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후쿠오카현 제9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쿠오카현 제9구는 기타큐슈시의 와카마쓰구, 도바타구, 야하타히가시구, 야하타니시구를 관할하는 일본 중의원 선거구이다. 1994년 공직선거법 개정 이후 구역이 유지되었으며, 지역은 과거 제철업으로 번성했던 지쿠젠국에 속한다. 역대 선출 의원으로는 기타하시 겐지, 미하라 아사히코, 오가타 린타로 등이 있으며, 최근 선거에서는 오가타 린타로와 미하라 아사히코 간의 경쟁이 두드러진다. 2024년 제50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오가타 린타로가 무소속으로 당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쿠오카현의 선거구 - 후쿠오카현 제8구
    후쿠오카현 제8구는 노가타시, 이즈카시 등을 포함하는 지역구로 과거 탄광 지대였으며, 자유민주당의 아소 다로가 1996년부터 10회 연속 당선되어 보수 왕국으로 자리잡았다.
  • 후쿠오카현의 선거구 - 후쿠오카현 제6구
    후쿠오카현 제6구는 구루메시, 오카와시, 오고리시, 우키하시, 미이군, 미즈마군을 포함하는 후쿠오카현의 중의원 선거구이며, 과거 자민당 강세 지역이었으나 소선거구제 도입 이후 다양한 정당의 후보가 당선되었고, 하토야마 지로가 2017년, 2021년, 2024년 총선거에서 당선되었다.
  • 일본 중의원 선거구 - 에히메현 제2구
    에히메현 제2구는 일본 에히메현의 중의원 선거구로, 마쓰야마시 일부, 이마바리시, 도온시, 오치군, 이요군을 포함하며 과거 자유민주당 텃밭이었으나 2024년 총선에서 입헌민주당이 승리하며 변화를 겪었고, 무라카미 세이이치로 의원이 장기간 당선되었던 지역이다.
  • 일본 중의원 선거구 - 에히메현 제3구
    에히메현 제3구는 일본 에히메현의 중의원 선거구로, 과거에는 에히메현 동부 지역을 관할했으나 선거구 개정 이후 관할 지역이 크게 변경되었고, 정당 간 경쟁이 치열한 지역이다.
후쿠오카현 제9구
개요
후쿠오카현 제9구
후쿠오카현 제9구
선거구 정보
소속 현후쿠오카현
구역지쿠시노시
오고리시
나카가와시
가스야군
최근 선거 결과 (2021년)
당선자미야자키 다카시 (자유민주당)
득표율48.18%
역대 국회의원
초대가와무라 요시유키 (1996년)
2대기시이 마사오 (2000년)
3대오가와 요시히데 (2003년)
4대기시이 마사오 (2005년)
5대오가와 요시히데 (2009년)
6대미야자키 세이지 (2012년)
7대오가와 요시히데 (2014년)
8대미야자키 세이지 (2017년)
9대미야자키 다카시 (2021년)

2. 지역

후쿠오카현 제9구는 기타큐슈시의 일부 구, 즉 와카마쓰구, 도바타구, 야하타히가시구, 야하타니시구를 포함한다. 1994년 공직선거법 개정 이후에도 이 구역은 유지되고 있다.[1][2]

와카마쓰구는 기타큐슈시 7개 구 중 하나이며, 도카이 대학 기타큐슈 캠퍼스가 위치한다.

도바타구 역시 기타큐슈시를 구성하는 구 중 하나로, 2023년 11월 기준 인구는 약 5만 2천 명이다. 야하타히가시구, 고쿠라키타구, 와카마쓰구와 접하며, 주요 시설로는 규슈 공업대학, 기타큐슈시립 미술관, 도바타역 등이 있다.

야하타히가시구는 기타큐슈시의 최남단에 위치한 구로, 후쿠오카현 제9구에 속한다.

야하타니시구는 기타큐슈시의 7개 행정구 중 하나이며, 구의회는 27명의 의원으로 구성된다. 주요 지역은 구로사키, 오리오, 진자이, 시모야마다이다. 교통망으로는 JR 규슈 가고시마 본선, 지쿠호 전기 철도 철도선, 니시테쓰 버스 기타큐슈, 국도 3호선, 국도 200호선, 기타큐슈 고속도로 1호선 및 5호선이 있다. 주요 시설로는 구로사키의 산업 시설, 오리오의 상업 시설, 그리고 진자이와 시모야마다의 주택 지역이 있다.

