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4년 전국체육대회 육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24년 전국체육대회 육상은 1924년 6월 14일부터 이틀간 일제강점기 조선 경성부에 있는 휘문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개최된 육상 경기 대회이다. 조선체육회가 주최하고 휘문고등보통학교 운동장을 경기장으로 사용했으며, 18개 세부 종목에 400여 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휘문고등보통학교, 양정고등보통학교, 경성제일공립고등보통학교 등 경성 지역 학교와 동래, 개성, 강계, 평양 등 전국 각지에서 팀이 참가했으며, 최응천(숭실고등보통학교)과 강찬격(송도고등보통학교) 등이 주요 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4년 육상 - 1924년 전조선중등학교육상경기대회
1924년 전조선중등학교육상경기대회는 연희전문학교에서 개최된 중등학교 육상 경기 대회로, 8개 육상단이 참가하여 남자 종목에서 경쟁한 결과 양정고등보통학교 육상단이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 - 1924년 육상에 관한 - 1924년 전조선중등학교육상경기대회
1924년 전조선중등학교육상경기대회는 연희전문학교에서 개최된 중등학교 육상 경기 대회로, 8개 육상단이 참가하여 남자 종목에서 경쟁한 결과 양정고등보통학교 육상단이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
1924년 전국체육대회 육상 | |
---|---|
대회 정보 | |
연도 | 1924 |
종류 | 하계 |
종목 | 육상 |
영어 종목 | Athletics |
개최국 | 일제강점기 조선 |
개최 도시 | 경성 |
개최 기간 | 1924년 6월 14일~6월 15일 |
경기장 | 휘문고등보통학교 운동장 |
참가 선수단 | 4 |
참가 선수 | 349 |
남자 선수 | 349 |
선수 각주 | 鐵血男兒三百餘(철혈남아삼백여) |
종목 수 | 18 |
남자 종목 | 18 |
일반부 선수 | 349 |
일반부 남자 선수 | 349 |
일반부 종목 수 | 18 |
일반부 남자 종목 | 18 |
다음 대회 | 1925 |
2. 대회 준비
1923년 조선체육회는 제4회 정기총회를 통해 모든 종목의 기초가 되는 육상 경기 장려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같은 해 7월 4일 이사회를 통해 전조선육상경기대회 개최를 위한 연구와 실행위원을 위촉했다.[3] 조선체육회는 전조선육상경기대회 개최를 위해 휘문고등보통학교의 소유주인 민영휘가 계동궁의 절반을 사서 마련한 휘문고등보통학교 운동장을 경기장으로 사용하기로 했다.[2] 근대식 육상 경기 진행을 위해 영국에서 유학한 서병희가 휘문고등보통학교에 육상 경기 트랙을 설계하여 경기장 가운데에 100m 직선 코스를 만들고 한 바퀴가 333m인 트랙을 만들었다.[2] 또한 그 동안 마련한 기금 5000KRW으로 육상 경기에 필요한 허들 등의 기구를 마련했다.[2]
1924년 6월 14일부터 이틀간 일제강점기 조선 경성부에 있는 휘문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개최되었다.[2] 오늘날과 달리 약 24.14km 거리로 진행된 마라톤을 비롯하여[4] 총 18개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고, 양정고보, 청년학관, 휘문고보, 경성상업, 선린상업, 협성실업, 제2고보, 보성전문, 중앙고보, 동래고보 등을 비롯한 단체와 강계, 평양 등지에서 온 은행원, 상인, 실업인들을 비롯하여 총 400여 명의 선수가 참가했다.[2] 당시 조선체육회는 다리에 힘을 쓰는 직업을 가진 사람이 육상 경기에 참가하는 것은 아마추어 정신에 위배된다고 판단하여, 인력거꾼, 우편배달원, 신문배달원 등 평상시 다리 힘을 쓰는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에 대해 참가 자격을 제한하는 규정을 만들었다.[2]
휘문고등보통학교 운동장이 사용되었다.
