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후타나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타나리는 고대 일본에서 제3성을 의미하는 단어로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는 양성의 성기를 모두 가진 존재를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된다. 헤이안 시대의 그림 두루마리에서 유래되었으며, 일본 민간 신앙과 성적 특징에 대한 다양한 환상과 관련되어 발전했다.

현대에는 성인 만화, 게임, 비디오 등에서 성적인 대상으로 묘사되며, 반음양, 양성구유 등의 완곡한 표현으로 사용된다. 현실에서는 선천적인 반음양을 의미하며, 창작물과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성인 미디어에서는 뉴하프나 특수 분장을 통해 후타나리를 묘사하는 경우가 많으며, 레즈비언물과 유사한 형태로 일정한 수요를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간성 - 간성 (성)
    간성(성)은 성별 구분에 들어맞지 않는 신체로 태어난 사람들을 포괄하는 용어이며, 성 발달 이상으로 분류되고, 인권 및 법적 문제와 관련되어 LGBT 커뮤니티와 연관되기도 한다.
  • 모에 속성 - 얀데레
    얀데레는 특정 인물에 대한 강한 집착, 질투심, 불안정한 정서를 보이며 때로는 폭력적인 성향을 보이는 캐릭터 유형으로, 일본 애니메이션 등에서 흔히 나타나는 클리셰이며 극단적인 경우 범죄 행위로 묘사되기도 한다.
  • 모에 속성 - 전파계
    전파계는 원래 머릿속에서 전파로 전달되는 목소리나 지시를 느낀다고 호소하는 사람을 지칭하는 용어였으며, 조현병 환자에게서 주로 나타났고, 현재는 사회 상식에 맞지 않는 행동을 하는 사람을 넓게 지칭하며 서브컬처 매체에서 자주 사용된다.
  • 포르노그래피 - 딥페이크 포르노그래피
    딥페이크 포르노그래피는 딥 러닝 기술로 인물의 얼굴이나 신체를 합성한 음란물로, 동의 없는 제작 및 유포는 초상권 침해, 명예훼손 등 심각한 인권 침해를 야기하여 법적 규제와 기술적 대응이 요구되는 사회적 문제이다.
  • 포르노그래피 - 포르노 배우
    포르노 배우는 성인물 제작에 출연하는 배우를 의미하며, 남성과 여성으로 나뉘어 성적 판타지를 충족시키고, 출연료는 출연 행위, 경력, 인기도에 따라 다르며, 성병 감염 위험과 사회적 차별을 겪기도 한다.
후타나리
개요
후타나리의 예
후타나리의 예. 오른쪽은 고환을 가진 (옥구슬 있는) 반면, 왼쪽은 없다 (옥구슬 없음). 양쪽 캐릭터 모두 유방, 남성기, 여성기를 가지고 있다.
다른 이름이형 (二形)
쌍형 (双形)
이성 (二成)
쌍성 (双成)
정의주로 픽션에서 양성 자웅동체 또는 그와 유사한 특징을 가진 캐릭터 또는 장르를 지칭함
장르적 특징
특징남녀의 성기를 모두 가진 캐릭터가 등장하는 성인물
변형남성기가 없는 경우 (여성 동성애적 묘사가 강조됨)
여성기가 없는 경우 (남성 동성애적 묘사가 강조됨)
성기가 없는 경우 (무성적인 묘사)
묘사성전환, TS
자웅동체
키메라
인공적인 수술 또는 약물
돌연변이
마법
신의 장난 등
역사 및 용어
어원일본어 'ふたなり' (후타나리, '두 가지 형태' 또는 '두 가지 모습'을 의미)
기원에도 시대의 음양석 또는 남근석과 여성기가 결합된 형태의 조형물
일본 신화의 양성 신 이자나기와 이자나미의 영향
용어의 사용1980년대부터 에로게 및 성인 만화에서 사용되기 시작함
1990년대 후반 인터넷 보급과 함께 대중적으로 확산됨
관련 용어
관련 장르TS (Transsexual)
자웅동체
성전환
젠더리스
오해실제 간성인과는 관련이 없음
주의 사항
면책 조항이 문서에는 성적인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열람 시 주의가 필요함

2. 역사적 기원

일본에서는 예로부터 반음양과 같이 두 가지로 명확히 분류하기 어려운 제3의 성을 가리키는 개념으로 "후타나리"라는 단어를 사용해 왔다. 단어의 가장 인정받는 어원은 헤이안 시대가마쿠라 시대 사이에 그려진 그림 두루마리인 『병초지(야마이노소우시)』에서 유래한다.[3] 이 그림에는 남성과 여성의 생식기 특징을 모두 가진 인물이 묘사되어 있으며, "그들이 남성적이고 여성적인 뿌리를 모두 가지고 있음을 보게 될 것이다. 진실로 그들은 두 형태/종류/측면(후타나리)이다."라는 구절에서 '후타나리'라는 단어가 사용되었다.[3] 『병초지』에는 "두 개의 형상(후타나리)의 남자"라는 제목으로 남성 점술가가 반음양이었다는 이야기도 실려 있다. 여기서 반음양은 양쪽 성기를 모두 가진 존재를 의미하며, 좁은 의미로는 난소를 가지면서 외부 성기는 남성 형태인 여성 반음양을 가리킨다.

