뤄시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뤄시허는 중국의 바둑 기사로, 6세에 바둑을 시작하여 1989년 프로에 입단했다. 2006년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에서 이창호를 꺾고 세계 대회 첫 우승을 차지했으며, 이는 중국 기사 최초의 삼성화재배 우승이자 이창호가 세계 선수권 결승에서 외국 기사에게 패한 첫 번째 사례였다. 주요 기전으로는 NEC배, CCTV배, 전국 바둑 개인전 우승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헝양시 출신 - 류위신 (배우)
중국 배우이자 프로듀서인 류위신은 2009년 영화 《뮬란》으로 데뷔 후 드라마 《보보경심》 출연으로 주목받았으며, 《삼생삼세 침상서》, 영화 《엄마》 등의 작품 활동과 프로듀서로서도 활동하는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하고 있다. - 헝양시 출신 - 왕부지
왕부지는 명나라 말기, 청나라 초기의 사상가로, 반청 운동에 참여하고 독창적인 철학 체계를 구축하여 실학 사상과 개량파, 혁명파에 영향을 미쳤다. - 후난성 출신 - 마오안잉
마오안잉은 마오쩌둥의 장남으로 소련 유학 및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후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전사했으며, 그의 죽음은 논란을 낳았고 중국과 북한에서 기리는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 후난성 출신 - 우씽
중국의 남성 음악가 우씽은 2018년 가족과 함께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하며 데뷔, 2020년 "명일지자 슈퍼밴드"에서 뛰어난 실력을 보인 후 은하계악단으로 데뷔하여 활동 중이며, 캐나다 요크 대학교 미디어 전공을 중단하고 음악에 전념하고 있다. - 중국의 바둑 기사 - 커제
커제는 중국 저장성 출신의 바둑 기사로, 2008년 프로 입단 후 국내외 바둑 대회에서 다수 우승하며 세계적인 기사로 인정받았고, 알파고와의 대결과 몽백합배, 삼성화재배, 백령배 등 국제 대회 우승 경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칭화대학교 졸업 후 프로 기사와 사회 활동을 병행하고 있다. - 중국의 바둑 기사 - 오청원
중국 출신 바둑 기사 오청원은 20세기 최고의 기사 중 한 명으로, 신포석 창안, 십번기 압승, 본인방 슈사이와의 명승부 등 바둑사에 큰 족적을 남겼으며 그의 이론과 철학은 현대 바둑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뤄시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77년 11월 23일 (46세) |
출생지 | 후난성, 중국 |
거주지 | 중국 |
9단 승단 | 1989년 |
사범 | 마샤오춘 |
소속 | 중국 바둑 협회 |
중국어 (간체) | 罗洗河 |
중국어 (정체) | 羅洗河 |
병음 | Luó Xǐhé |
개인 정보 | |
이름 | 뤄시허 |
2. 경력
뤄시허는 6세에 바둑을 배우기 시작하여 1989년 12세에 프로 기사가 되었다. 어린 시절부터 뛰어난 재능으로 주목받았으며, 중국 위기 협회의 지능 검사에서 동료 기사들보다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프로 초기에는 1994년과 1997년 두 차례 명인전 도전자로 마샤오춘에게 패해 준우승했고, 1994년 신수배, 1995년 상화배 전국소년전, 2000년 전국 위기 개인전, 2001년 NEC배 등 국내 기전에서 우승하며 경력을 쌓았다.
국제 무대에서는 2002년 농심 신라면배 3연승, 제7회 삼성화재배 8강 진출 등의 성과를 냈고, 같은 해 9단으로 승단했다. 2003년에는 춘란배 3위를 기록했다.
그의 경력 정점은 2006년 제10회 삼성화재배 우승이다. 예선을 통과한 후 본선에서 조한승, 송태곤, 이세돌, 최철한 등 한국의 강자들을 연파하고 결승에 올라, 당시 세계 최강 이창호 9단에게 2-1로 승리하며 생애 첫 세계 타이틀을 획득했다.[2] 이는 중국 기사 최초의 삼성화재배 우승이자, 세계 기전 결승에서 외국 기사에게 무패였던 이창호에게 첫 패배를 안긴 기록적인 사건으로 평가받는다. 같은 해 CCTV배에서도 우승했다.[2]
중국 바둑 기사 랭킹에서는 1999년 4위, 2006년 9위를 기록했으며, 2003년 동료 기사 량야디 2단과 결혼했다.
