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4년 콘클라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14년 콘클라베는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직후 교황 비오 10세의 사망으로 인해 열린 교황 선거이다. 유럽 열강 간의 전쟁으로 인해 교황은 중립을 유지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으며, 콘클라베에는 교전국 출신 추기경들이 참석하여 복잡한 국제 정세를 반영했다. 1904년 교황 비오 10세가 발표한 사도적 헌장에 따라 거부권이 폐지된 상태에서 진행되었으며, 57명의 추기경이 투표에 참여했다. 콘클라베는 1914년 8월 31일 시스티나 성당에서 시작되었으며, 볼로냐 대주교 자코모 델라 키에자가 교황 베네딕토 15세로 선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황 베네딕토 15세 - 교황 비오 10세
교황 비오 10세는 1835년 이탈리아에서 태어나 교황으로 선출된 후 전례 개혁, 근대주의 단죄, 세계 각지 사목 활동을 펼치다 1914년 선종하고 1954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 교황 베네딕토 15세 - 페루 로마 교황청립 리마 가톨릭 대학교
페루 로마 교황청립 리마 가톨릭 대학교는 1917년 리마에 설립된 사립 가톨릭 대학교로, 교황청립 칭호를 받았으며 페루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는다고 한다.
1914년 콘클라베 | |
---|---|
콘클라베 정보 | |
월 | 8월–9월 |
년 | 1914년 |
날짜 | 1914년 8월 31일 – 9월 3일 |
장소 | 시스티나 경당, 바티칸 궁전, 로마 |
수석 추기경 | 세라피노 바누텔리 |
부수석 추기경 | 프란체스코 디 파올라 카세타 |
교황청 chamberlain | 프란체스코 살레시오 델라 볼페 |
수석 부제 | 프란체스코 살레시오 델라 볼페 |
투표 수 | 10 |
선출된 교황 | 자코모 델라 키에사 |
선택된 이름 | 베네딕토 15세 |
![]() | |
이전 콘클라베 연도 | 1903년 |
이전 콘클라베 링크 | 1903년 콘클라베 |
다음 콘클라베 연도 | 1922년 |
다음 콘클라베 링크 | 1922년 콘클라베 |
2. 배경
1914년 교황 비오 10세는 교황 선거에 관한 두 개의 사도적 헌장을 발표했다. 그 중 하나인 1904년 1월 20일의 ''Commissum Nobis''는 세속 군주가 교황 선출 후보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하는 것을 무효화했다. 또한 이 헌장은 교황 선거에서 거부권을 행사하려는 사람은 자동 파문될 것이라고 규정했다. 이로써 수 세기 만에 처음으로 추기경들은 외부의 제약 없이 권한을 행사하게 되었다.[1]
2. 1. 제1차 세계 대전 발발과 국제 정세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새 교황은 중립을 유지할지 아니면 도덕적 지도력을 발휘할지 선택해야 하는 문제에 직면했다. 가톨릭 국가인 벨기에와 프랑스는 개신교 국가인 독일의 공격을 받았고, 독일은 가톨릭 오스트리아의 지원을 받았다. 한편, 개신교 국가인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 왕국(가톨릭 아일랜드 포함)과 정교회 러시아는 프랑스 편이었다.[1]콘클라베에는 교전국 출신 추기경들이 모였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카로이 호르니크, 프랑스의 루이 뤼송, 독일의 펠릭스 폰 하르트만, 그리고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 왕국 출신의 프랜시스 본, 마이클 로그, 프랜시스 에이던 가스케트가 참석했다. 벨기에의 데지레조제프 메르시에는 조국을 떠나기 위해 독일 황제의 허가를 받아야 했다.[1]
2. 2. 교황 비오 10세의 선종과 거부권 폐지
교황 비오 10세는 교황 선거에 관한 두 개의 사도적 헌장을 발표했다. 1904년 1월 20일의 ''Commissum Nobis''는 교황 선출 후보에 대한 거부권 행사에 대한 어떠한 세속 군주의 주장도 무효화했다. 이 헌장은 교황 선거에서 거부권을 행사하려는 모든 사람은 자동 파문될 것이라고 규정했다. 수 세기 만에 처음으로 추기경들은 외부의 제약 없이 권한을 행사하게 되었다.[1]3. 추기경단
1914년 콘클라베에는 총 65명의 추기경 중 57명이 투표에 참여했고, 8명은 불참했다.
