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60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는 1960년 3월 30일부터 4월 7일까지 말라야 연방 쿠알라룸푸르에서 개최되었다. 대한민국, 말라야 연방, 일본 등 8개국이 참가했으며, 대한민국이 말라야 연방을 결승전에서 4-0으로 꺾고 우승했다. 일본은 인도네시아를 꺾고 3위를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0년 4월 - 4·19 혁명
4·19 혁명은 1960년 3·15 부정선거에 항거하여 이승만 정권의 장기 집권과 부정부패에 대한 분노로 시작되어 이승만 대통령의 하야를 이끌어낸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혁명이다. - 1960년 4월 - 4·18 고려대학생 피습 사건
4·18 고려대학생 피습 사건은 3·15 부정선거에 항거하던 고려대학교 학생들이 1960년 4월 18일 종로4가에서 대한반공청년단 동대문패 화랑동지회 폭력배들에게 습격당한 사건으로, 4·19 혁명의 도화선이 되었으며 고려대학교는 이 날의 시위를 4·18 의거로 기념하고 사망자 발생 여부에 대한 논란도 있다. - 1960년 3월 - 3·15 부정선거
3·15 부정선거는 1960년 자유당 정권이 이승만과 이기붕의 당선을 위해 공권력과 정치 깡패를 동원하여 저지른 대규모 부정행위로, 4·19 혁명의 도화선이 되어 이승만 대통령 하야와 선거 결과 무효화로 이어졌다. - 1960년 3월 - 3·15 마산 의거
1960년 3월 15일, 이승만과 자유당 정권의 부정선거에 맞서 마산 시민들이 일으킨 민주주의 운동인 3·15 마산 의거는 수많은 희생자를 낳았고 4·19 혁명의 도화선이 되었으며, 희생자들을 기리기 위해 3·15 국립묘지가 조성되고 매년 3월 15일은 국가기념일로 지정되었다.
1960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개요 | |
대회 명칭 | AFC 유스 챔피언십 |
연도 | 1960년 |
개최국 | 말라야 |
개최 기간 | 3월 30일 – 4월 7일 |
참가 팀 수 | 8개국 |
대회 결과 | |
우승 | 대한민국 |
우승 횟수 | 2회 |
준우승 | 말라야 |
3위 | 일본 |
4위 | 인도네시아 |
대회 통계 | |
총 경기 수 | 14경기 |
총 득점 | 81골 |
대회 연혁 | |
이전 대회 | 1959년 |
다음 대회 | 1961년 |
2. 대회 개요
1960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는 1960년 3월 30일부터 4월 7일까지 말라야 연방 쿠알라룸푸르의 메르데카 스타디움에서 개최된 제2회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이다.
총 8개국이 참가했으며, 참가국 명단은 다음과 같다.
대회는 2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치른 후, 각 조 1위와 2위 팀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하여 준결승전, 3위 결정전, 결승전을 치르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대한민국이 결승전에서 개최국 말라야 연방을 꺾고 우승을 차지하며 대회 2연패를 달성했다. 3위는 일본, 4위는 인도네시아가 기록했다.
3. 참가국
이 대회에 참가한 팀은 다음과 같다.
4. 조별 리그
조별 리그는 참가한 8개 팀을 4팀씩 A조와 B조, 두 개의 조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각 조는 리그전 방식으로 팀당 3경기씩 치렀으며, 모든 경기는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의 메르데카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A조에서는 개최국 말라야 연방이 3전 전승으로 조 1위를 차지했고, 일본이 1승 1무 1패로 조 2위를 기록하여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버마와 필리핀은 각각 조 3위와 4위에 머물렀다.
B조에서는 대한민국이 3전 전승의 뛰어난 성적으로 조 1위를 차지하며 강력한 우승 후보임을 입증했다. 인도네시아는 대한민국에게 패했지만 나머지 두 경기를 승리하며 2승 1패로 조 2위를 확보하여 결선 토너먼트에 합류했다. 태국과 싱가포르는 각각 조 3위와 4위로 탈락했다.
각 조의 상위 2팀, 즉 A조의 말라야 연방과 일본, B조의 대한민국과 인도네시아가 결선 토너먼트(결승전 및 3위 결정전)에 진출했다.
