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8년 동계 올림픽 오스트리아 선수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48년 동계 올림픽 오스트리아 선수단은 금메달 1개, 은메달 3개, 동메달 4개를 획득했다. 투루데 요훔-바이저는 알파인 스키 여자 복합에서 금메달을, 프란츠 가블과 투루데 요훔-바이저, 에바 파블리크는 각각 알파인 스키 남자 활강, 알파인 스키 여자 활강, 피겨 스케이팅 여자 싱글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레지 함멜러, 에리카 말린거, 에디 라다는 알파인 스키 여자 활강, 알파인 스키 여자 회전 및 복합, 피겨 스케이팅 남자 싱글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선수단은 알파인 스키, 크로스컨트리 스키, 피겨 스케이팅, 아이스하키, 노르딕 복합, 스켈레톤, 스키 점프, 스피드 스케이팅 종목에 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8년 동계 올림픽 선수단 - 1948년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1948년 스위스 생모리츠 동계 올림픽은 대한민국이 처음으로 참가하여 태극기를 걸고 국제 스포츠 무대에 데뷔한 역사적인 대회로, 스피드 스케이팅과 알파인 스키 종목에 남자 선수 3명이 참가하여 경쟁을 펼쳤다. - 1948년 동계 올림픽에 관한 - 1948년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1948년 스위스 생모리츠 동계 올림픽은 대한민국이 처음으로 참가하여 태극기를 걸고 국제 스포츠 무대에 데뷔한 역사적인 대회로, 스피드 스케이팅과 알파인 스키 종목에 남자 선수 3명이 참가하여 경쟁을 펼쳤다. - 1948년 오스트리아 - 1948년 하계 올림픽 오스트리아 선수단
1948년 하계 올림픽 오스트리아 선수단은 육상, 복싱 등 다양한 종목에 선수들을 파견하여 육상 여자 창던지기에서 금메달 1개, 육상 여자 포환던지기, 카누 여자 K-1 500m, 펜싱 여자 플뢰레 개인전에서 동메달 3개를 획득했다.
1948년 동계 올림픽 오스트리아 선수단 | |
---|---|
대회 정보 | |
NOC | 오스트리아 올림픽 위원회 |
NOC 영문명 | Austrian Olympic Committee |
대회 | 동계 올림픽 |
연도 | 1948 |
개최지 | 생모리츠 |
참가 정보 | |
참가 선수 | 54명 (남자 42명, 여자 12명) |
참가 종목 | 8개 |
성적 | |
순위 | 7위 |
금메달 | 1개 |
은메달 | 3개 |
동메달 | 4개 |
관련 정보 | |
이전 대회 | 1906년 중간 올림픽 |
웹사이트 | 오스트리아 올림픽 위원회 웹사이트(www.olympia.at ) |
2. 메달리스트
오스트리아는 이번 대회에서 금메달 1개, 은메달 3개, 동메달 4개로 총 8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메달 | 이름 | 종목 | 세부 종목 |
---|---|---|---|
금메달 | 투르데 요훔-바이서 | 알파인 스키 | 여자 복합 |
은메달 | 프란츠 가블 | 알파인 스키 | 남자 활강 |
은메달 | 투르데 요훔=바이저 | 알파인 스키 | 여자 활강 |
은메달 | 에바 파블릭 | 피겨 스케이팅 | 여자 싱글 |
동메달 | 레지 함멜러 | 알파인 스키 | 여자 활강 |
동메달 | 에리카 말린거 | 알파인 스키 | 여자 회전 |
동메달 | 에리카 말린거 | 알파인 스키 | 여자 복합 |
동메달 | 에디 라다 | 피겨 스케이팅 | 남자 싱글 |
2. 1. 금메달
메달 | 이름 | 종목 | 세부 종목 |
---|---|---|---|
금메달 | 투르데 요훔-바이서 | 알파인 스키 | 여자 복합 |
투르데 요훔-바이서가 알파인 스키 여자 복합에서 오스트리아 여자 스키 선수 최초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2. 2. 은메달
메달 | 이름 | 종목 | 세부 종목 |
---|---|---|---|
프란츠 가블 | 알파인 스키 | 남자 활강 | |
투루데 요훔=바이저 | 알파인 스키 | 여자 활강 | |
에바 파블릭 | 피겨 스케이팅 | 여자 싱글 |
2. 3. 동메달
메달 | 이름 | 종목 | 세부 종목 |
---|---|---|---|
레지 함멜러 | 알파인 스키 | 여자 활강 | |
에리카 말린거 | 알파인 스키 | 여자 회전 | |
에리카 말린거 | 알파인 스키 | 여자 복합 | |
에디 라다 | 피겨 스케이팅 | 남자 싱글 |
오스트리아 선수단은 1948년 동계 올림픽에서 알파인 스키, 크로스컨트리 스키, 피겨 스케이팅, 아이스하키, 노르딕 복합, 스켈레톤, 스키 점프, 스피드 스케이팅 종목에 참가했다.