추기경단의 구성을 대륙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국가별로는 이탈리아 출신 추기경이 33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외 유럽 국가 출신이 다수를 차지했다. 제1차 세계 대전의 주요 교전국이었던 프랑스 6명, 스페인 5명,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4명, 영국과 독일 제국이 각각 2명이었다. 미국에서는 1명이 참석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직후 열린 콘클라베였기 때문에, 각국에서 온 추기경들은 전쟁에 대한 교황청의 입장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 특히 벨기에의 데지레조제프 메르시에 추기경은 조국을 떠나기 위해 독일 황제의 허가를 받아야 했다.[1]
한편, 미국에서 온 제임스 기번스와 윌리엄 헨리 오코넬은 콘클라베에 참석할 시간을 맞추지 못했다.[2]
3. 1. 추기경단의 구성
1914년 콘클라베에는 총 65명의 추기경 중 57명이 투표에 참여했고, 8명은 불참했다.추기경단의 구성을 대륙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국가별로는 이탈리아 출신 추기경이 33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외 유럽 국가 출신이 다수를 차지했다. 제1차 세계 대전의 주요 교전국이었던 프랑스 6명, 스페인 5명,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4명, 영국과 독일 제국이 각각 2명이었다. 미국에서는 1명이 참석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직후 열린 콘클라베였기 때문에, 각국에서 온 추기경들은 전쟁에 대한 교황청의 입장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 특히 벨기에의 데지레조제프 메르시에 추기경은 조국을 떠나기 위해 독일 황제의 허가를 받아야 했다.[1]
한편, 미국에서 온 제임스 기번스 (볼티모어)와 윌리엄 헨리 오코넬 (보스턴) 추기경은 콘클라베에 참석할 시간을 맞추지 못했다.[2]
3. 2. 주요 인사
직책 | 이름 | 국적 |
---|---|---|
수석 추기경 | 세라피노 반누텔리 (Serafino Vannutelli) | 이탈리아 |
보조 추기경 | 프란체스코 디 파올라 카세타 (Francesco di Paola Cassetta) | 이탈리아 |
교황 궁무처장 | 프란체스코 살레시오 델라 볼페 (Francesco Salesio Della Volpe) | 이탈리아 |
수석 부제 | 프란체스코 살레시오 델라 볼페 (Francesco Salesio Della Volpe) | 이탈리아 |
4. 콘클라베 진행 과정
1914년 8월 31일 시스티나 성당에서 콘클라베가 소집되었다. 당시 도메니코 세라피니, 피에트로 마피, 자코모 델라 키에자가 유력한 교황 후보로 거론되었다. 베네딕토회 소속 도메니코 세라피니는 교황청의 지지를 받으며 교황 비오 10세의 반근대주의 운동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 그러나 카를로 페라리, 데지레 메르시에 등 많은 추기경들은 다른 관점에 초점을 맞춘 교황이 필요하다고 생각했고, 사보이 왕가와 가깝게 지냈다는 오명을 쓴 피사 대주교 피에트로 마피를 지지했다. 볼로냐 대주교 자코모 델라 키에자는 마피와 세라피니의 중간 위치에 있었지만, 초반 투표에서는 마피와 동등한 표를 얻으며 보수파의 지지를 받는 듯했다.[4]
델라 키에자는 네 번째 투표에서 5표 차로 앞섰고, 마피가 3분의 2 이상 득표할 가능성이 없다는 것이 분명해지자 세라피니가 델라 키에자의 경쟁자가 되었다. 1914년 9월 3일, 열 번째 투표에서 마피 지지자들이 델라 키에자에게로 돌아서면서 델라 키에자가 교황으로 선출되었고, 베네딕토 15세라는 이름을 사용했다.[4]
델라 키에자는 한 표 차이로 선출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당시 투표 용지 뒷면에는 번호가 매겨져 있어, 한 표 차이로 선거가 결정될 경우 선출된 사람이 자신에게 투표했는지 확인할 수 있었고, 이 경우 선거는 무효가 되었다. 라파엘 메리 델 발 추기경은 델라 키에자가 자신에게 투표하지 않았는지 확인하기 위해 투표 용지를 검사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델라 키에자는 그렇게 하지 않았다. 추기경들이 새 교황에게 경의를 표하자 베네딕토 15세는 메리 델 발에게 "건축자들이 버린 돌이 모퉁잇돌이 되었소."라고 말했고, 이에 시편 118편을 인용하여 메리 델 발은 "이는 주께서 하신 일이요, 우리 눈에 기이하도다."라고 답했다.[4]
4. 1. 후보군
