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0년 전국체육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20년 전국체육대회는 1920년 11월 4일부터 6일까지 배재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개최되었으며, 야구 종목만 진행되었다. 조선체육회가 주최한 이 대회는 중학부와 청년부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부문별로 5개 팀이 참가했다. 배재고등보통학교가 중학부에서, 배재구락부가 청년부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대회 이후 청년부 우승팀인 배재구락부에게 청년단 야구대회 우승기가 수여되었으며, 2012년에는 이 우승기가 대한민국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또한, 대회 개최지인 배재고등보통학교 운동장 터에는 2019년 표지석이 설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0년 전국체육대회에 관한 - 1920년 전국체육대회 경기도 선수단
1920년 전국체육대회에서 경기도 선수단은 야구 종목에만 참가하여 금메달 2개, 은메달 2개, 동메달 2개를 획득하고 메달 집계 1위를 기록했다.
1920년 전국체육대회 | |
---|---|
대회 요약 | |
연도 | 1920년 |
종류 | 하계 |
대회 명칭 | 제1회 전국체육대회 |
개최국 | 일제강점기 조선 |
개최지 | 경성 |
개막일 | 1920년 11월 4일 |
폐막일 | 1920년 11월 6일 |
개회 선언 | 고원훈 |
주 경기장 | 배재고등보통학교 운동장 |
참가 정보 | |
선수단 | 1 |
종목 수 | 1 |
세부 종목 수 | 2 |
일반부 종목 수 | 1 |
일반부 세부 종목 수 | 1 |
18세 이하부 종목 수 | 1 |
18세 이하부 세부 종목 수 | 1 |
2. 대회 준비
조선체육회는 창립 직후 첫 대회로 야구 대회를 준비했다.[2] 대회 수입은 예상보다 많은 약 200JPY 정도였다.[5][11]
2. 1. 조선체육회 창립
조선체육회는 1920년 6월 16일에 발기를 위한 준비 모임을 거쳐 1920년 7월 13일에 창립되었다.[9][10] 조선체육회 창립을 주도했던 인물 중에는 야구인이 많았다. 조선체육회는 1915년 일본 오사카시에서 개최된 전일본중등학교야구대회의 경기 규칙, 대회 운영 요강, 경기기록부 등을 가지고 있었다. 이 자료들을 참고하여 야구 대회를 개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창립 후 가장 첫 대회를 야구 대회로 준비했다.[2] 대회 준비와 체육회 운영을 위해 조선체육회 간부들은 돈을 내놓고 사회의 주요 인물, 기업, 상점으로부터 기부를 받았다.[1]2. 2. 경기장 선정
3·1 운동 이전까지 야구 경기가 자주 열렸던 훈련원 광장은 공사 중이어서 이용할 수 없었다. 따라서 조선체육회는 당시 야구 경기를 개최하기에 가장 적합했던 용산철도국 야구장을 비롯하여 경성중학 운동장, 배재고등보통학교 운동장 등을 대회 장소로 물색했다.[1] 최종적으로 배재고등보통학교에서 운동장을 내주어 제1회 전조선야구대회를 배재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개최하기로 결정했다.[5]2. 3. 입장료 책정 논란과 결정
조선체육회 내부에서 경기 입장료 징수 여부를 두고 의견이 갈렸다.[1] 입장료를 받으면 안 된다는 이사진과 학교 관계자의 의견이 많았지만, 조선체육회의 유지 및 운영을 기부에만 의존할 수 없으며, 체육회의 원만한 유지와 운영을 위해서는 입장료를 받을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받아들여져 경기 입장료를 성인 10전, 어린이 5전으로 책정했다.[5]3. 대회 진행
1920년 전국체육대회는 야구 종목만 진행되었으며, 1920년 11월 4일부터 11월 6일까지 배재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개최되었다.[1][12][13][14][15] 개회사는 조선체육회 이사장인 고원훈이 했고, 신홍우, 이원용, 현홍운이 심판을 맡았다.[1]
