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자 비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해자 비난은 피해자에게 일어난 사건의 원인을 피해자의 행동이나 특성에서 찾는 현상을 의미한다. 1971년 윌리엄 라이언은 저서 《피해자 비난》에서 이 용어를 사용하며, 인종차별과 사회 부조리를 정당화하는 이데올로기라고 비판했다. 피해자 비난은 공정 세상 가설, 근본적인 귀인 오류, 가해자의 변명, 괴롭힘, 2차 가해 등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소말리아, 나이지리아, 남아시아, 중국, 미국, 독일, 오스트레일리아, 이탈리아, 인도, 요르단 등 다양한 국가에서 피해자 비난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피해자 비난은 명예훼손죄, 모욕죄 등의 법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피해자학 연구와 범죄 피해자 지원 제도를 통해 대응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반사회적 행동 - 깨진 유리창 이론
깨진 유리창 이론은 사소한 무질서가 방치되면 더 큰 범죄로 이어진다는 이론으로, 1982년 제시되었으며, 뉴욕시 치안 정책에 반영되어 범죄율 감소에 기여했으나, 과잉 단속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 반사회적 행동 - 차별
차별은 특정 집단이라는 이유로 개인이나 집단에게 불이익을 주거나 부당하게 대우하는 행위로, 인종, 성별, 종교 등 다양한 근거로 발생하며, 국제기구들은 차별 종식을 위해 노력하고 각국은 차별 금지 법률을 시행하고 있다. - 성적 학대 - 강간
- 성적 학대 - 거세
거세는 고환 제거 또는 생식 기능 제거를 통해 생식 능력을 없애는 행위로, 역사적으로 형벌, 권력 유지, 종교적 의식 등 다양한 목적으로 시행되었으며, 현대에는 의학적 치료나 가축 관리에도 활용된다. - 권위주의 - 경찰국가
경찰국가는 경찰이 강력한 권한으로 국민을 감시하고 통제하는 국가를 의미하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시대와 국가에서 나타났고, 현대에는 전자 기술을 활용한 형태로도 존재하며, 개인의 자유와 국가 안보 사이의 균형에 대한 정치적 관점에 따라 정의가 달라진다. - 권위주의 - 내집단과 외집단
내집단과 외집단은 사람들을 자신의 집단과 다른 집단으로 구분하는 심리학적 개념이며, 내집단 편향, 집단 동질성, 외집단 폄하 등 다양한 심리적 현상과 관련되어 사회적 영향과 갈등을 야기한다.
피해자 비난 | |
---|---|
개요 | |
정의 | 피해자에게 일어난 일에 대해 피해자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적으로 비난하는 현상 |
관련 개념 | 정당한 세상 가설 귀인 편향 방관자 효과 책임 전가 |
양상 | |
일반적 상황 | 강간 피해자에게 "옷차림이 부적절했다"고 말하는 경우 성희롱 피해자에게 "애초에 오해를 살 만한 행동을 했다"고 말하는 경우 범죄 피해자에게 "늦은 시간에 왜 돌아다녔냐"고 말하는 경우 데이트 폭력 피해자에게 "네가 먼저 화를 돋우지 않았냐"고 말하는 경우 |
사회적 문제 |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 가정폭력 피해자에 대한 사회적 낙인 학교폭력 피해자에 대한 무관심 차별 및 혐오 범죄 피해자에 대한 혐오 표현 |
법적 문제 | 게이 공황 또는 트랜스 공황 변론 성폭력 사건에서 피해자의 과거 행실 증거 채택 |
원인 | |
심리적 요인 | 정당한 세상 가설: 세상은 공정하며, 나쁜 일은 나쁜 사람에게 일어난다는 믿음 인지적 편향: 자신의 믿음을 강화하는 정보만 선택적으로 받아들이는 경향 자기 방어 기제: 자신이 위험에 처할 가능성을 부정하려는 심리 |
사회적 요인 | 권력 관계: 사회적 약자에 대한 편견과 차별 성 역할 고정관념: 여성에 대한 성적 대상화와 남성 중심적 사고방식 미디어의 영향: 선정적 보도와 편향된 시각 |
영향 | |
개인적 영향 | 피해자의 심리적 고통 가중 (우울증, 불안 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피해자의 자기 비난 및 수치심 증가 피해자의 사회적 고립 및 관계 단절 피해자의 신고 및 법적 조치 기피 |
사회적 영향 | 범죄에 대한 잘못된 인식 확산 피해자 지원 시스템 약화 사회 정의 실현 저해 |
대응 방안 | |
개인적 노력 | 비판적 사고 능력 함양 공감 능력 및 감수성 향상 피해자 관점 이해 노력 언어 사용에 주의 (비난조 표현 자제) |
사회적 노력 | 피해자 지원 시스템 강화 (상담, 법률 지원 등) 사회적 인식 개선 캠페인 미디어의 책임 있는 보도 촉구 법적/제도적 개선 (피해자 보호 강화) |
관련 용어 | |
영어 | Victim blaming |
일본어 | 被害者非難 (Higai-sha hinan) |
2. 역사
윌리엄 라이언은 1971년 저서 《피해자 비난》에서 '피해자 비난'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5] 라이언은 이 책에서 인종차별과 사회 부조리를 아프리카계 미국인에 대해 정당화하는 데 사용되는 이데올로기로 묘사했다. 그는 대니얼 패트릭 모이니한의 1965년 저서 《흑인 가족: 국가적 행동의 경우》(일반적으로 모이니한 보고서로 불림)에 반박하기 위해 이 책을 썼다.
