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9년 뉴질랜드 총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69년 뉴질랜드 총선은 1967년 선거구 재분배로 인해 선거구 수가 84개로 늘어난 가운데 1969년 11월 29일에 실시되었다. 선거 결과, 집권 여당인 국민당이 45석을, 노동당이 39석을 얻어 국민당이 승리했다. 투표율은 88.94%였으며, 4명의 국민당 의원과 5명의 노동당 의원이 은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9년 선거 - 제3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1969년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는 일미 안보조약 갱신 문제가 쟁점이었으나 자민당의 압승과 사회당의 참패, 낮은 투표율, 그리고 하타 쓰토무, 모리 요시로 등 정치 거물들의 등장과 다나카 가쿠에이의 정치적 입지 강화 등 일본 정치의 중요한 변곡점이 되었다. - 1969년 선거 - 1969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
샤를 드 골 대통령 사임으로 치러진 1969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는 공화국민주연맹의 조르주 퐁피두와 민주중도의 알랭 포에르가 결선 투표에서 맞붙어 퐁피두가 당선되었고, 이는 좌파 진영의 재편을 촉진하여 프랑스 정치 지형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뉴질랜드의 총선거 - 2020년 뉴질랜드 총선
2020년 뉴질랜드 총선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연기되어 2020년 10월 17일에 치러졌으며, 노동당이 50%의 득표율로 과반수를 차지하여 단독 정부를 구성했다. - 뉴질랜드의 총선거 - 1984년 뉴질랜드 총선
1984년 뉴질랜드 총선은 로버트 멀둔 총리의 조기 총선 발표로 시작되어 노동당이 단독 과반수 정부를 구성하며 정권 교체를 이룬 선거로, 경제 정책 실패와 사회 변화 요구, 헌법 위기, 그리고 뉴질랜드 정치 지형의 변화를 가져왔다. - 선거에 관한 - 2001년 영국 총선
2001년 영국 총선은 노동당이 압승했으나 역대 최저 투표율을 기록했고 보수당은 참패했으며 자유민주당의 약진과 지역 정당들의 의석 변동이 나타난 선거이다. - 선거에 관한 - 2010년 영국 총선
2010년 영국 총선은 보수당이 제1당이 되었으나 과반수 확보에 실패하여 자유민주당과 연립정부를 구성, 데이비드 캐머런이 총리가 되었고 36년 만에 헝 의회 상황을 초래한 선거이다.
1969년 뉴질랜드 총선 | |
---|---|
지도 정보 | |
![]() | |
선거 정보 | |
선거 이름 | 1969년 뉴질랜드 총선 |
국가 | 뉴질랜드 |
선거 유형 | 의회 선거 |
진행 여부 | 아니오 |
이전 선거 | 1966년 뉴질랜드 총선 |
이전 선거 년도 | 1966 |
이전 의회 | 35대 뉴질랜드 의회 |
다음 선거 | 1972년 뉴질랜드 총선 |
다음 선거 년도 | 1972 |
다음 의회 | 37대 뉴질랜드 의회 |
선출 의석 수 | 84석 |
과반 의석 수 | 43석 |
선거일 | 1969년 11월 29일 |
선출된 의원 | 선출된 의원 |
투표율 | 1,340,168 (88.94%) |
제1당 (국민당) | |
![]() | |
대표 | 키스 홀리오크 |
대표 취임일 | 1957년 8월 13일 |
정당 | 뉴질랜드 국민당 |
대표 지역구 | 파히아투아 |
이전 선거 결과 | 44석, 43.6% |
획득 의석 수 | 45 |
의석 변화 | 1 |
득표수 | 605,960 |
득표율 | 45.2% |
득표율 변화 | 1.6% |
제2당 (노동당) | |
![]() | |
대표 | 노먼 커크 |
대표 취임일 | 1965년 12월 9일 |
정당 | 뉴질랜드 노동당 |
대표 지역구 | 리텔턴 |
이전 선거 결과 | 35석, 41.4% |
획득 의석 수 | 39 |
의석 변화 | 4 |
득표수 | 592,055 |
득표율 | 44.2% |
득표율 변화 | 2.8% |
총리 | |
직책 | 총리 |
