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238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238년은 고려 고종 25년, 단기 3571년에 해당하는 해이다. 남송, 일본, 쩐 왕조, 몽골 제국 등 동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각기 다른 연호를 사용했으며, 간지는 무술이었다. 주요 사건으로는 몽골군의 러시아 침공, 황룡사 9층 목탑 소실, 브레시아 공성전 등이 있었으며, 여러 인물이 탄생하고 사망했다.

2. 연호

2. 1. 한국

2. 2. 동아시아

2. 3. 기타 지역

3. 사건

1238년의 주요 사건은 다음과 같다.


  • 황룡사 9층 목탑이 소실되었다.[1]
  • 타이에서 수코타이 왕조가 건국되었다. (타이 민족 최초의 건국)[3]
  • 몽골 제국블라디미르를 함락하고, 시트 강 전투에서 승리하는 등 키예프 루스 지역에서 군사 활동을 확대했다.[1]
  • 코젤스크 공방전에서 코젤스크 주민들이 몽골군에 맞서 싸웠으나 함락되었다.[1]
  • 스텐스뷔 조약으로 튜턴 기사단과 덴마크 간 분쟁이 해결되고, 리보니아 검의 형제단이 튜턴 기사단에 통합되었다.[2]
  • 프리드리히 2세의 브레시아 공성전은 실패로 끝났다.[1]
  • 아이유브 왕조에서 권력 투쟁이 발생했다.[3]
  • 니자리 이스마일리 국가와 압바스 칼리파국이 몽골에 대항하기 위해 유럽 국가들과 동맹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4][5]

1238년 발렌시아에 입성하는 하메스 1세

3. 1. 한국

황룡사 9층 목탑이 소실되었다.[1]

3. 2. 동아시아


  • 황룡사 9층 목탑이 소실되었다.[1]
  • 수코타이 왕조가 건국되었다.(타이 민족 최초의 건국)[3]

3. 3. 유럽


  • 2월 8일 - 몽골 제국러시아의 도시 블라디미르를 잿더미로 만들었다.[1]
  • 1월 15일~1월 20일 – 모스크바 공방전: 바투 칸수부타이 지휘하의 몽골군이 키예프 루스의 북부 중심지를 공격하여 모스크바를 포함한 여러 정착지에서 수많은 학살을 저질렀다. 『노브고로드 연대기』에 따르면 모스크바는 네 개의 강이 교차하는 교역소이자 요새화된 마을이었다. 이 마을은 5일간의 공성전 끝에 몽골군에게 함락되었다.[1]
  • 3월 4일 – 시트 강 전투: 유리 2세가 이끄는 키예프 루스 군대(약 4,000명)가 손코프스키 군에 위치한 시트 강에서 몽골군에게 패배했다. 유리의 죽음으로 몽골에 대한 키예프 루스의 통합된 저항은 희망을 잃게 되었다. 바투 칸은 군대를 여러 부대로 나누어 (오늘날의 러시아우크라이나) 키예프 루스 영토 전역에 파괴 행위를 자행하도록 명령했다.[1]
  • 3월 – 코젤스크 공방전: 체르니히우]의 12세 왕자 바실리(

    3. 4. 중동

    3월 6일, 아이유브 왕조의
    이집트 통치자 알카밀이 다마스쿠스에서 사망하고, 그의 18세 아들 알아딜 2세가 왕위를 계승한다. 알카밀의 사망 후 내전이 발발하고, 그의 장남 아스살리 아유브는 다마스쿠스에서 이집트 침공을 시도한다. 그러나 갑작스러운 쿠데타로 그의 삼촌인 아스살리 이스마일(다마스쿠스 총독)이 그를 폐위시킨다.[3]

    니자리 이스마일리 국가의 이맘 무함마드 3세와 압바스 칼리파국의 칼리프 알무스탄시르는 몽골 제국에 대항하는 이슬람-기독교 동맹을 맺기 위해 프랑스루이 9세잉글랜드헨리 3세에게 공동 외교 사절단을 파견하지만, 실패한다.[4][5]

4. 탄생

1238년은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인물들이 태어난 해이다. 주요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 3월 12일 - 세라피나: 이탈리아 귀족 여성이자 성녀.
  • 4월 23일 - 나라티하파테: 버마 통치자.
  • 5월 1일 - 마그누스 6세: 노르웨이 국왕.
  • 5월 3일 - 에밀리아 비키에리: 이탈리아 수녀이자 수녀원장.
  • 7월 11일 - 다피드 앱 그리피드: 웨일스 왕자.
  • 알-바하라니: 아랍 시아파 학자이자 철학자.
  • 굴리엘모 아넬리: 이탈리아 조각가이자 건축가.
  • 앙리 드 몽포르: 영국 귀족이자 기사.
  • 호조 노부토키: 일본 귀족이자 섭정.
  • 마드바차리아: 인도 힌두교 지도자.
  • 모리스 피츠제럴드: 오팔리 3대 영주, 아일랜드 귀족이자 사법관.
  • 마인하르트 2세: 카린티아 공작.
  • 니콜라스 세그레이브: 세그레이브 1대 남작, 영국 귀족이자 기사.
  • 니잠무딘 아울리야: 인도 수피 학자.
  • 오토 드 그랑손: 사보이아 귀족이자 기사.
  • 페드로 아르멘골: 스페인 귀족이자 사제.
  • 린첸 걀첸: 티베트 황실 스승.
  • 양휘: 중국 수학자이자 작가.
  • 요 수이: 중국 정치가, 시인, 작가.
  • 유누스 엠레: 셀주크 시인, 신비주의자, 작가.
  • 장홍판: 중국 장군이자 제독.
  • 10월 2일 - 람캄행: 란나 왕조의 창시자.
  • 호조 노리토키: 가마쿠라 시대 호조 씨의 무장, 가인.