피해자 비난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윌리엄 라이언은 1971년 저서 『피해자 비난』에서 이 용어를 만들었다.[5] 그는 이 책에서 피해자 비난을 인종차별과 사회 부조리를 아프리카계 미국인에 대해 정당화하는 데 사용되는 이데올로기로 묘사했다. 라이언은 대니얼 패트릭 모이니한의 1965년 저서 『흑인 가족: 국가적 행동의 경우』(일반적으로 모이니한 보고서로 불림)에 반박하기 위해 이 책을 썼다.[6]
1947년 테오도어 아도르노는 "피해자 비난" 현상을 "파시즘적 성격의 가장 사악한 특징 중 하나"로 정의했다.[12][13]
3. 원인
라이언은 모이니한이 흑인 미국인의 고통의 근본 원인을 아버지가 거의 또는 전혀 존재하지 않고 어머니가 자녀를 부양하기 위해 종종 정부 지원에 의존하는 가족 구조에서 찾았다는 것에 반대했다. 라이언은 모이니한의 이론을 빈곤 책임을 사회 구조적 요인에서 가난한 사람들의 행동과 문화 패턴으로 돌리려는 시도로 보았다.[10][11]
1947년 테오도어 아도르노는 "피해자 비난" 현상을 "파시즘적 성격의 가장 사악한 특징 중 하나"로 정의했다.[12][13] 이후 아도르노와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의 다른 세 명의 교수는 ''권위주의적 성격''(1950)에 ''F척도''(F는 파시스트를 의미)를 발표했는데, 여기에는 파시스트적 특성 중 "차별받거나 약한 모든 것에 대한 경멸"이 포함되었다.[14] 피해자 비난의 전형적인 표현은 "그럴 만했다"라는 말이다.[15]
이차 피해는 개인과 기관의 반응을 통해 피해자가 다시 심리적 외상을 겪는 것이다. 이차 피해에는 피해자 비난, 피해자의 이야기를 믿지 않기, 공격의 심각성을 최소화하기, 의료진 등의 부적절한 치료 등이 있다.[17]
성폭력 피해자는 강간 신화에 근거한 낙인을 경험할 수 있다. 여성 강간 피해자는 성과 성에 관한 강력한 관습과 금기가 있는 부계 사회에서 특히 사회적 낙인을 받는다. 2009년 "대인 폭력 저널"에 게재된 남성 성폭력 피해자 연구는 남성 강간 피해자 비난이 남성성에 대한 사회적 구성 때문에 이루어진다고 결론짓고 있다.[23][24]
3. 1. 공정 세상 가설
공정 세상 가설은 사람들이 세상이 공정하고 정의롭다고 믿고 싶어하는 경향을 말한다. 이러한 믿음은 피해자가 불행한 일을 당한 것은 그럴 만한 이유가 있기 때문이라는 생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는 사람들이 올바르게 행동함으로써 피해자가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1960년대 멜빈 J. 레르너를 시작으로 현대 사회 심리학의 주제가 되었다.[16]
공정 세상 가설을 신봉하는 사람들은 피해 보상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피해 회복을 기대할 수 없는 경우, 피해자에 대한 공격과 비난을 더욱 강화하는 경향이 있다.[73] 그로 인해 피해자는 더욱 고통받고 악순환에 빠지며, 법적으로 "공정한 세상 가설을 신봉하는 사람"에게 벌이 내려지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발생한다.
