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 AFC 아시안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60년 AFC 아시안컵은 대한민국 서울의 효창운동장에서 개최되었으며, 4개국이 참가하여 풀 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대한민국은 개최국이자 1956년 대회 우승팀 자격으로 자동 진출했고, 이스라엘, 남베트남, 중화민국은 예선을 통과하여 본선에 진출했다. 대한민국은 3전 전승으로 우승을 차지했으며, 조윤옥 선수가 4골로 최다 득점자가 되었다.
효창운동장은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경기장으로, 1960년 AFC 아시안컵의 모든 경기가 이곳에서 열렸다. 수용 인원은 15,194명이다.
wikitext
2. 개최 도시 및 경기장
2. 1. 효창운동장
효창운동장은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경기장으로, 1960년 AFC 아시안컵의 모든 경기가 이곳에서 열렸다. 수용 인원은 15,194명이다.
3. 예선
1960년 AFC 아시안컵 예선은 서부, 중부, 동부 지역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서부 지역''' 예선은 인도 코치의 마하라자 칼리지 스타디움에서 개최되었다.팀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8 6 3 2 1 10 8 border 7 6 3 1 2 12 10 5 5 2 1 2 8 10 2 5 1 0 4 7 9
이스라엘이 본선에 진출하였다. 이란은 3승 1무 2패로 선전했지만, 아쉽게 이스라엘에 밀려 본선 진출이 좌절되었다.
'''중부 지역''' 예선은 싱가포르 잘란 바자르 스타디움에서 개최되었다.팀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4 2 2 0 0 5 1 2 2 1 0 1 5 3 0 2 0 0 2 3 9
남베트남이 본선에 진출하였다.
'''동부 지역''' 예선은 필리핀 마닐라 리잘 기념 경기장에서 개최되었다.팀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4 2 2 0 0 14 8 2 2 1 0 1 11 7 0 2 0 0 2 4 14
대만이 본선에 진출하였다.
3. 1. 본선 진출국
1960년 AFC 아시안컵 본선 진출국은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은 개최국이자 전 대회 우승국 자격으로 자동 진출했다. 이스라엘, 남베트남, 중화민국은 각각 서부, 중부, 동부 지역 예선을 통과하여 본선에 진출했다.
팀 | 진출 자격 | 진출 날짜 | 이전 출전 |
---|---|---|---|
중앙 지역 우승 | 1959년 5월 13일 | ||
동부 지역 우승 | 1959년 4월 3일 | 0 (첫 출전) | |
서부 지역 우승 | 1959년 12월 17일 |
3. 2. 예선 탈락 국가
은 1960년 AFC 아시안컵 예선에서 6경기를 치러 3승 1무 2패, 승점 7점을 기록하며 이스라엘에 이어 조 2위를 차지하여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은 5경기를 치러 2승 1무 2패, 승점 5점을 기록하여 조 3위로 탈락했다. 는 5경기를 치러 1승 4패, 승점 2점으로 조 최하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은 1960년 AFC 아시안컵 예선에서 2경기를 치러 1승 1패, 승점 2점을 기록했으나, 대만에 밀려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4. 선수 명단
1960년 AFC 아시안컵에 참가한 각국의 선수 명단은 1960년 AFC 아시안컵 선수 명단 문서를 참고하라.
5. 결선 리그
- ---
1960년 10월 14일 효창운동장에서 열린 대한민국과 남베트남의 경기에서 대한민국은 조윤옥의 두 골과 우상권, 최정민, 문정식의 골로 5-1 대승을 거두었다.[5] 남베트남은 응우옌반뚜가 한 골을 만회했다.
1960년 10월 17일 대한민국은 조윤옥의 두 골과 우상권의 한 골로 이스라엘을 3-0으로 완파했다. 이 경기는 효창운동장에서 열렸으며, 요조 요코야마가 심판을 맡았다.
1960년 10월 21일 대한민국은 문정식의 결승골로 중화민국을 1-0으로 꺾었다.[6]
1960년 10월 16일 중화민국은 남베트남에 2-0으로 승리했다.
1960년 10월 19일 이스라엘은 R. 레비, 스텔마흐, S. 레비, 멘첼, 아하론스키드의 연속 득점에 힘입어 남베트남을 5-1로 대파했다. 남베트남은 쩐반늉이 페널티킥으로 한 골을 기록했다.
