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60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60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는 1960년 3월 30일부터 4월 7일까지 말라야 연방 쿠알라룸푸르에서 개최되었다. 대한민국, 말라야 연방, 일본 등 8개국이 참가했으며, 대한민국이 말라야 연방을 결승전에서 4-0으로 꺾고 우승했다. 일본은 인도네시아를 꺾고 3위를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0년 4월 - 4·19 혁명
    4·19 혁명은 1960년 3·15 부정선거에 항거하여 이승만 정권의 장기 집권과 부정부패에 대한 분노로 시작되어 이승만 대통령의 하야를 이끌어낸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혁명이다.
  • 1960년 4월 - 4·18 고려대학생 피습 사건
    4·18 고려대학생 피습 사건은 3·15 부정선거에 항거하던 고려대학교 학생들이 1960년 4월 18일 종로4가에서 대한반공청년단 동대문패 화랑동지회 폭력배들에게 습격당한 사건으로, 4·19 혁명의 도화선이 되었으며 고려대학교는 이 날의 시위를 4·18 의거로 기념하고 사망자 발생 여부에 대한 논란도 있다.
  • 1960년 3월 - 3·15 부정선거
    3·15 부정선거는 1960년 자유당 정권이 이승만과 이기붕의 당선을 위해 공권력과 정치 깡패를 동원하여 저지른 대규모 부정행위로, 4·19 혁명의 도화선이 되어 이승만 대통령 하야와 선거 결과 무효화로 이어졌다.
  • 1960년 3월 - 3·15 마산 의거
    1960년 3월 15일, 이승만과 자유당 정권의 부정선거에 맞서 마산 시민들이 일으킨 민주주의 운동인 3·15 마산 의거는 수많은 희생자를 낳았고 4·19 혁명의 도화선이 되었으며, 희생자들을 기리기 위해 3·15 국립묘지가 조성되고 매년 3월 15일은 국가기념일로 지정되었다.
1960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개요
대회 명칭AFC 유스 챔피언십
연도1960년
개최국말라야
개최 기간3월 30일 – 4월 7일
참가 팀 수8개국
대회 결과
우승대한민국
우승 횟수2회
준우승말라야
3위일본
4위인도네시아
대회 통계
총 경기 수14경기
총 득점81골
대회 연혁
이전 대회1959년
다음 대회1961년

2. 대회 개요

1960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는 1960년 3월 30일부터 4월 7일까지 말라야 연방 쿠알라룸푸르의 메르데카 스타디움에서 개최된 제2회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이다.

총 8개국이 참가했으며, 참가국 명단은 다음과 같다.



대회는 2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치른 후, 각 조 1위와 2위 팀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하여 준결승전, 3위 결정전, 결승전을 치르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대한민국이 결승전에서 개최국 말라야 연방을 꺾고 우승을 차지하며 대회 2연패를 달성했다. 3위는 일본, 4위는 인도네시아가 기록했다.

3. 참가국

이 대회에 참가한 팀은 다음과 같다.

4. 조별 리그

조별 리그는 참가한 8개 팀을 4팀씩 A조와 B조, 두 개의 조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각 조는 리그전 방식으로 팀당 3경기씩 치렀으며, 모든 경기는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의 메르데카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A조에서는 개최국 말라야 연방이 3전 전승으로 조 1위를 차지했고, 일본이 1승 1무 1패로 조 2위를 기록하여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버마와 필리핀은 각각 조 3위와 4위에 머물렀다.

B조에서는 대한민국이 3전 전승의 뛰어난 성적으로 조 1위를 차지하며 강력한 우승 후보임을 입증했다. 인도네시아는 대한민국에게 패했지만 나머지 두 경기를 승리하며 2승 1패로 조 2위를 확보하여 결선 토너먼트에 합류했다. 태국과 싱가포르는 각각 조 3위와 4위로 탈락했다.

각 조의 상위 2팀, 즉 A조의 말라야 연방과 일본, B조의 대한민국과 인도네시아가 결선 토너먼트(결승전 및 3위 결정전)에 진출했다.

4. 1. A조

순위국가승점경기
1말라야 연방63300162+14
2일본3311179−2
3버마23102107+3
4필리핀13012318−15


4. 1. 1. 경기 결과 (A조)

순위국가승점경기
1말레이시아63300162+14
2일본3311179−2
3미얀마23102107+3
4필리핀13012318−15



'''1960년 3월 30일'''



'''1960년 3월 31일'''

'''1960년 4월 3일'''

'''1960년 4월 4일'''

'''1960년 4월 5일'''

'''1960년 4월 6일'''

  • 미얀마 7 - 1 필리핀 리포트
  • * 미얀마 득점: 흘라 테이 2', 틴 아웅 투아 17', 21', 37', 50', 60', 흘라 키 46'
  • * 필리핀 득점: 로미오 자라닐라 48'
  • * 장소: 메르데카 스타디움, 쿠알라룸푸르

4. 2. B조

순위국가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1말라야 연방63300162+14
2일본3311179−2
3버마23102107+3
4필리핀13012318−15



