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회 LG배 세계기왕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0회 LG배 세계기왕전은 2005년에 개최된 바둑 기전으로, LG배 최초로 32강을 도입했다. 결승에서는 구리 9단이 천야오예 5단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이는 구리의 세계대회 첫 우승이자 LG배 첫 우승이었다. 이 대회는 구리가 중국 기사 최연소 세계대회 우승 기록을 세우고, 천야오예가 세계대회 첫 결승에 진출하는 등 여러 특이사항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6년 바둑 - 8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
8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은 대한민국, 중국, 일본 3개국 대표 5명이 연승전 방식으로 겨루어 대한민국이 우승한 바둑 대회이다. - 2006년 바둑 - 25기 KBS 바둑왕전
25기 KBS 바둑왕전은 2005년부터 2006년까지 진행된 바둑 기전으로, 승자, 패자조 토너먼트 방식으로 변경되었으며, 총 28명의 기사가 참가하여 이세돌 9단이 최철한 9단을 2: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 LG배 세계기왕전 - 박정상
박정상은 2000년에 입단하여 2006년 후지쯔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며 9단으로 승단했고, 현재는 바둑 해설가로 활동한다. - LG배 세계기왕전 - 17회 LG배 세계기왕전
17회 LG배 세계기왕전은 2012년 4월 예선부터 2013년 2월 결승까지 진행된 국제 바둑 기전으로, 스웨가 우승하고 원성진이 준우승했으며, 일본 기사 전멸, 롄샤오 기권, 이창호의 17회 연속 본선 진출 등의 기록이 있었다.
10회 LG배 세계기왕전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제10회 LG배 세계기왕전 |
주최 | LG그룹 |
주관 | 한국기원 |
후원 | LG전자 |
일정 | |
본선 | 2005년 11월 21일 ~ 2006년 3월 22일 |
대국 장소 | |
16강전 및 8강전 | 일본 기후현 |
준결승전 | 대한민국 강원도 |
결승전 | 대한민국 서울 |
참가자 | |
참가 선수 | 이창호 최철한 박영훈 조훈현 송태곤 목진석 원성진 유창혁 고근태 저우쥔쉰 왕리청 창하오 구리 뤄시허 야마시타 케이고 하네 나오키 |
결과 | |
우승자 | 구리 |
준우승자 | 최철한 |
결승 결과 | 구리 3:2 최철한 |
2. 대회 개요
LG배 세계기왕전은 대한민국의 LG그룹이 후원하는 국제 바둑 기전이다. 1996년에 시작되어 매년 개최되고 있으며, 세계 최고 권위의 바둑 대회 중 하나로 꼽힌다. 10회 대회는 2005년 4월부터 2006년 3월까지 진행되었다.
10회 LG배 세계기왕전의 일정, 참가 선수, 대진 방식 등은 다음과 같다.
대회 일정
구분 | 내용 |
---|---|
2005년 4월 29일 ~ 5월 4일 | |
2005년 11월 7일 | |
2005년 11월 9일 | |
2006년 1월 9일 | |
2006년 1월 11일 | |
2006년 3월 21일 | |
2006년 3월 23일 | |
2006년 3월 25일 |
참가 선수
- 대한민국 (10명): 이창호 9단, 이세돌 9단, 최철한 9단, 박영훈 9단, 목진석 9단, 조한승 8단, 원성진 7단, 강동윤 5단, 박정상 5단, 고근태 4단
- 중국 (7명): 창하오 9단, 구리 9단, 왕레이 8단, 저우허양 9단, 왕시 5단, 왕야오 5단, 펑취안 5단
- 일본 (5명): 장쉬 9단, 요다 노리모토 9단, 야마다 기미오 9단, 미무라 도모야스 9단, 고노 린 7단
- 대만 (1명): 저우쥔쉰 9단
- 유럽 (1명): 알렉산드르 디너스타인
- 미국 (1명): 밍주
대진 방식
- 통합 예선: 2005년 4월 29일부터 5월 4일까지 진행. 194명이 참가하여 14장의 본선 티켓을 놓고 경쟁.
