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울특별시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특별시청은 서울특별시의 행정을 총괄하는 기관이다. 일제강점기 경성부청으로 건립되어 광복 이후 서울시청 건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본관, 서소문청사 등 여러 청사로 구성되어 있다. 2012년 신청사가 완공되었으며, 조직은 시장, 부시장, 실·국·본부 등으로 구성되고, 25개의 자치구를 관할한다. 2022년 총예산은 44조 원 규모이며, 지방세 수입이 주요 재원이다. 서울시는 정보 공개를 통해 시민의 알 권리를 보장하고 있으며, 서울시 정보소통광장을 운영하여 행정 정보를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9년 설립된 단체 - 국가민족사무위원회
    국가민족사무위원회는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산하 부처로, 소수 민족 관련 업무를 담당하며, 1949년 설립되어 문화대혁명 기간 해체되었다가 1978년 부활하였고, 현재는 중국공산당 중앙통일전선공작부의 지도를 받으며 소수 민족의 자치 보장과 권익 보호, 사회 통합을 위한 정책을 추진한다.
  • 1949년 설립된 단체 -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은 1949년 북조선과 남한의 단체가 통합되어 결성되었으며, 조선로동당의 통일전선 전술을 수행하고 대한민국 내 지지 세력과의 연계 활동을 목표로 했으나, 김정은의 평화통일 목표 포기 선언에 따라 2024년 3월 해산되었다.
  • 대한민국의 방송채널사용사업자 - 한국교육방송공사
    한국교육방송공사는 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방송하는 대한민국의 공영 교육 방송사로, 지상파 TV, 라디오, 케이블/위성/IPTV 채널을 운영하며 본사는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에 위치한다.
  • 대한민국의 방송채널사용사업자 - CJ ENM
    CJ ENM은 2000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미디어, 커머스, 영화, 음악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며 여러 채널 운영과 영화 제작 및 배급, 온라인 커머스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투표 조작 및 광고 논란 등의 문제도 겪었다.
  • 서울 중구 소재의 관공서 - 한국은행
    한국은행은 대한민국 원의 발행권을 가지며 통화신용정책 수립 및 집행, 금융기관에 대한 여신 업무, 한국은행권 발행 등을 수행하는 무자본 특수법인이다.
  • 서울 중구 소재의 관공서 - 서울중부경찰서
    서울중부경찰서는 서울특별시 중구(서울남대문경찰서 관할 지역 제외)를 관할하며 1907년 한성본정경찰서로 설립되어 경성본정경찰서, 중부경찰서를 거쳐 2001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서장(총경)을 정점으로 여러 부서, 지구대, 파출소, 치안센터로 구성되어 중구 지역 주민의 안전을 책임진다.
서울특별시청
기본 정보
서울특별시청 문장
휘장
기관 유형지방 정부
설립일1949년 8월 15일
시장오세훈
부시장김상한 (행정제1부시장)
유창수 (행정제2부시장)
강철원 (정무부시장)
본청 위치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10
직원 수5,058명
예산44조 2,190억 4,880만 2,000원
모토함께서울: 시민과 함께 세계와 함께
웹사이트 (한국어)서울특별시청 공식 웹사이트 (한국어)
웹사이트 (영어)서울특별시청 공식 웹사이트 (영어)
조직
산하 기관서울특별시의회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시설공단
서울교통공사
서울주택도시공사
서울에너지공사
서울의료원
서울연구원
서울시립대학교
서울디자인재단
서울장학재단
5개 투자출연기관(서울신용보증재단, 서울산업진흥원, 서울문화재단, 서울여성가족재단, 120다산콜재단)
25개 자치구
명칭
한국어 명칭서울특별시청
한자 명칭서울特別市廳
로마자 표기Seoul teukbyeolsi cheong
문화관광부 2000년 표기Sŏul tŭkbyŏlsi ch'ŏng
옛 청사 정보
옛 청사 명칭구 서울특별시청사
문화재 유형등록문화재
등록 번호52
지정일2003년 6월 30일
주소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10 (태평로1가)
건립 시기일제강점기(1926년)
면적1동(8506.38m²)

2. 역사

경성부청 건립 당시의 모습


구 서울시청


서울특별시청 청사는 일제강점기 때 경성부청으로 건립되었다가 광복 이후 서울시청 건물로 쓰이게 되었다. 이 건물은 여러 차례 증축되었다.

