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수궁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흥수궁주는 고려 숙종과 명의왕후의 딸로, 고려 예종 등의 친남매이다. 1102년 공주에 책봉되었으며, 승화백 왕정과 혼인했다. 숭덕궁을 하사받았고, 아들을 낳았으며, 흥수궁주 또는 흥수공주로 불렸다. 남편 왕정과는 6촌 남매 관계였으며, 이들의 혼인은 근친혼에 해당한다. 흥수궁주는 두 아들을 두었으며, 장남은 검교우복야 수사공에 봉해졌고, 차남은 한남백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23년 사망 - 외위스테인 1세
외위스테인 1세는 12세기 초 노르웨이의 공동 국왕으로, 형제들과 함께 국가를 통치하며 국내 문제에 집중하여 국가의 번영을 이끌고 다양한 건설 사업을 추진하여 '평화의 왕'으로 묘사된다. - 1123년 사망 - 야율아리
야율아리는 요나라 천조제의 차남으로, 금나라의 침략으로 혼란스러운 시기에 북요의 황제로 옹립되었으나 즉위한 해에 사망하였다. - 고려의 왕녀 - 정녕원비
정녕원비는 고려 충렬왕과 정신부주의 딸로, 1274년 정녕궁주에 책봉되었고 종실 제안공 왕숙과 혼인한 인물이다. - 고려의 왕녀 - 명순원비
명순원비는 충렬왕과 정신부주의 딸로, 한양공 왕현과 혼인하여 계양후 왕광을 낳았으며, 1320년에 사망한 고려의 왕족이다. - 생년 미상 - 손니 알리
손니 알리는 송가이 제국의 군주로서 니제르 강 유역을 장악한 후 팀북투와 젠네를 정복하고 군사력을 강화하여 제국을 확장했으며, 전통 신앙과 이슬람교 조화, 법에 의한 국가 통제, 무역 확립 등 내치에도 힘썼다. - 생년 미상 - 김조국
김조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2019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겸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 임명되었다.
흥수궁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작위 | 공주 (궁주) |
별칭 | 흥수공주 (興壽公主) |
배우자 | 승화백 왕정 |
자녀 | 왕재, 한남백 왕기 |
왕조 | 왕가 (출생 및 결혼) |
아버지 | 숙종 |
어머니 | 명의왕후 유씨 |
친척 | 예종(남매), 인종(조카), 순종(숙부), 선종(숙부), 헌종(사촌) 등 |
출생 연도 | 1088년 |
사망 연도 | 1123년 |
사망 당시 나이 | 35세 (추정) |
출생지 | 고려 |
사망지 | 고려 |
가계 | |
남편 | 왕정; 이종사촌 |
자녀 | 왕기, 왕재 |
작위 계승 | |
작위 | 고려의 공주 |
즉위 | 1102년 |
이전 | 대령궁주 |
이후 | 안수궁주 |
군주 | 왕옹, 숙종 |
유형 | 군주 |
기타 | |
봉지 | 식실 300호 |
궁궐 | 숭덕궁 |
2. 생애
흥수궁주는 고려 숙종과 명의왕후의 차녀로, 출생 시기는 불분명하다. 성은 왕, 본관은 개성이다. 예종 등과는 친남매간이며, 순종과 선종 등의 친조카이다.
1102년(숙종 8년)에 정식으로 공주에 책봉되었고, 종실 승화백 왕정과 혼인하였다.[9] 1105년(예종 즉위년) 음력 10월 30일 자매들과 함께 궁전을 하사받았는데, 흥수궁주는 숭덕궁을 받았다.[10] 1111년(예종 6년)에는 아들을 낳았으며, 이때 예종은 승선 김고를 보내어 예물을 하사하였다.[9]
2. 1. 가계
고려 제15대 숙종과 명의왕후의 차녀로, 출생 시기는 불분명하다. 성은 왕, 본관은 개성이다. 예종 등과는 친남매간이며, 순종과 선종 등의 친조카이다.흥수궁주의 모후 명의왕후는 문하시중을 지낸 정주 유씨 유홍의 딸이다. 당시 왕비들이 대개 인천 이씨 출신이던 때에 태조의 신혜왕후, 정덕왕후에 이어 오랜만에 탄생한 정주(지금의 경기도 개풍군) 출신의 왕비이다.[7][8]
구 분 | 내용 |
---|---|
아버지 | 고려 숙종 (1054~?) |
할아버지 | 고려 문종 (1019~1083) |
할머니 | 인예왕후 인천 이씨 (1026~1092) |
어머니 | 명의왕태후 유씨 (1058~?) |
외할아버지 | 유홍 (, 1021~?) |
외할머니 | 김씨 부인 (1025~?) |
남편 | 승화백 왕정 (1088~1130) |
시아버지 겸 숙부 | 낙랑공 왕영 (, 1042~1112), 정간왕의 아들. |
시어머니 겸 고모 | 보령궁주 (, 1066~1113), 고려 문종과 인예왕후의 딸. |
자녀 | 왕기 (, 1105~?), 어머니의 조카딸인 승덕공주와 결혼하여 "한남백"으로 알려짐.[5] |
왕재 (, 1110~1164)[6] |
2. 2. 공주 시절
1102년(숙종 8년)에 정식으로 공주에 책봉되었고, 이후 종실 승화백 왕정과 혼인하였다.[9] 1105년(예종 즉위년) 음력 10월 30일에는 자매들과 함께 궁전을 하사받았는데, 흥수궁주는 숭덕궁을 받았다.[10]1111년(예종 6년)에는 아들을 낳았으며, 이때 예종은 승선 김고를 보내어 예물을 하사하였다.[9]
3. 가족 관계
흥수궁주는 종실 승화백과 혼인하였다. 승화백은 현종의 아들 평양공 왕기의 손자로, 흥수궁주와는 6촌 남매 관계이다.[12] 승화백의 어머니는 문종의 딸이자 흥수궁주의 고모인 보령궁주로, 승화백은 흥수궁주에게 고종사촌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 둘의 혼인은 근친혼의 한 사례이다.