3. 2. 근본적인 귀인 오류
근본적인 귀인 오류는 상황을 보지 않고 개인의 기질 등을 중시하는 귀인 편향이다.[76] 결과나 상황 등의 사실은 무시하고, 인종 차별이나 여성 차별 등의 고정관념으로 대체한다. 피해자와 가해자가 아는 사이인 경우, 강도 피해자보다 강간 피해자가 더 비난받기 쉽다는 경향이 있다.[76]
3. 3. 기타 요인
4. 유형
테오도어 아도르노는 1947년에 "피해자 비난"이라고 불리게 될 현상을 "파시즘적 성격의 가장 사악한 특징 중 하나"로 정의했다.[12][13] 1950년에는 아도르노와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의 세 명의 교수는 권위주의적 성격에서 F척도라는 성격 테스트를 개발했다.[14] 피해자 비난의 전형적인 표현은 "그럴 만했다"라는 관용구이며, 예를 들어 폭력이나 성폭력 피해자에 대해 "그녀가 자초했다"라고 말하는 것이다.[15]
공정 세상 가설은 사람들이 왜 피해자를 비난하는지에 대한 한 가지 설명으로 제시된다. 즉, 나쁜 일이 무작위적이고 부당하게 사람들에게 일어난다는 불편한 생각을 거부하면 피해자가 겪은 일에 합당한 행동을 했을 것이라는 그릇된 믿음이 생겨난다. 이것은 또한 사람들이 올바르게 행동함으로써 피해자가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1960년대 멜빈 J. 레르너를 시작으로 현대 사회 심리학의 주제가 되었다.[16]
이차 피해는 개인과 기관의 반응을 통해 피해자가 다시 심리적 외상을 겪는 것을 의미한다. 이차 피해의 유형에는 피해자 비난, 피해자의 이야기를 믿지 않기, 공격의 심각성을 최소화하기, 의료진 또는 기타 기관의 부적절한 외상 후 치료 등이 있다.[17] 이차 피해는 특히 약물 성폭력, 데이트 강간, 군 성폭력 및 미성년자 성폭행의 경우에 흔히 발생한다.
성폭력 피해자는 강간 신화에 근거한 낙인을 경험할 수 있다. 여성 강간 피해자는 성과 성에 관한 강력한 관습과 금기가 있는 부계 사회에서 특히 사회적 낙인을 받는다. 예를 들어, 사회는 여성 강간 피해자(특히 이전에 처녀였던 사람)를 "손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문화권의 피해자는 고립, 신체적 및 심리적 학대, 매춘부 비난, 공개적 굴욕 의식, 친구 및 가족으로부터의 외면, 결혼 금지, 이미 결혼한 경우 이혼, 심지어 명예 살인을 당할 수도 있다.[19]
2009년 "대인 폭력 저널"에 게재된 남성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연구는 남성 강간 피해자 비난이 일반적으로 남성성에 대한 사회적 구성 때문에 이루어진다고 결론짓고 있다.[23][24] 이러한 종류의 강간 사건의 일부 영향에는 남성성의 상실, 성적 지향에 대한 혼란, 그리고 남자가 해야 할 일에 실패했다는 느낌이 포함된다.[25] 원치 않는 성적 만남의 피해자는 일반적으로 우울증 또는 성폭력 특유의 PTSD인 강간 외상 증후군과 같은 심리적 문제를 겪는다.[25][26]
성폭력 여성 피해자에 대한 혐의의 한 예는 그들이 도발적인 옷을 입고 성 파트너를 적극적으로 유혹하려 했다는 것이다. 피해자에 대한 이러한 비난은 성적으로 노출이 심한 옷차림이 의도적인 구두 동의와 관계없이 성적 행위에 대한 동의를 전달한다는 가정에서 비롯된다.[27][28]
피해자 비난은 또한 성폭력 피해자가 알코올 섭취와 같이 ''저항하거나 동의를 거부하는 능력을 감소시키는 행위를 수행''하는 데 잘못이 있다고 판단될 때도 나타난다.[29] 피해자 옹호 단체와 의료 전문가는 젊은 성인에게 동의의 정의와 피해자 비난을 자제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하고 있다. 대부분의 기관은 적극적 동의의 개념을 채택했으며, 술에 취한 상태에서 성행위를 삼가는 것이 가장 안전한 선택이라는 점을 강조한다.[30]
법정에서 성폭력 피해를 주장하는 사람들의 신뢰도를 떨어뜨리기 위해, 변호인은 ''피고인의 개인적인 과거를 파고들 수 있으며'', 이는 피해자를 매우 불편하게 만들어 소송을 진행하지 않도록 하는 의도적인 효과를 가진 일반적인 관행이다. 이러한 인격 공격, 특히 문란함을 지적하는 것은 "고위험" 라이프 스타일(난잡함, 약물 사용)을 하는 여성은 강간의 진정한 피해자가 아니라는 주장을 한다.[34]
