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60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7월 25일부터 27일까지 3차전으로 진행되었다. 1차전은 퍼시픽 리그가 센트럴 리그를 3:1로 이겼고, 2차전은 센트럴 리그가 5:4로 승리했다. 3차전에서는 퍼시픽 리그가 6:5로 승리하여 최종 승리를 거두었다. 각 경기 MVP는 모리시타 노부야스, 가네다 마사이치, 장훈이 각각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0년 야구 - 1960년 일본 시리즈
미하라 오사무 감독의 다이요 웨일스가 아키야마 노보루의 활약과 짜임새 있는 경기 운영으로 니시모토 유키오 감독의 마이니치 다이에이 오리온스를 4연승으로 꺾고 창단 첫 우승을 차지했으며, 4경기 모두 1점 차 승부 끝에 곤도 아키히토가 MVP를 수상한 시리즈이다. - 1960년 야구 - 1960년 월드 시리즈
1960년 월드 시리즈는 피츠버그 파이리츠가 뉴욕 양키스를 4승 3패로 꺾고 우승했으며, 7차전에서 빌 마제로스키의 끝내기 홈런이 나오면서 MLB 역사에 남았다. - 1960년 7월 -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4·19 혁명 후 의원내각제 헌법에 따라 최초로 민의원과 참의원을 동시에 선출한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는 민주당의 압승으로 끝났으나, 민주당 내 갈등과 정치 불안정으로 민주주의 정착 과제를 남겼다. - 1960년 7월 - 1960년 유러피언 네이션스컵
1960년 유러피언 네이션스컵은 프랑스에서 개최되었으며, 소련이 유고슬라비아를 꺾고 우승을 차지한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이다. -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 1954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1954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텔레비전 중계가 처음 시작된 해에 센트럴 리그와 퍼시픽 리그 올스타팀이 맞붙어 1, 2차전 모두 퍼시픽 리그가 승리했으며, 나카니시 후토시와 야마우치 가즈히로가 MVP를 수상했고, 찰리 루이스는 외국인 선수 최초로 포수로 선발 출전했다. -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 1959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1959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센트럴 리그와 퍼시픽 리그의 최고 선수들이 참가한 2경기 시리즈로, 각 리그가 1승씩을 거두었으며 팬 투표로 선출된 선수들과 보충 선수들이 참가했고 TV와 라디오로 중계되었다.
1960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 |
---|---|
대회 정보 | |
개최 연도 | 1960년 |
CL 감독 | 미즈하라 시게루 |
PL 감독 | 쓰루오카 가즈토 |
CL 팬 투표 최다 득표 선수 | 모리 도루 |
PL 팬 투표 최다 득표 선수 | 야마우치 가즈히로 |
경기 1 | |
날짜 | 7월 25일 |
구장 | 가와사키 구장 |
스코어 | 3 - 1 |
MVP | 모리시타 노부야스 |
경기 2 | |
날짜 | 7월 26일 |
구장 | 고라쿠엔 구장 |
스코어 | 5 - 4 |
MVP | 가네다 마사이치 |
경기 3 | |
날짜 | 7월 27일 |
구장 | 고라쿠엔 구장 |
스코어 | 6 - 5 |
MVP | 하리모토 이사오 |
2. 올스타전 경기 결과
올스타 10회 기념으로 3경기가 개최되었으며, 전파(올퍼시픽 리그)가 1차전과 3차전을 가져갔고, 전세(올센트럴 리그)는 2차전에서 승리했다.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자이언츠)가 처음으로 팬 투표를 통해 올스타전에 출전했다. 이후 은퇴하는 1980년까지 21년간 팬 투표 1위로 선출되었다. (1965년에는 출전을 사퇴). 마찬가지로 첫 출전한 하리모토 이사오(도에이)는 3차전에서 MVP로 선정되는 활약을 했다.
2차전에서는 한다 하루오 (난카이)가 반도 에이지 (주니치)를 상대로 구단 사상 첫 런닝 홈런을, 3차전에서는 다쓰미 하지메 (국철)가 요네다 테쓰야 (한큐)를 상대로 구단 사상 첫 투수 홈런을 각각 기록했다.
