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힘에 호소하는 논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힘에 호소하는 논증은 상대방에게 위협이나 협박을 가하여 주장을 관철하려는 비형식적 오류의 일종이다. 이는 결론과 벌이 논리적으로 무관하며, 주로 "네가 ~하지 않으면, ~할 것이다"와 같은 형식을 띤다. 하지만, 처벌이 결론과 논리적으로 관련이 있는 경우에는 타당한 논증이 될 수 있다. 정치, 사회, 직장, 학교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나며, 반대 의견 억압, 사이버 불링 등 여러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틴어 성구 - 아는 것이 힘이다
    "아는 것이 힘이다"는 지식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격언으로, 페르도우시, 토마스 홉스, 프랜시스 베이컨, 랄프 왈도 에머슨 등 여러 사상가들에 의해 언급되었으며, 현대 사회의 정보전, 과학적 방법론 발전, 그리고 조지 오웰의 소설 《1984년》에서의 역설적 묘사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인과관계의 오류 - 미끄러운 비탈길 논증
    미끄러운 비탈길 논증은 특정 행위를 금지하기 위해 그 행위가 용납할 수 없는 결론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주장하는 논증 방식이며, 정치적 논쟁에서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주장에 사용되고, 개념적, 결정적, 인과적 유형으로 나뉜다.
  • 인과관계의 오류 - 피해자 비난
    피해자 비난은 피해자의 행동이나 특성에서 사건의 원인을 찾는 현상으로, 사회 부조리를 정당화하는 이데올로기이며, 다양한 요인에 의해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고 법적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 연관성 오류 - 허수아비 때리기 오류
    허수아비 때리기 오류는 상대방의 주장을 왜곡하여 공격하는 오류로, 허위 진술, 맥락 무시, 단순화 등을 통해 실제 논점과 다른 허수아비를 세워 공격하는 형태를 띤다.
  • 연관성 오류 - 붉은 청어
    붉은 청어는 논쟁에서 주의를 딴 데로 돌리는 비형식적 오류의 일종으로, 논점과 관련 없는 주장을 제시하여 주의를 끄는 기술이며, 핵심 쟁점과 관련 없음을 지적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이다.
힘에 호소하는 논증
논증 정보
이름힘에 호소하는 오류 (Argumentum ad baculum)
유형비형식적 오류
설명힘이나 위협을 사용하여 논쟁에서 이기거나 주장을 받아들이도록 강요하는 오류
대안 이름위협에 호소하는 오류
막대기에 대한 호소
권력에 대한 논증
구조
전제 1만약 당신이 X를 받아들이지 않으면, 나쁜 일이 당신에게 일어날 것이다.
결론따라서, 당신은 X를 받아들여야 한다.
예시
예시 1만약 당신이 우리의 요구에 동의하지 않으면, 우리는 당신의 사업에 해를 끼칠 것이다. 그러므로 당신은 우리의 요구에 동의해야 한다.
예시 2신은 존재한다. 왜냐하면 만약 당신이 신을 믿지 않으면, 당신은 지옥에 갈 것이기 때문이다.
예시 3국회의원은 다음 법안을 지지해야 한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나는 그의 재선을 위해 기금을 모으지 않을 것이다.
추가 설명
추가 정보힘에 호소하는 오류는 논증의 내용보다는 결과에 초점을 맞춘다.
이 오류는 종종 정치, 사업, 그리고 개인적인 관계에서 발생한다.
위협이 반드시 명시적일 필요는 없다. 암시적인 위협도 힘에 호소하는 오류에 해당할 수 있다.

2. 논증 형식

힘에 호소하는 논증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논증 형식을 취한다.

: x가 P를 참이라고 한다면, Q이다.

: Q는 x에 대한 벌이다.

: 따라서 '''P는 참이 아니다'''.

(예)

: 네가 A를 괴롭히는 데 가담하지 않는다면, 우리도 너를 괴롭힐 것이다.

: 그러니 너는 괴롭히는 데 가담하는 것이 낫다.

이것은 비형식적 오류의 일종이다. Q라는 공격(벌)은 전제인 P의 진릿값과는 논리적으로 전혀 무관하다. 이것이 오류라는 점은 중세 시대부터 많은 철학자들이 지적해 왔으며, 결과에 호소의 특수한 경우이다.

3. 오류가 아닌 경우

힘에 호소는 도출되는 결론이 내려지는 벌과 논리적으로 관련이 없을 때 오류로 간주된다. 하지만 항상 오류인 것은 아니다.[8][7]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논증을 살펴보자.

: 음주운전을 하면 유치장에 갇힌다.

: 유치장에 갇히고 싶지 않다.

