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어진 시공간의 양자장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휘어진 시공간의 양자장론은 휘어진 시공간에서 양자장의 거동을 연구하는 이론으로, 일반 상대성 이론을 사용하여 휘어진 배경 시공간을 설명하고, 해당 시공간 내에서 양자 물질의 거동을 설명한다. 우주 상수가 0이 아닌 경우 입자 개념이 모호해지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입사 및 출사 입자 개념과 S-행렬을 정의할 수 있다. 이 이론은 섭동 이론을 통해 시간 변화 시공간에 의한 입자 생성, 호킹 복사, 언루 효과 등을 예측하며, 우주 인플레이션 모델에서 원시 밀도 섭동 스펙트럼을 예측하는 데 사용된다. 양자 중력으로 가는 중간 단계로 간주되지만, 중력의 재규격화 불가능성으로 인해 완전한 양자 중력 이론은 아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자중력 - 중력자
중력자는 중력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가상의 기본 입자로 여겨지지만, 양자화된 일반 상대성 이론의 문제로 인해 완전한 이론이 확립되지 않았으며, 중력파의 존재가 간접적으로 뒷받침하지만 직접적인 검출은 현재 불가능하고 질량에 대한 상한선이 제시되고 있으며 초대칭 파트너인 그라비티노의 존재가 예측된다. - 양자중력 - 양자 중력
양자 중력은 양자역학과 일반 상대성이론을 통합하여 중력이 강한 극한 조건에서 발생하는 이론적 모순을 해결하려는 시도로, 재규격화 불능성과 시공간 배경 의존성 차이 등의 난제 해결을 위해 끈 이론, 루프 양자 중력 등 다양한 접근 방식이 연구되고 있으며,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데이터 등을 이용한 실험적 검증이 시도되고 있다. - 양자장론 - 페르미-디랙 통계
페르미-디랙 통계는 파울리 배타 원리를 따르는 페르미 입자의 통계적 분포를 설명하는 양자 통계로, 금속 내 전자 현상 등을 이해하는 데 기여하며 페르미 입자가 특정 에너지 준위를 점유할 확률을 나타낸다. - 양자장론 - 양자 색역학
양자 색역학은 색 전하를 국소 대칭으로 정의한 SU(3) 게이지 군의 비아벨 게이지 이론으로, 쿼크와 글루온을 기본 입자로 하여 쿼크 사이의 강한 상호작용을 매개하며, 점근적 자유성과 색 가둠의 특징을 가지는 이론이다.
휘어진 시공간의 양자장론 | |
---|---|
개요 | |
분야 | 양자장론, 일반 상대성 이론 |
관련 개념 | 양자장론, 휘어진 시공간, 블랙홀 열역학, 우주론 |
주요 연구 | 호킹 복사 언루 효과 끈 이론 양자 중력 |
세부 내용 | |
설명 | 휘어진 시공간에서 정의되는 양자장론 |
특징 | 입자 개념의 모호성 배경 의존성 |
응용 | 초기 우주 연구 블랙홀 연구 |
주요 연구자 | |
연구자 | 스티븐 호킹 브라이스 드윗 니콜라스 버렐 로버트 월드 레너드 파커 |
관련 항목 | |
관련 항목 | 양자장론 일반 상대성 이론 양자 중력 블랙홀 열역학 우주론 |
2. 이론적 배경
표준 모형의 기초를 이루는 일반적인 양자장론은 평평한 민코프스키 공간에서 정의되는데, 이는 지구에서 발견되는 것과 같은 약한 중력장 내에서 미시적 입자의 거동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훌륭한 근사치이다. 중력이 (양자) 물질에 영향을 줄 만큼 강하지만, 양자화 자체가 필요할 만큼 강하지 않은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물리학자들은 휘어진 시공간에서의 양자장론(QFTCS)을 공식화했다. 이 이론들은 일반 상대성 이론을 사용하여 휘어진 배경 시공간을 설명하고, 이 시공간 내에서 양자 물질의 거동을 설명하기 위해 일반화된 양자장론을 정의한다.