2. 1. 1차전
1960년 7월 25일, 고라쿠엔 구장에서 열린 1차전은 퍼시픽 리그가 센트럴 리그를 3대 1로 꺾고 승리했다. 난카이의 모리시타 노부야스가 MVP로 선정되었다.[1]2. 1. 1. 상세
'''퍼시픽 리그'''는 요네다 데쓰야(한큐)의 승리와 야마우치 가즈히로(다이마이)의 홈런(6회 1점)에 힘입어 3-1로 승리했다.[1] '''센트럴 리그'''는 오와다 아키라(히로시마)가 홈런(7회 1점)을 쳤으나 팀은 패배했다.[1]경기 시간은 2시간 21분이었다.[1]
팀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득점 | 안타 | 에러 |
---|---|---|---|---|---|---|---|---|---|---|---|---|
퍼시픽 | 0 | 1 | 0 | 0 | 0 | 1 | 0 | 0 | 1 | 3 | 8 | 1 |
센트럴 | 0 | 0 | 0 | 0 | 0 | 0 | 1 | 0 | 0 | 1 | 4 | 2 |
{| class="wikitable"
|+ 양팀 선수 목록
|-
! 퍼시픽
! 센트럴
|-
|
타순 | 수비 | 선수 |
---|---|---|
1 | [중] | 타미야 겐지로 |
2 | [유] | 도요다 야스미츠 |
3 | [1루] | 에노모토 기하치 |
4 | [좌] | 야마우치 가즈히로 |
5 | [우] | 하리모토 이사오 |
6 | [3루] | 카츠라기 타카오 |
7 | [포] | 노무라 가쓰야 |
8 | [2루] | 모리시타 세이신 |
9 | [투] | 요네다 데쓰야 |
|
타순 | 수비 | 선수 |
---|---|---|
1 | [중] | 나카 토시오 |
2 | [2루] | 이노우에 노보루 |
3 | [3루] | 나카시마 시게오 |
4 | [유] | 쿠와타 타케시 |
5 | [1루] | 이다 토쿠지 |
6 | [우] | 모리 토루 |
7 | [좌] | 오와다 아키라 |
8 | [포] | 도이 준 |
9 | [투] | 가네다 마사이치 |
|}
2. 1. 2. 출장 선수
센트럴 리그 | |||||||
---|---|---|---|---|---|---|---|
포지션 | 선수 | ||||||
감독 | 미즈하라 시게루(요미우리 자이언츠) | ||||||
코치 | 마키노 시게루(주니치 드래건스) | ||||||
투수 | 가네다 마사이치(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 무라타 겐이치(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 아키야마 노보루(히로시마 도요 카프) | 오야네 히로오미(주니치 드래건스) | |||
고야마 마사아키(한신 타이거스) | 무라야마 미노루(한신 타이거스) | 스즈키 다카시(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 |||||
포수 | 도이 기요시(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 요시자와 다케오(주니치 드래건스) | 모리 마사히코(요미우리 자이언츠) | ||||
내야수 | 이이다 도쿠지(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 구와타 다케시(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 나가시마 시게오(요미우리 자이언츠) | 후지모토 사다요시(한신 타이거스) | |||
이노우에 노보루(주니치 드래건스) | 요시다 요시오(한신 타이거스) | 미야케 히데시(한신 타이거스) | |||||
외야수 | 나카 도시오(주니치 드래건스) | 모리 도루(주니치 드래건스) | 오와다 아키라(히로시마 도요 카프) | 사카자키 가쓰지(요미우리 자이언츠) | |||
퍼시픽 리그 | |||||||
포지션 | 선수 | ||||||
감독 | 미즈하라 노부시게(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 ||||||
코치 | 가와사키 도쿠지(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 ||||||
투수 | 요네다 데쓰야(오릭스 버팔로즈) | 스기우라 다다시(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가지모토 다카오(오릭스 버팔로즈) | 도바시 마사유키(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 |||
나카니시 후토시(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 고야마 모토오(지바 롯데 마린즈) | 오노 쇼이치(지바 롯데 마린즈) | |||||
포수 | 노무라 가쓰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다니모토 미노루(지바 롯데 마린즈) | |||||
내야수 | 에노모토 기하치(지바 롯데 마린즈) | 가쓰라기 다카오(지바 롯데 마린즈) | 고다마 아키토시(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 | 히로세 요시노리(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
도요다 야스미쓰(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 모리시타 노부야스(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오카모토 이사미(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 | 가쓰포 요시오(오릭스 버팔로즈) | ||||
외야수 | 다미야 겐지로(지바 롯데 마린즈) | 야마우치 가즈히로(지바 롯데 마린즈) | 하리모토 이사오(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 세키네 준조(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 |
2. 2. 2차전
2차전은 1960년 7월 26일 한신 고시엔 구장에서 열렸으며, 센트럴 리그가 퍼시픽 리그를 5대 4로 이겼다. 고쿠테쓰의 가네다 마사이치가 MVP로 선정되었다.경기 초반 센트럴 리그가 득점을 올리며 앞서나갔다. 5회에는 나가시마 시게오 (거인)가 오노 쇼이치를 상대로 솔로 홈런을 쳐 3대 0으로 달아났다. 7회에 퍼시픽 리그의 한다 하루오(남해)가 반도 에이지를 상대로 2점 홈런을 치며 추격했으나, 센트럴 리그는 7회와 8회에 추가 득점을 올리며 승리했다.
