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93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093년은 각국의 연호, 기년, 사건, 출생, 사망 등을 다루는 해이다. 주요 사건으로는 키예프의 대공 스뱌토폴크 2세의 사망, 스투그나 강 전투, 노르웨이 왕 올라프 3세의 사망, 캔터베리 대주교 안셀무스의 임명, 알닉 전투, 윈체스터 대성당 건설 시작 등이 있다. 이 해에는 이사악 코므네노스, 콘라트 3세, 맬컴 3세, 성녀 마가렛 등이 태어나고, 아불 하산 헨카리, 르이스 압 테우드르, 블라디미르 1세 야로슬라비치, 후지와라노 사네마사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093년 |
---|
2. 연호
3. 기년
4. 사건
- 일본에서는 백하 상황이 여러 지방에 난립하는 장원 억제에 대해 내대신(후지와라노 모로미치)에게 자문하였다.
4. 1. 지역별
==== 유럽 ====- 4월 13일 – 키예프 대공 스뱌토폴크 2세가 15년간 통치 후 사망했다. 이자슬라프 1세의 장남인 스뱌토폴크 2세는 다른 왕자들에게 인정받아 키예프의 통치자이자 키예프 루스'의 지배자가 되었다. 그의 사촌인 블라디미르 2세 체르니히우 공작은 그의 치열한 라이벌이 되었다.
- 5월 26일 – 스투그나 강 전투: 유목민족인 쿠만족이 트레폴 근처 계곡의 스투그나 강에서 키예프 루스'의 왕자들이 이끄는 키예프 연합군을 패배시켰다. 페레야슬라우 공국의 왕자인 로스티슬라프 브세볼로도비치는 전투에서 도망치다가 익사했다.[1]
- 9월 22일 – 노르웨이 왕 올라프 3세 ("평화로운 자")가 26년간 통치 후 사망했다. 그의 아들 마그누스 맨발이 왕위를 계승했으며, 비켄 지역 법률가들의 집회인 보르가팅 (또는 팅)에서 노르웨이의 통치자로 선포되었다.
==== 영국 ====
- 3월 6일 – 이탈리아 베네딕토 수도회 수도원장이자 신학자인 안셀무스가 잉글랜드 캔터베리 대주교에 임명되었다. 그는 랑프랑크의 뒤를 이었다. 윌리엄 2세 국왕은 1089년 이후 대주교직을 공석으로 남겨두고 교회 수입을 직접 챙겼다.[2]
- 11월 13일 – 알닉 전투: 말콤 3세 스코틀랜드 국왕이 노섬벌랜드를 침입했지만, 로베르 드 모브레 백작이 이끄는 잉글랜드군에 의해 알닉 성을 포위하던 중 사망했다. 그의 동생인 도널드 3세 ("공정한 자")가 스코틀랜드 왕국의 통치자로 그를 계승했다.
- 로베르 피츠하몬 경이 이끄는 노르만인들이 남웨일스 점령을 계속했다.[3] 아르눌프 드 몽고메리가 펨브로크 성을 건설했다.
4. 1. 1. 유럽
- 4월 13일 – 키예프 대공 스뱌토폴크 2세가 15년간 통치 후 사망했다. 이자슬라프 1세의 장남인 스뱌토폴크 2세는 다른 왕자들에게 인정받아 키예프의 통치자이자 키예프 루스'의 지배자가 되었다. 그의 사촌인 블라디미르 2세 체르니히우 공작은 그의 치열한 라이벌이 되었다.
- 5월 26일 – 스투그나 강 전투: 유목민족인 쿠만족이 트레폴 근처 계곡의 스투그나 강에서 키예프 루스'의 왕자들이 이끄는 키예프 연합군을 패배시켰다. 페레야슬라우 공국의 왕자인 로스티슬라프 브세볼로도비치는 전투에서 도망치다가 익사했다.[1]
- 9월 22일 – 노르웨이 왕 올라프 3세 ("평화로운 자")가 26년간 통치 후 사망했다. 그의 아들 마그누스 맨발이 왕위를 계승했으며, 비켄 지역 법률가들의 집회인 보르가팅 (또는 팅)에서 노르웨이의 통치자로 선포되었다.
