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7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67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는 1967년 태국에서 개최된 대회로, 버마, 실론, 홍콩, 인도, 인도네시아, 이스라엘, 일본,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대한민국, 남베트남, 중화민국, 태국 등 14개 팀이 참가했다. 조별 예선과 결선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이스라엘이 결승에서 인도네시아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버마는 3위, 싱가포르는 4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7년 4월 - 제39회 아카데미상
제39회 아카데미상은 1966년 영화를 대상으로 1967년 2월 20일에 시상되었으며, 작품상은 《사계절의 사나이》가, 남녀 주연상은 폴 스코필드와 엘리자베스 테일러가, 남녀 조연상은 월터 매튜와 샌디 데니스가 각각 수상했다. - 1967년 4월 - 1967년 칸 영화제
1967년 칸 영화제는 알레산드로 블라세티가 심사위원장을 맡고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감독의 《욕망》이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영화제로서, 1967년 4월 27일부터 5월 12일까지 프랑스 칸에서 개최되어 경쟁 및 비경쟁 부문에서 여러 국가의 영화들이 상영되고 다양한 독립 부문 수상도 이루어졌다. - 태국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1972년 AFC 아시안컵 예선
1972년 AFC 아시안컵 예선은 1972년 AFC 아시안컵 본선 진출팀을 가리기 위해 중부, 동부, 서부 지역으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태국, 크메르 공화국, 대한민국, 이라크, 쿠웨이트가 본선에 진출했다. - 태국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1980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1980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는 태국 방콕에서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이 우승을 차지하고 카타르와 함께 1981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다.
1967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개요 | |
대회 명칭 | AFC 청소년 선수권 대회 |
개최 연도 | 1967년 |
개최국 | 태국 |
개최 기간 | 4월 15일 – 4월 27일 |
참가 팀 수 | 14개국 |
대회 결과 | |
우승 | 이스라엘 (4번째 우승) |
준우승 | 인도네시아 |
3위 | 버마 |
4위 | 싱가포르 |
대회 통계 | |
개인 수상 | |
대회 연혁 | |
이전 대회 | 1966 |
다음 대회 | 1968 |
2. 참가 팀
버마, 실론, 홍콩, 인도, 인도네시아, 이스라엘, 일본,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대한민국, 남베트남, 중화민국, 태국 (개최국)이 이 대회에 참가했다.
3. 조별 예선
3. 1. A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태국 | 2 | 2 | 0 | 0 | 12 | 0 | +12 | 4 |
실론 | 2 | 1 | 0 | 1 | 3 | 7 | -4 | 2 |
필리핀 | 2 | 0 | 0 | 2 | 2 | 10 | -8 | 0 |
1967년 4월 15일, 태국은 방콕의 국립경기장에서 필리핀을 7-0으로 대파했다. 4월 17일에는 실론이 필리핀을 3-2로 이겼다. 4월 20일, 태국은 실론을 5-0으로 완파하며 조 1위를 확정지었다.
3. 2. B조
B조에서는 인도네시아, 베트남 공화국, 대한민국, 홍콩이 방콕 국립경기장에서 경기를 치렀다. 인도네시아가 2승 1무로 조 1위를 차지했고, 베트남 공화국이 1승 2무로 그 뒤를 이었다. 대한민국은 1승 1무 1패를 기록했고, 홍콩은 3패로 최하위를 기록했다.4월 15일 대한민국과 베트남 공화국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다. 4월 16일 인도네시아는 압둘 카디르의 2골과 카이눈 와스키토의 2골, 응우라 게데 라이의 1골에 힘입어 홍콩을 4-2로 이겼다. 홍콩은 입셩와와 와이홍의 골로 추격했다.
4월 18일 베트남 공화국은 홍콩을 1-0으로 꺾었다. 같은 날 인도네시아는 압둘 카디르의 1골과 카이눈 와스키토의 2골을 앞세워 대한민국을 3-0으로 완파했다.
4월 20일 대한민국은 홍콩을 7-3으로 대파했다. 4월 21일 인도네시아와 베트남 공화국은 1-1로 비겼다.
width=25%| | width=30%| | width=15%| | width=30%| |
---|---|---|---|
4월 15일 | 대한민국 | 1–1 | 남베트남 |
4월 16일 | 인도네시아 | 4–2 | 홍콩 |
4월 18일 | 남베트남 | 1–0 | 홍콩 |
인도네시아 | 3–0 | 대한민국 | |
4월 20일 | 대한민국 | 7–3 | 홍콩 |
4월 21일 | 인도네시아 | 1–1 | 남베트남 |
3. 3. C조
C조에서는 버마, 싱가포르, 중화민국, 일본이 맞붙었다. 버마는 3승으로 1위, 싱가포르는 2승 1패로 2위를 기록하며 준결승에 진출했다. 중화민국은 1승 2패, 일본은 3패로 탈락했다.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4월 16일, 방콕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버마와 일본의 경기에서는 한 테인이 득점하여 버마가 1-0으로 승리했다. 같은 날, 싱가포르는 중화민국을 상대로 버논 림, 오 시우 콩, 카디르 술라이만이 득점하고, 중화민국의 리 무이람이 한 골을 만회하여 3-1로 승리했다.