콘클라베가 시작될 때부터 세 명의 유력한 후보가 거론되었다. 도메니코 세라피니는 베네딕토회 소속으로 교황청의 지지를 받았으며, 교황 비오 10세의 반근대주의 운동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4] 그러나 카를로 페라리, 데지레 메르시에 등 많은 추기경들은 다른 관점에 초점을 맞춘 교황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사보이 왕가와 가깝게 지냈다는 오명을 가진 피사 대주교 피에트로 마피를 지지했다.[4] 볼로냐 대주교 자코모 델라 키에자는 마피와 세라피니의 중간 위치에 있었지만, 초반 투표에서는 마피와 동등한 표를 얻었으며 보수파의 지지를 받는 것처럼 보였다.[4]4. 2. 투표 과정
콘클라베는 8월 31일 시스티나 성당에서 소집되었다. 콘클라베 시작 당시 유력한 후보는 도메니코 세라피니, 피에트로 마피, 자코모 델라 키에자 세 명이었다. 베네딕토회 소속 도메니코 세라피니는 교황청의 지지를 받아 교황 비오 10세의 반 근대주의 운동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 그러나 카를로 페라리, 데지레 메르시에 등 많은 추기경들은 다른 관점에 초점을 맞춘 교황이 필요하다고 믿었고, 사보이 왕가와 가까이 지냈다는 오명을 가진 피사 대주교 피에트로 마피를 지지했다. 볼로냐 대주교 자코모 델라 키에자는 마피와 세라피니의 중간 위치에 있었지만, 초반 투표에서는 마피와 동등한 표를 얻었으며 보수파의 지지를 받는 것처럼 보였다. 델라 키에자는 네 번째 투표 이후 5표 차이로 앞서 나갔고, 마피가 3분의 2 이상의 표를 얻을 희망이 전혀 없다는 것이 분명해지자 세라피니가 델라 키에자의 경쟁자가 되었다. 1914년 9월 3일, 열 번째 투표에서 마피의 지지자들은 모두 델라 키에자로 전환했고, 그는 교황으로 선출되어 베네딕토 15세라는 이름을 사용했다.델라 키에자는 한 표 차이로 선출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규칙에 따르면, 투표 용지 뒷면에 번호가 매겨져 있어, 단 한 표 차이로 선거가 결정된 경우, 선출된 사람이 자신에게 투표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고, 이 경우 선거는 무효가 된다.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교황 비오 10세의 국무장관이었던 라파엘 메리 델 발 추기경은 델라 키에자가 자신에게 투표하지 않았는지 확인하기 위해 투표 용지를 검사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델라 키에자는 그렇게 하지 않았다. 추기경들이 새 교황에게 경의를 표하자 베네딕토 15세는 메리 델 발에게 "건축자들이 버린 돌이 모퉁잇돌이 되었소."라고 말했다고 한다. 이에 시편 118편을 인용하여 메리 델 발은 "이는 주께서 하신 일이요, 우리 눈에 기이하도다."라고 답했다.[4]
5. 교황 베네딕토 15세의 선출과 과제
볼로냐 대주교였던 자코모 델라 키에자는 1914년 9월 3일, 열 번째 투표에서 교황으로 선출되어 베네딕토 15세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당시 콘클라베는 피에트로 마피, 도메니코 세라피니, 그리고 델라 키에자의 세 후보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델라 키에자는 초반 투표에서 마피와 비슷한 표를 얻었으나, 네 번째 투표 이후 5표 차이로 앞서 나가기 시작했다. 결국 마피의 지지자들이 델라 키에자에게 투표하면서 최종적으로 교황으로 선출되었다.[4]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델라 키에자는 단 한 표 차이로 선출되었는데, 당시 규칙에 따르면 투표 용지 뒷면에 번호가 매겨져 있어 선출된 사람이 자신에게 투표했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고 한다. 라파엘 메리 델 발 추기경은 델라 키에자가 자신에게 투표하지 않았음을 확인하기 위해 투표 용지 검사를 주장했고, 델라 키에자는 실제로 자신에게 투표하지 않았다. 새 교황에게 경의를 표할 때, 베네딕토 15세는 메리 델 발에게 "건축자들이 버린 돌이 모퉁잇돌이 되었소."라고 말했고, 메리 델 발은 시편 118편의 구절인 "이는 주께서 하신 일이요, 우리 눈에 기이하도다."로 답했다고 한다.[4]
베네딕토 15세는 즉위 당시 여러 가지 과제에 직면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여 유럽은 혼란에 빠졌고, 새 교황은 중립을 유지할지, 도덕적 지도력을 발휘할지 선택해야 했다. 벨기에와 프랑스 등 가톨릭 국가들이 독일의 공격을 받았고, 독일은 가톨릭 국가인 오스트리아의 지원을 받았다.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 왕국 (가톨릭 아일랜드 포함)과 정교회 국가인 러시아는 프랑스 편에 섰다.[1]
이러한 국제 정세 속에서 베네딕토 15세는 교황청 내에서 중요한 인사를 단행했다. 그는 라파엘 메리 델 발 추기경을 국무장관 대신 교황청 최고 성성(현재의 신앙교리성) 서기로 임명했다. 이는 메리 델 발 추기경이 교황 비오 10세 시절 국무장관으로서 강력한 반근대주의 정책을 추진했던 인물이었기 때문에, 베네딕토 15세가 그의 경험과 능력을 높이 평가하면서도 새로운 시대에 맞는 변화를 추구하려는 의지를 보여준 인사였다고 해석할 수 있다.