4. 1. A조
4. 1. 1. 경기 결과 (A조)
- 말레이시아 9 - 0 필리핀 리포트
- * 득점: 아마드 돌라 10', 하미드 가니 14', 24', 46', 60', 로버트 초이 23', 47', 아마드 타우픽 31', 라드지 셰이크 아마드 79'
- * 장소: 메르데카 스타디움, 쿠알라룸푸르
'''1960년 3월 31일'''
- 일본 4 - 2 미얀마 리포트
- * 일본 득점: 가와세 다카히로 15', 마쓰모토 이쿠오 30', 48', 스기야마 류이치 58'
- * 미얀마 득점: 틴 윈 17', 토 아웅 23'
- * 장소: 메르데카 스타디움, 쿠알라룸푸르
'''1960년 4월 3일'''
'''1960년 4월 4일'''
- 필리핀 2 - 2 일본 리포트
- * 필리핀 득점: 로미오 자라닐라 27', 벤자민 첸 40'
- * 일본 득점: 스기야마 류이치 21', 구와타 다카유키 33'
- * 장소: 메르데카 스타디움, 쿠알라룸푸르
'''1960년 4월 5일'''
- 말레이시아 5 - 1 일본 리포트
- * 말레이시아 득점: 아마드 타우픽 7', 52', 하미드 가니 21', 로버트 초이 63', 68'
- * 일본 득점: 스기야마 류이치 26'(p)
- * 장소: 메르데카 스타디움, 쿠알라룸푸르
'''1960년 4월 6일'''
- 미얀마 7 - 1 필리핀 리포트
- * 미얀마 득점: 흘라 테이 2', 틴 아웅 투아 17', 21', 37', 50', 60', 흘라 키 46'
- * 필리핀 득점: 로미오 자라닐라 48'
- * 장소: 메르데카 스타디움, 쿠알라룸푸르
4. 2. B조
순위 | 국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
1 | 말라야 연방 | 6 | 3 | 3 | 0 | 0 | 16 | 2 | +14 |
2 | 일본 | 3 | 3 | 1 | 1 | 1 | 7 | 9 | −2 |
3 | 버마 | 2 | 3 | 1 | 0 | 2 | 10 | 7 | +3 |
4 | 필리핀 | 1 | 3 | 0 | 1 | 2 | 3 | 18 | −15 |
'''경기 결과'''
- ---
'''1차전'''
1960년 3월 30일
말라야 연방 9 - 0 필리핀 https://eresources.nlb.gov.sg/newspapers/Digitised/Article/straitstimes19600331-1.2.106.aspx (리포트)
- 득점: 아마드 돌라 10', 하미드 가니 14', 24', 46', 60', 로버트 초이 23', 47', 아마드 타우픽 31', 라드지 셰이크 아마드 79' (말라야 연방)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쿠알라룸푸르
1960년 3월 31일
일본 4 - 2 버마 https://eresources.nlb.gov.sg/newspapers/Digitised/Article/straitstimes19600401-1.2.121.aspx (리포트)
- 득점: 가와세 다카히로 15', 마쓰모토 이쿠오 30', 48', 스기야마 류이치 58' (일본) / 틴 윈 17', 토 아웅 23' (버마)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쿠알라룸푸르
- ---
'''2차전'''
1960년 4월 3일
말라야 연방 2 - 1 버마 https://eresources.nlb.gov.sg/newspapers/Digitised/Article/straitstimes19600404-1.2.35.aspx (리포트)
- 득점: 로버트 초이 2', 33' (말라야 연방) / 흘라 테이 36' (버마)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쿠알라룸푸르
1960년 4월 4일
필리핀 2 - 2 일본 https://eresources.nlb.gov.sg/newspapers/Digitised/Article/straitstimes19600405-1.2.98.aspx (리포트)
'''3차전'''
1960년 4월 5일
말라야 연방 5 - 1 일본 https://eresources.nlb.gov.sg/newspapers/Digitised/Article/straitstimes19600406-1.2.32.aspx (리포트)
- 득점: 아마드 타우픽 7', 52', 하미드 가니 21', 로버트 초이 63', 68' (말라야 연방) / 스기야마 류이치 26'(PK) (일본)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쿠알라룸푸르
1960년 4월 6일
버마 7 - 1 필리핀 https://eresources.nlb.gov.sg/newspapers/Digitised/Article/straitstimes19600407-1.2.127.aspx (리포트)
- 득점: 흘라 테이 2', 틴 아웅 투아 17', 21', 37', 50', 60', 흘라 키 46' (버마) / 로미오 자라닐라 48' (필리핀)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쿠알라룸푸르
4. 2. 1. 경기 결과 (B조)
'''경기 결과'''
'''1차전'''
1960년 3월 30일
인도네시아 9 - 3 싱가포르
- 득점: Soetjipto Soentoro|수엣집토 수엔토로id 1', 78', Dirhamsjah|디람샤id 9', 28', 49', 80', Manan|마난id 30', Zulkifli|줄키플리id 47', 60' (인도네시아) / Chew Seng Thum|추 셍 툼중국어 34', Lee Teng Yee|리 텡 이중국어 55'(PK), Quah Kim Siak|쿠아 킴 시악중국어 74' (싱가포르)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쿠알라룸푸르
1960년 3월 31일
대한민국 4 - 1 태국
'''2차전'''
1960년 4월 3일
태국 3 - 2 싱가포르
- 득점: 아누랏 나나콘 15', 69', N.K Chalor|N.K 찰로르th 53' (태국) / Chew Seng Thum|추 셍 툼중국어 64', Quah Kim Siak|쿠아 킴 시악중국어 75' (싱가포르)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쿠알라룸푸르
1960년 4월 4일
대한민국 4 - 2 인도네시아
- 득점: 조윤옥 17', 정순충 25', 차경복 34', 김덕중 74' (대한민국) / Soetjipto Soentoro|수엣집토 수엔토로id 47', 80' (인도네시아)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쿠알라룸푸르
'''3차전'''
1960년 4월 5일
인도네시아 3 - 0 태국
- 득점: Soetjipto Soentoro|수엣집토 수엔토로id 9', Sobari|소바리id 43', Dzulkifli|줄키플리id 65' (인도네시아)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쿠알라룸푸르
1960년 4월 6일
대한민국 4 - 1 싱가포르
5. 결선 토너먼트
결선 토너먼트는 1960년 4월 7일 말라야 연방 쿠알라룸푸르의 메르데카 스타디움에서 3위 결정전과 결승전으로 진행되었다.
3위 결정전에서는 일본이 인도네시아에 3-2로 승리하여 3위를 차지했다. 결승전에서는 대한민국이 개최국 말라야 연방을 4-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5. 1. 대진표
(3위 결정전)(결승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