2. 1. 기타큐슈시

후쿠오카현 제9구는 기타큐슈시 내 다음과 같은 구를 관할한다.

1994년 공직선거법 개정 이후에도 관할 구역은 동일하다.[1][2]

2. 1. 1. 와카마쓰구

와카마쓰구는 기타큐슈시의 7개 구 중 하나이다. 도카이 대학 기타큐슈 캠퍼스가 위치해 있다.

2. 1. 2. 도바타구

도바타구는 기타큐슈 시를 구성하는 7개의 구 중 하나다. 인구는 2023년 11월 기준으로 약 5만 2천 명이다. 도바타구는 야하타히가시구, 고쿠라키타구, 와카마쓰구와 접해 있다. 주요 시설로는 규슈 공업대학, 기타큐슈시립 미술관, 도바타역 등이 있다.

2. 1. 3. 야하타히가시구

야하타히가시구는 기타큐슈시를 구성하는 7개의 구 중 하나이다. 기타큐슈시의 최남단에 위치하며, 후쿠오카현 제9구에 속한다.

2. 1. 4. 야하타니시구

야하타니시구(八幡西区)는 기타큐슈시를 구성하는 7개의 행정구 중 하나이다. 구의회는 27명의 의원으로 구성된다.

주요 지역으로는 구로사키, 오리오, 진자이, 시모야마다가 있다.

교통은 다음과 같다.

  • 철도: JR 규슈 가고시마 본선, 지쿠호 전기 철도 철도선
  • 버스: 니시테쓰 버스 기타큐슈
  • 도로: 국도 3호선, 국도 200호선, 기타큐슈 고속도로 1호선, 5호선


주요 시설로는 다음과 같다.

  • 산업시설: 구로사키
  • 상업시설: 오리오
  • 주택지역: 진자이, 시모야마다

3. 역사

후쿠오카현 제9구는 기타큐슈시 서부의 히가시온가(과거 온가군 지역)에 해당하는 4개의 행정구로 구성되어 있다. 이 지역은 대체로 지쿠젠국에 속하며, 특히 야하타 방면은 제철업으로 번성하여 일본제철 등의 노조 세력이 강한 곳이다.[3] 과거에는 도바타구와 와카마츠구에서 공명당공산당 간의 치열한 득표 경쟁이 있었으나, 최근에는 그 세력이 약화되었다.[3]

중선거구 시절의 구 후쿠오카 2구에서는 기타하켄지가 지속적으로 당선되었지만, 2003년경부터 자민당의 미하라 아사히코가 공명당과의 선거 협력을 강화하면서 미하라의 득표수가 증가했다.[4] 2005년 제44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기타하는 미하라에게 패배하여 비례대표로 부활했고, 2007년 기타큐슈 시장 선거에 출마하기 위해 정계를 떠났다.

소선거구제 도입 이후, 2009년 제45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민주당 신인 오가타 린타로가 미하라를 꺾고 처음 당선되었지만, 2012년 제46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미하라가 오가타를 꺾고 재선에 성공했다. 이후 제47회, 제48회에서도 미하라가 당선되었으나, 2021년 제49회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한 오가타가 12년 만에 미하라를 꺾고 당선되었다. 미하라는 자민당의 73세 정년 규정으로 비례대표 출마가 불가능했다.[5]

2024년 제50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자유민주당 소속의 오야 토시시 참의원 의원이 출마를 고려했으나, 공천을 받지 못해 출마를 포기했다. 결국 무소속으로 출마한 오가타가 자유민주당의 전 기타큐슈 시의원인 미하라 아사토시(미하라 아사히코의 조카) 등을 꺾고 4선에 성공하며 건재함을 과시했다. 최근 선거는 오가타 린타로와 미하라 아사히코 간의 경쟁 구도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3. 1. 초기 역사

기타큐슈시 서부 (옛 온가군 지역인 히가시온가에 해당)의 4개 행정구로 구성되어 있다. 이 지역은 대체로 지쿠젠국에 속하며, 특히 야하타는 제철업으로 번성하여 일본제철 등의 노조 세력이 강하다[3]. 과거에는 공명당공산당도바타구와 와카마츠구에서 치열하게 경쟁하며 득표수를 늘렸으나, 최근에는 그 영향력이 감소하고 있다[3].