: 그러므로 음주운전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이 논증은 음주운전 자체의 성질에 대한 것이 아니라, 음주운전 시 받게 되는 처벌(유치장행)을 근거로 '음주운전을 하지 않는 것이 좋다'는 결론을 이끌어내고 있다. 이 경우, 제시된 처벌과 결론 사이에 논리적 관련성이 있으므로 타당한 논증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이 전제를 사용하여 '음주운전은 도덕적으로 잘못되었다'거나 '사회악이다'와 같은 결론을 도출하려고 한다면, 이는 논리적 오류가 된다. 처벌의 존재가 행위 자체의 도덕적 가치를 직접 증명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4. 예시

스탠퍼드 철학 백과사전은 "힘에 호소하는 논증"의 예시로 다음을 제시한다.[1]

: 공원 확장에 반대하는 시위에 참여하지 않으면, 당신을 아파트에서 쫓아낼 것입니다.

: 그러므로, 당신은 공원 확장에 반대하는 시위에 참여해야 합니다.

이는 상대방에게 불이익을 주겠다는 위협을 통해 자신의 주장을 관철하려는 논증 방식이다.

미국에서 1856년 발생한 찰스 섬너 매질 사건 역시 힘에 호소하는 논증의 사례로 볼 수 있다.[2] 이 사건은 친노예제 지지자인 프레스턴 브룩스 하원의원이 미국 상원 회의장에서 노예제 폐지론자였던 찰스 섬너 상원의원을 지팡이로 심하게 폭행한 사건이다. 이는 노예제 폐지라는 섬너의 주장에 대해 논리적 반박 대신 폭력이라는 물리적 위협을 가한 것으로, 힘에 호소하여 상대방의 주장을 꺾으려는 시도로 해석될 수 있다.

일상적인 상황에서도 힘에 호소하는 논증을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학교 폭력 상황에서 다음과 같은 협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 네가 A를 괴롭히는 데 가담하지 않는다면, 우리도 너를 괴롭힐 것이다.

: 그러니 너는 괴롭힘에 가담하는 것이 낫다.

이 역시 상대방에게 가해질 해악을 근거로 특정 행동을 강요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5. 한국 사회에의 적용

한국 사회에서도 힘에 호소하는 논증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개인 간의 사적인 관계는 물론, 직장, 학교와 같은 사회 조직, 정치 영역 등 다양한 맥락에서 발견될 수 있다.[1][2] 이는 논리적 근거나 합리적인 설득 과정 없이, 지위나 권력, 물리적 또는 심리적 위협과 같은 힘을 이용하여 상대방의 동의나 복종을 얻으려는 시도이다.[3] 특히 권위주의적 문화가 잔존하거나 힘의 불균형이 뚜렷한 관계 속에서 이러한 오류가 발생하기 쉬운 환경이 조성되기도 한다.

5. 1. 직장/학교

직장이나 학교와 같은 조직 내에서 힘에 호소하는 논증이 사용되는 경우가 흔히 발견된다.

직장에서는 상사가 부하 직원에게 부당한 업무를 지시하면서, 만약 이를 따르지 않을 경우 인사고과에서 불이익을 주겠다고 위협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부당한 지시의 정당성을 설명하는 대신, 불이익이라는 힘을 이용하여 복종을 강요하는 것이다.

학교에서도 비슷한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교사가 학생에게 특정 행동을 강요하며, 지시를 따르지 않으면 벌점을 주거나 체벌을 가하겠다고 말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또한, 학교폭력 상황에서 가해 학생이 피해 학생에게 특정 행동을 하도록 강요하며, 말을 듣지 않으면 더 심하게 괴롭히겠다고 협박하는 것 역시 명백한 힘에 호소하는 논증이다. 예를 들어, "네가 A를 괴롭히는 데 가담하지 않는다면, 우리도 너를 괴롭힐 것이다. 그러니 너는 괴롭히는 데 가담하는 것이 낫다." 와 같은 협박은 학교폭력 상황에서 나타날 수 있는 전형적인 힘에 호소하는 논증이다. 이러한 행위는 논리적 설득이 아닌, 위협과 강압을 통해 상대방의 행동을 변화시키려는 시도이다.

참조

[1] 웹사이트 Logical Fallacy: Appeal to Force http://www.fallacyfi[...] 2021-06-24
[2] 웹사이트 https://global.oup.c[...]
[3] 웹사이트 Argumentum ad Baculum http://philosophy.la[...] Lander University 2022-07-23
[4] 논문 Argumentum ad baculum http://logic.sysu.ed[...] 2023-05-16
[5] 간행물 Fallacies https://plato.stanfo[...] 2023-05-16
[6] 간행물 American Notes https://books.google[...] 2021-06-24
[7] 서적 Argument, Critical Thinking, Logic and the Fallacies Pearson Education Canada
[8] 서적 Argument, Critical Thinking, Logic and the Fallacies Pearson Education Canad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