천황의 외조부로서 섭정이 되어 후지와라 씨의 권력을 강화하고 가잔 천황에게 양위를 강요하여 영향력을 확대했으며, 그의 후손들은 후지와라노 미치나가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다.
후지와라노 가네타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씨명 | 후지와라 북가구조류 |
이름 | 후지와라노 가네타카 |
시대 | 헤이안 시대 |
출생 | 985년 |
사망 | 1053년 10월 |
별칭 | 아와타 사에몬노카미 |
관위 | 정2위, 중납언 |
가계 | |
아버지 | 후지와라노 미치카네 |
어머니 | 후지와라노 도오나리의 딸 |
형제자매 | 후쿠아시노키미 손시 가네타카 가네쓰나 가네노부 니조도노미카타 덴지 |
배우자 | 미나모토노 스케요시의 딸 후지와라노 기요코 (후지와라노 노리타카의 딸) |
자녀 | 가네후사 사다후사 엔니 교젠 간엔 교조 아쓰히라 친왕 비 미나모토노 요시무네 실 딸 둘 |
주요 활동 | |
주군 | 이치조 천황 산조 천황 고이치조 천황 고스자쿠 천황 고레이제이 천황 |
2. 생애
세이랴쿠 6년(995년) 정월, 가네타카는 종5위 상에 서임되었고, 아버지 미치카네는 같은 해 4월에 관백에 취임했지만 2주도 채 되지 않아 급사했다. 이후 권력은 숙부 미치나가에게 넘어갔다. 가네타카는 미치나가의 사촌 형제들인 다카치카, 다카이에와는 달리 미치나가에게 반항하지 않고, 그의 측근으로 활동했다.
조와 2년(1013년) 8월, 가네타카는 마굿간 사람(말을 돌보는 종자)을 쳐 죽이는 사건을 일으켰다.[1] 조와 3년(1014년) 정월에는 후지와라노 사네스케의 하녀와 우물 사용 문제로 다투다 자신의 하녀가 맞아 옷을 빼앗기자, 종자들을 시켜 사네스케 하녀의 집을 약탈하고 파괴했다. 그러나 분쟁의 원인이었던 우물이 속한 토지가 가네타카가 아닌 사네스케의 소유로 밝혀지자, 가네타카는 태도를 바꿔 자신의 하녀가 입은 피해는 묻고 사네스케의 하녀에게 입힌 피해는 모두 보상하겠다는 내용의 서신을 보냈다.[2]
칸닌 원년(1017년), 아쓰아키라 친왕이 황태자를 사임했는데, 일각에서는 가네타카가 아쓰아키라 친왕을 속인 결과라는 풍문이 있었다.[3] 《다이카가미》는 미치카네·가네타카 부자 2대에 걸친 퇴위 책동에 대해 "천황·동궁에게 가까이 해서는 안 되는 일족"이라고 평했다. 칸닌 3년(1019년) 곤츄나곤, 치안 3년(1023년) 츄나곤으로 승진하여, 치안 4년(1024년) 정2위에 이르렀다.
조겐 8년(1035년) 츄나곤을 사임하고, 칸토쿠 3년(1046년) 출가했다. 텐키 원년(1053년) 10월, 향년 69세로 훙거했다.
관직 임명 과정은 다음과 같다. 주석이 없는 것은 『공경보임』에 따른다.
연도 | 관직 |
---|---|
세이랴쿠 6년(995년) | 종5위상 (직서) |
초토쿠 2년(996년) | 정5위하 (임시), 아와 곤노카미, 킨지키, 우효에노사 |
초토쿠 3년(997년) | 사콘노쇼쇼 |
초토쿠 4년(998년) | 이요 곤노스케 |
조호 원년(1000년) | 종4위하 (쇼쇼로), 승전 여전 |
조호 3년(1001년) | 효부다이후, 종4위상 (토산조인 어하) |
조호 4년(1002년) | 우콘에노츄조, 종3위 (토산조인 어골 하지상. 월계) |
조호 6년(1004년) | 겸 오미 곤노카미 |
간코 5년(1008년) | 산기, 우츄조 여전 |
간코 6년(1009년) | 빗츄노카미 |
간코 8년(1011년) | 이요노카미 |
조와 2년(1013년) | 정3위 |
조와 4년(1015년) | 겸 이요 곤노카미, 종2위 (조영행사상) |
조와 5년(1016년) | 사 우콘에노츄조 |
칸닌 3년(1019년) | 곤츄나곤 |
칸닌 5년(1021년) | 겸 사에몬노카미 |
치안 3년(1023년) | 츄나곤, 사에몬노카미 여전 |
만주 원년(1024년) | 정2위 (후지와라노 요리미치 양, 보관상) |
조겐 2년(1029년) | 사 에몬노카미 |
조겐 8년(1035년) | 사 츄나곤, 정임 |
칸토쿠 3년(1046년) | 출가 (전 츄나곤 정2위) |
텐키 원년(1053년) | 훙거 |
가족 관계는 다음과 같다. 주석이 없는 것은 『존비분맥』에 따른다.