선거 전 총리 | 키스 홀리오크 |
선거 후 총리 | 키스 홀리오크 |
선거 전 소속 정당 | 뉴질랜드 국민당 |
선거 후 소속 정당 | 뉴질랜드 국민당 |
2. 1967년 선거구 재분배
1965년 선거법 개정으로 남섬의 선거구 수는 25개로 고정되었는데, 이는 1962년 선거구 재분배 이후 1개 증가한 수치이다.[1] 북섬의 인구 증가 속도가 더 빠르다는 점이 인정되어, 비례성을 유지하기 위해 1967년 선거구 재분배에서 차기 선거를 위해 3개의 새로운 선거구가 추가되었다.[1]
선거구 수가 84개로 증가한 것은 1902년 선거구 재분배 이후 처음 있는 일이었다.[2] 남섬 선거구 수가 고정되었기 때문에 북섬 선거구 수는 1996년 선거부터 도입된 혼합 비례 대표제(MMP)가 의석 수를 120개로 고정할 때까지 매 선거마다 증가했다.[2]
2. 1. 북섬 선거구 변화
1965년 선거법 개정으로 남섬의 선거구 수는 25개로 고정되었는데, 이는 1962년 선거구 재분배 이후 1개 증가한 수치이다.[1] 북섬의 인구 증가 속도가 더 빠르다는 점이 인정되어, 비례성을 유지하기 위해 1967년 선거구 재분배에서 차기 선거를 위해 3개의 새로운 선거구가 추가되었다.[1]북섬에서는 버컨헤드, 해밀턴 웨스트, 헨더슨, 망게레, 웨스턴 헛 5개의 새로운 선거구가 신설되었고, 와이카토 1개의 선거구가 재구성되었으며, 해밀턴, 와이파, 와이타케레 3개의 선거구가 폐지되었다.[1]
이러한 변경은 기존 선거구에 큰 혼란을 야기했으며, 프랭클린, 와이라라파, 세인트 킬다 3개의 선거구를 제외한 모든 선거구의 경계가 변경되었다.[1] 이러한 변경 사항은 1969년 선거부터 시행되었다.[1]
2. 2. 남섬 선거구 변화
1965년 선거법 개정으로 남섬의 선거구 수는 25개로 고정되었는데, 이는 1962년 선거구 재분배 이후 1개 증가한 수치이다.[1] 북섬의 인구 증가 속도가 더 빠르다는 점이 인정되었고, 비례성을 유지하기 위해 1967년 선거구 재분배에서 다음 선거를 위해 3개의 새로운 선거구가 추가되었다.[1]남섬에서는 3개의 새로운 선거구(파파누이, 사우스 캔터베리, 와이그램)가 신설되고 1개의 선거구(오아마루)가 재구성되었으며, 3개의 선거구(애슈버턴, 펜달튼, 와이타키)는 폐지되었다.[1]
2. 3. 변경 사항의 영향
1965년 선거법 개정으로 남섬의 선거구 수는 25개로 고정되었는데, 이는 1962년 선거구 재분배 이후 1개 증가한 수치이다.[1] 북섬의 인구 증가 속도가 더 빠르다는 점이 인정되었고, 비례성을 유지하기 위해 1967년 선거구 재분배에서 차기 선거를 위해 3개의 새로운 선거구가 추가되었다.[1]북섬에서는 버컨헤드, 해밀턴 웨스트, 헨더슨, 망게레, 웨스턴 헛 5개의 새로운 선거구가 신설되고, 와이카토 1개의 선거구가 재구성되었으며, 해밀턴, 와이파, 와이타케레 3개의 선거구가 폐지되었다.[1] 남섬에서는 파파누이, 사우스 캔터베리, 위그램 3개의 새로운 선거구가 신설되고, 오아마루 1개의 선거구가 재구성되었으며, 애슈버턴, 펜달튼, 와이타키 3개의 선거구가 폐지되었다.[1] 이러한 변경의 전반적인 효과는 기존 선거구에 큰 혼란을 야기했으며, 프랭클린, 와이라라파, 세인트 킬다 3개의 선거구를 제외한 모든 선거구의 경계가 변경되었다.[1] 이러한 변경 사항은 1969년 선거부터 시행되었다.[1]
선거구 수가 84개로 증가한 것은 1902년 선거구 재분배 이후 처음 있는 일이었다.[2] 남섬 선거구 수가 고정되었기 때문에 북섬 선거구 수는 1996년 선거부터 도입된 혼합 비례 대표제(MMP)가 의석 수를 120개로 고정할 때까지 매 선거마다 증가했다.[2]
3. 1969년 은퇴 의원
1969년 뉴질랜드 총선을 앞두고 국민당 소속 4명과 노동당 소속 5명의 국회의원이 35대 의회 종료와 함께 은퇴할 예정이었다. 헛 선거구의 월터 내시 경 국회의원은 1969년 임기 종료와 함께 은퇴할 것이라고 발표했지만, 1968년 6월 4일 사망하여 보궐선거가 치러졌다.[1]
3. 1. 국민당
1969년 뉴질랜드 총선을 앞두고 국민당 소속 다음 4명의 국회의원이 35대 의회 종료와 함께 은퇴할 예정이었다.이름 | 선거구 |
---|---|
고든 그리브(Gordon Grieve) | 아와루아 |
아서 킨셀라(Arthur Kinsella) | 하우라키 |
잭 조지 | 오타고 중앙(Otago Central) |
잭 스콧 | 로드니 |