『병초지』「두 개의 형상을 가진 남자」(국보, 교토국립박물관 소장)


'후타나리'와 아리와라노 나리히라를 합친 '후타나리히라(ふたなりひら)'라는 단어도 있는데, 이는 반음양이라는 의미 외에 여성처럼 아름다운 남자를 가리키는 말로도 쓰였다.

시메나와(shimenawa)가 있는 돌, 나가노현 가루이자와 근처에서 발견된 ''''을 나타냄


일본의 민간 신앙은 성적 특징과 관련된 다양한 상상을 낳았다. 수백 년 전의 전통 가요 중에는 성별 전환이 가능했음을 시사하는 내용이 있으며,[2][6] 때로는 성별이 모호한 남성도 여성도 아닌 신, 예를 들어 道祖神|도소진일본어을 숭배하는 모습도 나타난다. 일부 연구자는 이러한 관념의 기원이 신들이 반드시 고정된 성별을 가질 필요가 없는 불교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고 보기도 한다.[1][7]

또한 일부 사람들은 달의 위상에 따라 성별을 바꿀 수 있다고 믿었으며, 이러한 존재를 半月|한게츠일본어라고 불렀다.[2][8] 다른 문화와 마찬가지로, 남녀 구분을 어렵게 만드는 전통적인 일본 의상 역시 이러한 인식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2][8] 여성의 특정 구역 출입을 제한하거나 허리춤에 물건을 숨겨 밀반입하는 것을 막기 위해 신체 검사를 하는 검문소가 있었는데, 당시 기록에 따르면 경비원들이 이와 관련하여 농담을 즐겼고 이것이 다양한 이야기나 시로 만들어지기도 했다.[2][8] 음핵 비대증이나 비정상적인 신체 발달 같은 해부학적 이상이 이러한 믿음이나 이야기에 영향을 주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2][8]

1357년경 존 맨더빌의 저서 『동방견문록』에는 에티오피아의 외다리족, 귀가 긴 족 등과 함께 "후타나리족"이 언급되기도 한다.[5]

1644년경에는 가부키에서 여성 역할을 맡는 남자 배우인 온나가타에게 남성 헤어스타일을 강요했는데, 여성 무사 같은 역할을 맡은 배우들이 사무라이 사회와 평민 사회 모두에 퍼져 있던 후타나리적 특징에 대한 관심을 활용하기도 했다.[1][9]

3. 현대적 의미와 사용

원래 일본어에서는 남성적, 여성적 특징을 모두 가진 캐릭터나 실존 인물을 "후타나리"라고 불렀으나, 1990년대 들어 애니메이션만화에서 관련 캐릭터가 인기를 얻으면서 의미가 변화하였다. 오늘날 이 용어는 주로 양성의 성기를 모두 가진 허구의 여성 캐릭터를 지칭하며, 이러한 캐릭터가 등장하는 헨타이 관련 매체(성인 애니메이션 또는 만화)의 특정 장르를 가리키는 말로도 쓰인다.

현대 일본에서는 주로 성적인 대상으로 반음양자를 다룬 성인 만화, 성인 게임, 성인 비디오(AV) 등에서 '후타나리'라는 표현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는 실제 의학적 반음양(半陰陽)이나 양성구유(兩性具有)를 직접 지칭하기보다는 완곡하게 표현하거나, 등장인물의 특성 또는 해당 장르 자체를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미사쿠라 난코츠와 같이 후타나리 묘사를 전문으로 하는 만화가나 일러스트레이터도 있으며, 일부에서는 모에 캐릭터 속성이나 페티시즘의 대상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관능 소설 분야에서는 상대적으로 적지만 유우키 에이이치의 『음요전』이나 야마아이 시키코의 『알렉산드라이트』 등 관련 묘사를 다룬 작품이 존재한다.

두 종류의 후타나리 캐릭터 예시: 음낭이 있는 쪽(오른쪽)과 음낭이 없는 쪽(왼쪽), 둘 다 유방, 페니스, 그리고 외음부를 가지고 있다.