2. 1. 주요 경력
뤄시허는 6세에 바둑을 배우기 시작하여 베이징에서 국가대표팀 코치 뤄젠원의 제자가 되었고, 10세에 국가 소년 바둑팀에 들어갔다. 녜웨이핑의 집에서 제자처럼 생활하기도 했다. 1989년, 12세의 나이로 프로 초단이 되었다. 중국 위기 협회가 80년대 후반에서 90년대 초반 젊은 프로 기사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지능 검사에서 창하오, 저우허양, 사오웨이강, 왕레이 등 동료들보다 높은 점수를 받아 일찍부터 재능을 인정받았다.1990년 전국 청소년 바둑 선수권 B조 2위를 차지했고, 1993년에는 세계 청소년 바둑 선수권 대회 청년조에서 준우승했다. 1994년, 16세의 나이로 중국 명인전과 십강전 리그에 진출했으며, 명인전에서는 도전자 결정전까지 올랐으나 마샤오춘 명인에게 2-3으로 패배하여 준우승에 머물렀다. 같은 해 신수배에서는 우승을 차지했다. 1995년에는 상화배 전국소년전에서 우승했다. 1997년 다시 명인전 도전자가 되었지만 마샤오춘에게 1-3으로 패배하며 준우승했고, 같은 해 전국 바둑 개인전에서는 5위를 기록했다. 1998년에는 신인왕전에서 준우승했다.
2000년에는 전국 위기 개인전에서 우승했고, CCTV배에서는 준우승했다. 2001년 NEC배에서 우승하며 첫 주요 국내 타이틀을 획득했다. 2002년에는 농심 신라면배 대표로 출전하여 3연승을 거두는 활약을 펼쳤고, 그 해 9단으로 승단했다. 또한 제5회 춘란배 16강, 제7회 삼성화재배 8강에 진출했으며, 삼성화재배 8강에서는 조훈현에게 패했다. 2003년에는 춘란배 3위에 올랐다.
2006년은 뤄시허에게 최고의 해였다. 제10회 삼성화재배에서 예선을 통과한 뒤 본선에서 조한승, 송태곤, 이세돌, 최철한 등 한국의 강자들을 연파하고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 3번기에서는 당시 세계 최강으로 꼽히던 이창호 9단에게 2승 1패로 승리하며 생애 첫 세계대회 우승을 차지했다.[2] 이는 중국 기사 최초의 삼성화재배 우승이었으며, 세계대회 결승전에서 외국 기사에게 패배한 적이 없던 이창호에게 첫 패배를 안긴 기록적인 사건으로 중국 내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같은 해 CCTV배에서도 우승했다.[2]
이후에도 꾸준히 활동하며 2007년 육대차산배전 우승, 2010년 구호배 위기 국수 초청전 준우승, 리코배 위기 혼쌍전 우승(장쉬안과 페어) 등의 성적을 거두었다. 중국 바둑 기사 랭킹에서는 1999년 4위, 2006년 9위를 기록했으며, 중국 위기 갑급 리그전에도 다년간 참가했다.
'''주요 기전 성적'''
구분 | 대회명 | 연도 | 성적 | 비고 |
---|---|---|---|---|
국제 기전 (우승) | 삼성화재배 | 2006 | 우승 | 결승 상대: 이창호 (2-1)[2] |
농심 신라면배 | 2001 | 우승전 진출 | 조치훈에게 0-2 패 | |
농심 신라면배 | 2002 | 3연승 | 대표 (최종 성적: 3승 1패) | |
국제 기전 (기타) | 세계 청소년 바둑 선수권 대회 | 1993 | 준우승 | 청년부 |
삼성화재배 | 2002 | 8강 | ||
춘란배 | 2003 | 3위 | ||
춘란배 | 2002 | 16강 | ||
LG배 세계기왕전 | 2002 | 8강 | ||
국내 기전 (우승) | 신수배 | 1994 | 우승 | |
상화배 전국소년전 | 1995 | 우승 | ||
성설융배 기왕전 | 1998 | 우승 | ||
전국 위기 개인전 | 2000 | 우승 | ||
NEC배 | 2001 | 우승 | ||
CCTV배 | 2006 | 우승 | [2] | |
육대차산배전 | 2007 | 우승 | ||
리코배 위기 혼쌍전 | 2010 | 우승 | 장쉬안과 페어 | |
국내 기전 (준우승) | 명인전 | 1994, 1997 | 준우승 | 도전자, 상대: 마샤오춘 |
신인왕전 | 1998 | 준우승 | ||