3. 종목별 성적
알파인 스키에서는 금메달 1개, 은메달 2개, 동메달 3개를 획득했다. 피겨 스케이팅에서는 은메달 1개, 동메달 1개를 획득했다.
크로스컨트리 스키 남자 4 x 10km 계주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
아이스하키에서는 8개 팀 중 7위를 기록했다. 미국 팀은 실격 처리되어 공식 순위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노르딕 복합 개인전에서는 요슬 그슈트라인이 16위를 기록했다.
스켈레톤에서는 후고 쿠란다가 완주하지 못했다.
스키 점프 노멀힐에서는 후베르트 함머슈미트가 19위를 기록했다.
스피드 스케이팅 남자 10,000m에서는 막스 슈티플이 10위를 기록했다.
3. 1. 알파인 스키
알파인 스키 세부 종목에서 오스트리아는 금메달 1개, 은메달 2개, 동메달 3개를 획득했다.
;남자
선수 | 종목 | 1차 레이스 | 2차 레이스 | 합계 | |||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
에디 몰 | 활강 | colspan="4"| | 3:09.3 | 19 | |||
에버하르트 크나이슬 | colspan="4"| | 3:08.3 | 15 | ||||
엥겔베르트 하이더 | colspan="4"| | 3:08.2 | 14 | ||||
한스 노글러 | colspan="4"| | 3:03.2 | 9 | ||||
에곤 쉭프 | colspan="4"| | 3:01.2 | 5 | ||||
프란츠 가블 | colspan="4"| | 2:59.1 | |||||
크리스티안 프라브다 | 회전 | DSQ | – | – | – | DSQ | – |
안톤 힌터홀첸 | DNF | – | – | – | DNF | – | |
엥겔베르트 하이더 | 1:13.3 | 17 | 1:09.5 | 22 | 2:22.8 | 17 | |
에디 몰 | 1:12.2 | 15 | 1:06.1 | 12 | 2:18.3 | 11 | |
에곤 쉭프 | 1:11.1 | 11 | 1:03.1 | 2 | 2:14.2 | 6 |
남자 복합 경기에서 활강 기록은 활강 경기 기록과 동일하게 사용되었고, 회전 경기는 별도로 진행되었다.
선수 | 회전 | 합계 (활강 + 회전) | |||
---|---|---|---|---|---|
1차 시간 | 2차 시간 | 순위 | 점수 | 순위 | |
에버하르트 크나이슬 | 1:18.1 | 1:07.8 | 12 | 12.36 | 11 |
엥겔베르트 하이더 | 1:16.4 | 1:11.8 | 16 | 13.26 | 13 |
한스 노글러 | 1:12.2 | 1:14.8 | 14 | 9.96 | 8 |
에디 몰 | 1:09.5 | 1:06.5 | 2 | 8.54 | 4 |
;여자
선수 | 종목 | 1차 레이스 | 2차 레이스 | 합계 | |||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
소피 노글러 | 활강 | colspan="4"| | 2:47.0 | 26 | |||
에리카 마링거 | colspan="4"| | 2:39.3 | 19 | ||||
안넬리제 슈프-프록사우프 | colspan="4"| | 2:39.0 | 17 | ||||
안넬로레 츠케르트 | colspan="4"| | 2:38.4 | 16 | ||||
레지 해머러 | colspan="4"| | 2:30.2 | |||||
트루데 요침-바이저 | colspan="4"| | 2:29.1 | |||||
안넬로레 츠케르트 | 회전 | DSQ | – | – | – | DSQ | – |
안넬리제 슈프-프록사우프 | 1:06.9 | 15 | 59.8 | 7 | 2:06.7 | 6 | |
레지 해머러 | 1:04.4 | 9 | 1:04.2 | 13 | 2:08.6 | 7 | |
에리카 마링거 | 59.8 | 2 | 58.2 | 5 | 1:58.0 |
여자 복합 경기에서 활강 기록은 활강 경기 기록과 동일하게 사용되었고, 회전 경기는 별도로 진행되었다.
선수 | 회전 | 합계 (활강 + 회전) | |||
---|---|---|---|---|---|
1차 시간 | 2차 시간 | 순위 | 점수 | 순위 | |
레지 해머러 | 1:08.9 | 1:10.9 | 18 | 11.87 | 12 |
안넬리제 슈프-프록사우프 | 1:02.1 | 1:02.2 | 3 | 9.76 | 7 |
트루데 요침-바이저 | 1:01.8 | 1:08.7 | 8 | 6.58 | |
에리카 마링거 | 58.4 | 59.7 | 1 | 7.04 |
3. 2. 크로스컨트리 스키
요제프 도이치만엔겔베르트 훈더트푼트
카를 라프라이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