4. 1. 주요 인물


  • 3월 12일 - 세라피나 (1253년 사망), 이탈리아 귀족 여성이자 성녀
  • 4월 23일 - 나라티하파테 또는 시투 4세, 버마 통치자 (1287년 사망)
  • 5월 1일 - 마그누스 6세(법률 개정자), 노르웨이 국왕 (1280년 사망)
  • 5월 3일 - 에밀리아 비키에리, 이탈리아 수녀이자 수녀원장 (1314년 사망)
  • 7월 11일 - 다피드 앱 그리피드, 웨일스 왕자 (1283년 사망)
  • 알-바하라니, 아랍 시아파 학자이자 철학자 (1280년 사망)
  • 굴리엘모 아넬리, 이탈리아 조각가이자 건축가 (1313년 사망)
  • 앙리 드 몽포르, 영국 귀족이자 기사 (1265년 사망)
  • 호조 노부토키, 일본 귀족이자 섭정 (1323년 사망)
  • 마드바차리아, 인도 힌두교 지도자 (1317년 사망)
  • 모리스 피츠제럴드, 오팔리 3대 영주, 아일랜드 귀족이자 사법관 (1277년 사망)
  • 마인하르트 2세, 카린티아 공작 (고리치아 가문) (1295년 사망)
  • 니콜라스 세그레이브, 세그레이브 1대 남작, 영국 귀족이자 기사 (1295년 사망)
  • 니잠무딘 아울리야 또는 아울리야, 인도 수피 학자 (1325년 사망)
  • 오토 드 그랑손, 사보이아 귀족이자 기사 (1328년 사망)
  • 페드로 아르멘골, 스페인 귀족이자 사제 (1304년 사망)
  • 린첸 걀첸, 티베트 황실 스승 (1279년 사망)
  • 양휘, 중국 수학자이자 작가 (1298년 사망)
  • 요 수이, 중국 정치가, 시인, 작가 (1313년 사망)
  • 유누스 엠레, 셀주크 시인, 신비주의자, 작가 (1328년 사망)
  • 장홍판, 중국 장군이자 제독 (1280년 사망)
  • 10월 2일 - 람캄행, 란나 왕조의 창시자 (1311년 사망)
  • 호조 노리토키, 가마쿠라 시대 호조 씨의 무장, 가인 (1323년 사망)

5. 사망


  • 3월 4일
  • * 스코틀랜드의 왕비 조앤 (1210년 출생)[6]
  • * 바실코 콘스탄티노비치, 키예프 공작 (1209년 출생)
  • * 유리 2세, 키예프 대공 (1188년 출생)
  • 3월 6일 - 아이유브 왕조의 제5대 술탄 알 카밀[6]
  • 3월 16일 – 벤초, 일본 불교 승려 (1162년 출생)
  • 3월 19일 – 헨리 1세, 폴란드 대공
  • 3월 21일 – 아우하드 알-딘 케르마니, 페르시아 수피 시인
  • 6월 9일 – 피터 데 로슈, 윈체스터 주교
  • 7월 9일 – 윌리엄 드 말베이신, 세인트앤드루스 주교
  • 7월 10일 – 소피아 폰 비텔스바흐, 독일 귀족 여성
  • 9월 28일 – 잔 드 로슈, 프랑스 여남작
  • 12월 26일 – 알렉산더 드 스태번비, 잉글랜드 주교
  • 이븐 후드 (아부 압드 알라 무하마드), 알모하드 왕조 통치자
  • 헤로나의 아즈리엘, 카탈루냐 랍비이자 학자 (1160년 출생)
  • 에브파티 콜로브라트, 키예프 전사이자 기사 (1200년 출생)
  • 헨리히 1세 폰 뮐레나르크, 독일 대주교 (1190년 출생)
  • 휴 드 에스펜서, 잉글랜드 귀족이자 보안관
  • 휴 드 이벨린 (강인한 자), 키프로스 기사 (1213년 출생)
  • 트라페존드의 요한 1세 (악수코스 코므네노스), 비잔티움 황제
  • 베튀네의 존, 프랑스 군 지휘관이자 기사
  • 마쓰도노 모로이에, 일본 귀족 (1172년 출생)
  • 2월 8일 - 니조 사다타카, 가마쿠라 시대공경 (1190년)
  • 5월 15일 - 고야마 토마사, 헤이안 시대, 가마쿠라 시대무장, 시모쓰케 수 (1158년)
  • 11월 11일 - 마쓰도노 모리이에, 헤이안 시대, 가마쿠라 시대의 공경 (1172년)
  • 이치조 요시나리, 헤이안 시대, 가마쿠라 시대의 공경 (1163년)
  • 바실리코 로스토프스키, 로스토프 공 (1209년)
  • 유리 2세, 블라디미르 대공국 대공 (1188년)

5. 1. 주요 인물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 III: The Kingdom of Acre 1952
[2] 서적 Lake Peipus 1242 – Battle on the Ice Osprey 2005
[3]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 III: The Kingdom of Acre 1952
[4] 서적 The Isma'ilis: Their History and Doctrin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5] 웹사이트 The Mediaeval Ismailis of the Iranian Lands http://www.iis.ac.uk[...] 2020-03-31
[6] 서적 The biographical dictionary of Scottish women : from the earliest times to 2004 https://archive.org/[...]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