CCTV배 | 2000 | 준우승 | ||
아함·동산배 | 2006 | 준우승 | ||
구호배 위기 국수 초청전 | 2010 | 준우승 |
2. 2. 기타 경력
뤄시허는 후난성 헝양 시 출신으로, 6세에 바둑을 배우기 시작했다. 이후 베이징으로 가 국가대표팀 코치였던 뤄젠원의 제자가 되었으며, 10세에는 국가 소년 바둑팀에 들어갔다. 녜웨이핑의 집에서 제자처럼 생활하기도 했고, 1984년 후지사와 히데유키가 중국을 방문했을 때는 7점 접바둑으로 지도 대국을 두었다. 1989년 12세의 나이로 프로에 입단했다. 2003년에는 동료 바둑 기사인 량야디 2단과 결혼했다. 중국 바둑 기사 랭킹에서는 1999년 4위, 2006년 9위를 기록했다.2. 2. 1. 국제 기전
연도 | 대회 | 성적 | 비고 |
---|---|---|---|
1993 | 세계 청소년 바둑 선수권 대회 | 청년조 준우승 | |
1996 | 진로배 SBS 세계 바둑 최강전 | 본선 1국 패 | vs 최규병 |
2000 | 농심 신라면배 세계 바둑 최강전 | 본선 1승 1패 | vs 구도 노리오 승, vs 김영삼 패 |
2001 | 한중 슈퍼 바둑 | 준우승 | vs 조치훈 0-2 패 |
2002 | 제5회 춘란배 | 16강 | |
LG배 세계기왕전 | 8강 | ||
제7회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 | 8강 | vs 조훈현 패 | |
농심 신라면배 세계 바둑 최강전 | 본선 3연승 후 패 | vs 최철한, 야마시타 게이고, 최규병 승, vs 나카노 히로야 패 | |
2003 | 춘란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 3위 | |
농심 신라면배 세계 바둑 최강전 | 본선 9국 패 | vs 이창호 | |
2004 | 제9회 삼성화재배 | 16강 | |
농심 신라면배 세계 바둑 최강전 | 대표 참가 | ||
2005 | 농심 신라면배 세계 바둑 최강전 | 본선 1승 1패 | vs 조치훈 승, vs 이창호 패 |
2006 | 제10회 삼성화재배 | 우승 | vs 이창호 2-1 승 (중국 기사 최초 우승) |
제3회 도요타덴소배 | 32강 | ||
제11회 삼성화재배 | 16강 | ||
강원랜드배 중한 바둑 대항전 | 본선 패 | vs 안조영 |
뤄시허는 1993년 세계 청소년 바둑 선수권 대회 청년부에서 준우승하며 국제 무대에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1996년 진로배 SBS 세계 바둑 최강전에 중국 대표로 출전했으나 최규병에게 패배했다.
2000년대 들어 국제 기전에서 점차 두각을 나타냈다. 2000년 농심 신라면배 세계 바둑 최강전에서는 일본의 구도 노리오를 꺾었으나 한국의 김영삼에게 패했다. 2001년에는 NEC배 우승자 자격으로 한중 슈퍼 바둑에 출전했지만 조치훈에게 0-2로 패했다.
2002년은 뤄시허에게 중요한 해였다. 제5회 춘란배 16강, LG배 세계기왕전 8강에 진출했으며, 특히 제7회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 8강에서는 당시 우승자였던 조훈현을 상대로 명승부를 펼쳤으나 아쉽게 패배했다. 이 경기는 조훈현의 극적인 역전승으로 회자된다. 같은 해 농심 신라면배 세계 바둑 최강전에서는 최철한, 야마시타 게이고, 최규병을 연파하며 3연승을 거두었으나 일본의 나카노 히로야에게 패배하여 연승 행진을 마감했다. 이러한 활약으로 2002년 9단으로 승단했다. 2003년에는 춘란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에서 3위를 차지했다.
이후 몇 년간 삼성화재배 16강(2004년, 2006년), 도요타덴소배 32강(2006년) 등에 진출하며 꾸준히 국제 기전에 참가했으나, 이전만큼의 인상적인 성적을 거두지는 못했다. 농심 신라면배 세계 바둑 최강전에도 꾸준히 중국 대표로 출전하여 2003년과 2005년에는 이창호에게 패배하기도 했다.