중선거구 시절 구 후쿠오카 2구에서는 기타하켄지가 계속 당선되었으나, 2003년경부터 자민당의 미하라 아사히코가 공명당과의 선거 협력을 강화하면서 미하라의 득표수가 증가했다[4]. 2005년 제44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기타하는 미하라에게 패배하여 비례대표로 부활했고, 2007년 기타큐슈 시장 선거에 출마하기 위해 정계를 은퇴했다.

2009년 제45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민주당 신인 오가타 린타로가 미하라를 꺾고 당선되었으나, 2012년 제46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미하라가 오가타를 누르고 재선에 성공했다. 이후 제47회와 제48회에서도 미하라가 당선되었지만, 2021년 제49회에서는 무소속으로 출마한 오가타가 12년 만에 미하라를 꺾고 당선되었다. 미하라는 자민당의 73세 정년 규정으로 인해 비례대표로 출마하지 못했다[5].

2024년 제50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자유민주당의 오야 토시시 참의원 의원이 출마를 검토했으나 공천을 받지 못해 출마를 포기했다. 무소속으로 출마한 오가타가 자유민주당 소속의 전 기타큐슈 시의원인 미하라 아사토시(미하라 아사히코의 조카) 등을 꺾고 4선에 성공했다.

3. 2. 중선거구 시대

기타큐슈시 서부의 "히가시온가"(종전의 온가군 내였던 지역)에 대략 해당하는 4개의 행정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타큐슈시 중 대체로 지쿠젠국에 속하는 지역이다. 특히, 야하타 방면은 제철업으로 번성하여, 일본제철 등의 노조 세력이 강한 선거구라고 할 수 있다. 과거에는 선거 활동이 활발하여, 특히 도바타구와 와카마츠구에서는 공명당공산당이 격렬한 다툼을 벌여 득표수를 늘려왔지만, 최근에는 쇠퇴하고 있다[3].

중선거구의 구 후쿠오카 2구 시대부터 기타하켄지가 당선을 계속해 왔지만, 2003년경부터 자민당의 미하라 아사히코가 공명당과의 선거 협력을 강화한 이후, 미하라가 득표수를 늘려왔다[4]. 2005년의 제44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기타하는 미하라에게 패배하여 비례 부활에 머물렀고, 이듬해인 2007년의 기타큐슈 시장 선거에 출마하기 위해 중앙 정계를 떠났다.

2009년의 제45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민주당 신인 오가타 린타로가 미하라의 부활 당선을 허용하지 않고 첫 당선을 이뤘지만, 2012년의 제46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는 반대로 미하라가 오가타의 부활 당선을 허용하지 않고 재기했다. 그 이후로는 제47회, 제48회에서 미하라가 당선을 계속했지만, 2021년의 제49회에서는 무소속으로 출마한 오가타가 미하라를 12년 만에 꺾었다. 미하라는 당의 73세 비례 정년제 때문에 중복 입후보하지 않아 의석을 잃었다[5].

2024년의 제50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자유민주당 소속의 오야 토시시 참의원 의원이 출마를 검토했지만, 공천을 받지 못해 공시 직전에 입후보를 포기했다. 무소속으로 출마한 오가타가 자유민주당의 전 기타큐슈 시의원인 미하라 아사토시(아사히코의 조카) 등을 꺾고 4선을 달성했다.

3. 3. 소선거구제 도입 이후

소선거구제 도입 후, 기타큐슈시 서부의 히가시온가 지역을 중심으로 선거가 진행되었다. 이 지역은 과거 지쿠젠국에 속했으며, 특히 야하타 지역은 제철업의 번성으로 일본제철 등의 노조 세력이 강세를 보였다.[3] 과거 도바타구와 와카마츠구에서는 공명당과 일본공산당이 치열한 득표 경쟁을 벌였으나, 최근에는 그 영향력이 감소하고 있다.[3]

구 후쿠오카 2구 중선거구 시대부터 기타하켄지가 꾸준히 당선되었으나, 2003년경부터 자민당의 미하라 아사히코가 공명당과의 선거 협력을 강화하며 득표수를 늘렸다.[4] 2005년 제44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기타하는 미하라에게 패배하여 비례대표로 부활했고, 2007년 기타큐슈 시장 선거 출마를 위해 정계를 은퇴했다.