4. 1. 2. 영국
- 3월 6일 – 이탈리아 베네딕토 수도회 수도원장이자 신학자인 안셀무스가 잉글랜드 캔터베리 대주교에 임명되었다. 그는 랑프랑크의 뒤를 이었다. 윌리엄 2세 국왕은 1089년 이후 대주교직을 공석으로 남겨두고 교회 수입을 직접 챙겼다.[2]
- 11월 13일 – 알닉 전투: 말콤 3세 스코틀랜드 국왕이 노섬벌랜드를 침입했지만, 로베르 드 모브레 백작이 이끄는 잉글랜드군에 의해 알닉 성을 포위하던 중 사망했다. 그의 동생인 도널드 3세 ("공정한 자")가 스코틀랜드 왕국의 통치자로 그를 계승했다.
- 로베르 피츠하몬 경이 이끄는 노르만인들이 남웨일스 점령을 계속했다.[3] 아르눌프 드 몽고메리가 펨브로크 성을 건설했다.
4. 2. 주제별
(빈칸)4. 2. 1. 종교
4월 8일 - 수도사들이 노르만족 주교 워켈린에 의해 건설된 잉글랜드의 새로운 윈체스터 대성당으로 이주한다.[1]8월 11일 - 잉글랜드의 더럼 대성당 건설이 시작된다. 이는 색슨족의 '화이트 처치'를 대체하기 위한 것이다.[2]
5. 탄생
- 1월 16일 - 이사악 코므네노스(Isaac Komnenos), 비잔티움 공동 통치자
- 아흐마드 야사위(Ahmad Yasawi), 투르크 시인이자 수피(Sufi) (1166년 사망)
- 발두인 7세(Baldwin VII), 플랑드르 백작(County of Flanders) (1119년 사망)
- 콘라트 3세, 이탈리아(Kingdom of Italy (Holy Roman Empire)) 및 독일(Kingdom of Germany) 국왕 (1152년 사망)
- 드메트리우스 1세(Demetrius I), 조지아(Kingdom of Georgia) 국왕 (추정 날짜)
- 라이히어스베르크의 게르호(Gerhoh of Reichersberg), 독일 신학자 (1169년 사망)
- 그리골 3세(Grigor III), 킬리키아(Holy See of Cilicia)의 아르메니아 가톨리코스(catholicos) (1166년 사망)
- 로버트 핏에디스(Robert fitzEdith), 잉글랜드의 봉건 영주 (1172년 사망)
- 산초 알폰세스(Sancho Alfónsez), 스페인 귀족 (1108년 사망)
- 시몬 드 오트빌(Simon of Hauteville), 시칠리아(County of Sicily) 백작 (1105년 사망)
- 베르망두아의 시몬(Simon of Vermandois), 프랑스 주교 (1148년 사망)
- 윌리엄 3세(William III), 퐁티외(Ponthieu) 백작 (추정 날짜)
- 원해, 헤이안 시대의 진언종 승려 (+ 1156년)
- 시모네 다르타비야, 시칠리아 백작 (+ 1105년)
- 훈자 내친왕, 헤이안 시대의 황족, 이세 사이궁 (+ 1132년)
- 탐범, 헤이안 시대의 승려 (+ 1174년)
- 후지와라 이쓰미치, 헤이안 시대의 공경 (+ 1165년)
- 이동, 남송의 유학자 (+ 1163년)
- 열야리, 요의 황족 (+ 1123년)
6. 사망
- 2월 1일 - 아불 하산 헨카리(Abul Hasan Hankari), 압바스 왕조 학자 (1018년 출생)
- 3월 17일 - 후지와라노 사네마사(藤原実政), 헤이안 시대의 귀족 (* 1019년)
- 4월 - 르이스 압 테우드르(Rhys ap Tewdwr), 데헤우바르트(Deheubarth)의 웨일스 왕, 전투 중 사망 (997년 출생)
- 4월 13일 - 블라디미르 모노마흐(블라디미르 1세 야로슬라비치), 키예프 대공 (1030년 출생)