1962년 증축된 북관과 1986년 증축된 신관은 새로운 청사를 짓기 위해 2006년 초에 철거되었다. 이후 구 청사는 서울도서관으로 용도가 변경되었다.

1975년부터 전광판 시계가 설치되었는데, 이명박 시장 재임 기간에 대형 바늘시계 '바라'로 교체되었다.

현재 서울특별시청의 시금고(제1금고) 업무를 맡고 있는 은행은 신한은행이다. 2018년까지는 우리은행이 제1금고은행을 맡았으며, 조선상업은행 시절인 1915년에 경성부청 금고 계약을 맺은 것을 시작으로 100년 동안 서울의 시금고 업무를 맡아 왔으나, 신한은행이 1금고로 선정되면서 우리은행은 2금고로 밀려났다.

2007년에는 서소문 청사에 천연가스 충전소가 설치됐다. 주로 서울 시내와 인접한 지역에서 운행하는 CNG 마을버스들이 충전하였으나 2021년 5월 31일 운영이 종료되었고, 2022년 10월 7일 수소 충전소로 바뀌었다.

2022년 2월 27일 건물에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항의의 표시로 우크라이나 국기를 형상화한 조명이 비춰졌다.

2. 1. 신청사 건립

2007년 10월 초, 주차장으로 쓰이던 부지에 지상 19층 높이의 새 청사를 착공할 예정이었으나, 문화재청과 여론의 반대로 무산되었다.[13] 새 청사는 3겹의 샌드위치 모양으로 총 건축비 1565억에 연면적 70960m2 규모로 계획되었다. 기존 본관은 새 청사와 내부에서 연결하고, 광화문 쪽에서 을지로 입구 쪽으로 보행 통로를 확보할 예정이었다. 또한 새 청사의 고층부는 사무실, 저층부(전체 건물의 34%가량)는 시민들을 위한 문화·관광시설로 이용하고,[14] 기존 청사는 해체 후 건물 전면과 중앙부 돔을 복원하고 내부를 신축하여 도서관으로 활용할 예정이었다.[15]

그러나 "수도 서울의 상징성과 역사성, 대표성이 부족하다"라는 여론에 따라 서울시 신청사를 재설계하게 되었다.[16] 2008년 2월 18일, 서울시 신청사 설계경기에서 유걸의 설계안이 당선되었다. 건물 앞부분의 상층부는 곡선 모양으로 튀어나오도록 설계되었으며, 신청사 전체 공간 가운데 30% 정도는 다목적 홀, 스카이라운지 등 문화공간으로 이용된다. 신청사에는 시민문화공간과 함께 종합민원센터인 다산프라자 등 관련 업무 시설이 들어서 있으며, 2008년 12월에 착공했다. 설계자 유걸은 "새 건물의 핵심 키워드는 전통, 시민, 미래"라며 "우리 전통건축 양식이 가진 저층의 수평적 요소와 처마지붕의 깊은 음영 및 곡선미를 재해석해서 옛것에 대한 친근감을 살렸다"라고 말했다.[17]

2008년 8월 26일, 서울시가 기존 청사의 '태평홀'을 철거 후 복원하기 위해 철거하자 문화재청이 반발하여 사적 가지정을 하였고, 태평홀 해체 공사는 중단되었다. 서울시청과 문화재청은 '보존이냐 해체냐'라는 문제로 대립하였다.[18][19][20]

하지만 대립 끝에 문화재청이 사적 가지정을 해제하였고, 청사는 정면 부분과 중앙홀(태평홀)만을 남기고 철거되었다. 철거된 자리에는 새로운 청사 건물이 들어섰다.[21] 2012년 8월, 착공한 지 4년 5개월 만에 신청사가 완공되었다. 규모는 지하 5층, 지상 13층, 연면적 90788m2이다. 지상 3 ~ 4층에는 200석 규모의 대회의실, 지상 8 ~ 9층에는 500 ~ 700석 규모의 다목적홀이 있으며, 지하 1 ~ 2층에는 시민청이라는 민원실이 운영된다.[22]

3. 청사

서울특별시청사는 본관, 서소문청사, 서소문2청사, 무교로청사, 남산청사, 청계청사, 프레스센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청사의 위치는 다음과 같다.

