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6년 하계 올림픽 농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36년 하계 올림픽 농구는 21개국이 참가한 대회로,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미국이 금메달, 캐나다가 은메달, 멕시코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경기는 패자부활전을 거쳐 진행되었으며, 결승전은 폭우 속에서 치러져 득점이 낮았다. 미국은 결승전에서 캐나다를 꺾고 우승했으며, 199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6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 1936년 하계 올림픽 육상
1936년 하계 올림픽 육상은 독일 베를린에서 개최된 올림픽의 육상 종목 경기로, 미국이 가장 많은 금메달을 획득했고, 남자 마라톤에서 손기정과 남승룡이 메달을 획득했으며, 다양한 올림픽 기록과 세계 기록이 경신되었다. - 1936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 1936년 하계 올림픽 축구
1936년 하계 올림픽 축구는 제11회 하계 올림픽의 축구 종목으로, 이탈리아가 금메달, 오스트리아가 은메달, 노르웨이가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페루와 오스트리아 간의 8강전은 심판 판정 논란으로 페루 선수단이 대회에서 철수하는 사건이 있었다.
1936년 하계 올림픽 농구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종목 종류 | 농구 |
대회 종류 | 올림픽 |
도시 | 베를린 |
연도 | 1936년 |
하계 올림픽 | 1936년 하계 올림픽 |
개최국 | 나치 독일독일 |
날짜 | 8월 7일 - 8월 14일 |
남자 팀 수 | 21 |
이전 대회 | 1904 (시범 경기) |
다음 대회 | 런던 1948 |
메달 정보 | |
남자 금메달 | 미국 |
남자 은메달 | 캐나다 |
남자 동메달 | 멕시코 |
관련 정보 | |
선수 명단 | 남자 |
기타 정보 | |
참가국 | 23 |
불참 국가 | 스페인, 헝가리 |
4위 | 폴란드 |
2. 참가국
1936년 하계 올림픽 농구에는 총 21개국이 참가하였다. 헝가리와 스페인은 대회 시작 전에 기권하였다. 각 국가는 14명의 선수로 구성된 한 팀을 출전시킬 수 있었으며, 모든 선수가 출전 자격을 갖췄지만, 한 경기당 7명만 경기에 참여할 수 있었다.
참가국은 다음과 같다:
; 아시아
; 아메리카
; 아프리카
; 유럽
2. 1. 아시아
2. 2. 아메리카
2. 3. 아프리카
2. 4. 유럽
3. 경기 결과
1936년 하계 올림픽 농구 경기는 각 라운드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패배한 팀은 패자부활전을 통해 다음 라운드 진출 기회를 얻었다. 3라운드부터는 패자부활전 없이 패배 팀은 자동 탈락했다. 8강전 패배 팀은 5-8위 순위 결정전에 참가했다. 준결승전 승리 팀은 결승전에 진출하고, 패배 팀은 동메달 결정전을 치렀다.
1라운드에서는 에스토니아, 칠레, 스위스, 이탈리아, 페루, 라트비아, 캐나다, 일본, 멕시코가 각각 프랑스, 튀르키예, 독일, 폴란드, 이집트, 우루과이, 브라질, 중화민국, 벨기에를 꺾고 승리했다. 필리핀, 미국, 체코슬로바키아는 부전승으로 2라운드에 진출했다. 1라운드 패자부활전에서는 우루과이, 중국, 이집트가 각각 벨기에, 프랑스, 튀르키예를 꺾고 다음 라운드 진출권을 얻었으며, 브라질, 독일, 폴란드는 부전승으로 2라운드 패자부활전에 진출했다.
2라운드에서는 필리핀, 일본, 우루과이, 페루, 미국, 이탈리아, 스위스, 칠레, 캐나다가 각각 멕시코, 폴란드, 이집트, 중화민국, 에스토니아, 독일, 체코슬로바키아, 브라질, 라트비아를 꺾고 3라운드에 진출했다. 2라운드 패자부활전에서는 폴란드, 브라질, 멕시코, 체코슬로바키아가 각각 라트비아, 중화민국, 이집트, 독일을 꺾고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으며, 에스토니아는 부전승으로 3라운드에 진출했다.
3라운드에서는 필리핀, 이탈리아, 멕시코, 캐나다, 우루과이, 폴란드가 각각 에스토니아, 칠레, 일본, 스위스, 체코슬로바키아, 브라질을 꺾고 8강에 진출했다. 미국과 페루는 부전승으로 8강에 진출했다.
8강전에서는 미국, 멕시코, 캐나다가 각각 필리핀, 이탈리아, 우루과이를 꺾고 준결승에 진출했다. 폴란드는 페루의 기권으로 부전승으로 준결승에 진출했다. 8강전에서 패배한 팀들 간의 순위 결정전에서는 필리핀이 이탈리아를 꺾고 5위를 차지했으며, 우루과이는 페루의 기권으로 부전승으로 7위를 차지했다.