관계 | 이름 |
---|---|
아버지 | 후지와라노 미치카네 |
어머니 | 후지와라노 엔료의 딸 |
정실 | 미나모토노 스케요시의 딸 |
첩 | 후지와라노 겐시(다이니 삼위) - 후지와라노 노리타카와 무라사키 시키부의 딸, 이후 다카시나노 나리아키의 부인 |
장남(정실 소생) | 후지와라노 카네후사 (1001년-1069년) |
차남(정실 소생) | 후지와라노 사다후사 (1020년-1095년) |
삼남(정실 소생) | 엔이 |
사남(정실 소생) | 교젠 |
장녀(첩 소생) | 미나모토노 요시무네의 부인 - 미나모토노 지후사의 어머니 |
장남(생모 불명) | 칸엔 |
차남(생모 불명) | 쿄조 |
장녀(생모 불명) | 아쓰히라 친왕 비[3] |
차녀(생모 불명) | [3] |
삼녀(생모 불명) | [3] |
2. 1. 초기 생애
세이랴쿠 6년(995년) 정월에 종5위 상에 서임되었고, 아버지 미치카네는 같은 해 4월에 관백에 취임했지만, 재임 기간이 2주도 채 되지 않아 급사했다. 그 후 권력은 숙부 미치나가에게 넘어갔다. 가네타카는 미치나가의 사촌 형제들인 다카치카, 다카이에와는 달리 미치나가에게 반항하지 않고, 그의 측근으로 활동했다.[1]우효에노사·사콘에노쇼쇼 등 무관을 역임하고, 조호 원년(1000년) 종4위 하에 서임되었다. 조호 3년(1001년)에는 몽상에 의해 사콘에노쇼쇼에서 효부다이후로 전임되었다.[1]
조호 4년(1002년) 종3위·우콘에노츄조에 서임되어 공경의 반열에 올랐다. 칸코 5년(1008년) 24세에 산기에 임명되어 의정관 중 최연소였으나, 이듬해인 칸코 6년(1009년) 좌대신 미치나가의 아들 요리미치가 산기를 거치지 않고 곤츄나곤에 임명되면서 승진에서 밀려났다. 조와 2년(1013년) 6월에는 요리미치의 동생 노리미치마저 곤츄나곤으로 승진했다. [1]
2. 2. 미치나가 측근 활동
세이랴쿠 6년(995년) 정월에 종5위 상에 서임되었고, 아버지 미치카네는 같은 해 4월에 관백이 되었지만, 재임 기간이 2주도 채 되지 않아 급사했다. 그 후 권력은 숙부 미치나가에게 넘어갔다. 미치나가를 숙부로 둔 사촌 다카치카, 다카이에 형제는 이에 반항했지만, 가네타카는 그런 움직임을 보이지 않았고, 이후 미치나가의 측근으로 활동하였다.우효에노사·사콘에노쇼쇼 등 무관을 역임하고, 조호 원년(1000년) 종4위 하에 서임되었다. 조호 3년(1001년)에는 몽상에 의해 사콘에노쇼쇼에서 효부다이후로 전임되었다.
