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숙옹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휘숙옹주는 조선 성종의 딸로, 연산군과 특별한 관계를 가졌다는 설이 있다. 연산군에게 많은 토지와 노비를 하사받았으며, 일각에서는 연산군과의 간통 의혹이 제기되었다. 중종반정 이후 숙청되었다는 설도 있으나, 정확한 사망 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다. 가족 관계로는 덕종과 소혜왕후가 조부모이며, 명빈 김씨가 어머니이고, 풍원위 임숭재와 결혼하여 세 딸을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세기 사망 - 경숙옹주 (성종)
성종의 딸인 경숙옹주는 숙용 윤씨(후일 폐비 윤씨) 소생으로, 여천위 민자방에게 하가하여 군수를 지낸 민희열을 낳았고, 그의 후손 중 정빈 민씨는 선조의 후궁이 되었다. - 16세기 사망 - 귀인 남씨
의령 남씨 출신인 귀인 남씨는 성종의 후궁으로, 성종의 총애를 받았으나 사후 연산군과의 간통, 사헌부의 탄핵 등의 물의를 빚었으며, 월산대군의 며느리와 친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 15세기 출생 - 티치아노 베첼리오
티치아노 베첼리오는 15세기 말 베네치아 화파를 이끈 거장으로, 뛰어난 색채감과 묘사력으로 종교화, 신화화, 초상화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으며, 르네상스 신이교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5세기 출생 - 요하네스 오케겜
요하네스 오케겜은 15세기 후기 부르고뉴 및 초기 네덜란드 악파의 벨기에 출신 작곡가로서 프랑스 궁정을 섬겼으며 독창적이고 혁신적인 스타일로 미사곡, 모테트, 샹송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고, 특히 《Missa prolationum》과 《Missa cuiusvis toni》는 15세기 대위법의 정점으로 평가받으며 후대 작곡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조선 성종의 자녀 - 견성군
견성군 이돈은 조선 성종의 아들로 연산군 시대에 횡포와 부정행위를 저질렀으나 중종반정 이후 공신이 되었고, 이후 모반 사건에 연루되어 사사된 후 신원된 파란만장한 생애를 살았다. - 조선 성종의 자녀 - 정숙옹주 (성종)
정숙옹주는 조선 성종과 숙의 홍씨의 딸로, 영평위 윤섭에게 출가하여 사후 양자를 들여 의지하며 장수하고 예법을 중시한 삶을 살았으며, 사망 후 선조가 장례를 치르도록 했다.
휘숙옹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작위 | 옹주 |
배우자 | 풍원위 임숭재(豐原尉 任崇載) |
자녀 | 3녀 최국광(崔國光)의 처, 이인수(李麟壽)의 처, 조노성(趙老成)의 처 |
왕조 | 조선 왕조 |
아버지 | 성종 |
어머니 | 명빈 김씨 |
친척 | 덕종(조부), 연산군(이복오빠), 중종(이복동생) 등 |
생애 | |
출생일 | 미상 |
출생지 | 조선 |
사망일 | 미상 |
기타 | |
국적 | 조선 |
2. 생애
휘숙옹주는 연산군과는 사이가 좋지 않았던 다른 형제들과는 달리, 연산군에게 여러 차례에 걸쳐 땅과 노비를 하사받았다. 이 때문에 중종반정이 일어났을 때 휘숙옹주 또한 반정 세력에 의하여 숙청되었다는 설이 있지만, 휘숙옹주의 사망 시기가 기록에 남아있지 않아 확실하지 않다.[1]
2. 1. 연산군과의 관계
연산군과 사이가 좋지 않았던 다른 형제들과는 달리 휘숙옹주는 연산군에게 여러 차례에 걸쳐 땅과 노비를 하사받았다. 이는 옹주와 연산군이 간통을 하고 있었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있다.[1] 이로 인하여 중종반정이 일어났을 때 휘숙옹주 또한 반정 세력에 의하여 숙청되었다는 설이 있지만, 휘숙옹주의 죽은 시기가 기록에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이는 확실치 않다.2. 2. 중종반정 이후
휘숙옹주는 연산군에게 여러 차례에 걸쳐 땅과 노비를 하사받았는데, 이는 옹주와 연산군이 간통하고 있었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있다.[1] 이 때문에 중종반정이 일어났을 때 휘숙옹주 또한 반정 세력에 의해 숙청되었다는 설이 있지만, 휘숙옹주의 사망 시기가 기록에 남아있지 않아 확실하지 않다.3. 가족 관계
구분 | 내용 |
---|---|
친가 | 덕종(조부), 소혜왕후(조모), 성종(아버지), 효소공 김작(외조부), 명빈 안동 김씨(어머니), 경숙옹주, 휘정옹주, 무산군 (동생) |
시가 | 임사홍(시아버지), 효령대군의 손녀이자 보성군 이합의 딸 정경부인 전주 이씨(시어머니), 풍원위 임숭재(부마) |
자녀 | 풍원위 임숭재와의 사이에서 3녀를 두었다. 장녀는 전주 최씨 최국광과 혼인, 차녀는 연안 이씨 이인수와 혼인, 3녀는 순창 조씨 조노성과 혼인하였다. |
3. 1. 친가
구분 | 내용 |
---|---|
조부 | 덕종 (1438~1457) |
조모 | 소혜왕후 (1437~1504) |
아버지 | 성종 (1457~1494, 재위 1469~1495) |
외조부 | 효소공 김작 (1427~1488) |
어머니 | 명빈 안동 김씨 |
동생 | 경숙옹주 (1483년 8월 9일~?) |
동생 | 휘정옹주 (생몰년 미상) |
동생 | 무산군 종 (1490~1525) |
3. 2. 시가
외손자 : 감찰 최응두
외손녀 : 최온옥(1534 ~ ?)
외손녀 : 최분이(1535 ~ ?)
- ** 차녀 : 연안 이씨 이인수와 혼인
외손녀 : 성주 이씨 목사 이양과 혼인
외손녀 : 고령 신씨 신백영과 혼인
- ** 3녀 : 순창 조씨 조노성과 혼인
외손자 : 좌랑 조흔(1527 ~ ?)
외손자 : 조엽(1540 ~ ?)
3. 3. 자녀
부마 | 풍원위 임숭재(任崇載, ? ~1505) |
---|---|
장녀 | 전주 최씨 최국광(崔國光)과 혼인 |
외손자 (장녀 소생) | 감찰(監察) 최응두(崔應斗) |
외손녀 (장녀 소생) | 최온옥(崔蘊玉, 1534 ~ ?), 최분이(崔粉伊, 1535 ~ ?) |
차녀 | 연안 이씨 이인수(李麟壽)와 혼인 |
외손녀 (차녀 소생) | 성주 이씨 목사(牧使) 이양(李讓)과 혼인, 고령 신씨 신백영(申伯瀛)과 혼인 |
3녀 | 순창 조씨 조노성(趙老成)과 혼인 |
외손자 (3녀 소생) | 좌랑(佐郞) 조흔(趙昕, 1527 ~ ?), 조엽(趙曄, 1540 ~ ?)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