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32년 전국체육대회 육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32년 전국체육대회 육상은 1932년 10월 22일 경성운동장에서 개최된 육상 대회이다. 남자 종목만 24개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소학부, 중학부, 일반부로 나뉘어 경기가 치러졌다. 주요 경기 결과로는 남승룡이 5000m와 10000m에서 우승을 차지했고, 이웅은 높이뛰기에서, 유약한은 원반던지기 및 창던지기에서 대회신기록을 세웠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2년 육상 - 1932년 하계 올림픽 육상
    1932년 로스앤젤레스 하계 올림픽 육상은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에서 남자 21개 종목과 여자 5개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32개국 386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미국이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다.
  • 전국체육대회 육상에 관한 - 1924년 전국체육대회 육상
    1924년 전국체육대회 육상은 조선체육회 주관으로 일제강점기 시대에 개최된 육상 경기로, 학생 사망 사고로 안전 문제가 부각되었으며, 아마추어리즘 규정 준수 속에 10월 경성운동장에서 100여 명의 선수가 참가, 평양이 종합 1위를 차지했다.
  • 전국체육대회 육상에 관한 - 1925년 전국체육대회 육상
    1925년 5월 25일부터 이틀간 경성운동장에서 개최된 제6회 전국체육대회 육상 경기는 윤치호가 대회장을 맡았고 해머던지기와 5종 경기가 추가되어 총 19개 또는 20개의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각 종목에서 강도일, 이규홍, 진제식, 문판개, 강찬격 등이 1위를 차지했다.
  • 전국체육대회 육상 - 1924년 전국체육대회 육상
    1924년 전국체육대회 육상은 조선체육회 주관으로 일제강점기 시대에 개최된 육상 경기로, 학생 사망 사고로 안전 문제가 부각되었으며, 아마추어리즘 규정 준수 속에 10월 경성운동장에서 100여 명의 선수가 참가, 평양이 종합 1위를 차지했다.
  • 전국체육대회 육상 - 1925년 전국체육대회 육상
    1925년 5월 25일부터 이틀간 경성운동장에서 개최된 제6회 전국체육대회 육상 경기는 윤치호가 대회장을 맡았고 해머던지기와 5종 경기가 추가되어 총 19개 또는 20개의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각 종목에서 강도일, 이규홍, 진제식, 문판개, 강찬격 등이 1위를 차지했다.
1932년 전국체육대회 육상
대회 정보
종류하계
종목육상
영어 종목Athletics
픽토그램Athletics pictogram.svg
개최 정보
개최 도시경기도 경성부
개최 기간1932년 10월 22일
경기장경성운동장
선수단 정보
종목수24
남자 종목24
대회 연혁
이전 대회1930
다음 대회1933

2. 대회 진행

육상 종목은 1932년 10월 22일에 일제강점기 조선 경성부에 있는 경성운동장에서 개최되었다.[1] 10월 19일까지 참가 접수를 받았으며, 남자 개인 종목은 1인당 30전, 남자 단체 종목은 한 팀당 1원의 참가비를 받았다.[2] 여자 종목도 신설하여 참가비를 받지 않았으나,[2] 참가자가 없어 진행되지 않았다.[3] 그리하여 육상 종목은 남자 종목만 24개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다.[1][4]

3. 경기 결과

1932년 전국체육대회 육상 경기는 소학부, 중학부, 일반부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소학부에서는 용강공립보통학교와 보인보통학교가 주요 경쟁 구도를 형성했다. 특히, 남자 400m 계주에서 용강공립보통학교가 대회신기록을 세우며 우승했다.[1]

중학부에서는 배재고등보통학교와 양정고등보통학교가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남자 400m 계주에서는 배재고등보통학교가, 800m 계주와 1600m 계주에서는 양정고등보통학교가 우승했다.

일반부에서는 양정고등보통학교 출신 선수들이 두드러진 활약을 보였다. 남승룡은 남자 10000m에서 대회신기록을 세우고,[1] 5000m에서도 우승했다. 백규복은 남자 800m와 1500m에서 우승했다.[1] 유약한은 남자 포환던지기와 원반던지기에서 우승했고,[1] 유약한|유야칸일본어은 창던지기에서 대회신기록으로 우승했다.[1]

3. 1. 소학부

소학부에서는 용강공립보통학교와 보인보통학교가 주요 경쟁 구도를 형성했다. 특히, 소학부 남자 400m 계주에서 용강공립보통학교가 대회신기록을 세우며 우승했다.[1]

3. 1. 1. 소학부 남자 400m 계주

용강공립보통학교(이한원, 유좌면, 황영관, 김현수)가 53.2초의 대회신기록으로 우승했다.[1] 보인보통학교가 그 뒤를 이었으나, 기록은 알려지지 않았다.[1]

3. 2. 중학부

제13회 전조선육상경기대회 중학부에서는 배재고등보통학교와 양정고등보통학교가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남자 400m 계주에서는 배재고등보통학교가, 800m 계주와 1600m 계주에서는 양정고등보통학교가 우승했다.