조호 4년(1002년)에 종3위·우콘에노츄조에 서임되어 공경의 반열에 올랐다. 칸코 5년(1008년) 24세에 산기에 임명되었을 때 의정관 중 최연소였지만, 다음 해인 칸코 6년(1009년)에 집정 좌대신·후지와라노 미치나가의 아들 요리미치가 산기를 거치지 않고 곤츄나곤에 임명되어 승진에서 밀려났다. 게다가 조와 2년(1013년) 6월에는 요리미치의 동생 노리미치도 같은 곤츄나곤으로 승진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같은 해 8월에 마굿간 사람(말을 돌보는 종자)을 쳐 죽이는 사건을 일으켰다.[1]
다음 해인 조와 3년(1014년) 정월에는, 후지와라노 사네스케의 하녀와 우물 사용 문제로 다투다가 맞아서 옷을 빼앗겼다는 자신의 하녀의 소송에 의해, 종자들에게 명하여 사네스케의 하녀 집을 약탈·파괴하게 했다. 그러나, 다툼의 원인이었던 우물이 속한 토지의 소유권이 가네타카가 아닌, 사실은 사네스케의 것이라는 것이 판명되자, 태도를 바꿔 저자세로 돌아서서, 자신의 하녀가 입은 피해는 묻지 않고, 사네스케의 하녀에게 입힌 피해는 모두 보상하겠다는 내용의 서신을 사네스케에게 보냈다.[2]
조와 5년(1016년) 고이치조 천황의 즉위를 전후하여, 동생 가네쓰나를 사콘에노츄조에 임관시키는 대신 자신은 우콘에노츄조를 사임했다. 칸닌 원년(1017년)에 아쓰아키라 친왕이 황태자를 사임했는데, 가네타카가 아쓰아키라 친왕을 속인 결과라는 풍문이 있었다고 한다.[3] 미치카네·가네타카 부자 2대에 걸친 퇴위 책동에 대해, 《다이카가미》는 "천황·동궁에게 가까이 해서는 안 되는 일족이다"라고 평가했다. 칸닌 3년(1019년) 곤츄나곤, 치안 3년(1023년) 츄나곤으로 승진하였고, 치안 4년(1024년) 정2위에 이르렀다.
2. 3. 승진 정체와 사건
세이랴쿠 6년(995년) 정월 종5위 상에 직서되었고, 아버지 미치카네는 같은 해 4월 관백에 취임했지만, 재임 기간이 2주도 채 되지 않아 급사했다. 그 후 권력은 숙부 미치나가에게 넘어갔다. 미치나가를 숙부로 둔 사촌 다카치카, 다카이에 형제는 이에 반항했지만, 가네타카는 그런 움직임을 보이지 않았고, 이후 미치나가의 측근으로 활동했다.조호 4년(1002년) 종3위·우콘에노츄조에 서임되어 공경에 올랐다. 칸코 5년(1008년) 24세에 산기에 임명되어 의정관 중 최연소였지만, 다음 해인 칸코 6년(1009년) 좌대신 미치나가의 아들 요리미치가 산기를 거치지 않고 곤츄나곤에 임명되어 승진에서 밀려났다. 조와 2년(1013년) 6월에는 요리미치의 동생 노리미치도 곤츄나곤으로 승진했다. 같은 해 8월, 가네타카는 마굿간 사람(말을 돌보는 종자)을 쳐 죽이는 사건을 일으켰다.[1]
조와 3년(1014년) 정월에는 후지와라노 사네스케의 하녀와 우물 사용 문제로 다투다 자신의 하녀가 맞아 옷을 빼앗기자, 종자들을 시켜 사네스케 하녀의 집을 약탈하고 파괴했다. 그러나 다툼의 원인이었던 우물이 속한 토지의 소유권이 가네타카가 아닌 사네스케에게 있다는 것이 밝혀지자, 가네타카는 태도를 바꿔 자신의 하녀가 입은 피해는 묻지 않고 사네스케의 하녀에게 입힌 피해는 모두 보상하겠다는 내용의 서신을 사네스케에게 보냈다.[2]
칸닌 원년(1017년) 아쓰아키라 친왕이 황태자를 사임했는데, 가네타카가 아쓰아키라 친왕을 속인 결과라는 소문이 있었다.[3] 《다이카가미》는 미치카네·가네타카 부자가 2대에 걸쳐 퇴위 책동을 벌인 것에 대해 "천황·동궁에게 가까이 해서는 안 되는 일족"이라고 평했다.