1960년 10월 23일 이스라엘은 S. 레비의 결승골로 중화민국을 1-0으로 꺾었다. 이 경기는 효창운동장에서 열렸으며, 요조 요코야마가 심판을 맡았다.
결과적으로 대한민국이 3전 전승으로 우승을 차지했고, 이스라엘이 2승 1패로 준우승, 중화민국이 1승 2패로 3위, 남베트남이 3패로 4위를 기록했다.
5. 1. 경기 결과
{}
- ---
1960년 10월 14일 효창운동장에서 열린 대한민국과 남베트남의 경기에서 대한민국은 조윤옥의 두 골과 우상권, 최정민, 문정식의 골로 5-1 대승을 거두었다.[5] 남베트남은 응우옌반뚜가 한 골을 만회했다.
1960년 10월 17일 대한민국은 조윤옥의 두 골과 우상권의 한 골로 이스라엘을 3-0으로 완파했다. 이 경기는 효창운동장에서 열렸으며, 요조 요코야마가 심판을 맡았다.
1960년 10월 21일 대한민국은 문정식의 결승골로 중화민국을 1-0으로 꺾었다.[6]
1960년 10월 16일 중화민국은 남베트남에 2-0으로 승리했다.
1960년 10월 19일 이스라엘은 R. 레비, 스텔마흐, S. 레비, 멘첼, 아하론스키드의 연속 득점에 힘입어 남베트남을 5-1로 대파했다. 남베트남은 쩐반늉이 페널티킥으로 한 골을 기록했다.
1960년 10월 23일 이스라엘은 S. 레비의 결승골로 중화민국을 1-0으로 꺾었다. 이 경기는 효창운동장에서 열렸으며, 요조 요코야마가 심판을 맡았다.
결과적으로 대한민국이 3전 전승으로 우승을 차지했고, 이스라엘이 2승 1패로 준우승, 중화민국이 1승 2패로 3위, 남베트남이 3패로 4위를 기록했다.
5. 2. 상세 경기 결과
1960년 AFC 아시안컵의 상세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든 시간은 한국 표준시(UTC+9) 기준이다.- 1960년 10월 14일 효창운동장(서울특별시)에서 열린 대한민국과 남베트남의 경기에서 대한민국이 5-1로 승리하였다.[5] 대한민국의 조윤옥이 15분과 71분에 득점하였고, 우상권이 27분, 최정민이 47분, 문정식이 56분에 득점하였다.[5] 남베트남의 응우옌반뚜가 70분에 득점하였다. 관중 수는 30,000명이었다.
- 1960년 10월 16일 효창운동장에서 열린 중화민국과 남베트남의 경기에서 중화민국이 2-0으로 승리하였다. 중화민국의 룩 만 와이가 51분에, 야우 촉 얀이 미상의 시간에 득점하였다.
- 1960년 10월 17일 효창운동장에서 열린 대한민국과 이스라엘의 경기에서 대한민국이 3-0으로 승리하였다. 대한민국의 조윤옥이 17분과 60분에 득점하였고, 우상권이 30분에 득점하였다. 심판은 일본의 요코야마 요조였으며, 관중 수는 30,000명이었다.
6. 우승국
AFC 아시안컵 우승 |
---|
대한민국 |
제2대 아시아 챔피언(2회 우승) |
1956년・1960년 |
대한민국은 1956년 AFC 아시안컵에 이어 2회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7. 득점 선수
4골로 조윤옥 선수가 이번 대회의 최다 득점자이다. 총 19골이 13명의 선수에 의해 기록되었으며, 자책골은 없었다.
4골
2골
- 슐로모 레비
- 문정식
- 우상권
1골
8. 팀 득점 기록
대한민국이 9골로 가장 많은 득점을 기록하였으며, 이스라엘이 6골로 그 뒤를 이었다. 중화민국과 남베트남은 각각 2골을 기록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Asian Cup: Know Your History - Part One (1956-1988)
http://www.goal.com/[...]
Goal.com
2011-01-07
[2]
웹사이트
Asian Cup 1960 South Korea » Final round
https://www.worldfoo[...]
2021-12-04
[3]
웹사이트
1960 AFC Asian Cup
https://globalsports[...]
2021-12-04
[4]
웹사이트
Inside World Football - Asian Cup 1960
http://www.insidewor[...]
2023-06-13
[5]
뉴스
『亞洲 蹴球』(아주 축구) 첫날 競技 經過(경기 경과)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60-10-15
[6]
뉴스
손에 땀 쥔 熱戰(열전) 80分(분)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60-10-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