3. 2. 1. 중학부 남자 400m 계주

1932년 전국체육대회 육상 중학부 남자 400m 계주 경기에서는 배재고등보통학교 (문영수, 조영규, 이은제, 김인식)가 46.5의 기록으로 우승했다. 양정고등보통학교는 선수와 기록 모두 알려지지 않았다.

3. 2. 2. 중학부 남자 800m 계주

1932년 전국체육대회 육상 중학부 남자 800m 계주 경기에서는 양정고등보통학교 (이을형, 이병옥, 안영재, 김종원)가 1분 37.5초의 기록으로 우승했다. 배재고등보통학교가 그 뒤를 이었으나, 기록은 알려지지 않았다.

3. 2. 3. 중학부 남자 1600m 계주

양정고등보통학교(안영재, 김주용, 김세희, 김종원)가 3분 49.8초의 기록으로 우승했다.

3. 3. 일반부

1932년 전국체육대회 육상 일반부에서는 여러 선수들이 다양한 종목에서 경쟁을 벌였다. 특히, 양정고등보통학교 출신 선수들이 두드러진 활약을 보였다.

남승룡(양정)은 남자 10000m에서 34분 45.0초의 대회신기록으로 우승하였고,[1] 5000m에서도 우승을 차지했다. 그는 훗날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에서 동메달을 획득하기도 했다. 백규복(철도)은 남자 800m와 1500m에서 각각 2분 09초 8, 4분 34.8초의 기록으로 우승했다.[1] 유약한(철도)은 남자 포환던지기와 원반던지기에서 각각 11.54m, 39.40m의 기록으로 우승했고,[1] 유약한|유야칸일본어은 창던지기에서 50.20m의 대회신기록으로 우승했다.[1]

3. 3. 1. 일반부 남자 100m

일반부 남자 100m 달리기 종목 예선은 세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예선 1조에서는 양정 소속 이을형과 경성 소속 한태준이, 예선 2조에서는 배재 소속 최인호와 경성 소속 김동순이, 예선 3조에서는 보전 소속 한철호와 양정 소속 이병옥이 각각 결선에 진출했다.[1] 각 조별 1위의 기록은 이을형과 최인호가 11초 8, 한철호가 11초 7이었다.[1]

결선에서는 최인호(배재)가 12초 0으로 우승했고, 이을형(양정)과 한태준(경성)이 각각 2, 3위를 기록했다.[1]

순위선수소속기록
최인호배재12.0
이을형양정불명
한태준경성불명


3. 3. 2. 일반부 남자 200m

1932년 전국체육대회 육상 남자 일반부 200m 경기에서 김인식(배재)이 24.1의 기록으로 우승하였다.[1] 이을형(양정)이 2위, 김희영(경성)이 3위를 차지하였으나, 이들의 기록은 알려지지 않았다.[1]

순위선수소속기록
1김인식배재24.1
2이을형양정불명
3김희영경성불명


3. 3. 3. 일반부 남자 400m

김종원(양정)이 54.4의 기록으로 우승했다.[1] 安永在|안영재일본어 (양정)와 김세회(양정)가 각각 2, 3위를 차지했으나, 이들의 기록은 알려지지 않았다.[1]

3. 3. 4. 일반부 남자 800m

백규복(철도)이 2분 09초 8의 기록으로 우승했다.[1] 김명환(충남)이 2위, 정명성(체신)이 3위를 차지했지만, 이들의 기록은 알려지지 않았다.[1]

순위선수소속기록
1백규복철도2분 09초 8
2김명환충남불명
3정명성체신불명


3. 3. 5. 일반부 남자 1500m

1932년 전국체육대회 육상 경기 '''일반부 남자 1500m''' 종목에서 백규복(철도)이 4분 34.8초의 기록으로 우승했다.[1] 정명성(체신)과 김명환(충남)이 그 뒤를 이었으나, 이들의 기록은 알려지지 않았다.[1]

순위선수소속기록
1백규복철도4:34.8
2정명성체신불명
3김명환충남불명


3. 3. 6. 일반부 남자 5000m

남승룡(양정고등보통학교)이 16분 55.2초의 기록으로 우승했다. 남승룡은 훗날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한국 육상의 위상을 높였다.