청사명주소
본관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10
서소문청사서울특별시 중구 덕수궁길 15
서소문2청사서울특별시 중구 서소문로 124
무교로청사서울특별시 중구 무교로 21
남산청사서울특별시 중구 삼일대로 231
청계청사서울특별시 중구 청계천로 8
프레스센터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24


4. 조직



서울특별시의 행정 사무를 총괄하는 지방행정기관이자 서울특별시청의 조직은 시장, 행정1·2부시장, 정무부시장 아래 여러 실·국·본부·단 등으로 구성된다. 서울시의회와의 원활한 협력을 위해 정무부시장이 존재한다.[23]

구분실·국·본부·단관·과
시장 산하 하부조직
기획조정실정책기획관실 (기획·조직·창의행정·법무·법률지원담당관실[23]), 재정기획관실 (예산·재정·공공자산·평가·공기업담당관실)
소방재난본부 (소방행정과·재난대응과·예방과·안전지원과·현장대응단·소방감사담당관)
대변인실 (언론담당관실), 홍보기획관실 (홍보·뉴미디어·서울브랜드·민원담당관실[23])
약자와의동행추진단 (동행정책·동행사업담당관실)
서울특별시 감사위원회[23] (감사·공공감사·안전감사·조사·인권담당관실), 서울특별시 시민감사옴부즈만위원회[23]
서울특별시 자치경찰위원회 사무국 (자치경찰총괄·자치경찰협력·자치경찰지원과)
행정제1부시장 산하 하부조직
여성가족정책실 (양성평등·영유아·아이돌봄·아동·가족다문화·1인가구담당관실)
노동·공정·상생정책관실 (노동정책·소상공인·상권활성화·공정경제·농수산유통담당관실)
비상기획관실 (민방위담당관실), 디지털정책관실 (디지털정책·빅데이터[23]·정보시스템·정보공개·공간정보·정보통신보안담당관실)
민생사법경찰단, 미래청년기획단[23]
경제정책실전략산업기반과, 국제협력과, 금융투자과, 바이오AI산업과
경제일자리기획관실[24] (경제정책과·일자리정책과·창업정책과·뷰티패션산업과·미디어콘텐츠산업과·캠퍼스타운활성화과)
신산업정책관실
복지정책실, 복지기획관실[24] (복지정책과·안심소득추진과·안심돌봄복지과·어르신복지과·장애인복지정책과·장애인자립지원과·자활지원과)
도시교통실교통정책과, 도시철도과, 버스정책과, 미래첨단교통과[23], 택시정책과, 주차계획과, 보행자전거과, 물류정책과, 교통운영과[23], 교통지도과
교통기획관실
기후환경본부기후환경정책과, 친환경건물과, 친환경차량과, 대기정책과, 녹색에너지과
자원회수시설추진단[25] (자원순환과·생활환경과)
문화본부 (문화정책과·문화예술과·문화재정책과·문화재관리과·박물관과·문화시설과)
관광체육국 (관광정책과·관광산업과·체육정책과·체육진흥과)
평생교육국 (교육지원정책과·평생교육과·청소년정책과·친환경급식과)
시민건강국 (보건의료정책과·스마트건강과·정신건강과·감염병관리과·코로나19대응지원과·식품정책과·감염병연구센터[23]·공공의료추진단)
행정국 (총무과·인사과·인력개발과·자치행정과·시민협력과·대외협력과·남북협력과[23])
재무국 (재무과·재산관리과·계약심사과·세제과·세무과·38세금징수과)
행정제2부시장 산하 하부조직
미래공간기획관실 (도시공간기획·공공개발기획·공공개발사업담당관실)
디자인정책관실[23][24] (디자인정책·디자인산업·도시경관담당관실), 기술심사담당관실
안전총괄관실 (안전총괄과·중대재해예방과·안전지원과·건설혁신과·도로계획과·도로관리과·도로시설과·교량안전과)
[23]>주택공급기획관실[25] (주택정책과·전략주택공급과·공공주택과·공동주택지원과·주거정비과·주택정책지원센터[23]·건축기획과·재정비촉진사업과·주거환경개선과·지역건축안전센터·한옥정책과)
도시계획국 (도시계획과·도시계획상임기획과[23]·신속통합기획과·도시관리과·시설계획과·토지관리과)
균형발전본부 | 균형발전기획관실[25] (균형발전정책과·도심재창조과·도시정비과·동북권사업과·서부권사업과·광화문광장사업과)
동남권추진단
푸른도시여가국 (공원여가정책과·공원여가사업과·공원조성과·조경과·자연생태과·동물보호과·산지방재과)
물순환안전국 (수변감성도시과·치수안전과·물재생계획과·물재생시설과)
정무부시장 산하 하부조직


4. 1. 직속기관

4. 2. 사업소

서울특별시도시기반시설본부, 서울특별시상수도사업본부, 서울특별시한강사업본부를 비롯한 다양한 사업소를 운영하고 있다. 시민 편의를 위해 서울도서관, 서울역사박물관, 서울특별시립미술관 등 문화시설을 운영한다.