- 본선: 24강 토너먼트.
- 결승: 3번기.
기타
- 제한 시간: 각자 3시간, 초읽기 60초 5회.
- 덤: 6집 반.
3. 주요 참가 선수
주어진 소스에 10회 LG배 세계기왕전의 주요 참가 선수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이전 출력과 동일)
4. 대진표 및 결과
10회 LG배 세계기왕전은 32강전부터 결승전까지 진행되었다. 대한민국의 이세돌, 이창호를 비롯한 여러 나라의 바둑 기사들이 참가하여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32강전, 16강전, 8강전을 거쳐 4강전에서는 구리와 천야오예가 각각 승리하여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는 구리가 천야오예를 3:2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4. 1. 32강전
대진 | 승자 | 패자 |
---|---|---|
李世乭|이세돌중국어 | 이세돌 | 하네 나오키 |
山下敬吾|야마시타 게이고일본어 | 야마시타 | 창하오 |
김성룡 (바둑 기사)|김성룡한국어 | 김성룡 | 류싱 |
王煜辉|왕위후이중국어 | 왕위후이 | 김기용 |
周鹤洋|저우허양중국어 | 저우허양 | Стяжкина, Светлана|샤샤ru |
張栩|장쉬일본어 | 장쉬 | 쿵제 |
小林光一|고바야시 고이치일본어 | 고바야시 고이치 | 박병규 |
古力|구리중국어 | 구리 | 윤현석 |
陈耀烨|천야오예중국어 | 천야오예 | Yang Huiren|양후이런영어 |
이창호 (바둑 기사)|이창호한국어 | 이창호 | 왕시 |
박영훈 (바둑 기사)|박영훈한국어 | 박영훈 | 류스전 |
邱峻|추쥔중국어 | 추쥔 | 저우쥔쉰 |
박정상 (바둑 기사)|박정상한국어 | 박정상 | 위빈 |
罗洗河|뤄시허중국어 | 뤄시허 | 최명훈 |
蘇耀国|쑤야오궈일본어 | 쑤야오궈 | 최철한 |
朴文垚|퍄오원야오중국어 | 퍄오원야오 | 왕리청 |
4. 2. 16강전
대진 | 승자 | 패자 | 비고 |
---|---|---|---|
이세돌 | 하네 나오키 | ||
야마시타 게이고 | 창하오 | ||
김성룡 | 류싱 | ||
왕위후이 | 김기용 | ||
저우허양 | 알렉상드르 디네르슈타인 | ||
장쉬 | 쿵제 | ||
고바야시 고이치 | 박병규 | ||
구리 | 윤현석 | ||
천야오예 | 양후이런 | ||
이창호 | 왕시 | ||
박영훈 | 류스전 | ||
추쥔 | 저우쥔쉰 | ||
박정상 | 위빈 | ||
뤄시허 | 최명훈 | ||
쑤야오궈 | 최철한 | ||
퍄오원야오 | 왕리청 |
4. 3. 8강전
4. 4. 4강전
4. 5. 결승전
5. 특이사항
- LG배 최초로 32강이 도입되었다.
- 구리는 세계대회 첫 우승이자, LG배 첫 우승을 달성했다.
- 구리는 당시 중국 기사 중 최연소 세계대회 우승 기록을 세웠으나, 후에 퍄오원야오가 이 기록을 경신했다.
- 천야오예는 세계대회 첫 결승에 진출했다.
- LG배 사상 처음으로 중국 기사 간 결승 대결이 성사되었다.
- 한국은 2년 연속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 이세돌은 LG배에서 네 번째로 4강에 진출했다.
- 장쉬가 16강에서 탈락하면서 LG배 연속 우승 불가 징크스가 이어졌다.
- 퍄오원야오는 세계대회 첫 4강 진출을 기록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