경기는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미리 대진표를 정하지 않고 예선 경기 후 추첨을 통해 다음 라운드 대진이 결정되었다.[3] 야구 중학부 종목은 11월 4일 오전 9시부터, 야구 청년부 종목은 11월 5일 오후 1시에 예선 경기가 열렸고, 결승 경기는 각각 같은 날 오후와 11월 6일 오후 1시에 진행되었다.[3]
3. 1. 참가 선수단
야구 중학부에는 경신학교 야구단, 배재고등보통학교 야구단, 보성고등보통학교 야구단, 중앙고등보통학교 야구단, 휘문고등보통학교 야구단 등 5개 선수단이 참가했으며, 야구 청년부에는 경신구락부 야구단, 배재구락부 야구단, 삼한구락부 야구단, 중앙청년회 야구단, 천도교청년회 야구단 등 5개 선수단이 참가했다.[1]부문 | 야구단 | 도시 | 첫 참가 | 횟수 | 비고 |
---|---|---|---|---|---|
청년부 남자 | 경신구락부 야구단 | 경성 | 1920 | 1 | |
배재구락부 야구단 | 경성 | 1920 | 1 | ||
삼한구락부 야구단 | 경성 | 1920 | 1 | ||
중앙청년회 야구단 | 경성 | 1920 | 1 | ||
천도교청년회 야구단 | 경성 | 1920 | 1 | ||
colspan=6| | |||||
중학부 남자 | 경신학교 야구단 | 경성 | 1920 | 1 | |
배재고등보통학교 야구단 | 경성 | 1920 | 1 | ||
보성고등보통학교 야구단 | 경성 | 1920 | 1 | ||
중앙고등보통학교 야구단 | 경성 | 1920 | 1 | ||
휘문고등보통학교 야구단 | 경성 | 1920 | 1 |
3. 2. 경기 결과
야구 중학부에서는 배재고등학교가 우승했고, 야구 청년부에서는 배재구락부가 우승했다.[16] 그런데 대회 이후 오늘날까지 발간된 자료에서 일부 경기 기록은 대회 당시에 언론에 보도된 경기 결과와 일부 차이가 있다.[16] 대회 당시 《매일신보》의 보도에 따르면, 야구 중학부에서는 배재고등보통학교가 결승에서 중앙고등보통학교를 상대로 2:1로 이기며 우승하고, 야구 청년부에서는 배재구락부가 결승에서 천도교청년회를 이겨 우승을 달성했다.[16] 대회 이후 대한체육회에서 발간한 《대한체육회 50년》, 《대한체육회 70년사》, 《대한체육회 90년사》와 대한야구협회가 발간한 《한국야구사》에 따르면, 야구 중학부에서는 배재고등보통학교가 경신학교를 결승에서 4:2로 이겨 우승하고,[17] 야구 청년부에서는 결승에서 배재구락부가 경신구락부를 이기고 우승했다.[1][18]4. 대회 이후
이 대회 야구 청년부에서 우승한 배재구락부에 청년단 야구대회 우승기가 수여되었다.[19][20] 이 우승기는 상단에 '청년단야구대회', 하단에 주최 단체인 '조선체육회'가 새겨져 있고 중앙에는 월계수와 우승을 상징하는 '우'(優)가 새겨져 있었다.[21] 이 우승기는 첫 전국체육대회에서 우승한 선수단에게 수여된 것으로, 대한민국 근대 체육사에 의미가 있어 2012년에 대한민국 문화재청에 의해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22]
4. 1. 제1회 전국체육대회 기념 표지석
서울특별시청은 2019년 10월 10일에 제1회 전국체육대회가 열렸던 배재고등보통학교 운동장 터에 표지석을 설치하고 제막식을 열어 그 역사적 의미를 기렸다.[23][24][25]5. 경기장 및 일정
대회는 배재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1920년 11월 4일부터 6일까지 3일간 진행되었다.[1]
종목 | 경기장 | 도시 |
---|---|---|
야구 | 배재고등보통학교 운동장 | 경성 |
6. 메달 집계
1920년 전국체육대회는 일제강점기 초기,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개최된 첫 전국 규모 종합 체육 대회였다. 경기도(경성)가 이 대회에서 종합 우승을 차지하며 청년부와 중학부 모두를 석권했다는 사실은 당시 경성의 체육 역량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이다.