사업소명
서울특별시도시기반시설본부
서울특별시상수도사업본부
서울특별시한강사업본부
서울특별시데이터센터
서울특별시차량정비센터
서울특별시 어린이병원
서울특별시 서북병원
서울특별시 은평병원
서울역사박물관
한성백제박물관
서울공예박물관
서울특별시립미술관
서울특별시체육시설관리사업소
서울도서관
서울역사편찬원
서울특별시중부공원여가센터
서울특별시서부공원여가센터
서울특별시동부공원여가센터
서울특별시북부공원여가센터
서울특별시서울대공원
서울특별시공무원수련원
서울특별시품질시험소
서울특별시동부도로사업소
서울특별시서부도로사업소
서울특별시남부도로사업소
서울특별시북부도로사업소
서울특별시성동도로사업소
서울특별시강서도로사업소
서울특별시중랑물재생센터
서울특별시난지물재생센터
서울특별시립과학관
서울식물원
서울기록원


5. 산하 자치단체

서울특별시에는 25개의 자치구가 있다.


6. 정원

地方公務員|지방공무원중국어 정원은 다음과 같다.[8]

총계5,058명
정무직 계4명
시장1명
부시장1명
서울특별시 자치경찰위원회 위원장1명
서울특별시 자치경찰위원회 상임위원1명
일반직 계4,858명
1급 이하 2급 이상28명
3급 이하 5급 이상1,201명
6급 이하3,602명
전문경력관27명
별정직 계28명
3급 상당 이하 5급 상당 이상23명
6급 상당 이하5명
연구직 계24명
연구관3명
연구사21명
소방공무원 계141명
소방준감4명
소방정2명
소방령 이하135명
경찰공무원 계3명
총경1명
경정 이하2명


7. 재정

2022년 서울특별시의 총예산은 4421.9억이다. 주요 세입 재원은 지방세 수입, 세외수입, 지방교부세, 보조금 등이다.[9]

구분세입예산작년 대비 증감
지방세수입2309.55억+15.3%
세외수입444.03억-3.8%
지방교부세20.48억-1.8%
보조금797.89억-15%
지방채170.88억-19.6%
보전수입 등 및 내부거래679.04억-34.3%



주요 세출 분야는 일반공공행정, 공공질서 및 안전, 교육, 문화 및 관광, 환경, 사회복지, 보건, 산업·중소기업 및 에너지, 교통 및 물류, 국토 및 지역개발 등이다.[9]

구분세출예산작년 대비 증감
분야부문
일반공공행정754.26억-12.24%
입법및선거관리3.66억+33.1%
지방행정·재정지원615.7억-2.9%
재정·금융60.63억-59.41%
일반행정74.26억+1.39%
공공질서및안전151.95억+9.44%
경찰1600만+55.43%
재난방재·민방위41.95억+31.2%
소방109.83억+2.88%
교육427.7억-1.71%
유아및초중등교육424.46억-1.83%
평생·직업교육3.23억+17.3%
문화및관광81.46억-0.79%
문화예술32.71억+0.28%
관광6.5억-1.24%
체육15.34억-18.86%
문화재19.03억+9.17%
문화및관광일반7.86억+19.93%
환경211.28억-12.38%
상하수도·수질150.52억-0.15%
폐기물16.8억+0.55%
대기27.26억-49.89%
자연3.87억-51.44%
환경보호일반12.81억+13.64%
사회복지1595.32억-5.57%
취약계층지원560.74억+0.74%
보육·가족및여성292.62억+2.44%
노인·청소년353.63억+6.58%
노동26.24억-19.31%
주택358.32억+12.41%
사회복지일반3.75억-97.71%
보건69.39억+1.08%
보건의료67.93억+0.85%
식품의약안전1.46억+12.9%
농림해양수산9.87억+42.86%
농업·농촌
산업·중소기업및에너지69.04억-10.1%
무역및투자유치8500만+23.96%
산업진흥·고도화61.65억-8.59%
산업·중소기업일반6.54억-24.59%
교통및물류563.69억+0.36%
도로99.73억-22.83%
도시철도170.32억+79.04%
대중교통·물류등기타293.62억-12.95%
국토및지역개발266.21억-10.18%
수자원10.98억-28.16%
지역및도시254.1억-9.01%
산업단지1.13억-38.3%
과학기술1800만+12.13%
과학기술일반
예비비14.39억-6.89%
예비비
기타207.1억+4.78%
기타