- 4월 18일, 중화민국은 일본을 3-2로 꺾었다.
- 4월 19일, 버마는 싱가포르를 2-0으로 이겼다.
- 4월 22일, 싱가포르는 일본을 2-0으로 꺾었고, 버마는 중화민국을 2-0으로 이겼다.
3. 4. D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이스라엘 | 2 | 1 | 1 | 0 | 7 | 1 | +6 | 3 |
인도 | 2 | 1 | 1 | 0 | 5 | 2 | +3 | 3 |
말레이시아 | 2 | 0 | 0 | 2 | 1 | 10 | -9 | 0 |
1967년 4월 17일, 인도와 이스라엘은 방콕의 국립경기장에서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4월 19일에는 이스라엘이 말레이시아를 6-0으로 대파했다. 4월 21일, 인도는 말레이시아를 4-1로 꺾었다.
4. 결선 토너먼트
'''8강전'''
4월 23일 | width=100| | width=200| | |
---|---|---|---|
태국/ประเทศไทยth | 0–1 | 싱가포르/Singapore영어 | 방콕 |
이스라엘/ישראלhe | 3–0 | 베트남 공화국/Việt Nam Cộng hòavi | 방콕 |
4월 24일 | width=100| | width=200| | |
버마/မြန်မာmy | 5–0 | 실론/ශ්රී ලංකාsi | 방콕 |
인도네시아/Indonesiaid | 6–2 | 인도/India영어 | 방콕 |
인도네시아는 인도와의 경기에서 찬 펭 홍(Tjan Peng Hong)의 20분 득점, 압둘 카디르의 46분 페널티킥, 52분 득점,Mochtar의 48분 득점, 바스키토의 68분 득점으로 승리했다. 인도는 Kanaan의 12분 득점, 모하메드 하비브의 28분 득점으로 추격했다.
'''준결승전'''
인도네시아는 싱가포르와의 경기에서 찬 펭 홍의 40분, 52분 득점과 주나에디 압딜라의 60분 득점으로 3-0 승리를 거두었다.
'''3·4위전'''
1967년 4월 27일, 방콕에서 버마가 싱가포르를 4-0으로 이겼다.
'''결승전'''
1967년 4월 27일, 방콕에서 이스라엘이 인도네시아를 3-0으로 꺾고 우승했다.
4. 1. 8강전
4월 23일 | width=100| | width=200| | |
---|---|---|---|
태국/ประเทศไทยth | 0–1 | 싱가포르/Singapore영어 | 국립경기장, 방콕 |
이스라엘/ישראלhe | 3–0 | 베트남 공화국/Việt Nam Cộng hòavi | 국립경기장, 방콕 |
4월 24일 | width=100| | width=200| | |
버마/မြန်မာmy | 5–0 | 실론/ශ්රී ලංකාsi | 국립경기장, 방콕 |
인도네시아/Indonesiaid | 6–2 | 인도/India영어 | 국립경기장, 방콕 |
인도네시아는 인도와의 경기에서 Tjan Peng Hong의 득점, 압둘 카디르의 페널티킥 포함 두 골,Mochtar의 득점, 바스키토의 득점으로 승리했다. 인도는 Kanaan의 득점, 모하메드 하비브의 득점으로 추격했다.
4. 2. 준결승전
wikitext4월 25일 | width=100| | width=200| | |
---|---|---|---|
인도네시아/Indonesiaid | 3–0 | 싱가포르/Singapore영어 | 국립경기장, 방콕 |
이스라엘/ישראלhe | 1–0 | 버마/မြန်မာmy | 국립경기장, 방콕 |
4. 3. 3·4위전
1967년 4월 27일, 방콕 국립경기장에서 버마가 싱가포르를 4-0으로 이겼다.4. 4. 결승전
{{축구 경기 정보| 날짜 = 1967년 4월 27일
| 팀1 =
| 점수 = 3 – 0
| 보고서 =
| 팀2 =
| 골1 =
| 골2 =
| 경기장 = 방콕
| 관중 =
| 심판 =
}}
1967년 4월 27일, 이스라엘은 방콕에서 열린 1967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결승전에서 인도네시아를 3-0으로 꺾고 4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5. 우승 팀
이스라엘
4번째 우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