만화게임 등 창작물에서는 의학적인 실제 반음양과는 거리가 멀게, 남성기와 여성기가 모두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완전한 양성구유로 그려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캐릭터의 신체적 기반이나 외모, 성격은 여성인 경우가 많으며, 성기의 구체적인 형태(예: 고환 유무)는 작가마다 다양하게 표현된다. 작품 내에서 캐릭터가 후타나리가 된 경위는 주술, 인체 개조, 기생 생물 등으로 설명되거나, 음핵이 비정상적으로 발달한 것으로 묘사되기도 하며, 아예 설명되지 않는 경우도 흔하다. 또한, 강한 성욕, 거대한 성기(때로는 오토펠라치오가 가능할 정도), 비정상적으로 많은 정액 등의 과장된 특징이 부여되기도 한다.

성인 비디오(AV) 분야에서도 '후타나리물'은 특정 수요층을 대상으로 하는 장르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출연자는 실제 반음양자이기보다는 뉴하프이거나, 벨트형 인공 남성기(소위 페니스 밴드)를 착용한 AV 여배우인 경우가 대부분이며, 모자이크 처리되는 경우가 많다. 작품에 따라서는 인공적인 사정 묘사를 위해 특수 장비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작품들은 주로 레즈비언물에 남성기 요소를 더한 형태로 소비된다.

성인 코믹 업계에서는 레즈비언물에 새로운 요소를 더하거나 쉬메일 캐릭터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후타나리 장르가 일정한 독자층의 수요를 만족시키고 있다. "후타나리 녀석의 세계" (아카네 신샤)나 "후타나리 엑설런트!" (잇스이샤) 등의 앤솔로지 코믹이 출판되기도 한다.

4. 창작물에서의 후타나리



일본에서는 예로부터 반음양과 같이 남녀로 명확히 구분되지 않는 제3의 성을 가리키는 개념으로 "후타나리"라는 단어가 사용되어 왔다. 헤이안 시대 후기에 그려진 그림 두루마리인 『병초지』에는 "두 개의 형상(후타나리)의 남자"라는 제목으로, 남성 점술가가 반음양이었다는 이야기가 실려 있는 등, 오래된 기록에서도 그 용례를 찾아볼 수 있다. 이는 양성의 성기를 모두 가진 존재를 나타내며, 좁은 의미로는 난소를 가지고 외성기가 남성인 여성 반음양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았다. "후타나리"와 아리하라노 나리히라를 합친 "'''후타나리히라'''"라는 단어도 존재했는데, 이는 반음양 외에 여성처럼 아름다운 남자를 가리키기도 했다. 또한, 1357년경 의 저서 "동방견문록"에도 에티오피아의 다양한 부족들과 함께 "후타나리족"이 묘사되기도 했다.[5]

일본의 민간 신앙에서는 성별 특징과 관련된 다양한 상상이 나타났다. 성별 전환에 대한 이야기가 담긴 수백 년 전의 전통 성악 작품들은[6] 성별 표현이 유동적일 수 있음을 시사하며, 때로는 모호한 성별을 가진 신(도소진 등)을 숭배하는 과정에서 남성도 여성도 아닌 존재로 여겨지기도 했다. 불교의 영향으로 신이 반드시 고정된 성별을 가질 필요는 없다는 인식도 있었을 수 있다.[7] 달의 위상(월상)에 따라 성별이 바뀐다고 믿어진 존재들(반월|hangetsu일본어이라 불림)에 대한 믿음도 있었다.[8] 전통 의복이 성별 구분을 모호하게 만든 점,[8] 여성의 특정 구역 출입 제한을 피하기 위한 위장, 신체 검사를 하던 경비 초소에서의 농담,[8] 온나가타 배우나 여성 무사처럼 성별 역할이 교차되는 존재[9] 등 사회 문화적 배경 속에서 후타나리에 대한 관심이 사무라이 계층과 서민 사회 모두에 존재했음을 엿볼 수 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 속에서 사용되던 '후타나리'라는 용어는 현대에 들어서, 특히 1990년대 이후 애니메이션만화 등 대중문화 속 특정 장르 및 캐릭터 유형을 지칭하는 의미로 변화하여 사용되고 있다.[4] 관능 소설에서는 후타나리 묘사를 전면에 내세운 작품이 상대적으로 적지만, 유우키 에이이치의 『음요전』이나 야마아이 시키코의 『알렉산드라이트』 등이 있다.