'''경기 결과'''


  • ---

'''1차전'''

1960년 3월 30일

말라야 연방 9 - 0 필리핀 https://eresources.nlb.gov.sg/newspapers/Digitised/Article/straitstimes19600331-1.2.106.aspx (리포트)

  • 득점: 아마드 돌라 10', 하미드 가니 14', 24', 46', 60', 로버트 초이 23', 47', 아마드 타우픽 31', 라드지 셰이크 아마드 79' (말라야 연방)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쿠알라룸푸르


1960년 3월 31일

일본 4 - 2 버마 https://eresources.nlb.gov.sg/newspapers/Digitised/Article/straitstimes19600401-1.2.121.aspx (리포트)
'''2차전'''

1960년 4월 3일

말라야 연방 2 - 1 버마 https://eresources.nlb.gov.sg/newspapers/Digitised/Article/straitstimes19600404-1.2.35.aspx (리포트)

  • 득점: 로버트 초이 2', 33' (말라야 연방) / 흘라 테이 36' (버마)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쿠알라룸푸르


1960년 4월 4일

필리핀 2 - 2 일본 https://eresources.nlb.gov.sg/newspapers/Digitised/Article/straitstimes19600405-1.2.98.aspx (리포트)
'''3차전'''

1960년 4월 5일

말라야 연방 5 - 1 일본 https://eresources.nlb.gov.sg/newspapers/Digitised/Article/straitstimes19600406-1.2.32.aspx (리포트)

  • 득점: 아마드 타우픽 7', 52', 하미드 가니 21', 로버트 초이 63', 68' (말라야 연방) / 스기야마 류이치 26'(PK) (일본)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쿠알라룸푸르


1960년 4월 6일

버마 7 - 1 필리핀 https://eresources.nlb.gov.sg/newspapers/Digitised/Article/straitstimes19600407-1.2.127.aspx (리포트)

  • 득점: 흘라 테이 2', 틴 아웅 투아 17', 21', 37', 50', 60', 흘라 키 46' (버마) / 로미오 자라닐라 48' (필리핀)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쿠알라룸푸르

4. 2. 1. 경기 결과 (B조)

순위국가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1대한민국63300124+8
2인도네시아43201147+7
3태국2310249−5
4싱가포르03003616−10



'''경기 결과'''

'''1차전'''

1960년 3월 30일

인도네시아 9 - 3 싱가포르


  • 득점: Soetjipto Soentoro|수엣집토 수엔토로id 1', 78', Dirhamsjah|디람샤id 9', 28', 49', 80', Manan|마난id 30', Zulkifli|줄키플리id 47', 60' (인도네시아) / Chew Seng Thum|추 셍 툼중국어 34', Lee Teng Yee|리 텡 이중국어 55'(PK), Quah Kim Siak|쿠아 킴 시악중국어 74' (싱가포르)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쿠알라룸푸르


1960년 3월 31일

대한민국 4 - 1 태국

  • 득점: 정순춘 6', 14', 조윤옥 8', 34' (대한민국) / 아누랏 나나콘 63' (태국)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쿠알라룸푸르


'''2차전'''

1960년 4월 3일

태국 3 - 2 싱가포르

  • 득점: 아누랏 나나콘 15', 69', N.K Chalor|N.K 찰로르th 53' (태국) / Chew Seng Thum|추 셍 툼중국어 64', Quah Kim Siak|쿠아 킴 시악중국어 75' (싱가포르)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쿠알라룸푸르


1960년 4월 4일

대한민국 4 - 2 인도네시아

'''3차전'''

1960년 4월 5일

인도네시아 3 - 0 태국

  • 득점: Soetjipto Soentoro|수엣집토 수엔토로id 9', Sobari|소바리id 43', Dzulkifli|줄키플리id 65' (인도네시아)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쿠알라룸푸르


1960년 4월 6일

대한민국 4 - 1 싱가포르

  • 득점: 조윤옥 20', 43', 차경복 29', 정순충 53' (대한민국) / Chew Seng Thum|추 셍 툼중국어 31' (싱가포르)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쿠알라룸푸르

5. 결선 토너먼트

결선 토너먼트는 1960년 4월 7일 말라야 연방 쿠알라룸푸르의 메르데카 스타디움에서 3위 결정전과 결승전으로 진행되었다.