이상적인 피해자란 개인을 불리한 상황에 처하게 하는 피할 수 없는 상황으로 인해 피해자 지위를 부여받는 사람을 말한다. 노르웨이 범죄학 교수인 닐스 크리스티는 1980년대부터 이상적인 피해자 개념에 대해 이론을 세워왔다. 그의 연구에서 그는 두 가지 예를 제시하는데, 하나는 가족을 방문하고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공격을 받은 노부인이고, 다른 하나는 아는 사람에게 술집에서 공격을 받은 남자이다. 그는 노부인을 이상적인 피해자로 묘사하는데, 그 이유는 그녀가 그곳에 있는 것을 피할 수 없었고, 공격자를 몰랐으며, 공격자를 물리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남자는 술집에 가는 것을 피할 수 있었고, 공격자를 알고 있었으며, 더 젊고 남자였기 때문에 공격자를 물리칠 수 있었어야 했다.[32]
이상적인 피해자 이론을 성폭력 피해자에게 적용할 때, 종종 사법 절차는 이상적인 피해자를 공격에 저항하고 위험한 상황에서 주의를 기울이는 사람으로 정의하는데, 이는 이러한 그릇된 요구 사항을 없애기 위한 법 개혁에도 불구하고 이루어진다.[33]
이상적이거나 진정한 피해자로 간주되지 않는 피해자는 "고위험" 생활 방식을 영위하거나, 마약이나 알코올을 사용하거나, 문란하다고 인식되는 사람이다. 또한 공격자와 친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피해자도 이상적인 피해자로 간주되지 않는다. 이상적이지 않은 성폭력 피해자의 예는 매춘부인데, 그들이 고위험 생활 방식을 영위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행동이 성폭력 피해자의 주장의 신뢰성을 떨어뜨리거나, 이러한 행동과 연관성이 동의에 대한 잘못된 추정을 만들어낸다는 인식이 있다. 그런 다음, 공격에 대한 비난의 일부 또는 전부가 이러한 피해자에게 가해지며, 따라서 그들은 법원에 사건을 제시할 자격이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34]
5. 국제적 상황
피해자 비난은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며, 특히 특정 집단을 멸시하는 것이 사회적으로 용인되거나 권장되는 문화권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소말리아, 나이지리아, 남아시아, 중국 등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형태로 피해자 비난이 발생하고 있다.
서구 사회에서도 피해자 비난은 문제적인 현상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다. 2013년 로스앤젤레스 교육구는 중학교 교사에게 성폭력을 당한 14세 소녀를 비난하며, 피해자에게 학대 예방의 책임을 전가하는 주장을 펼쳤다. 그러나 법원은 교사에게 성폭력을 당한 미성년 학생은 해당 성폭력 예방에 대한 책임이 없다고 판결했다.[40]
5. 1. 소말리아
소말리아에서 성폭력 피해자들은 지속적으로 사회적 따돌림과 괴롭힘을 겪는다.[35] 14세 소녀 파티마는 납치 및 강간을 당한 후, 경찰에 의해 가해자와 함께 체포되었다. 가해자는 곧 풀려났지만, 파티마는 한 달 동안 구금되었고 그 기간 동안 교도관에게 지속적으로 강간당했다.[35]5. 2. 나이지리아
2016년 2월, 국제 경보(인터내셔널 알러트)와 유니세프는 나이지리아의 반군 단체 보코 하람에 의해 감금되었다가 풀려난 소녀들과 여성들이 종종 지역 사회와 가족에게 거부당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성폭력으로 태어난 그들의 아이들은 더욱 심한 차별을 겪었다.[36]5. 3. 남아시아
남아시아에서는 여성이 잘못했다고 생각되는 행동을 처벌하기 위해 산을 뿌리는 산 테러가 발생하며, 이는 피해자 비난의 한 예이다.[37] 예를 들어, 2005년 뉴델리에서 한 무리의 남성들이 16세 소녀가 한 남자의 접근을 유발했다고 믿고 그녀에게 산을 던졌다.[37]5. 4. 중국
중국 문화에서 피해자 비난은 종종 강간 범죄와 연관되어, 여성은 물리적 힘을 사용하여 강간에 저항해야 한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강간이 발생하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여성의 잘못으로 간주되고 그녀의 순결은 불가피하게 의심받게 된다.[38]5. 5. 미국
성폭력 사건에서 피해자의 옷차림이나 과거 행실을 문제 삼는 경우가 여전히 존재한다. 1938년, 마데라 트리뷴은 19세 레오나 플루트의 흉기 살인 사건을 보도하며 ''"어머니, 딸도 살인에 남자와 똑같은 책임이 있다고 비난"''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게재했다.[67] 피해자의 어머니는 딸이 술을 마시고 "여자 친구들과 밤을 보내기로 했는데 애무 파티에 갔다"는 사실을 알게 된 후 "딸을 죽인 소년에 대한 분노"가 누그러졌다고 한다.[67]5. 6. 독일