2. 2. 1. 상세
1차전에서는 센트럴 리그가 가네다의 호투와 나가시마의 홈런에 힘입어 승리했다. 퍼시픽 리그에서는 한다가 런닝 홈런을 기록했으나 팀은 패했다. 2차전에서는 퍼시픽 리그가 하리모토의 2점 홈런 등에 힘입어 승리했다.2. 2. 2. 출장 선수
다음은 1960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에 출전한 선수 명단이다.팀 | 포지션 | 성명 | 비고 |
---|---|---|---|
센트럴 리그 | 투수 | 무라야마 미노루 | |
포수 | 도이 아쓰시 | ||
1루수 | 이다 도쿠지 | ||
2루수 | 이노우에 노보루 | ||
3루수 | 미야케 히데후미 | ||
유격수 | 나가시마 시게오 | ||
좌익수 | 오와다 아키라 | ||
중견수 | 사토 다카오 | ||
우익수 | 모리 도루 | ||
퍼시픽 리그 | 투수 | 오노 쇼이치 | |
포수 | 다니모토 미노루 | ||
1루수 | 에노모토 기하치 | ||
2루수 | 모리시타 세이신 | ||
3루수 | 가쓰라기 다카오 | ||
유격수 | 도요다 야스미쓰 | ||
좌익수 | 야마우치 가즈히로 | ||
중견수 | 다미야 겐지로 | ||
우익수 | 장훈 |
2. 3. 3차전
1960년 7월 27일 헤이와다이 야구장에서 열린 3차전에서는 퍼시픽 리그가 센트럴 리그를 6대 5로 꺾고, 장훈(도에이)이 MVP를 차지했다.[4] 이 경기는 니혼 TV에서 중계했으며, 오치 마사노리 아나운서, 미나무라 유키히로 해설, 후지타 모토시(요미우리 자이언츠) 게스트 해설로 진행되었다.2. 3. 1. 상세
1차전 MVP는 가네다 마사이치(고쿠테쓰)가 선정되었다.[4]2차전에서 퍼시픽 리그는 글렌 미킨스(긴테쓰)의 승리와 장훈(도에이)의 홈런으로 승리했다.[4] 센트럴 리그는 마이크 솔롬코(오사카), 다쓰미 하지무(고쿠테쓰), 사토 다카오(고쿠테쓰)가 홈런을 쳤으나 팀은 패배했다.[4]
3차전까지의 경기 결과와 중계 방송사는 다음과 같다.
경기 | 중계 방송사 | 비고 |
---|---|---|
1차전 (7월 25일) | ||
2차전 (7월 26일) | 올스타전 텔레비전 중계 사상 최초의 컬러 방송 | |
3차전 (7월 27일) | 니혼 TV (오치 마사노리 캐스터, 미나무라 유키히로 해설, 후지타 모토시 게스트 해설) |
2. 3. 2. 출장 선수
出場選手일본어[4]팀 | 순서 | 수비 | 선수 |
---|---|---|---|
센트럴 | 1 | (중) | 사토 다카오 |
2 | (三) | 미야케 히데시 | |
3 | (좌) | 오와다 아키라 | |
4 | (유) | 나가시마 시게오 | |
5 | (우) | 모리 도루 | |
6 | (二) | 이노우에 노보루 | |
7 | (一) | 이이다 도쿠지 | |
8 | (포) | 도이 기요시 | |
9 | (투) | 무라야마 미노루 | |
퍼시픽 | 1 | (중) | 다미야 겐지로 |
2 | (二) | 모리시타 노부야스 | |
3 | (一) | 에노모토 기하치 | |
4 | (좌) | 야마우치 가즈히로 | |
5 | (우) | 하리모토 이사오 | |
6 | (유) | 도요다 야스미쓰 | |
7 | (三) | 가쓰라기 다카오 | |
8 | (포) | 다니모토 미노루 | |
9 | (투) | 오노 쇼이치 |
팀 | 순서 | 수비 | 선수 |
---|---|---|---|
퍼시픽 | 1 | [중] | 다미야 겐지로 |
2 | [유] | 도요다 야스미쓰 | |
3 | [1루] | 에노모토 기하치 | |
4 | [좌] | 야마우치 가즈히로 | |
5 | [우] | 장훈 | |
6 | [3루] | 가쓰라기 다카오 | |
7 | [2루] | 모리시타 세이친 | |
8 | [포] | 다케시타 미츠로 | |
9 | [투] | 미켄즈 | |
센트럴 | 1 | [중] | 나카 도시오 |
2 | [1루] | 곤도 가즈히코 | |
3 | [유] | 나가시마 시게오 | |
4 | [우] | 모리 도루 | |
5 | [3루] | 미야케 히데시 | |
6 | [2루] | 이노우에 노보루 | |
7 | [좌] | 솔롬코 | |
8 | [포] | 도이 준 | |
9 | [투] | 무라타 겐이치 |
1960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의 출장 선수는 다음과 같다.