8. 정보 공개

서울시는 법률에 따라 기밀로 분류된 정보를 제외한 모든 행정 정보를 공개하여 시민의 알 권리를 보장하고, 행정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높인다.[6] 박원순 전 시장은 '소통, 협력, 참여'를 핵심으로 하는 정부 2.0 개념을 제시하며 시정 참여 기반을 구축하고 정보소통광장을 통해 시정 정보를 제공하고자 했다.

8. 1. 정보소통광장

서울시는 누드 프로젝트(Nude Project)를 추진하여 행정 정보를 자동으로 공개하는 문서 공개 시스템과 정보소통광장을 구축했다. 이를 통해 시민들은 스마트폰 등으로 행정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6]

정보소통광장은 서울시 내부 결재 문서를 제공한다. 시청 본청, 시 산하 사업체뿐 아니라 25개 자치구 및 시 지원 기관의 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 '의회 정보' 섹션에서는 서울시 주최 회의 정보를, '서울시 정책' 섹션에서는 시 행정의 주요 사업 및 1000억 이상 투자되는 대규모 사업 정보를 제공한다.[6]

참조

[1] 웹사이트 서울특별시청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ttp://www.encyber.c[...] Doosan Encyclopedia 2008-05-07
[2] 웹사이트 Organization Chart http://english.seoul[...] Official site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08-05-07
[3] 웹사이트 Seoul Think Tank Changes Its Name http://english.seoul[...] Official site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5-03-30
[4] 웹사이트 Objective of the Foundation http://global.si.re.[...] The Seoul Institute 2015-03-30
[5] 웹사이트 Cities Archive https://www.c40.org/[...] 2024-09-01
[6] 웹사이트 Seoul Information Communication Plaza http://opengov.seoul[...]
[7] 기타
[8] 기타
[9] 웹인용 2022년 예산서 https://news.seoul.g[...] 2022-12-04
[10] 뉴스 취임한 지 며칠 됐다고… 시·도지사 "월급 올려주오" http://news.joins.co[...] 2013-07-07
[11] 뉴스 區행정의 실질적 책임자 25개구 부구청장 대해부 http://go.seoul.co.k[...] 2013-07-07
[12] 뉴스 '구청의 어머니' 서울시 자치구 부구청장 누구? http://www.asiae.co.[...] 2013-07-07
[13] 뉴스 서울시 새청사 건립공사 10월초 착공 https://news.naver.c[...] 2007-09-27
[14] 뉴스 서울시 新청사 5월에 첫 삽… 19층 '샌드위치' 모양 http://news.hankyung[...] 2007-09-27
[15] 뉴스 서울시 청사 해체… 전문가들 "문화재 가치 무시" 반발 http://www.hani.co.k[...] 2007-09-27
[16] 뉴스 서울시, 신청사 재설계 추진… 3월 착공 http://news.khan.co.[...] 2008-04-30
[17] 뉴스 '7수 끝에…' 서울시 새청사 최종설계안 발표 http://www.hani.co.k[...] 2008-04-30
[18] 뉴스 시민안전 vs 문화재보존‥ 서울시-문화재委 대립 https://news.naver.c[...] 2008-08-30
[19] 뉴스 서울시-문화재청 '시청본관' 문화재 가치 공방 https://news.naver.c[...] 2008-08-29
[20] 뉴스 [오늘 문득] '엎질러진 우유' http://www.ytn.co.kr[...] 2008-08-29
[21] 뉴스 파사드와 중앙홀만 남은 서울시청사 https://news.naver.c[...] 2010-11-03
[22] 뉴스 서울시 신청사 시민의 문화청사로 탄생 http://www.asiatoday[...] 2012-09-26
[23] 기타
[24] 기타
[25]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