2. 1. 주요 특징
우주 상수가 0이 아닌 경우, 휘어진 시공간에서 양자장은 기본 입자로서의 해석을 잃는다.[2] 점근적 평탄 시공간(우주론적 곡률 0)과 같은 특정 상황에서만 입사 및 출사 입자의 개념을 복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S''-행렬을 정의할 수 있다. 그런 경우에도 평평한 시공간에서와 마찬가지로 점근적 입자 해석은 관찰자에 따라 달라진다(즉, 서로 다른 관찰자는 주어진 시공간에서 서로 다른 수의 점근적 입자를 측정할 수 있다).배경 계량 텐서가 전역적인 시간꼴 킬링 벡터를 갖지 않는 한, 진공 또는 바닥 상태를 정준적으로 정의할 수 없다. 진공의 개념은 미분 동형 사상에 대해 불변하지 않다. 이는 장의 모드 분해가 양의 주파수 모드와 음의 주파수 모드로 미분 동형 사상에 대해 불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만약 t' (t)가 미분 동형 사상이라면, 일반적으로 exp[ikt'(t)]의 푸리에 변환은 k > 0일지라도 음의 주파수를 포함할 것이다. 생성 연산자는 양의 주파수에 해당하고, 소멸 연산자는 음의 주파수에 해당한다. 이것이 한 관찰자에게 진공처럼 보이는 상태가 다른 관찰자에게는 진공 상태처럼 보이지 않을 수 있는 이유이며, 적절한 가설 하에서는 열적 평형 상태처럼 보일 수도 있다.
2. 2. 대수적 접근
1980년대 말 이후, 루돌프 하그와 다니엘 캐슬러의 국소 양자장론 접근 방식은 휘어진 시공간에서의 양자장론의 대수적 버전을 포함하기 위해 구현되었다.[3][4] 국소 양자 물리학의 관점은 휘어진 배경에서 개발된 양자장의 이론에 재규격화 절차를 일반화하는 데 적합하며, 블랙홀이 존재할 때 QFT에 관한 몇 가지 엄밀한 결과가 얻어졌다. 특히 대수적 접근 방식은 선호되는 기준 진공 상태 및 입자의 자연스러운 개념 부재, 그리고 관측 가능 대수의 유니타리 비등가 표현의 출현에서 발생하는 앞서 언급한 문제들을 다룰 수 있게 해준다.[3][4]3. 응용 분야
QFTCS는 반고전적 접근 방식의 양자 중력 연구에 사용되며, 호킹 복사와 우주 인플레이션 모델 등 여러 중요한 현상을 예측한다.[5][6][17]
3. 1. 주요 예측
휘어진 시공간 기하학에서 섭동 이론을 사용하는 것은 반고전적 접근 방식의 양자 중력으로 알려져 있다. 이 접근 방식은 고정된 고전적 시공간에서 양자장의 상호 작용을 연구하며, 시간 변화 시공간에 의해 입자가 생성되는 것과 호킹 복사를 예측한다.[5][6] 후자는 가속하는 관찰자가 흑체 복사를 관찰하는 언루 효과의 발현으로 이해할 수 있다.[7] 휘어진 공간에서의 양자장의 다른 예측에는, 예를 들어, 측지선을 따라 움직이는 입자에 의해 방출되는 복사[9][10][11][12] 및 호킹 복사와 블랙홀 외부의 입자와의 상호 작용이 포함된다.[13][14][15][16]3. 2. 우주론적 응용
이 형식은 다양한 우주 인플레이션 모델에서 발생하는 원시 밀도 섭동 스펙트럼을 예측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예측은 번치-데이비스 진공 또는 그 수정 사항을 사용하여 계산된다.[17]4. 양자 중력으로의 근사
휘어진 시공간의 양자장론(QFTCS)은 양자 중력 이론으로 가는 중간 단계로 간주될 수 있다.[18] 시공간 곡률이 플랑크 규모에서 중요하지 않을 때 양자 중력 이론에 대한 실행 가능한 근사로 예상된다.[19][20][21] 그러나 양자 중력의 참된 이론이 아직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QFTCS가 좋은 근사가 되는 정확한 기준은 불분명하다.[2]
4. 1. 한계
중력은 양자장론(QFT)에서 재규격화될 수 없으므로, 휘어진 시공간에서의 QFT를 단순히 공식화하는 것은 양자 중력의 진정한 이론이 아니다.[2]참조
[1]
arXiv
Quantum Field Theory in Curved Spacetime (2nd edition) (article prepared for the second edition of the Encyclopaedia of Mathematical Physics, edited by M. Bojowald and R. J. Szabo, to be published by Elsevier)
[2]
서적
Quantum field theory in curved space-time and black hole thermodynamics
Chicago U.