3. 출장 선수
센트럴 리그 퍼시픽 리그 포지션 성명 소속팀 비고 포지션 성명 소속팀 비고 감독 미즈하라 시게루 요미우리 감독 쓰루오카 가즈토 난카이 코치 미하라 오사무 다이요 코치 니시모토 유키오 다이마이 우노 미쓰오 고쿠테쓰 도쿠라 가쓰키 한큐 선수 선수 투수 오이시 기요시 히로시마 첫 출장 투수 스기우라 다다시 난카이 3 투수 가네다 마사이치 고쿠테쓰 10 투수 오노 쇼이치 다이마이 3 투수 무라야마 미노루 오사카 2 투수 가지모토 다카오 한큐 5 투수 아키야마 노보루 다이요 5 투수 J. 스탠카 난카이 첫 출장 투수 고야마 마사아키 오사카 5 투수 G. 미킨스 긴테쓰 첫 출장 투수 오야네 히로오미 주니치 2 투수 요네다 데쓰야 한큐 4 투수 스즈키 다카시[5] 다이요 3 투수 나카니시 가쓰미 다이마이 첫 출장 투수 시마다 겐타로 다이요 첫 출장 투수 도바시 마사유키 도에이 3 투수 반도 에이지 주니치 첫 출장 투수 하타 다카유키▲ 니시테쓰 첫 출장 투수 무라타 겐이치▲ 고쿠테쓰 2 투수 다쓰미 하지무▲[6] 고쿠테쓰 첫 출장 포수 도이 기요시 다이요 5 포수 노무라 가쓰야 난카이 4 포수 요시자와 다케오 주니치 2 포수 다케시타 미쓰오 긴테쓰 첫 출장 포수 모리 마사히코 요미우리 첫 출장 포수 다니모토 미노루 다이마이 2 1루수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첫 출장 1루수 에노모토 기하치 다이마이 6 2루수 이노우에 노보루 주니치 4 2루수 한다 하루오 난카이 2 3루수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3 3루수 가쓰라기 다카오 다이마이 4 유격수 요시다 요시오 오사카 7 유격수 도요다 야스미쓰 니시테쓰 6 내야수 오키쓰 다쓰오 히로시마 첫 출장 내야수 요시다 가쓰토요 도에이 첫 출장 내야수 구와타 다케시 다이요 2 내야수 모리시타 노부야스 난카이 4 내야수 미야케 히데시 오사카 4 내야수 고다마 아키토시 긴테쓰 4 내야수 이이다 도쿠지 고쿠테쓰 9 내야수 히로세 요시노리 난카이 3 내야수 모토야시키 긴고▲ 한큐 첫 출장 외야수 모리 도루 주니치 2 외야수 야마우치 가즈히로 다이마이 7 외야수 나카 도시오 주니치 2 외야수 다미야 겐지로 다이마이 6 외야수 오와다 아키라 히로시마 2 외야수 하리모토 이사오 도에이 첫 출장 외야수 나미키 데루오 오사카 첫 출장 외야수 세키구치 세이지 니시테쓰 5 외야수 사토 다카오 고쿠테쓰 2 외야수 세키네 준조 긴테쓰 4 외야수 곤도 가즈히코 다이요 첫 출장 외야수 부스지마 쇼이치 도에이 4 외야수 M. 솔롬코 오사카 첫 출장 외야수 모로키 스케히로 한큐 첫 출장
3. 1. 센트럴 리그
센트럴 리그[4] | |||
---|---|---|---|
감독 | 미즈하라 시게루 | 요미우리 | |
코치 | 미하라 오사무 | 다이요 | |
우노 미쓰오 | 고쿠테쓰 | ||
투수 | 오이시 기요시 | 히로시마 | 첫 출장 |
가네다 마사이치 | 고쿠테쓰 | 10 | |
무라야마 미노루 | 오사카 | 2 | |
아키야마 노보루 | 다이요 | 5 | |
고야마 마사아키 | 오사카 | 5 | |
오야네 히로오미 | 주니치 | 2 | |
스즈키 다카시[5] | 다이요 | 3 | |
시마다 겐타로 | 다이요 | 첫 출장 | |
반도 에이지 | 주니치 | 첫 출장 | |
무라타 겐이치▲ | 고쿠테쓰 | 2 | |