2009년 제45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민주당 신인 오가타 린타로가 미하라를 꺾고 당선되었지만, 2012년 제46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미하라가 오가타를 누르고 재선에 성공했다. 이후 제47회, 제48회에서도 미하라가 당선되었으나, 2021년 제49회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한 오가타가 12년 만에 미하라를 꺾고 당선되었다. 미하라는 자민당의 73세 정년 규정으로 인해 비례대표로 출마하지 못했다.[5]

2024년 제50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자유민주당 소속의 오야 토시시 참의원 의원이 출마를 검토했으나 공천을 받지 못해 출마를 포기했다. 결국 무소속으로 출마한 오가타가 자유민주당의 전 기타큐슈 시의원인 미하라 아사토시(미하라 아사히코의 조카) 등을 꺾고 4선에 성공했다.

3. 4. 최근 선거 동향

최근 선거에서는 오가타 린타로와 미하라 아사히코 간의 경쟁이 두드러졌다. 이들의 경쟁 구도 및 선거 결과는 지역 정치의 중요한 지표로 여겨진다.

4. 역대 선출 의원

후쿠오카현 제9구의 역대 선출 의원은 다음과 같다. 1996년 제41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기타하시 겐지가 신진당 소속으로 처음 당선되었다. 그는 이후 민주당으로 당적을 옮겨 2000년과 2003년 총선에서도 당선되었다.

2005년 제44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미하라 아사히코가 자유민주당 소속으로 당선되었으며, 2009년 제45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오가타 린타로가 민주당 소속으로 당선되었다.

미하라 아사히코는 2012년 제46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다시 당선된 이후 2014년과 2017년 총선에서도 연이어 당선되며, 자유민주당 소속으로 오랫동안 의석을 유지했다.

최근 선거에서는 오가타 린타로가 무소속으로 2021년 제49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와 2024년 제50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당선되었다. 이는 지역 정치 지형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왔음을 시사한다. 한편, 미하라 아사히코의 조카인 미하라 아사토시 또한 최근 선거에 자유민주당 소속으로 출마한 바 있다.

선거명당선자정당
제41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1996년기타하타 겐지신진당
제42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0년민주당
제43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3년
제44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5년미하라 아사히코자유민주당
제45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9년오가타 린타로민주당
제46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2년미하라 아사히코자유민주당
제47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4년
제48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7년
제49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2021년오가타 린타로무소속
제50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2024년



4. 1. 주요 인물


  • 기타하시 겐지: 1996년부터 2005년까지 신진당, 민주당 소속으로 활동했다.
  • 오가타 린타로: 2009년부터 2012년까지 민주당 소속으로 활동했으며, 2021년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무소속으로 당선되었다. 2024년에도 무소속으로 당선되었다.
  • 미하라 아사히코: 2005년부터 2009년, 그리고 2012년부터 현재까지 자유민주당 소속으로 활동하고 있다.

4. 1. 1. 기타하시 겐지

기타하시 겐지(北橋健治)는 민주당계 정치인으로, 후쿠오카현 제9구에서 오랫동안 활동했다. 그는 1996년 제41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신진당 소속으로 당선되었으며, 2000년 제42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와 2003년 제43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민주당 소속으로 당선되었다.

그의 뒤를 이어 2009년 제45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같은 민주당 소속의 오가타 린타로가 당선되었다.

4. 1. 2. 오가타 린타로

오가타 린타로는 민주당 출신으로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2009년 제45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후쿠오카현 제9구에서 민주당 후보로 당선되었다. 이후 당적을 변경, 무소속으로 활동했다.

최근 선거에서 오가타 린타로는 무소속으로 2021년에 실시된 제49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당선되었고, 2024년 제50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에서도 당선되며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그는 지역 정치 상황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4. 1. 3. 미하라 아사히코

미하라 아사히코는 자유민주당 소속의 정치인이다. 2005년 제44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당선되었으며, 2012년 제46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와 2014년 제47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2017년 제48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연이어 당선되었다. 그는 보수 진영의 대표적인 인물로, 공명당과의 협력을 통해 오랫동안 의석을 유지했다.