2016년 독일의 새해 전야 성폭행 사건 이후, 쾰른 시장 헨리에테 레커는 피해자를 비난하는 듯한 발언으로 거센 비판을 받았다. 그녀는 여성들에게 낯선 사람과 "팔 길이"를 유지하는 것을 포함한 행동 강령을 따르라고 요구했다.[57] 1월 5일 저녁까지 ''#einearmlänge'' ("팔 길이")는 트위터에서 독일의 인기 급상승 해시태그 중 하나가 되었다.[58] 레커는 이 사건에 대응하여 경찰과 위기 회의를 소집했다.[59][60] 레커는 가해자와 난민을 연관 짓는 것은 "전적으로 부적절하다"라고 말했다.[61]5. 7. 오스트레일리아
1989년 11월 3일, 오스트레일리아 뉴사우스웨일스 주 펀 베이 출신의 14세 소녀 리 레(Leigh Leigh)(본명: 리 레네 미어스)가 스톡턴 비치에서 열린 16세 소년의 생일 파티에 참석했다가 살해당했다. 리는 파티에서 돌아온 후 소년들에게 폭행당했고, 다음 날 아침 인근 모래 언덕에서 심한 생식기 손상과 두개골 함몰을 입은 나체 시신으로 발견되었다. 이 사건은 언론의 주목을 받았으나, 처음에는 성폭행과 살인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이후 파티에서의 부모 감독 부재, 마약 및 알코올, 리의 성적 취향에 더 집중하는 보도가 나오면서 피해자 비난의 사례로 언급되었다.[50]전 오스트레일리아 상원 의원 프레이저 애닝은 크라이스트처치 모스크 총격 사건에 대해 "무슬림 광신도"의 이민이 공격을 초래했으며, "무슬림이 오늘날 희생자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그들은 가해자"라고 발언하여, 51명의 무슬림 신도가 사망한 사건과 관련하여 피해자 비난 논란을 일으켰다.[53] 이 발언은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으며, 무신경하고 인종차별적이며 가해자의 견해에 동조한다는 비판을 받았다.[54][55]
5. 8. 이탈리아
2016년 애슐리 앤 올슨 살해 사건 보도는, 이탈리아에서 세네갈 이민자와의 성적 만남 중 살해된 미국인 피해자에 초점을 맞추어, 문화 간 만남에서 나타나는 피해자 비난에 집중했다.[62][63]5. 9. 인도
2012년 델리 집단 강간 사건 이후, 일부 인도 정부 관계자와 정치 지도자들은 피해자를 비난하는 발언을 했다.[64]2017년 8월, 인도 소셜 미디어에서는 #AintNoCinderella 해시태그가 유행했는데, 이는 피해자 비난에 대한 반응이었다. 바르니카 쿤두가 늦은 밤 귀가길에 두 남성에게 스토킹과 괴롭힘을 당한 후, 인도 인민당 부회장 람비르 바티는 쿤두가 늦은 시간에 혼자 외출한 것에 대해 어느 정도 잘못이 있다는 주장을 했다. 소셜 미디어 사용자들은 여성이 늦은 밤에 외출해서는 안 되며, 만약 외출한다면 어떤 식으로든 "자신이 당하는 것"이라는 주장에 이의를 제기했다.[65]
5. 10. 요르단
요르단 여성들은 히잡을 착용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성희롱 피해자로 비난받아 왔다.[66]6. 한국의 상황과 대응
한국 사회에서도 피해자 비난은 심각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성폭력, 가정폭력, 학교폭력 등에서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6. 1. 관련 사례
성폭력 피해자는 강간 신화에 의한 부당한 차별과 편견을 받을 수 있다.[83] 예를 들어, 강간을 당한 여성(특히 처녀의 경우)은 "상처를 입었다"고 여겨질 수 있다. 희생자는 고립되고, 신체적·정신적 학대, "부정한 여자다"라는 낙인, 공개적인 모욕, 친구나 가족과의 인연 끊김, 결혼 금지, 이혼 등의 피해를 입으며, 살해(명예 살인)당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많은 선진국에서도 여성 차별적인 풍습은 여전히 남아 있다.[84][85][86]성폭력 피해 여성에 대한 편견의 한 가지 예는, 노출이 심한 옷을 입은 여성은 적극적으로 남성을 유혹하고, 도발적인 복장이 남성의 성적 공격성을 자극했다는 생각이다. 피해자에 대한 이러한 비방은, 말에 의한 여성의 의사 표시와 관계없이, 노출이 심한 복장이 성행위에 대한 동의를 의미한다는 생각에서 비롯된다.[87][88]
6. 2. 대응
최근 몇 년 동안, 피해자 비난 문제는 널리 인식되었다. 특히 페미니즘의 맥락에서 여성들이 종종 괴롭힘을 조장하는 행동을 했다는 이유로 비난을 받는 경우가 두드러진다.7. 대책
피해자 비난은 명예훼손죄, 모욕죄 등 법적인 문제가 될 수 있다.[100] 피해자학 연구는 피해자에게 책임이 있다는 인식을 줄이려고 노력하고 있다.[101]
대책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Victim Blaming
http://crcvc.ca/docs[...]