1924년 전국체육대회 육상 경기는 1924년 6월 14일부터 6월 15일까지 이틀간 개최되었다. 청년부 경기에는 총 18개 세부 종목이 진행되었다. 각 종목별 자세한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편 대회를 사흘 앞둔 6월 11일, 양정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육상 경기 훈련 도중 사망사고가 발생했다.[2] 대회를 대비하여 양정고등보통학교 3학년 학생인 김두환이 휴식 시간을 이용해 던진 창이 같은 학교 3학년 학생인 한세열의 가슴 부위에 꽂혔다.[2] 사고 직후 한세열은 가슴에 꽂힌 창을 뽑고 교무실로 향했지만, 교무실로 올라가는 계단에서 사망했다.[2]
3. 대회 진행
4. 경기장
5. 경기 결과
종목 결과 14일 15일 청년부 남자 100m style="background-color:#3399FF;"| style="background-color:#FFCC00;"| 남자 200m style="background-color:#3399FF;"| style="background-color:#FFCC00;"| 남자 400m style="background-color:#3399FF;"| style="background-color:#FFCC00;"| 남자 800m style="background-color:#3399FF;"| style="background-color:#FFCC00;"| 남자 1500m style="background-color:#3399FF;"| style="background-color:#FFCC00;"| 남자 5000m style="background-color:#3399FF;"| style="background-color:#FFCC00;"| 남자 110m 허들 style="background-color:#3399FF;"| style="background-color:#FFCC00;"| 남자 200m 허들 style="background-color:#3399FF;"| style="background-color:#FFCC00;"| 남자 800m 계주 style="background-color:#3399FF;"| style="background-color:#FFCC00;"| 남자 1600m 계주 style="background-color:#FFCC00;"| 남자 마라톤 style="background-color:#FFCC00;"| 남자 멀리뛰기 style="background-color:#3399FF;"| style="background-color:#FFCC00;"| 남자 세단뛰기 style="background-color:#3399FF;"| style="background-color:#FFCC00;"| 남자 높이뛰기 style="background-color:#3399FF;"| style="background-color:#FFCC00;"| 남자 장대높이뛰기 style="background-color:#3399FF;"| style="background-color:#FFCC00;"| 남자 포환던지기 style="background-color:#3399FF;"| style="background-color:#FFCC00;"| 남자 원반던지기 style="background-color:#3399FF;"| style="background-color:#FFCC00;"| 남자 창던지기 style="background-color:#3399FF;"| style="background-color:#FFCC00;"|
5. 1. 남자 100m
1924년 전국체육대회 육상 남자 100m 종목에서는 최응천|崔應天일본어(경성, 숭실고등보통학교 교사)이 우승을 차지했다. 경기의 이종윤과 이진문이 각각 2위와 3위를 기록했다.
순위 | 선수 | 소속 |
---|---|---|
1 | 최응천|崔應天일본어 | 경기 |
2 | 이종윤 | 경기 |
3 | 이진문 | 경기 |
5. 2. 남자 200m
남자 100m에서 우승한 최응천(숭실고등보통학교 교사)이 남자 200m에서도 우승하여 2관왕을 달성했다.순위 | 선수 | 소속 | 기록 |
---|---|---|---|
1 | 최응천 | 경기 | |
2 | 유지연 | 경기 | |
3 | 김영희 |
5. 3. 남자 400m
5. 4. 남자 800m
이규홍|李圭弘한국어(경기, 황성기독교청년회 학관)이 우승하였다. 윤도순|尹道順한국어(경기)과 한응칠|韓應七한국어(경기)이 그 뒤를 이었다.5. 5. 남자 1500m
최도흥|崔道興한국어(경기, 휘문고등보통학교)이 1924년 전국체육대회 육상 남자 1500m 종목에서 우승했다.[1] 그 뒤로 ko(경기)과 ko(경기)이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했다.[1]5. 6. 남자 5000m
김희천|金羲天한국어(경기, 양정고등보통학교)이 우승했다. 2위는 윤희표, 3위는 곽병준|郭炳俊한국어(경기)이었다.5. 7. 남자 110m 허들
1924년 전국체육대회 육상 남자 110m 허들 종목에서는 강희문(경기, 휘문고등보통학교)이 우승하였다. 정천종(경기)과 변세환(경기)이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하였다.5. 8. 남자 200m 허들