3. 3. 7. 일반부 남자 10000m

남승룡(양정)이 34분 45.0초의 대회신기록으로 우승했다.[1] 김국봉(평북), 이도경(평북)이 각각 2, 3위를 차지했다.[1]

순위선수소속기록비고
1남승룡양정34:45.0대회신기록
2김국봉평북불명
3이도경평북불명
4박계성경기불명
5오등이고려불명


3. 3. 8. 일반부 남자 110m 허들

1932년 전국체육대회 육상 일반부 남자 110m 허들 경기에서는 이정상(경성)이 20.3의 기록으로 우승했다. 안홍식(양정)이 2위, 오기영(경성)이 3위를 차지했지만, 이들의 기록은 알려지지 않았다.

순위선수소속기록
1이정상경성20.3
2안홍식양정불명
3오기영경성불명


3. 3. 9. 일반부 남자 200m 허들

순위선수소속기록비고
1안홍식양정30.0[1]
2문병국양정불명[1]
3이정상경성불명[1]


3. 3. 10. 일반부 남자 400m 계주

전배재 팀(한철호, 황대걸, 한태준, 최인호)이 52.3의 기록으로 우승하였다.

3. 3. 11. 일반부 남자 800m 계주

순위선수기록비고
1전배재최인호, 임정재, 한태준, 황대걸1:39.6


3. 3. 12. 일반부 남자 1600m 계주

대호 팀이 우승했으며, 한종흠, 최규복, 문병국, 박희봉이 출전하여 4분 6.8초를 기록했다.

순위선수기록비고
1대호한종흠, 최규복, 문병국, 박희봉4:06.8


3. 3. 13. 일반부 남자 멀리뛰기

이을형(양정고등학교)이 5.91m의 기록으로 우승했다.[1] 한철호(보성전문학교)가 5.88m로 2위, 이병옥(양정고등학교)이 5.74m로 3위를 차지했다.[1]

순위선수소속기록
1이을형양정고등학교5.91
2한철호보성전문학교5.88
3이병옥양정고등학교5.74


3. 3. 14. 일반부 남자 세단뛰기

박상만(양정)이 12.24의 기록으로 우승했다.[1] 안수현(경성)이 11.50으로 2위를, 안홍식(양정)이 11.33으로 3위를 차지했다.[1]

3. 3. 15. 일반부 남자 높이뛰기

순위선수소속기록비고
1이웅고려1.67m대회신기록
2윤수창배재1.63m
3황대걸연전1.62m


3. 3. 16. 일반부 남자 포환던지기

일반부 남자 포환던지기 종목에서는 유약한(철도)이 11.54m의 기록으로 우승했으며, 김종준(경성)이 10.52m로 그 뒤를 이었다.[1]

순위선수소속기록
1유약한철도11.54
2김종준경성10.52


3. 3. 17. 일반부 남자 원반던지기

순위선수소속기록비고
유약한철도39.40
김종준경성31.51
김희선보전30.19


3. 3. 18. 일반부 남자 창던지기

유약한|유야칸일본어(철도)이 제13회 전조선육상경기대회 일반부 남자 창던지기에서 50.20m의 대회신기록으로 우승했다.[1] 김종준(경성)이 42.00m로 2위를 차지했고, 한종흠(양정)은 기록이 남아있지 않다.

3. 3. 19. 일반부 남자 해머던지기

주흥근(부청)이 28.99m의 기록으로 우승했고, 유약한(철도)이 23.96m로 그 뒤를 이었다.

순위선수소속기록
1주흥근부청28.99
2유약한철도23.96


3. 3. 20. 일반부 남자 5종

1932년 전국체육대회 육상 일반부 남자 5종 경기에서는 양정고등학교 소속의 김종원이 2403.75점으로 우승하였다.

참조

[1] 뉴스 全朝鮮陸上競技(전조선육상경기) 明朗壯快(명랑장쾌)히開幕(개막)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10-23
[2] 뉴스 第八回全朝鮮(제팔회전조선) 陸上競技大會(육상경기대회)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10-09
[3] 뉴스 陸上競技明日開幕(육상경기명일개막) 長距離(장거리)에總集中(총집중)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10-22
[4] 뉴스 前記錄大槪突破(전기록대개돌파) 陸上競技(육상경기)에大收穫(대수확)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10-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