4. 1. 4. 미하라 아사토시

미하라 아사토시는 최근 선거에 출마한 자유민주당 정치인이다. 그의 삼촌은 미하라 아사히코이다. 1996년부터 2024년까지의 후쿠오카현 제9구의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거명당선자정당
제41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1996년기타하타 겐지신진당
제42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0년민주당
제43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3년
제44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5년미하라 아사히코자유민주당
제45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9년오가타 린타로민주당
제46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2년미하라 아사히코자유민주당
제47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4년
제48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7년
제49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2021년오가타 린타로무소속
제50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2024년


5. 역대 선거 결과

후쿠오카현 제9구의 역대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41회 총선에서는 신진당의 기타하 시게지가 당선되었고, 신당 사키가케의 미하라 아사히코가 그 뒤를 이었다. 일본공산당의 오자와 카즈아키도 출마했다.

2003년 11월 9일에 실시된 제43회 총선에서는 자유민주당의 미하라 아사히코가 97,977표를 얻어 당선되었고, 민주당의 오가와 준야는 77,422표를 얻었으나 낙선했다. 사회민주당의 다카야마 기요시는 10,554표를 얻었다.

2014년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자유민주당의 오가와 요시히데가 민주당의 다무라 마로를 누르고 처음으로 당선되었다. 생활당의 가미야 히로유키도 출마했지만 낙선했다.

2021년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오가타 린타로가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그는 자유민주당의 미야자키 마코토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는데, 이는 지역 정치 지형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온 사건으로 평가받는다. 오가타 린타로의 당선은 특정 정당에 대한 맹목적인 지지보다는 정책과 인물에 대한 유권자들의 신중한 선택이 작용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다가오는 제50회 총선에서는 자유민주당의 미야자키 마사히사가 지역 기반을 다져왔으나, 제49회 총선에서는 입헌민주당의 야마우치 바쿠에게 석패율로 겨우 생환했다. 제50회 총선에서는 야마우치 바쿠가 지역구를 수성할 수 있을지, 아니면 미야자키 마사히사가 설욕에 성공할지가 주목된다. 또한, 일본유신회의 후보가 어느 정도의 표를 얻을 수 있을지도 관심사이다.

다음은 각 선거별 상세 결과이다.

{{선거 결과 (중의원 소선거구)

|선거 회 = 50|유권자 =370265 |투표율 =49.80 |이전 대비 =1.15

||오가타 린타로|51|무소속|전|102885||

||미하라 토시토시|46|무소속|신|50252|공명당 추천|

||야마다 히로토시|62|일본공산당|신|13662||

||야마모토 나오미|60|참정당|신|12740||

}}

{{선거 결과 (중의원 소선거구)

|선거 회 = 49|유권자 =380277 |투표율 =50.95 |이전 대비 =1.5

||오가타 린타로|48|무소속|전|91591||

||미하라 아사히코|74|자유민주당|전|76481|공명당 추천|

||마지마 쇼조|58|일본공산당|원|22273||○

}}

{{선거 결과 (중의원 소선거구)

|선거 회 = 48|유권자 =389715 |투표율 =52.45 |이전 대비 =3.04

||미하라 아사히코 |70 |자유민주당|전 |91329 |공명당 |○

||오가타 린타로 |44 |희망의 당 |전 |78833 ||○

||마지마 쇼조 |54 |일본공산당 |전 |29635 ||○

}}

{{선거 결과 (중의원 소선거구)

|선거 회 = 47|유권자 = 387163|투표율 = 49.41|이전 대비 = 6.23

||미하라 아사히코|67|자유민주당|전|87892|공명당|○

|비당|오가타 린타로|41|민주당|원|71871||○

|비당|마지마 쇼조|51|일본공산당|신|26443||○

}}

{{선거 결과 (중의원 소선거구)

|선거 회 = 46|유권자 = |투표율 = 55.64|이전 대비 =

||미하라 아사히코|65|자유민주당|원|97419||○

||오가타 린타로|39|민주당|전|62186||○

||아라키 마나부|47|일본유신회|신|30093||○

||마지마 쇼조|49|일본공산당|신|22109||○

}}

{{선거 결과 (중의원 소선거구)

|선거 회 = 45|유권자 = |투표율 = |이전 대비 =

||오가타 린타로|36|민주당|신|122815||○

||미하라 아사히코|62|자유민주당|전|109807||○

||아오키 노부야스|67|일본공산당|신|22382||

||야노 토모코|38|행복실현당|신|2815||

}}

{{선거 결과 (중의원 소선거구)

|선거 회 = 44|유권자 = |투표율 = |이전 대비 =

||미하라 아사히코|58|자유민주당|전|121465||○

|비당|기타하 시게지|52|민주당|전|106738||○

||마지마 쇼조|42|일본공산당|신|26791||

}}

{{선거 결과 (중의원 소선거구)