2018-08-31
[2]
논문
Blaming the Victim and Exonerating the Perpetrator in Cases of Rape and Robbery: Is There a Double Standard?
https://publishup.un[...]
2011-06
[3]
간행물
'The Gay/Trans Panic Defense: What It is, and How to End It'
https://www.american[...]
American Bar Association
2019-06
[4]
웹사이트
Gay and Trans Panic Defense
https://williamsinst[...]
The Williams Institute - UCLA School of Law
2016-09
[5]
서적
Blaming the Victim
https://archive.org/[...]
Pantheon Books
[6]
웹사이트
"(1965) The Moynihan Report: The Negro Family, the Case for National Action • BlackPast"
https://www.blackpas[...]
2007-01-21
[7]
논문
Does Reality Backbite? Physical, Verbal, and Relational Aggression in Reality Television Programs
2010-05-19
[8]
논문
The Impact of Electronic Media Violence: Scientific Theory and Research
2007-12
[9]
웹사이트
The Moynihan Report
https://www.theatlan[...]
2015-09-15
[10]
웹사이트
Illinois state U. archives
http://lilt.ilstu.ed[...]
[11]
서적
Blaming the Victim
https://archive.org/[...]
Vintage
[12]
논문
Wagner, Nietzsche and Hitler
1947
[13]
서적
Adorno and 'A Writing of the Ruins': Essays on Modern Aesthetics and Anglo-American Literature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997
[14]
서적
Adorno and the Political
Routledge
2006
[15]
서적
Encyclopedia of Domestic Violence
Taylor & Francis
2007
[16]
서적
Responses to Victimizations and Belief in a Just World
Plenum
[17]
논문
Secondary victimization of rape victims: insights from mental health professionals who treat survivors of violence
[18]
논문
A Qualitative Study Of Sexual Assault Survivors' Post-Assault Legal System Experiences
2019-05-27
[19]
웹사이트
Factsheets: Trauma of Victimization § Secondary injuries
http://svfreenyc.org[...]
2001
[20]
논문
Power in structured misogyny: Implications for the politics of care
[21]
논문
Male Hegemony through Education: Construction of Gendered Identities
[22]
서적
Beauty and Misogyny: Harmful Cultural Practices in the Wes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12-03
[23]
논문
Male Rape Victim and Perpetrator Blaming
2010-06
[24]
웹사이트
No Rape Victim, Male or Female, Deserves to Be Blamed
https://www.theatlan[...]
2013-07-08
[25]
논문
Sexual Preference, Gender, and Blame Attributions in Adolescent Sexual Assault
2011-09
[26]
서적
Sexualized Violence Against Women and Children: A Psychology and Law Perspective
Guilford Press
2004
[27]
논문
She Dresses to Attract, He Perceives Seduction: A Gender Gap in Attribution of Intent to Women's Revealing Style of Dress and its Relation to Blaming the Victims of Sexual Violence
https://vc.bridgew.e[...]
2010
[28]
논문
Sexy Dressing Revisited: Does Target Dress Play a Part in Sexual Harassment Cases?
2007
[29]
웹사이트
Don't blame women's drinking for rape
http://edition.cnn.c[...]
2013-11-06
[30]
웹사이트
Myths and Facts About Sexual Assault and Consent
https://www.stsm.org[...]
2015-11-16
[31]
논문
Stop Blaming the Victim: A Meta-Analysis on Rape Myths
2010-11
[32]
서적
The Ideal Victim
Macmillan Press
1986
[33]
논문
Rethinking Affirmative Consent in Canadian Sexual Assault Law: Neoliberal Sexual Subjects and Risky Women
https://ideaexchange[...]
2015-06-29
[34]
논문
Sexual Assault Law, Credibility, and 'Ideal Victims': Consent, Resistance, and Victim Blaming
2010-10
[35]
웹사이트
Rape victims are still being blamed for sexual violence in Somalia
https://www.independ[...]
2015-05-06
[36]
뉴스
Women freed from Boko Haram rejected for bringing 'bad blood' back home
https://www.theguard[...]