뤄시허의 바둑 인생에서 가장 빛나는 순간은 2006년 제10회 삼성화재배 우승이다. 예선부터 시작하여 본선에 오른 뤄시허는 32강에서 조한승, 16강에서 송태곤, 8강에서 당시 디펜딩 챔피언이자 강력한 우승 후보였던 이세돌을 차례로 꺾었다. 특히 이세돌과의 대국에서는 초반부터 우위를 점하며 압도적인 내용으로 승리하여 큰 주목을 받았다. 준결승에서는 최철한마저 제압하고 생애 첫 국제 기전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 상대는 세계 최강으로 군림하던 이창호였다. 뤄시허는 결승 3번기에서 이창호를 2-1로 꺾고 마침내 세계 정상에 올랐다. 이는 중국 기사 최초의 삼성화재배 우승이었으며, 국제 기전 결승에서 무패 행진을 이어가던 이창호에게 첫 패배를 안긴 사건으로 기록되었다. 중국 언론은 이를 "중국 바둑계 20년 역사상 가장 빛나는 사건"으로 평가했다.[2]
이 외에도 중일 바둑 결전 (1992년), 강원랜드배 중한 바둑 대항전 (2006년) 등 다양한 국제 교류전에 참가했다.
2. 2. 2. 국내 기전
뤄시허는 다양한 중국 국내 기전에서 활약하며 여러 차례 우승과 준우승을 기록했다. 주요 성적은 다음과 같다.연도 | 기전명 | 성적 | 비고 |
---|---|---|---|
1990년 | 전국 청소년 바둑 선수권 | B조 2위 | |
1994년 | 명인전 | 준우승 (도전자) | 마샤오춘에게 2-3 패 |
1994년 | 신수배 | 우승 | |
1995년 | 상화배 전국소년전 | 우승 | |
1997년 | 명인전 | 준우승 (도전자) | 마샤오춘에게 1-3 패 |
1997년 | 전국 바둑 개인전 | 5위 | |
1998년 | 신인왕전 | 준우승 | |
1998년 | 성설융배 기왕전 | 우승 | |
1999년 | 기성전 | 6단전 우승 | |
2000년 | 전국 위기 개인전 | 우승 | |
2000년 | CCTV배 | 준우승 | |
2001년 | NEC배 | 우승 | |
2006년 | 초상은행배(CCTV배) | 우승[2] | |
2006년 | 아함 동산배 | 준우승 | |
2007년 | 대향림배 중국 바둑 슈퍼 쟁패전 | 우승 | |
2007년 | 육대차산배전 | 우승 | |
2009년 | 전국 지력 운동회 | 남자 단체전 3위 | 베이징 팀 소속 |
2009년 | 전국 지력 운동회 | 남자 개인 속기전 3위 | |
2010년 | 구호배 위기 국수 초청전 | 준우승 | |
2010년 | 리코배 위기 혼쌍전 | 우승 | 장쉬안과 페어 |
또한 중국 위기 갑급 리그전에서도 여러 팀 소속으로 꾸준히 활동했다.
연도 | 소속팀 | 성적 |
---|---|---|
1999년 | 충칭 건설 모터 | 2승 2패 |
2000년 | 중신대삼원 | 16승 6패 |
2001년 | 중신대삼원 | 8승 8패 |
2002년 | 중신대삼원 | 11승 8패 |
2003년 | 베이징 대흥 흥창 | 15승 7패 |
2004년 | 베이징 신흥 부동산 | 15승 7패 |
2005년 | 베이징 신흥 부동산 | 14승 7패 |
2006년 | 베이징 신흥 부동산 | 13승 9패 |
2007년 | 신흥 부동산 | 11승 10패 |
2008년 | 신흥 부동산 | 7승 14패 |
2009년 | 신흥 부동산 | 11승 11패 |
2010년 | 랴오닝 국화도 | 11승 8패 |
2011년 | 다롄 상방 헝 | 4승 9패 |
2012년 | 다롄 상방 (을급) | 2승 5패 |
뤄시허는 6세에 바둑을 배우기 시작하여 1989년 12세의 나이로 프로에 입단했다. 어린 시절부터 뛰어난 재능을 보여 중국 위기 협회가 실시한 지능 검사에서 창하오, 저우허양, 사오웨이강, 왕레이 등 동료 기수들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다. 프로 입단 후 국내 기전에서 꾸준히 성적을 냈으며, 2002년 9단으로 승단했다.