4. 1. 후타나리의 다양한 묘사

원래 일본어에서 '후타나리'는 남성성과 여성성을 모두 가진 인물(실존 혹은 허구)을 지칭하는 말이었으나, 1990년대 애니메이션만화에서 이러한 특징을 가진 캐릭터가 인기를 끌면서 의미가 변화하였다. 오늘날 이 용어는 주로 여성의 신체에 남성기를 가진 허구의 캐릭터를 가리키며, 이러한 캐릭터가 등장하는 헨타이 장르를 지칭하기도 한다.

현대 일본성인 만화성인 게임, 성인 비디오 등에서는 성적으로 반음양자(半陰陽者)를 다루는 작품을 흔히 볼 수 있다. 이러한 매체에서는 반음양(半陰陽)이나 양성구유(兩性具有)라는 직접적인 표현 대신 '후타나리'라는 용어를 완곡하게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등장인물의 특정 속성이나 장르 자체를 지칭하기도 한다.[4] 미사쿠라 난코츠와 같이 후타나리 묘사를 주로 다루는 만화가나 일러스트레이터도 있으며, 일부 모에 속성이나 페티시즘의 대상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만화나 게임 등 허구의 세계에서는 양쪽 성기가 모두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완전한 양성구유로 그려지는 경우가 많다. 캐릭터의 신체적 기반이나 외모, 성격은 여성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성기의 배치 방식은 작가마다 다양하며, 남성인지 여성인지 명확히 구분하기 어려운 형태로 묘사되기도 한다. 고환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 모두 존재하지만, 없는 경우가 더 흔하게 그려진다.

작품 속 후타나리 캐릭터는 종종 매우 왕성한 성욕(절륜)을 지니거나, 비정상적으로 큰 음경(거근)을 가진 것으로 묘사된다. 극단적인 경우 자신의 성기에 오토펠라치오가 가능할 정도의 크기로 그려지기도 한다. 드물게는 성기가 매우 유연하거나 여러 개(복근)가 달리기도 하며, 정액의 양이 비정상적으로 많은 설정도 존재한다.

성인 매체에서 의학적인 의미의 반음양 묘사는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캐릭터가 후타나리가 된 경위는 주술이나 인체 개조, 특정 생물의 기생으로 인해 음핵이 남성기처럼 변했다는 식으로 설명되기도 한다. 드물게는 육체 개조로 음핵을 비대화시켰거나, 특이 체질로 인해 가늘고 긴 음핵 자체가 남성기처럼 삽입에 사용되는 경우도 묘사된다. 하지만 선천적이든 후천적이든, 이러한 신체적 특징을 갖게 된 이유가 작중에서 전혀 설명되지 않고, 일상 속 비현실적인 상황의 하나로 갑자기 등장하는 경우도 많다.

유이 토시키의 ''핫 테일스''(Hot Tails)는 서구권에도 잘 알려진 후타나리 장르의 예시이다.[4] 후타나리 장르는 1990년대부터 인기를 얻으며 헨타이 관련 매체의 한 부분으로 자리 잡았고,[4] 레즈비언물에 다른 요소를 더하거나 쉬메일과 유사한 표현을 용이하게 하는 매력 덕분에 일정한 독자층의 수요가 존재한다. "후타나리 녀석의 세계"(아카네 신샤)나 "후타나리 엑설런트!"(잇스이샤) 같은 앤솔로지 단행본이 출판되기도 한다.

한편, 남성 신체를 기반으로 한 후타나리와는 다른 개념으로, 보이즈 러브(BL) 장르에서는 '수'(受け) 역할 남성의 항문이 여성기와 유사한 기능이나 형태를 갖는 소위 '야오이 구멍'이라는 독특한 묘사가 나타나기도 한다. 이는 BL 장르 특유의 표현으로 간주된다.

5. 현실 세계의 후타나리 (간성/반음양)