3위 결정전에서는 일본이 인도네시아에 3-2로 승리하여 3위를 차지했다. 결승전에서는 대한민국이 개최국 말라야 연방을 4-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5. 1. 대진표

(3위 결정전)
(결승전)



=== 3위 결정전 ===

1960년 4월 7일 쿠알라룸푸르의 메르데카 스타디움에서 열린 3위 결정전에서는 일본이 인도네시아를 3-2로 꺾었다. 일본은 구와타(10', 33')와 가와세(73')가 득점했고, 인도네시아는 마난(7')과 줄키플리(38')가 득점했다. 경기는 말라야 연방의 웨이 포 화 심판이 주관했다. ([https://eresources.nlb.gov.sg/newspapers/Digitised/Article/straitstimes19600408-1.2.128.aspx 리포트])

=== 결승전 ===

같은 날 메르데카 스타디움에서 열린 결승전에서는 대한민국이 개최국 말라야 연방을 4-0으로 대파하고 우승을 차지했다. 대한민국은 정순천(1'), 조윤옥(7', 10'), 차경복(30' 페널티킥)이 골을 넣었다. 약 22,000명의 관중이 경기를 지켜봤으며, 인도네시아의 코엔타디 심판이 경기를 진행했다. ([https://eresources.nlb.gov.sg/newspapers/Digitised/Page/straitstimes19600408-1.1.14.aspx 리포트])

5. 2. 3위 결정전

1960년 4월 7일 쿠알라룸푸르의 메르데카 스타디움에서 열린 3위 결정전에서는 일본이 인도네시아를 3 – 2로 꺾고 3위를 차지했다. [http://eresources.nlb.gov.sg/newspapers/Digitised/Article/straitstimes19600408-1.2.128.aspx (리포트)]

경기는 인도네시아의 마난이 7분에 선제골을 넣으며 시작되었다. 일본은 10분과 33분에 구와타 다카유키의 연속 골로 역전했으나, 인도네시아의 줄키플리가 38분에 동점 골을 넣어 전반전은 2 – 2로 마무리되었다. 후반전 73분에 가와세 다카히로가 결승 골을 성공시키며 일본의 승리로 경기가 끝났다. 경기의 주심은 말라야 출신의 오이 포 화가 맡았다.

일본인도네시아
포지션선수포지션선수
GK와타나베 마고노스케GK하르디 푸르노모
CB시바타 카즈오CB나니 자엘라니
CB오니시 다다오CB한토로
RB스즈키 히데토시RB라시드 달란
CM무코야마 마사히코CM이삭 우딘
LB시미즈 아케루LB이드리스 마파카자
RW가와세 다카히로RW줄키플리
CF구와타 다카유키CF마난
CF마쓰모토 이쿠오CF수엣지프토 수엔토로
LW스기야마 류이치LW파힘
OL모리야 타다시OL소바리


5. 3. 결승전

1960년 4월 7일 쿠알라룸푸르의 메르데카 스타디움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대한민국이 개최국 말라야 연방을 4-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22,000명의 관중이 모인 가운데, 대한민국은 전반전에만 4골을 몰아넣으며 일찌감치 승기를 잡았다.

정순중이 경기 시작 1분 만에 선제골을 넣었고, 조윤옥이 7분과 10분에 연달아 골을 성공시키며 점수 차를 벌렸다. 이어 30분에는 차경복이 페널티킥을 성공시키며 4-0을 만들었다. 후반전에는 양 팀 모두 득점 없이 경기가 마무리되었다. 심판은 인도네시아 출신의 쿤타디가 맡았다.

'''말라야 연방 선발 명단'''
포지션선수
GK테 쳉 리
CB이 셩 초이
CB압둘라 노오딘
RH라지 셰이크 아마드
CH로슬란 부앙
LH나마시바얌
OR압둘라 돌라
IR옹 허크 시앙
CF로버트 초이
IL하미드 가니
OL아마드 타우픽



'''대한민국 선발 명단'''
포지션선수
GK임창수
CB박동관
CB김영배
RH이락원
CH김선휘
LH최영두
OR정순중
IR이영근
CF차경복
IL조윤옥
OL김덕중


6. 우승 팀

대한민국 국기
대한민국이 우승을 차지했으며, 이는 통산 2번째 우승이다.

7. 최종 순위

wikitext

순위국가경기승점
1대한민국4400164+128
2말라야 연방4301166+106
▲ 결승전 진출
3일본42111011−15
4인도네시아42021610+64
▲ 결선 토너먼트 진출
5버마3102107+32
6태국310249−52
7필리핀3012318−151
8싱가포르3003616−100
▲ 조별 리그 진출


8. 선수 득점 기록

득점 수선수국가
7조윤옥대한민국
6로버트 초이말라야 연방
5틴 아웅 투아버마
소엣집토 소엔토로인도네시아
정순종대한민국
하미드 가니말라야 연방
4디르함샤인도네시아
3스기야마 류이치일본
구와타 다카유키일본
차경복대한민국
아마드 타우픽말라야 연방
츄생텀싱가포르
아누랏 나나콘태국
2흘라 테이버마
줄키플리인도네시아
마난인도네시아
마쓰모토 이쿠오일본
가와세 다카히로일본
로미오 자라닐라필리핀
콰킴시악싱가포르
1흘라 키버마
틴 윈버마
토 아웅버마
소바리인도네시아
김덕중대한민국
아마드 돌라말라야 연방
라지 셰이크 아마드말라야 연방
벤자민 첸필리핀
리덩이싱가포르
찰러태국


9. 기타

wikitext

실점국가
4대한민국
6말라야 연방
7버마
9태국
10인도네시아
11일본
16싱가포르
18필리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