2016-02-16
[37]
웹사이트
Laxmi's Story
http://www.asfi.in/w[...]
2016-09-26
[38]
논문
Rape Myths and the Cross-Cultural Adaptation of the Illinois Rape Myth Acceptance Scale in China
2019-04
[39]
논문
"There Is Always an Excuse to Blame the Girl": Perspectives on Sexual Harassment at a Jordanian University
2022
[40]
웹사이트
JUDGE: School district 'wrong' to blame student for having sex with teacher EAGnews.org
http://eagnews.org/j[...]
2015-09-17
[41]
서적
Evil: Inside Human Violence and Cruelty
Holt
[42]
논문
Dress and sex: a review of empirical research involving human participants and published in refereed journals
2017-07-28
[43]
논문
Expanding the Definition of Provocative Dress: An Examination of Female Flashing Behavior on a College Campus
https://doi.org/10.1[...]
2007-04-01
[44]
서적
Criminal Behavior: Theories, Typologies and Criminal Justice
https://books.google[...]
2008
[45]
서적
Restorative Justice: Ideals and Realities
[46]
서적
Principles of Geographical Offender Profiling
[47]
학위논문
A Hopeful Rubicon: The Logic within Criminal Profiling
2015-05-07
[48]
서적
Jewish Resistance Against the Nazis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2014
[49]
웹사이트
Non-Islamic anti-Semitism in Europe
https://www.jewishpo[...]
Jewish Policy Center
2014-08-31
[50]
서적
Who Killed Leigh Leigh? A story of shame and mateship in an Australian town
Random House Australia
1998-07-24
[51]
간행물
"A Report into Youth Violence in New South Wales"
[52]
논문
Queer trepidations and the art of inclusion
https://doi.org/10.1[...]
2003
[53]
뉴스
Egg Boy speaks out on Fraser Anning: 'Tackled by bogans'
https://www.news.com[...]
2019-03-15
[54]
뉴스
Fury as Australian senator blames Christchurch attack on Muslim immigration
https://www.theguard[...]
2019-03-16
[55]
뉴스
Australian senator Fraser Anning punches teen after being egged
https://www.theguard[...]
2019-03-16
[56]
논문
"'Red mist' homicide: sexual infidelity and the English law of murder (glossing Titus Andronicus)"
2013
[57]
뉴스
Mayor of Cologne says women should have code of conduct to prevent future assault
https://www.independ[...]
2016-01-05
[58]
뉴스
Twitter storm as Cologne mayor suggests women stay at 'arm's length' from strangers
http://www.dw.com/en[...]
2016-01-05
[59]
뉴스
Stoning victim 'begged for mercy'
http://news.bbc.co.u[...]
BBC News
2008-11-04
[60]
뉴스
A 'new dimension' of sexual assault in Cologne
http://www.dw.com/en[...]
2016-01-05
[61]
뉴스
Cologne sex attacks: Merkel disgust at New Year gang assaults
https://www.bbc.co.u[...]
BBC News
2016-01-05
[62]
뉴스
The myth of the good victim: As an American facing street harassment abroad, I wondered what it meant to be a "good victim"
http://www.salon.com[...]
Salon.com
2016-03-25
[63]
뉴스
Ashley Olsen Didn't Deserve to Die, No Matter How Hard She Partied
https://www.thedaily[...]
2016-01-15
[64]
뉴스
Amid rape fiasco, India's leaders keep up insensitive remarks
https://www.washingt[...]
2013-01-04
[65]
뉴스
"#AintNoCinderella: Why Indian women are posting midnight photos"
https://www.bbc.com/[...]
BBC News
2017-08-09
[66]
논문
"There Is Always an Excuse to Blame the Girl": Perspectives on Sexual Harassment at a Jordanian University
2022
[67]
뉴스
Mother Blames Her Daughter Equally With Man For Murder
https://cdnc.ucr.edu[...]
1938-12-09
[68]
뉴스
Cleveland, Texas rape case: Defense attorney calls pre-teen victim a spider, but that's his job
http://www.slate.com[...]
2012-11-29
[69]
뉴스
NY Times Defends Victim Blaming Coverage of Child Rape Case
http://www.mediabist[...]
Mediabistro.com
2011-03-10
[70]
웹사이트
Si se quiere, la propia calle puede educar y proteger a la ciudadanía
https://ciudadesquec[...]
2022-05-24
[71]
웹사이트
Ciclismo urbano: "La culpa la tiene la víctima"
https://biciclub.com[...]
2020-03-30
[72]
웹사이트
In a city with rampant pedestrian and cycling crashes, cyclists are still blamed for their own deaths
https://nextstl.com/[...]
2022-04-22
[73]
웹사이트
Victim Blaming
http://crcvc.ca/docs[...]