콘클라베 기간 | 4일 |
---|---|
투표 횟수 | 10 |
선거인 | 65 |
불참 | 8 |
참석 | 57 |
아프리카 | 0 |
남아메리카 | 1 |
북아메리카 | 1 |
아시아 | 0 |
유럽 | 22 |
오세아니아 | 0 |
이탈리아인 | 33 |
선종한 교황 | 비오 10세 (1903–1914) |
새 교황 | 베네딕토 15세 (1914–1922) |
6. 콘클라베 이후
1914년 콘클라베를 통해 선출된 베네딕토 15세는 제1차 세계 대전 발발이라는 엄중한 상황에 직면했다. 전쟁은 유럽에서 시작되었고, 새 교황은 중립을 지킬 것인지 아니면 도덕적 지도력을 행사할 것인지 결정해야 했다.[1] 벨기에와 프랑스는 개신교 국가인 독일의 공격을 받았고, 독일은 가톨릭 국가인 오스트리아의 지원을 받았다.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 왕국(가톨릭 아일랜드 포함)과 정교회 국가인 러시아는 프랑스 편에 섰다.[1]
당시 콘클라베에는 교전국 출신 추기경들이 참석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카로이 호르니크, 프랑스의 루이 뤼송, 독일의 펠릭스 폰 하르트만, 그리고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 왕국 출신의 프랜시스 본, 마이클 로그, 프랜시스 에이던 가스케트가 있었다. 벨기에의 데지레조제프 메르시에는 조국을 떠나기 위해 독일 황제의 허가를 받아야 했다.[1]
6. 1. 베네딕토 15세의 외교적 노력
베네딕토 15세는 제1차 세계 대전 발발이라는 엄중한 상황에 직면하여 중립 외교 정책을 펼치고 평화 중재를 위해 노력했다. 전쟁이 유럽에서 발발하자, 새 교황은 중립을 유지할지 아니면 도덕적 지도력을 발휘할지 선택해야 했다.[1] 당시 벨기에와 프랑스는 개신교 국가인 독일의 공격을 받았고, 독일은 가톨릭 국가인 오스트리아의 지원을 받았다. 한편,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 왕국(가톨릭 아일랜드 포함)과 정교회 국가인 러시아는 프랑스 편을 들었다.[1]당시 콘클라베에는 교전국에서 온 추기경들이 모였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카로이 호르니크, 프랑스의 루이 뤼송, 독일의 펠릭스 폰 하르트만, 그리고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 왕국 출신의 프랜시스 본, 마이클 로그, 프랜시스 에이던 가스케트가 참석했다. 벨기에의 데지레조제프 메르시에는 조국을 떠나기 위해 독일 황제의 허가를 받아야 했다.[1]
7. 역사적 의의
교황 비오 10세는 교황 선거에 관한 두 개의 사도적 헌장을 발표했다. 첫 번째는 1904년 1월 20일의 ''Commissum Nobis''로, 교황 선출 후보에 대한 거부권 행사에 대한 어떠한 세속 군주의 주장도 무효화했다.[1] 이 헌장은 교황 선거에서 거부권을 행사하려는 모든 사람은 자동 파문될 것이라고 규정했다.[1] 수 세기 만에 처음으로 추기경들은 외부의 제약 없이 권한을 행사하게 되었다.[1]
참조
[1]
서적
The Conclave: A Sometimes Secret and Occasionally Bloody History of Papal Election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03
[2]
서적
A History of the Popes, 1830-1914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3]
서적
Papal Elections in the Age of Transition, 1878-1922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00
[4]
간행물
Conclaves: Surprises abound in the Sistine Chapel
http://www.madisonca[...]
2005-04-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