3. 생애 및 활동
국제 무대에서는 제7회 삼성화재배(2002년) 8강에 진출하는 등의 활동을 보였다. 그의 경력에서 가장 큰 성과는 2006년 제10회 삼성화재배 우승이다. 이 대회에서 그는 조한승, 송태곤, 이세돌, 최철한 등 한국의 강자들을 연파하고 결승에 올라, 당시 세계 최강으로 불리던 이창호를 2-1로 꺾고 생애 첫 세계 대회 타이틀을 획득했다. 이는 삼성화재배 역사상 중국 기사의 첫 우승이었으며, 세계 대회 결승에서 외국 기사에게 패배한 적 없던 이창호에게 첫 패배를 안긴 기록으로, 중국 내에서는 "중국 바둑계 20년 역사상 가장 빛나는 사건"으로 평가받았다. 중국 바둑 기사 랭킹에서는 1999년 4위, 2006년 9위를 기록했다.
3. 1. 유년 시절 및 프로 입단
뤄시허는 중국 후난성 헝양 시 출신으로, 6세에 바둑을 배우기 시작했다. 이후 베이징으로 가서 국가대표팀 코치였던 뤄젠원의 제자가 되었으며, 10세에는 국가 소년 바둑팀에 선발되었다. 어린 시절에는 녜웨이핑의 집에서 제자처럼 생활하기도 했고, 1984년 후지사와 히데유키가 중국을 방문했을 때는 그에게 일곱 점을 놓고 지도 대국을 두는 기회를 가졌다.
중국 위기 협회는 1980년대 후반에서 1990년대 초반에 걸쳐 젊은 프로 기사들을 대상으로 지능 검사를 실시했는데, 뤄시허는 창하오, 저우허양, 사오웨이강, 왕레이 등 동료 기사들보다 높은 점수를 받아 일찍부터 재능을 인정받았다.
1989년, 12세의 나이로 프로에 입단하였다. 프로 입단 초기인 1990년에는 전국 청소년 바둑 선수권 B조에서 2위를 차지했고, 1993년에는 세계 청소년 바둑 선수권 대회 청년조에서 준우승하며 가능성을 보였다. 1994년, 16세의 나이로 명인전과 십강전 리그에 진출하는 성과를 냈으며, 특히 명인전에서는 도전자가 되었지만 당시 명인이었던 마샤오춘에게 2승 3패로 아쉽게 패배했다. 같은 해 신수배에서는 우승을 차지했다.
이후 전국 바둑 개인전에서는 1997년 5위를 기록했고, 1998년에는 다시 명인전 도전자가 되었지만 또다시 마샤오춘에게 1승 3패로 패배하여 타이틀 획득에는 실패했다. 2000년에는 전국 바둑 개인전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2001년에는 NEC배에서 우승하여 한중 슈퍼 바둑에 출전했으나, 조치훈에게 0승 2패로 패했다.
2002년에는 농심 신라면배에서 3연승을 거두는 활약을 펼쳤고, 같은 해 9단으로 승단했다. 2003년에는 량야디 2단과 결혼했다. 비록 어린 시절부터 재능을 인정받았지만, 이 시기까지는 국내외 주요 기전에서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3. 2. 프로 활동 및 전성기
뤄시허는 6세에 바둑을 배우기 시작하여 베이징에서 국가대표팀 코치 뤄젠원의 제자가 되었고, 10세에 국가 소년 바둑팀에 들어갔다. 녜웨이핑의 집에서 제자처럼 생활하기도 했으며, 1984년 후지사와 히데유키 방중 시에는 일곱 점을 놓고 지도 대국을 두었다. 1989년 12세의 나이로 프로에 입단했다. 중국 위기 협회는 1980년대 후반에서 90년대 초반, 창하오, 저우허양, 사오웨이강, 왕레이 등 젊은 프로 기사들을 대상으로 지능 검사를 실시했는데, 뤄시허는 이들 중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아 일찍부터 재능을 인정받았다.
프로 초기에는 여러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나, 주요 타이틀 획득에는 이르지 못했다. 1993년 세계 청소년 바둑 선수권 대회 청년조 준우승을 차지했고, 1994년 16세의 나이로 명인전과 십강전 리그에 진출했다. 명인전에서는 도전자가 되었지만 마샤오춘에게 2-3으로 패해 준우승에 머물렀다. 같은 해 신수배에서는 우승을 차지했다. 1997년 전국개인전 5위를 기록했고, 1998년에도 명인전 도전자가 되었지만 다시 마샤오춘에게 1-3으로 패배하여 준우승했다.