|선거 회 = 43|유권자 = |투표율 = |이전 대비 =

||기타하 시게지|50|민주당|전|102581||○

|비당|미하라 아사히코|56|자유민주당|원|99091||○

||이노우에 신고|27|일본공산당|신|25354||

}}

{{선거 결과 (중의원 소선거구)

|선거 회 = 42|유권자 = |투표율 = |이전 대비 =

||기타하 시게지|47|민주당|전|102016||○

||미하라 아사히코|53|자유민주당|원|81809||○

|비당|오자와 카즈아키|68|일본공산당|원|44462||○

||와타나베 노부유키|36|자유 연합|신|5977||○

}}

{{선거 결과 (중의원 소선거구)

|선거 회 = 41|유권자 = |투표율 = |이전 대비 =

||기타하 시게지|43|신진당|전|91757||

||미하라 아사히코|49|신당 사키가케|전|76974|자유민주당 추천|○

||오자와 카즈아키|65|일본공산당|원|46656||○

}}


  • 아라키는 그 후 2013년 기타큐슈 시의회 의원 선거에 야하타니시구에서 입후보하여 당선되었지만, 2017년 낙선.
  • 기타하는 2007년에 기타큐슈 시장 선거에 입후보하여 당선.
  • 마지마는 2007년에 후쿠오카 현 의원 선거(야하타니시구)에 입후보하여 당선. 1기를 역임한 후, 2012년 총선거에 재도전.
  • 이노우에는 2005년에 기타큐슈 시의회 의원 선거(야하타 지구)에 입후보하여 당선.

5. 1. 제41회 총선 (1996년)

해당 정보가 없습니다.

5. 2. 제42회 총선 (2000년)

해당 정보가 없습니다.

5. 3. 제43회 총선 (2003년)

제43회 총선은 2003년 11월 9일에 실시되었다. 이 선거에서 자유민주당의 미하라 아사히코가 97,977표를 얻어 당선되었고, 민주당의 오가와 준야는 77,422표를 얻었으나 낙선했다. 사민당의 다카야마 기요시는 10,554표를 얻었다.

5. 4. 제44회 총선 (2005년)

해당 정보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필요한 정보(summary, source)를 제공해주세요.

5. 5. 제45회 총선 (2009년)

해당 정보가 없습니다.

5. 6. 제46회 총선 (2012년)

해당 정보가 없습니다.

5. 7. 제47회 총선 (2014년)

2014년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오가와 요시히데가 자유민주당 공천을 받아 출마하여, 민주당의 다무라 마로를 누르고 처음으로 당선되었다. 생활당의 가미야 히로유키도 출마했지만 낙선했다.

5. 8. 제48회 총선 (2017년)

해당 정보가 없습니다.

5. 9. 제49회 총선 (2021년)

오가타 린타로는 2021년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후쿠오카현 제9구에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그는 자유민주당의 미야자키 마코토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는데, 이는 지역 정치 지형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온 사건으로 평가받는다. 오가타 린타로의 당선은 특정 정당에 대한 맹목적인 지지보다는 정책과 인물에 대한 유권자들의 신중한 선택이 작용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5. 10. 제50회 총선 (2024년)

해당 선거구는 자유민주당의 미야자키 마사히사가 지역 기반을 다져왔으나, 제49회 총선에서는 입헌민주당의 야마우치 바쿠에게 석패율로 겨우 생환했다. 제50회 총선에서는 야마우치 바쿠가 지역구를 수성할 수 있을지, 아니면 미야자키 마사히사가 설욕에 성공할지가 주목된다. 또한, 일본유신회의 후보가 어느 정도의 표를 얻을 수 있을지도 관심사이다.

참조

[1] 웹사이트 衆議院トップページ >立法情報 >制定法律情報 >第131回国会 制定法律の一覧 >法律第百四号(平六・一一・二五) https://www.shugiin.[...] 衆議院 2021-10-03
[2] 웹사이트 福岡県 https://www.soumu.go[...] 総務省 2023-01-10
[3] 뉴스 戸畑区は無投票か、住民懸念 新人立候補の動き見えず 北九州市議選 2020-11-28
[4] 웹사이트 【対決の構図・'17衆院選ふくおか】9区 自、希、共の3前職激突 https://www.nishinip[...] 西日本新聞 2024-01-01
[5] 문서 福岡県第10区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