[3]
웹사이트
Lectures on quantum field theory in curved spacetime (Lecture Note 39/2008 Max Planck Institute for Mathematics in the Natural Sciences (2008))
http://www.mis.mpg.d[...]
[4]
간행물
Algebraic QFT in Curved Spacetime and Quasifree Hadamard States: An Introduction
http://link.springer[...]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5
[5]
학술지
Particle Creation in Expanding Universes
https://link.aps.org[...]
1968-08-19
[6]
간행물
Particle Creation by Black Holes
https://www.worldsci[...]
World Scientific
1993-05-01
[7]
학술지
The Unruh effect and its applications
https://link.aps.org[...]
2008-07-01
[8]
서적
Quantum fields in curved space
https://www.worldca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2
[9]
학술지
Scalar radiation emitted from a source rotating around a black hole
https://doi.org/10.1[...]
1999-11
[10]
학술지
Corrigendum: Scalar radiation emitted from a source rotating around a black hole (2000 Class. Quantum Grav. 17 19)
https://doi.org/10.1[...]
2016-09
[11]
학술지
Scalar radiation from a radially infalling source into a Schwarzschild black hole in the framework of quantum field theory
2018-02-16
[12]
학술지
Synchrotron geodesic radiation in Schwarzschild--de Sitter spacetime
https://link.aps.org[...]
2020-06-11
[13]
학술지
Interaction of Hawking radiation with static sources outside a Schwarzschild black hole
https://link.aps.org[...]
1998-10-22
[14]
학술지
Interaction of Hawking radiation and a static electric charge
https://link.aps.org[...]
1998-09-22
[15]
학술지
Do static sources respond to massive scalar particles from the Hawking radiation as uniformly accelerated ones do in the inertial vacuum?
https://link.aps.org[...]
2003-03-27
[16]
학술지
Interaction of Hawking radiation with static sources in de Sitter and Schwarzschild--de Sitter spacetimes
https://link.aps.org[...]
2003-10-31
[17]
학술지
Universal correction to the inflationary vacuum
2006-04-28
[18]
학술지
Quantum Gravity from the Point of View of Locally Covariant Quantum Field Theory
[19]
서적
Quantum Field Theory on Curved Spacetimes: Concepts and Mathematical Foundations
Springer
[20]
서적
Encyclopedia of Mathematical Physics
Academic Press (Elsevier)
[21]
학술지
Simulating quantum field theory in curved spacetime with quantum many-body systems
[22]
웹인용
Lectures on quantum field theory in curved spacetime (Lecture Note 39/2008 Max Planck Institute for Mathematics in the Natural Sciences (2008))
http://www.mis.mpg.d[...]
null
[23]
웹인용
Algebraic QFT in Curved Spacetime and quasifree Hadamard states: an introduction)
http://arxiv.org/pdf[...]
nu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