다쓰미 하지무▲[6] | 고쿠테쓰 | 첫 출장 | |
포수 | 도이 기요시 | 다이요 | 5 |
요시자와 다케오 | 주니치 | 2 | |
모리 마사히코 | 요미우리 | 첫 출장 | |
1루수 | 오 사다하루 | 요미우리 | 첫 출장 |
2루수 | 이노우에 노보루 | 주니치 | 4 |
3루수 | 나가시마 시게오 | 요미우리 | 3 |
유격수 | 요시다 요시오 | 오사카 | 7 |
내야수 | 오키쓰 다쓰오 | 히로시마 | 첫 출장 |
구와타 다케시 | 다이요 | 2 | |
미야케 히데시 | 오사카 | 4 | |
이이다 도쿠지 | 고쿠테쓰 | 9 | |
외야수 | 모리 도루 | 주니치 | 2 |
나카 도시오 | 주니치 | 2 | |
오와다 아키라 | 히로시마 | 2 | |
나미키 데루오 | 오사카 | 첫 출장 | |
사토 다카오 | 고쿠테쓰 | 2 | |
곤도 가즈히코 | 다이요 | 첫 출장 | |
M. 솔롬코 | 오사카 | 첫 출장 |
3. 2. 퍼시픽 리그
1960년 올스타전 퍼시픽 리그 선수 명단[4] | |||
---|---|---|---|
감독 | 쓰루오카 가즈토 | 난카이 | |
코치 | 니시모토 유키오 | 다이마이 | |
도쿠라 가쓰키 | 한큐 | ||
투수 | 스기우라 다다시 | 난카이 | 3 |
오노 쇼이치 | 다이마이 | 3 | |
가지모토 다카오 | 한큐 | 5 | |
J. 스탠카 | 난카이 | 첫 출장 | |
G. 미킨스 | 긴테쓰 | 첫 출장 | |
요네다 데쓰야 | 한큐 | 4 | |
나카니시 가쓰미 | 다이마이 | 첫 출장 | |
도바시 마사유키 | 도에이 | 3 | |
하타 다카유키▲ | 니시테쓰 | 첫 출장 | |
포수 | 노무라 가쓰야 | 난카이 | 4 |
다케시타 미쓰오 | 긴테쓰 | 첫 출장 | |
다니모토 미노루 | 다이마이 | 2 | |
1루수 | 에노모토 기하치 | 다이마이 | 6 |
2루수 | 한다 하루오 | 난카이 | 2 |
3루수 | 가쓰라기 다카오 | 다이마이 | 4 |
유격수 | 도요다 야스미쓰 | 니시테쓰 | 6 |
내야수 | 요시다 가쓰토요 | 도에이 | 첫 출장 |
모리시타 노부야스 | 난카이 | 4 | |
고다마 아키토시 | 긴테쓰 | 4 | |
히로세 요시노리 | 난카이 | 3 | |
모토야시키 긴고▲ | 한큐 | 첫 출장 | |
외야수 | 야마우치 가즈히로 | 다이마이 | 7 |
다미야 겐지로 | 다이마이 | 6 | |
하리모토 이사오 | 도에이 | 첫 출장 | |
세키구치 세이지 | 니시테쓰 | 5 | |
세키네 준조 | 긴테쓰 | 4 | |
부스지마 쇼이치 | 도에이 | 4 | |
모로키 스케히로 | 한큐 | 첫 출장 |
- '''굵은 글씨'''는 팬 투표로 선출된 선수, ▲는 출장 사퇴 선수 발생에 의한 보충 선수.
4. 미디어 중계
1960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TV와 라디오를 통해 중계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4. 1. TV 중계
(7월 25일)(7월 25일)
(7월 25일)
(7월 25일)
(7월 26일)
(7월 26일)
(7월 26일)
(7월 26일)
(7월 26일)
(7월 27일)
(7월 27일)
(7월 27일)
(7월 2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