준결승전에서는 미국이 멕시코를, 캐나다가 폴란드를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동메달 결정전에서는 멕시코가 폴란드를 꺾고 동메달을 차지했으며, 결승전에서는 미국이 캐나다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 주요 경기 ===
3라운드에서 필리핀이 에스토니아를 39-22로, 이탈리아가 중화민국을 27-19로, 멕시코가 일본을 28-22로, 캐나다가 스위스를 27-9로, 우루과이가 체코슬로바키아를 28-19로, 폴란드가 브라질을 33-25로 각각 이겼다. 8강에서는 미국이 필리핀을 56-23으로, 멕시코가 이탈리아를 34-17로, 캐나다가 우루과이를 41-21로 이겼으며, 폴란드는 부전승으로 준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에서 미국은 멕시코를 25-10으로, 캐나다는 폴란드를 42-15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전은 8월 14일 18시에 베를린에서 열렸으며, 폭우 속에서 진행되었다. 야외 코트는 진흙탕으로 변하여 드리블이 불가능했고, 이로 인해 득점이 매우 적었다. 미국 대표팀의 조 포텐베리가 8점으로 최다 득점을 기록했고, 약 1,000명의 관중은 거의 앉을 자리가 없어 결승전 내내 비를 맞으며 서 있어야 했다. 경기 결과 미국이 캐나다를 19-8로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다.
동메달 결정전에서는 멕시코가 폴란드를 26-12로 꺾고 동메달을 획득했다.
3. 1. 경기 방식
1936년 하계 올림픽 농구 경기는 각 라운드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패배한 팀은 패자부활전을 통해 다음 라운드 진출 기회를 얻었다. 3라운드부터는 패자부활전 없이 패배 팀은 자동 탈락했다. 8강전 패배 팀은 5-8위 순위 결정전에 참가했다. 준결승전 승리 팀은 결승전에 진출하고, 패배 팀은 동메달 결정전을 치렀다.1라운드에서는 에스토니아, 칠레, 스위스, 이탈리아, 페루, 라트비아, 캐나다, 일본, 멕시코가 각각 프랑스, 튀르키예, 독일, 폴란드, 이집트, 우루과이, 브라질, 중화민국, 벨기에를 꺾고 승리했다. 필리핀, 미국, 체코슬로바키아는 부전승으로 2라운드에 진출했다. 1라운드 패자부활전에서는 우루과이, 중국, 이집트가 각각 벨기에, 프랑스, 튀르키예를 꺾고 다음 라운드 진출권을 얻었으며, 브라질, 독일, 폴란드는 부전승으로 2라운드 패자부활전에 진출했다.
2라운드에서는 필리핀, 일본, 우루과이, 페루, 미국, 이탈리아, 스위스, 칠레, 캐나다가 각각 멕시코, 폴란드, 이집트, 중화민국, 에스토니아, 독일, 체코슬로바키아, 브라질, 라트비아를 꺾고 3라운드에 진출했다. 2라운드 패자부활전에서는 폴란드, 브라질, 멕시코, 체코슬로바키아가 각각 라트비아, 중화민국, 이집트, 독일을 꺾고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으며, 에스토니아는 부전승으로 3라운드에 진출했다.
3라운드에서는 필리핀, 이탈리아, 멕시코, 캐나다, 우루과이, 폴란드가 각각 에스토니아, 칠레, 일본, 스위스, 체코슬로바키아, 브라질을 꺾고 8강에 진출했다. 미국과 페루는 부전승으로 8강에 진출했다.
8강전에서는 미국, 멕시코, 캐나다가 각각 필리핀, 이탈리아, 우루과이를 꺾고 준결승에 진출했다. 폴란드는 페루의 기권으로 부전승으로 준결승에 진출했다. 8강전에서 패배한 팀들 간의 순위 결정전에서는 필리핀이 이탈리아를 꺾고 5위를 차지했으며, 우루과이는 페루의 기권으로 부전승으로 7위를 차지했다.
준결승전에서는 미국이 멕시코를, 캐나다가 폴란드를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동메달 결정전에서는 멕시코가 폴란드를 꺾고 동메달을 차지했으며, 결승전에서는 미국이 캐나다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3. 2. 주요 경기
3라운드에서 필리핀이 에스토니아를 39-22로, 이탈리아가 중화민국을 27-19로, 멕시코가 일본을 28-22로, 캐나다가 스위스를 27-9로, 우루과이가 체코슬로바키아를 28-19로, 폴란드가 브라질을 33-25로 각각 이겼다. 8강에서는 미국이 필리핀을 56-23으로, 멕시코가 이탈리아를 34-17로, 캐나다가 우루과이를 41-21로 이겼으며, 폴란드는 부전승으로 준결승에 진출했다.준결승에서 미국은 멕시코를 25-10으로, 캐나다는 폴란드를 42-15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전은 8월 14일 18시에 베를린에서 열렸으며, 폭우 속에서 진행되었다. 야외 코트는 진흙탕으로 변하여 드리블이 불가능했고, 이로 인해 득점이 매우 적었다. 미국 대표팀의 조 포텐베리가 8점으로 최다 득점을 기록했고, 약 1,000명의 관중은 거의 앉을 자리가 없어 결승전 내내 비를 맞으며 서 있어야 했다. 경기 결과 미국이 캐나다를 19-8로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다.
동메달 결정전에서는 멕시코가 폴란드를 26-12로 꺾고 동메달을 획득했다.
3. 3. 특이 사항
4. 메달리스트
랄프 비숍
조 포텐베리
텍스 기번스
프랜시스 존슨
칼 노울스
프랭크 루빈
아트 몰너
도널드 파이퍼
잭 래글랜드
윌라드 슈미트
칼 샤이
듀안 스완슨
빌 휘틀리
고든 에치슨
이안 앨리슨
아트 채프먼
척 채프먼
에드워드 도슨
어빙 메레츠키
더그 페든
제임스 스튜어트
맬컴 와이즈먼
스탠리 낸타이스
카를로스 보르하
빅토르 보르하
로돌포 초페레나
루이스 데 라 베가
라울 페르난데스
안드레스 고메스
실비오 에르난데스
프란시스코 마르티네스
헤수스 올모스
호세 팜플로나
그리어 스카우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