7. 야구 경기 상세
1920년 전국체육대회 야구 종목은 청년부와 중학부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두 부문 모두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예선 경기 후 추첨을 통해 다음 라운드 대진이 결정되었다. 청년부에서는 배재구락부 야구단이, 중학부에서는 배재고등보통학교 야구단이 각각 우승했다.
대회 당시 《매일신보》 보도와 대한체육회 및 대한야구협회 자료 간에 경기 결과에 차이가 있어, 자료에 오류가 있을 수 있다는 지적이 있다.[16]
7. 1. 청년부 경기 결과
1920년 11월 5일 오후 1시에 청년부 예선 경기가 시작되었고, 11월 6일 오후 1시에 결승 경기가 진행되었다.[3] 경기 방식은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이었으며, 예선 경기 후 추첨을 통해 다음 라운드 대진이 결정되었다.[3] 경신구락부 야구단, 배재구락부 야구단, 삼한구락부 야구단, 중앙청년회 야구단, 천도교청년회 야구단 등 5개 선수단이 참가했다.[1]배재구락부 야구단이 결승에서 천도교청년회 야구단을 꺾고 우승했다.[16]
대회 당시 《매일신보》 보도와 대한체육회 및 대한야구협회 자료 간 경기 결과에 차이가 있어, 대한체육회는 《대한민국 체육 100년》에서 《매일신보》 보도와 이후 자료 간 차이점을 언급하며, 자료에 오류가 있다고 지적했다.[16]
경기일 | 경기 |
---|---|
11월 5일 | 천도교청년회 야구단 4 : 0 경신구락부 야구단 |
11월 5일 | 배재구락부 야구단 12 : 5 중앙청년회 야구단 |
11월 6일 | 배재구락부 야구단 4 : 0 삼한구락부 야구단 |
11월 6일 | 배재구락부 야구단 승 : 패 천도교청년회 야구단 |
경기 |
---|
경신구락부 야구단 4 : 0 천도교청년회 야구단 |
배재구락부 야구단 12 : 0 중앙청년회 야구단 |
배재구락부 야구단 4 : 0 삼한구락부 야구단 |
배재구락부 야구단 승 : 패 경신구락부 야구단 |
7. 2. 중학부 경기 결과
야구 중학부 종목에는 경신학교 야구단, 배재고등보통학교 야구단, 보성고등보통학교 야구단, 중앙고등보통학교 야구단, 휘문고등보통학교 야구단 등 5개 선수단이 참가했다.[1] 경기는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미리 대진표를 정하지 않고 예선 경기 후 추첨을 통해 다음 라운드 대진이 정해졌다.[3] 배재고등보통학교 야구단이 우승을 차지했다.[16]1라운드, 준결승, 결승 경기가 1920년 11월 4일 오전에 예선, 오후에 결승전으로 진행되었다.[3] 1라운드에서 경신학교 야구단이 휘문고등보통학교 야구단을 14:11로,[3] 중앙고등보통학교 야구단이 보성고등보통학교 야구단을 14:2로 이겼다.[29] 배재고등보통학교 야구단은 부전승으로 준결승에 진출하여, 추첨을 통해 경신학교 야구단을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29] 결승에서는 배재고등보통학교 야구단이 중앙고등보통학교 야구단을 2:1로 꺾고 우승했다.[29]
대회 당시 《매일신보》의 보도와 대한체육회 및 대한야구협회 자료 간에 경기 결과에 대한 기록이 일부 다르다.[16]
구분 | 매일신보 | 대한체육회/대한야구협회 |
---|---|---|
1라운드 (경신학교 야구단 vs 휘문고등보통학교 야구단) | 14:11 (경신학교 야구단 승) | 14:11 (경신학교 야구단 승) |
1라운드 (중앙고등보통학교 야구단 vs 보성고등보통학교 야구단) | 14:2 (중앙고등보통학교 야구단 승) | 12:0 (중앙고등보통학교 야구단 승) |
준결승 (배재고등보통학교 야구단 vs 경신학교 야구단) | 배재고등보통학교 야구단 승 | 배재고등보통학교 야구단 승 |
준결승 (중앙고등보통학교 야구단) | 부전승 | 해당 없음 |
결승 (배재고등보통학교 야구단 vs 중앙고등보통학교 야구단) | 2:1 (배재고등보통학교 야구단 승) | 4:2 (배재고등보통학교 야구단 승) |
참조
[1]
서적
대한체육회 90년사 I
http://photo3.sports[...]