2000년대 들어서도 꾸준히 활동하며 성과를 냈다. 2000년 전국 바둑 개인전에서 우승했고, 2001년 NEC배에서도 우승하여 한중 슈퍼 바둑에 출전했으나, 조치훈에게 0-2로 패했다. 2002년에는 농심 신라면배 대표로 출전하여 3연승을 거두었고, 같은 해 9단으로 승단했다. 또한 제5회 춘란배 16강에 진출했다. 제7회 삼성화재배에서는 8강에 진출하여 조훈현과 명승부를 펼쳤으나 패배했다. 2003년에는 량야디 2단과 결혼했다. 2004년에는 제9회 삼성화재배 16강에 올랐고, 제6회 농심 신라면배 대표로도 활약했다. 2005년에는 명인전 도전 결정전에 진출했다.
뤄시허의 프로 경력 중 가장 빛나는 순간은 2006년 제10회 삼성화재배 우승이다. 예선 라운드를 통과하여 본선에 진출한 그는 32강에서 조한승, 16강에서 송태곤을 차례로 꺾었다. 8강에서는 당시 강력한 우승 후보이자 디펜딩 챔피언이었던 이세돌을 만났다. 뤄시허는 초반부터 우위를 점하며 이세돌의 실수를 유도했고, 결국 이세돌의 기권승을 거두며 준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에서는 최철한을 꺾고 결승에 올랐다. 결승 상대는 세계 최강으로 불리던 이창호였다. 뤄시허는 결승 3번기에서 이창호에게 2-1로 승리하며 생애 첫 세계 대회 우승컵을 안았다. 이는 삼성화재배 역사상 중국 기사의 첫 우승이었으며, 세계 대회 결승에서 외국 기사에게 패배한 적이 없던 이창호에게 첫 패배를 안긴 사건이었다. 이 우승은 중국 내에서 "중국 바둑계 20년 역사상 가장 빛나는 사건"으로 평가받으며 큰 반향을 일으켰다. 같은 해 제3회 도요타덴소배 32강, 제11회 삼성화재배 16강에도 진출했다.
중국 바둑 기사 랭킹에서는 1999년 4위, 2006년 9위를 기록했다.
연도 | 대회 | 성적 |
---|---|---|
1990년 | 전국 청소년 바둑 선수권 B조 | 준우승 |
1993년 | 세계 청소년 바둑 선수권 대회 청년조 | 준우승 |
1994년 | 제7회 명인전 | 준우승 (대 마샤오춘 2:3) |
1994년 | 신수배 | 우승 |
1997년 | 전국개인전 | 5위 |
1998년 | 제10회 명인전 | 준우승 (대 마샤오춘 1:3) |
2000년 | 전국 바둑 개인전 | 우승 |
2001년 | NEC배 | 우승 |
2002년 | 제5회 춘란배 | 16강 |
2002년 | 제7회 삼성화재배 | 8강 |
2002년 | 농심 신라면배 | 3연승 (중국 대표) |
2004년 | 제9회 삼성화재배 | 16강 |
2004년 | 제6회 농심 신라면배 | 중국 대표 |
2005년 | 명인전 | 도전 결정전 진출 |
2006년 | 제10회 삼성화재배 | 우승 (대 이창호 2:1) |
2006년 | 제3회 도요타덴소배 | 32강 |
2006년 | 제11회 삼성화재배 | 16강 |
3. 3. 이창호와의 대결
2006년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에서 뤄시허는 한국의 강자들을 연이어 꺾으며 결승에 진출했다. 그는 조한승, 송태곤, 이세돌, 최철한을 차례로 이겼다. 결승 3번기에서는 당시 세계 최강으로 평가받던 이창호 9단과 맞붙었다. 뤄시허는 이창호에게 2-1로 승리하며 생애 첫 세계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이 우승은 여러 가지 의미를 가졌다. 우선, 삼성화재배 역사상 중국 기사가 처음으로 우승한 사례였다. 또한, 이전까지 세계 선수권 결승에서 외국 기사에게 한 번도 패한 적이 없었던 이창호에게 첫 패배를 안긴 기록이기도 했다. 이러한 이유로 중국 내에서는 이 사건을 "중국 바둑계 20년 역사상 가장 빛나는 사건"이라고 평가하며 크게 보도했다.
참조
[1]
웹사이트
Player Profile for Luo Xihe
http://www.gogamewor[...]
2010-02-13
[2]
뉴스
News: Luo Xihe Takes Chinese CCTV Cup
https://web.archive.[...]
American Go Association
2006-07-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