일본에서는 예로부터 반음양(간성)과 같이 남녀 두 가지 성별로 명확히 분류하기 어려운 제3의 성을 가리키는 개념으로 '후타나리'라는 단어를 사용해 왔다. 이 단어의 가장 유력한 어원은 헤이안 시대가마쿠라 시대 사이에 그려진 그림 두루마리인 『병초지(야마이노소우시, 病草子)』에서 유래한다. 이 그림에는 "두 개의 형상(후타나리)을 가진 남자"라는 제목으로, 남녀 양쪽의 생식기 특징을 모두 가진 남성 점술가 이야기가 묘사되어 있다.[3] 여기서 '후타나리'는 양성의 성기를 모두 가진 존재를 의미하며, 좁은 의미로는 난소를 가졌으나 외부 성기는 남성 형태인 여성 반음양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일본의 민간 신앙에서는 성적 특징과 관련된 다양한 상상이 나타났다. 수백 년 전의 전통 가요에서는 성별 전환이 가능한 존재가 언급되며,[2][6] 때로는 성별이 모호한 신인 '도소진'처럼 남성도 여성도 아닌 존재를 숭배하기도 했다. 이러한 믿음의 기원은 신들이 반드시 고정된 성별을 가질 필요가 없다고 보는 불교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1][7] 또한 일부 사람들은 달의 위상(월상)에 따라 성별을 바꿀 수 있다고 믿었으며, 이러한 존재를 '半月|반월일본어(hangetsu)'이라고 불렀다.[2][8] 전통 의복이 남녀 구분을 어렵게 만든 점도 이러한 인식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2][8] 역사적으로는 여성이 금지 구역에 들어가는 것을 막거나 밀수를 방지하기 위해 신체 검사를 하는 검문소가 있었는데, 이곳 경비원들이 성별 판별과 관련하여 농담을 즐겼다는 기록과 관련 이야기, 시 등이 남아 있다.[2][8] 음핵 비대증이나 기타 비정상적인 신체 발달과 같은 해부학적 특징이 이러한 믿음과 관련이 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2] 1644년경에는 가부키에서 여성 역할을 하는 남성 배우인 온나가타에게 남성 헤어스타일을 강요하기도 했는데, 이는 여성 전사와 같은 양성적 특징을 가진 캐릭터에 대한 관심이 사무라이 계층과 평민 모두에게 있었음을 보여준다.[1][9]

'후타나리'와 아리와라노 나리히라를 합친 '후타나리히라(ふたなりひら)'라는 단어도 있는데, 이는 반음양이라는 의미 외에 여성처럼 아름다운 남성을 가리키는 말로도 사용된다. 한편, 1357년경 존 맨더빌의 저서 『동방견문록』에는 에티오피아의 외다리족, 귀가 긴 족 등과 함께 '후타나리족'이 언급되기도 했다.[5]

현실 세계의 선천적 반음양(간성)은 각 성기의 발달 정도가 불완전한 경우가 많고, 본인의 성적 지향도 다양하다. 이는 창작물에서 묘사되는 과장된 이미지와는 차이가 있다. 파트너의 성향에 따라 노출 플레이 등을 하기도 하지만, 창작물처럼 다수의 파트너와 스와핑이나 난교에 참여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반음양 자체가 매우 드물기 때문에 반음양끼리 파트너가 되는 경우도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뉴하프'라고 불리는 직업 트랜스젠더의 경우, 고객의 수요나 성전환 수술의 비용 및 위험 부담, 수술 후 관리의 어려움 때문에 남성기를 제거하지 않고 여장이나 여성화를 하는 경우가 많다. 뉴하프를 찾는 고객들은 남성기와 여성화된 몸의 조합을 원하는 경우가 많으며, 성전환 수술 없이 활동하는 뉴하프도 상당수 존재한다.

성인 비디오(AV)에 등장하는 후타나리 배우는 대부분 뉴하프이거나 특수 분장을 이용한 가짜인 경우가 많다. 현대 AV에서 '후타나리물'은 주로 '레즈물'의 하위 장르로 소비되며, 인기 AV 여배우가 다양한 역할을 소화하는 과정에서 페니스 모양의 벨트형 도구(페니 밴)를 착용하고 출연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러한 작품에서는 가짜 남성기에도 모자이크 처리를 하는 경우가 많으며, 사정 묘사를 위해 특수한 장비를 사용하기도 한다.

참조

[1] 서적 Male Colors: The Construction of Homosexuality in Tokugawa Japa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5
[2] 간행물 Japanisches Geschlechtsleben: Abhandlungen und Erhebungen über das Geschlechtsleben des japanischen Volkes; folkloristische Studien Schustek 1965
[3] 웹사이트 Diseases and Deformities (Yamai no Sōshi) https://artsandcultu[...] 2024-05-25
[4] 서적 Manga: The Complete Guide https://archive.org/[...] Del Rey Books 2007
[5] 서적 「世界の奇書」 自由国民社
[6] 간행물 Japanisches Geschlechtsleben: Abhandlungen und Erhebungen über das Geschlechtsleben des japanischen Volkes ; folkloristische Studien Schustek 1965
[7] 서적 Male Colors: The Construction of Homosexuality in Tokugawa Japa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6-03-11
[8] 간행물 Japanisches Geschlechtsleben: Abhandlungen und Erhebungen über das Geschlechtsleben des japanischen Volkes ; folkloristische Studien Schustek 1965
[9] 서적 Male Colors: The Construction of Homosexuality in Tokugawa Japa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6-03-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