대한체육회
[2]
서적
대한체육회 90년사 I
http://photo3.sports[...]
대한체육회
[3]
서적
대한민국 체육 100년 Ⅱ 민족의 구심체, 조선체육회(1920~1945)
https://www.sports.o[...]
대한체육회
2022-11-05
[4]
뉴스
전국종합체육대회규정 제4조 제1항
대한체육회
2022-01-24
[5]
서적
대한체육회 90년사 I
http://photo3.sports[...]
대한체육회
[6]
백과사전
전국체육대회
http://www.doopedia.[...]
두산
[7]
백과사전
전국체육대회
http://encykorea.aks[...]
한국학중앙연구원
[8]
백과사전
전국체육대회
https://terms.naver.[...]
민중서관
2000-02-25
[9]
서적
대한체육회 90년사 I
http://photo3.sports[...]
대한체육회
[10]
뉴스
體育會剏立總會(체육회창립총회)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20-07-13
[11]
서적
근대를 보는 창 20
http://book.naver.co[...]
서해문집
2007-10-25
[12]
서적
끝나지 않는 신드롬
http://book.naver.co[...]
푸른역사
2005-07-20
[13]
서적
한국체육백년사
한국학술정보
2001-10-30
[14]
서적
한국체육사연구
국학자료원
2003-12-10
[15]
뉴스
全鮮 第一回 야구대회: 활발한 각 선수 意氣衝天
http://gonews.kinds.[...]
매일신보
1920-11-06
[16]
서적
대한민국 체육 100년 Ⅱ 민족의 구심체, 조선체육회(1920~1945)
https://www.sports.o[...]
대한체육회
2022-11-05
[17]
웹인용
제1회 전국체육대회 야구 중학부 결승 경기기록부
http://210.117.202.1[...]
대한체육회
[18]
웹인용
제1회 전국체육대회 야구 청년부 결승 경기기록부
http://210.117.202.1[...]
대한체육회
[19]
백과사전
청년단 야구대회 우승기
http://www.doopedia.[...]
두산
[20]
뉴스
中學生과 實業團의 野球大會, 숙명여학교 생도가 수놓은 우승기로써 포상을 한다
http://gonews.kinds.[...]
매일신보
1920-11-02
[21]
웹인용
청년단 야구대회 우승기
http://www.cha.go.kr[...]
문화재청
[22]
뉴스
1920년대 야구대회 우승기 등 문화재등록 예고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2012-06-18
[23]
뉴스
제1회 전조선야구대회 열렸던 배재학당에 전국체전표석 설치
http://www.ilyoseoul[...]
일요서울
2019-10-10
[24]
뉴스
배재학당 역사박물관에 '전국체전 표지석' 제막
https://www.hankyung[...]
한국경제신문
2019-10-10
[25]
뉴스
전국체전 1회 대회 기념표석 설치
https://www.segye.co[...]
세계일보
2019-10-10
[26]
서적
대한민국 체육 100년 Ⅱ 민족의 구심체, 조선체육회(1920~1945)
https://www.sports.o[...]
대한체육회
2022-11-05
[27]
서적
대한민국 체육 100년 Ⅱ 민족의 구심체, 조선체육회(1920~1945)
https://www.sports.o[...]
대한체육회
2022-11-05
[28]
웹인용
제1회 전국체육대회 야구 청년부 경기 결과
http://210.117.202.1[...]
대한체육회
[29]
서적
대한민국 체육 100년 Ⅱ 민족의 구심체, 조선체육회(1920~1945)
https://www.sports.o[...]
대한체육회
2022-11-05
[30]
웹인용
제1회 전국체육대회 야구 중학부 경기 결과
http://210.117.202.1[...]
대한체육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