2018-08-31
[74]
웹사이트
セクハラを受けて自分を責めた話
https://www.gentosha[...]
2019-01-26
[75]
웹사이트
声を封じる被害者たたき 「あなたが悪い」恐れる被害者
https://www.asahi.co[...]
2022-06-09
[76]
논문
Blaming the Victim and Exonerating the Perpetrator in Cases of Rape and Robbery: Is There a Double Standard?
https://doi.org/10.1[...]
2011-06
[77]
웹사이트
教師による「性暴力」はなぜ繰り返されるのか 朝日新聞記者が目の当たりにした“被害者たたき”の実態
https://dot.asahi.co[...]
2022-06-09
[78]
서적
Blaming the Victim
https://archive.org/[...]
[79]
논문
Wagner, Nietzsche and Hitler
1947
[80]
서적
Adorno and 'A Writing of the Ruins': Essays on Modern Aesthetics and Anglo-American Literature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997
[81]
서적
Adorno and the Political
Routledge
2006
[82]
서적
Encyclopedia of Domestic Violence
Taylor & Francis
2007
[83]
웹사이트
Factsheets: Trauma of Victimization, Secondary injuries
http://svfreenyc.org[...]
2022-05-28
[84]
논문
Power in structured misogyny: Implications for the politics of care
[85]
논문
Male Hegemony through Education: Construction of Gendered Identities
[86]
서적
Beauty and Misogyny: Harmful Cultural Practices in the Wes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12-03
[87]
논문
She Dresses to Attract, He Perceives Seduction: A Gender Gap in Attribution of Intent to Women's Revealing Style of Dress and its Relation to Blaming the Victims of Sexual Violence
https://vc.bridgew.e[...]
2010
[88]
논문
Sexy Dressing Revisited: Does Target Dress Play a Part in Sexual Harassment Cases?
2007
[89]
논문
被害者非難と加害者の非人間化――2種類の公正世界信念との関連――
https://doi.org/10.4[...]
日本心理学会
[90]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オンライン | National Diet Library Online
https://ndlonline.nd[...]
2022-05-21
[91]
웹사이트
Blaming the Victim: The Effects of Extraversion and Information Disclosure on Guilt Attributions in Cyberbullying
http://www.liebertpu[...]
2013-04
[92]
웹사이트
被害者への否定的評価に関する実験的研究--「いじめ」の被害者を中心として
https://iss.ndl.go.j[...]
1996-12
[93]
웹사이트
The Ideal Victim
https://doi.org/10.1[...]
Palgrave Macmillan UK
1986
[94]
웹사이트
What is 'second rape' and what can we do about it?
https://splinternews[...]
2022-05-21
[95]
웹사이트
Rape victims are still being blamed for sexual violence in Somalia
https://www.independ[...]
2015-05-06
[96]
뉴스
Women freed from Boko Haram rejected for bringing 'bad blood' back home
https://www.theguard[...]
2016-07-15
[97]
웹사이트
Laxmi's Story
http://www.asfi.in/w[...]
Acid Survivors Foundation India
2016-09-26
[98]
논문
Rape Myths and the Cross-Cultural Adaptation of the Illinois Rape Myth Acceptance Scale in China
2019-04
[99]
웹사이트
'JUDGE: School district ''wrong'' to blame student for having sex with teacher EAGnews.org'
http://eagnews.org/j[...]
2015-09-17
[100]
웹사이트
ネットではなぜ激しい争いが起こるか(心理学総合案内こころの散歩道)
http://www.n-seiryo.[...]
新潟青陵大学、著:碓井真史
2022-05-21
[101]
논문
Is Knowledge Power? The Effects of a Victimology Course on Victim Blaming
[102]
웹사이트
出版者から回収・差替えの要求があったとき
http://www.jla.or.jp[...]
2022-05-29
[103]
웹인용
Victim Blaming
http://crcvc.ca/docs[...]
2018-08-31
[104]
저널 인용
Is Knowledge Power? The Effects of a Victimology Course on Victim Blaming
2011-11
[105]
저널 인용
Blaming the Victim and Exonerating the Perpetrator in Cases of Rape and Robbery: Is There a Double Standard?
https://nbn-resolvin[...]
2011-06
[106]
논문
Secondary victimization of rape victims: insights from mental health professionals who treat survivors of violence
[107]
서적
The Ideal Victim
Macmillan Press
1986
[108]
논문
Rethinking Affirmative Consent in Canadian Sexual Assault Law: Neoliberal Sexual Subjects and Risky Women
https://ideaexchange[...]
2015-06-29
[109]
논문
Vulnerability after Wounding: Feminism, Rape Law, and the Differend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