2. 4. 아쓰아키라 친왕 퇴위 관여 의혹
1017년 (칸닌 원년)에 아쓰아키라 친왕이 황태자 자리에서 물러났는데, 일각에서는 가네타카가 아쓰아키라 친왕을 속였기 때문이라는 소문이 있었다고 한다.[3] 《다이카가미》에서는 미치카네와 가네타카 부자 2대에 걸친 퇴위 책동에 대해 "천황이나 동궁에게 가까이 해서는 안 되는 일족"이라고 평가하고 있다.2. 5. 후기 생애
장남이 요절했기 때문에 적자로 자랐다. 세이랴쿠 6년(995년) 정월에 종5위 상에 서임되었고, 아버지 미치카네는 같은 해 4월에 관백에 취임했지만, 재임 기간이 2주도 채 되지 않아 급사했다. 그 후 권력은 숙부 미치나가에게 넘어갔다. 같은 미치나가를 숙부로 둔 사촌 다카치카, 다카이에 형제는 이에 반항했지만, 가네타카는 그런 움직임을 보이지 않았고, 이후 미치나가의 측근으로서의 길을 걸었다.조와 2년(1013년) 8월, 마굿간 사람(말을 돌보는 종자)을 쳐 죽이는 사건을 일으켰다.[1] 조와 3년(1014년) 정월에는 후지와라노 사네스케의 하녀와 우물 사용 문제로 다투다가, 자신의 하녀가 맞아 옷을 빼앗기자 종자들에게 사네스케 하녀의 집을 약탈하고 파괴하라고 명했다. 그러나 분쟁의 원인이었던 우물이 속한 토지의 소유권이 가네타카가 아닌 사네스케에게 있다는 것이 밝혀지자, 가네타카는 태도를 바꾸어 자신의 하녀가 입은 피해는 묻고 사네스케의 하녀에게 입힌 피해는 모두 보상하겠다는 내용의 서신을 사네스케에게 보냈다.[2]
칸닌 원년(1017년), 아쓰아키라 친왕이 황태자를 사임했는데, 가네타카가 아쓰아키라 친왕을 속인 결과라는 소문이 있었다.[3] 《다이카가미》는 미치카네·가네타카 부자가 2대에 걸쳐 퇴위 책동을 벌인 것에 대해 "천황·동궁에게 가까이 해서는 안 되는 일족"이라고 평했다. 칸닌 3년(1019년) 곤츄나곤, 치안 3년(1023년) 츄나곤으로 승진하여, 치안 4년(1024년) 정2위에 이르렀다.
조겐 8년(1035년)에 츄나곤을 사임하고, 칸토쿠 3년(1046년)에 출가했다. 텐키 원년(1053년) 10월에 사망하였다. 향년 69세.
3. 관력
역임 연도 | 관직 |
---|---|
쇼랴쿠 6년(995년) | 종5위상 (직서) |
초토쿠 2년(996년) | 정5위하 (임시) |
아와 곤노카미 | |
킨지키 | |
우효에노사 | |
초토쿠 3년(997년) | 사콘노쇼쇼 |
초토쿠 4년(998년) | 이요 곤노스케 |
조호 원년(1000년) | 종4위하 (쇼쇼로), 승전 여전 |
조호 3년(1001년) | 효부다이후 (이몽상 사쇼쇼 소임 다이후) |
종4위상 (토산조인 어하) | |
조호 4년(1002년) | 우콘에노츄조 (나리후사 출가 대), 종3위 (토산조인 어골 하지상. 월계) |
조호 6년(1004년) | 겸 오미 곤노카미 |
간코 5년(1008년) | 산기, 우츄조 여전 |
간코 6년(1009년) | 빗츄노카미 |
간코 8년(1011년) | 이요노카미 |
조와 2년(1013년) | 정3위 |
조와 4년(1015년) | 겸 이요 곤노카미 |
종2위 (조영행사상) | |
조와 5년(1016년) | 사 우콘에노츄조 (카네츠나 신임 사콘에노츄조[4]) |
칸닌 3년(1019년) | 곤츄나곤 |
칸닌 5년(1021년) | 겸 사에몬노카미 |
치안 3년(1023년) | 츄나곤, 사에몬노카미 여전 |
만주 원년(1024년) | 정2위 (후지와라노 요리미치 양, 보관상) |
조겐 2년(1029년) | 사 에몬노카미 |
조겐 8년(1035년) | 사 츄나곤 (후지와라노 카네후사 신임 빗츄노카미) |
정임 | |
칸토쿠 3년(1046년) | 출가 (전 츄나곤 정2위) |
텐키 원년(1053년) | 훙거 |
4.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
아버지 | 후지와라노 미치카네 |
어머니 | 후지와라노 엔료의 딸 |
정실 | 미나모토노 스케요시의 딸 |
첩 | 후지와라노 겐시 (후지와라노 노리타카와 무라사키 시키부의 딸, 이후 다카시나노 나리아키의 부인) |
장남 | 후지와라노 카네후사 (1001년-1069년) |
차남 | 후지와라노 사다후사 (1020년-1095년) |
삼남 | 엔이 |
사남 | 교젠 |
장녀 | 미나모토노 요시무네의 부인 - 미나모토노 지후사의 어머니 |
생모 불명 장남 | 칸엔 |
생모 불명 차남 | 쿄조 |
생모 불명 장녀 | 아츠히라 친왕 비[3] |
생모 불명 차녀 | [3] |
생모 불명 삼녀 | [3] |
참조
[1]
서적
小右記
1013-09-17 # 장화 2년 8월 10일 (추정)
[2]
서적
小右記
1014-03-01 # 장화 3년 정월 28일 (추정)
[3]
서적
대경
[4]
서적
小右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