승화백은 흥수궁주와 혼인 후 감교사공 수사공 승화백으로 특진되었다. 식읍 2,000호와 식실 300호를 함께 받았으며, 찬화공신의 호도 받았다. 승화백은 흥수궁주가 사망하고 7년이 지난 1130년(인종 8년)에 죽었다.[11]
흥수궁주와 승화백은 두 아들을 두었다. 장남의 이름은 왕재이며, 검교우복야 수사공에 봉해지고 1164년(의종 18년)에 사망했다. 차남의 이름은 왕기이다. 왕기는 흥수궁주의 조카이자 예종의 딸 승덕공주와 혼인하였다.[11] 훗날 한남백(漢南伯)에 봉해졌다.[13]
관계 |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조부 | 문종 | 1019년~1083년 | 고려 제11대 왕 (재위: 1046년~1083년) |
조모 | 인예왕후 | ?~1092년 | |
백부 | 순종 | 1047년~1083년 | 고려 제12대 왕 (재위: 1083년) |
백부 | 선종 | 1049년~1094년 | 고려 제13대 왕 (재위: 1083년~1094년) |
사촌 | 헌종 | 1084년~1097년 | 고려 제14대 왕 (재위: 1094년~1095년) |
아버지 | 숙종 | 1054년~1105년 | 고려 제15대 왕 (재위: 1095년~1105년) |
외조부 | 유홍(柳洪) | ?~1091년 | |
어머니 | 명의왕후 | ?~1112년 | |
남매 | 예종 | 1079년~1122년 | 고려 제16대 왕 (재위: 1105년~1122년) |
조카 | 인종 | 1109년~1146년 | 고려 제17대 왕 (재위: 1122년~1146년) |
남매 | 상당후 왕필(上黨侯 王佖) | ?~1099년 | |
남매 | 원명국사 징엄(圓明國師 澄儼) | 1090년~1141년 | |
남매 | 대방공 왕보(帶方公 王俌) | ?~1128년 | |
남매 | 대원공 왕효(大原公 王侾) | ? ~ 1170년 | |
남매 | 제안공 왕서(齊安公 王偦) | ? ~ 1131년 | |
남매 | 통의후 왕교(通義侯 王僑) | 1097년~1119년 | |
언니 | 대령궁주 | ?~1114년 | |
동생 | 안수궁주 | 생몰년 미상 | |
동생 | 복녕궁주 | 1096년~1133년 | |
시아버지, 고모부 | 낙랑공 왕영(樂浪公 王瑛) | 1043년~1112년 | |
시어머니, 고모 | 보령궁주 | ?~1113년 | |
남편 | 승화백 왕정(承化伯 王禎) | ?~1130년 | |
장남 | 왕재 (王梓) | ?~1164년 | |
차남 | 한남백 왕기(漢南伯 王杞) | 생몰년 미상 |
참조
[1]
웹사이트
고려사 > 권88 > 열전 권제1 > 후비(后妃) > 숙종 후비 명의태후 유씨 > 명의태후 유씨의 왕비 책봉과 소생 자녀
http://db.history.go[...]
2022-05-30
[2]
서적
韓國女性關係資料集: 中世篇(中)
https://books.google[...]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1985
[3]
웹사이트
고려사 > 권12 > 세가 권제12 > 예종(睿宗) 즉위년 > 10월 > 세 공주에게 궁전을 내려주다
http://db.history.go[...]
2022-05-30
[4]
서적
고려사, Volume 8
https://books.google[...]
Yeogang Publishing House
1991
[5]
웹사이트
고려사 > 권91 > 열전 권제4 > 공주(公主) > 예종 소생 공주 > 승덕공주
http://db.history.go[...]
2022-05-30
[6]
웹사이트
고려사 > 권18 > 세가 권제18 > 의종(毅宗) 18년 > 9월 > 수사공 왕재가 죽다
http://db.history.go[...]
2022-05-30
[7]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정주
https://terms.naver.[...]
한국학중앙연구원
[8]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유홍〉
http://people.aks.ac[...]
2012-08-04
[9]
문서
《고려사》권91〈열전〉권4 - 흥수궁주
[10]
문서
《고려사》권12〈세가〉권12 - 예종 즉위년 10월 - 세 공주에게 궁전을 내려주다
[11]
문서
《고려사》권90〈열전〉권3 - 승화백 왕정
[12]
문서
"흥수궁주 ← 숙종 ← 문종 ← 현종 → 평양공 → 낙랑백 → 승화백"
[13]
문서
《고려사》권91〈열전〉권4 - 승덕공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