- 5월 26일 - 로스티슬라프 브세볼로도비치(Rostislav Vsevolodovich), 페레야슬라블 공국(Principality of Pereyaslavl)의 왕자
- 6월 21일 - 자파르 이븐 압달라 알무크타디(Ja'far ibn Abdallah al-Muqtadi), 압바스 왕조(Abbasid dynasty) 왕자, 알무크타디(al-Muqtadi)와 마히 멀크 카툰(Mah-i Mulk Khatun)의 아들
- 7월 10일 - 첼의 율리히(Ulrich of Zell), 독일 클뤼니 개혁(Cluniac Reforms) 운동가 (1029년 출생)
- 7월 30일 - 베르트 드 프랑스(ベルト・ド・オランド), 프랑스 왕 필리프 1세의 첫 번째 왕비(* 1050년대)
- 8월 4일 - 앨런 루퍼스(Alan Rufus), 브르타뉴/노르망디 귀족 (추정 연도)
- 8월 24일 - 제프리 보테렐(Geoffrey Boterel), 브르타뉴 귀족, 앨런 루퍼스(Alan Rufus)의 형
- 8월 29일 - 위그 1세(Hugh I, Duke of Burgundy), 프랑스 귀족이자 수도원장 (1057년 출생)
- 9월 8일 - 이이 교호(井伊共保), 헤이안 시대의 호족, 이이가 초대 당주(* 1010년)
- 9월 22일 - 평화로운 올라프 3세(Olaf III "the Peaceful"), 노르웨이(Kingdom of Norway (872–1397)) 국왕
- 9월 26일 - 계자내친왕(馨子内親王), 헤이안 시대의 황족, 사이인(가모 사이인), 고산조 천황의 중궁 (* 1029년)
- 10월 13일 - 로베르 1세(Robert I, Count of Flanders), 플랑드르 백작
- 11월 13일 - 맬컴 3세(Malcolm III), 스코틀랜드 왕국(Kingdom of Scotland) 국왕 (1031년 출생)
- 11월 16일 - 성녀 마가렛(Saint Margaret of Scotland), 스코틀랜드 왕비 (1045년 출생)[4]
- 베르트랑 2세(Bertrand II of Provence) (추정 날짜)
- 카스티야와 레온의 왕비 콘스탄스(Constance of Burgundy) (1046년 출생)
- 고황후(Empress Gao (Song dynasty)), 송나라(Song dynasty) 황후 (1032년 출생)
- 이스틴 압 구르간트(Iestyn ap Gwrgant), 모르가누크(Glywysing#Morgannwg)의 웨일스 왕 (1014년 출생)
- 가오루코 공주(Princess Kaoruko), 일본 황후 (1029년 출생)
- 오도 5세(Odo V) 또는 외드(Eudes), 트루아(Troyes)와 모(Meaux) 백작
- 자카스(Tzachas), 셀주크 장군이자 찬탈자, 살해됨
- 왕신(Wang Shen (Song dynasty)), 중국 화가이자 시인
- 후지와라 모토이에(藤原基家 (陸奥守)), 헤이안 시대의 공가 (출생년도 미상)
참조
[1]
서적
Medieval Russia: A sourcebook 850–1700
Academic International Press
[2]
웹사이트
Norman Britain
https://www.bbc.co.u[...]
2007-12-21
[3]
서적
The Chronology of British History
Century Ltd
[4]
웹사이트
5 forgotten queens and princesses of Scotland
https://www.scotsman[...]
2022-05-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