강봉삼|姜鳳三한국어(평남, 평양 상인)이 1924년 전국체육대회 청년부 남자 200m 허들 종목에서 우승했다.[1] 같은 대회에서 ko(경기)이 2위, 김영희가 3위를 기록했다.[1]5. 9. 남자 800m 계주
1924년 전국체육대회 육상 남자 800m 계주 종목에서는 휘문고등보통학교 육상단이 우승했다.[1] 2위는 배재고등보통학교 육상단으로 이태인, 이태진, 장관식, 홍사극 선수가 참가했다.[1] 3위는 양정고등보통학교 육상단으로 엄경섭, 유준만, 임대길, 최종렬 선수가 참가했다.[1]5. 10. 남자 1600m 계주
1924년 전국체육대회 남자 1600m 계주 경기에서는 양정고등보통학교 육상단이 우승을 차지했다. 배재고등보통학교 육상단과 휘문고등보통학교 육상단이 그 뒤를 이었다.5. 11. 남자 마라톤
강찬격|姜燦隔한국어(경기, 송도고등보통학교)이 우승하였다.5. 12. 남자 멀리뛰기
1924년 전국체육대회 육상 남자 멀리뛰기 종목에서는 숭실고등보통학교 출신 교사인 최삼광(경기)이 우승을 차지했다. 김영희가 그 뒤를 이었으며, 정천종(경기)이 3위를 기록했다.[1]5. 13. 남자 세단뛰기
김용암|金龍岩한국어(수영 상공)이 해당 종목에서 우승했다.[1] 성창규와 김동우가 각각 2위와 3위를 기록했다.[1]순위 | 선수 | 소속 |
---|---|---|
김용암|金龍岩한국어 | 수영 상공 | |
성창규 | 경기 | |
김동우 | 경기 |
5. 14. 남자 높이뛰기
1924년 전국체육대회 남자 높이뛰기 종목에서는 김정기가 우승했다.5. 15. 남자 장대높이뛰기
전재원|田在源일본어(경성제일공립고등보통학교)이 우승을 차지했다.[5] 한우성(경기)과 오덕렬이 그 뒤를 이었다.5. 16. 남자 포환던지기
신관영|申寬泳한국어(중앙고등보통학교)이 제5회 전조선육상경기대회 남자 포환던지기 종목에서 유준만|柳俊萬한국어과 신상동을 제치고 우승했다.[6]5. 17. 남자 원반던지기
제5회 전조선육상경기대회 남자 원반던지기 종목에서 양정고등보통학교의 유석남이 우승했다.[7] 김동우와 유준만이 각각 2위와 3위를 기록했다.[7]5. 18. 남자 창던지기
1924년 전국체육대회 육상 남자 창던지기 종목에서는 양정고등보통학교 소속의 유준만이 우승을 차지했다. 경기 소속의 이종원과 이혜택이 각각 2위와 3위를 기록했다.[1]순위 | 선수 | 소속 |
---|---|---|
1 | 유준만 | 양정고등보통학교 |
2 | 이종원 | 경기 |
3 | 이혜택 | 경기 |
6. 메달 집계
7. 참가팀
학교 | 도시 | 참가 종목 |
---|---|---|
경성고등공업학교 | 경성 | 포환던지기, 창던지기 |
경성고등상업학교 | 경성 | 100m |
경성고등예비학교 | 경성 | 400m, 1500m |
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 | 경성 | 100m, 200m, 400m, 창던지기 |
경성제일공립고등보통학교 | 경성 | 200m, 400m, 높이뛰기, 포환던지기, 창던지기 |
관립동래고등보통학교 | 동래 | 200m, 400m, 800m, 1500m |
배재고등보통학교 | 경성 | 1500m, 1600m 계주, 멀리뛰기 |
보성고등보통학교 | 경성 | 200m, 400m, 800m 계주 |
보성전문학교 | 경성 | 200m, 200m 허들, 세단뛰기 |
선린상업학교 | 경성 | 100m, 800m, 110m 허들, 창던지기 |
송도고등보통학교 | 개성 | 마라톤 |
양정고등보통학교 | 경성 | 100m, 200m, 400m, 800m, 1500m, 110m 허들, 200m 허들, 800m 계주, 1600m 계주, 멀리뛰기, 세단뛰기, 높이뛰기, 창던지기 |
인현공립보통학교 | 경성 | 800m |
중앙고등보통학교 | 경성 | 100m, 200m, 400m, 1500m, 800m 계주, 1600m 계주, 멀리뛰기, 포환던지기, 창던지기 |
협성학교 | 경성 | 100m, 200m, 400m, 멀리뛰기 |
황성기독교청년회학관 | 경성 | 100m, 200m, 400m, 800m, 1500m, 800m 계주, 멀리뛰기, 창던지기 |
휘문고등보통학교 | 경성 | 100m, 200m, 400m, 800m, 1500m, 110m 허들, 800m 계주, 1600m 계주, 멀리뛰기, 높이뛰기, 창던지기 |
강계 연합 | 강계 | (참가 종목 자료 없음) |
경성 연합 | 경성 | 100m, 200m, 400m, 높이뛰기 |
수원 연합 | 수원 | (참가 종목 자료 없음) |
평양 연합 | 평양 | 100m, 200m, 400m, 1600m 계주 |
참조
[1]
뉴스
鐵血男兒三百餘(철혈남아삼백여)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24-06-12
[2]
서적
대한체육회 90년사 I
http://photo3.sports[...]
[3]
서적
대한체육회 90년사 I
http://photo3.sports[...]
[4]
웹인용
제5회 전국체육대회 육상 일반부 남자 마라톤 경기 결과
http://210.117.202.1[...]
대한체육회
[5]
문서
[6]
문서
[7]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