헛 선거구의 월터 내시 경(Sir Walter Nash) 국회의원은 1969년 임기 종료와 함께 은퇴할 것이라고 발표했지만, 1968년 6월 4일 사망하여 보궐선거가 치러졌다.[1]
3. 2. 노동당
노동당에서는 로버트 맥퍼레인(크라이스트처치 중앙(Christchurch Central)), 리치 맥도널드(Ritchie Macdonald)(그레이 린), 아놀드 노드마이어(Arnold Nordmeyer)(아일랜드 베이), 마벨 하워드(Mabel Howard)(시든햄), 이리아카 라타나(Iriaka Rātana)(서부 마오리(Western Maori)) 등 5명의 국회의원이 35대 의회 종료와 함께 은퇴할 예정이었다.[1]이름 | 선거구 |
---|---|
로버트 맥퍼레인 | 크라이스트처치 중앙(Christchurch Central) |
리치 맥도널드(Ritchie Macdonald) | 그레이 린 |
아놀드 노드마이어(Arnold Nordmeyer) | 아일랜드 베이 |
마벨 하워드(Mabel Howard) | 시든햄 |
이리아카 라타나(Iriaka Rātana) | 서부 마오리(Western Maori) |
헛 선거구의 월터 내시 경 국회의원은 1969년 임기 종료와 함께 은퇴할 것이라고 발표했지만, 1968년 6월 4일 사망하여 보궐선거가 치러졌다.[1]
4. 선거
선거는 11월 29일에 실시되었다. 투표율은 88.94%였다.[2] 국회의원 총수는 84명으로 증가했으며, 이 중 새롭게 추가된 4개의 의석 중 최소 3개는 노동당 의석이 될 가능성이 높았다. 55개와 25개의 선거구가 각각 북섬과 남섬에 있었고, 4개의 마오리 선거구가 있었다.
5. 선거 결과
뉴질랜드 국민당이 뉴질랜드 노동당을 누르고 아슬아슬하게 승리했다. 국민당은 45석, 노동당은 39석을 차지했지만, 노동당 득표율은 국민당보다 1%p 뒤졌을 뿐이었다. 뉴질랜드 사회신용당은 의회에서 유일하게 가지고 있던 홉슨 선거구 의석을 잃었는데, 이 의석은 당시 당 대표였던 버논 크랙넬이 가지고 있던 것이었다.[3]
노먼 커크가 이끄는 노동당은 활기를 되찾았으나, 지나친 자신감으로 선거운동을 너무 늦게 시작했고 오클랜드에서 승리하지 못했다. 노동연맹 및 노조와의 관계도 좋지 않았는데, 커크는 ''와이누이''호 관련 노동 분쟁으로 인해 노동당이 오클랜드에서 3석을 잃었다고 밝혔다. 노동당 의원 워렌 프리어는 "선거 기간 중 해상 노동자 파업이 없었다면 승리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개인적으로 믿었다.[3]
에든 선거구에서는 노동당이 개표 초반 1위를 차지했지만, 특별 투표가 집계되면서 패배했다.
5. 1. 정당별 득표율 및 의석수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의석 수 | |
---|---|---|---|---|
bgcolor= | | 뉴질랜드 국민당 | 605,960 | 45.22 | 45 |
bgcolor= | | 뉴질랜드 노동당 | 592,055 | 44.18 | 39 |
bgcolor= | | 뉴질랜드 사회신용당 | 121,576 | 9.07 | 0 |
기타 정당 | 20,577 | 1.54 | 0 | |
전체 | 1,340,168 | 100 | 84 |
뉴질랜드 국민당은 45석, 뉴질랜드 노동당은 39석을 획득했다. 노동당의 득표율은 국민당보다 1%p 뒤졌을 뿐이었다. 뉴질랜드 사회신용당은 유일한 의석이었던 홉슨 선거구를 상실했다.[3]
정당별 득표율 및 의석수 | ||||||
---|---|---|---|---|---|---|
정당 | 후보자 수 | 총 득표수 | 득표율 | 획득 의석 수 | 의석수 변동 | |
width=5 bgcolor= | 뉴질랜드 국민당 | 84 | 605,960 | 45.2 | 45 | +1 |
bgcolor= | 뉴질랜드 노동당 | 84 | 592,055 | 44.2 | 39 | +4 |
bgcolor= | 뉴질랜드 사회신용당 | 84 | 121,576 | 9.1 | 0 | −1 |
bgcolor= | 국민당 | 15 | 6,715 | 0.5 | 0 | ±0 |
bgcolor= | 뉴질랜드 공산당 | 4 | 418 | 0.03 | 0 | ±0 |
bgcolor= | 무소속 | 36 | 8,457 | 0.6 | 0 | ±0 |
합계 | 303 | 1,340,168 | 100 | 84 |
5. 2. 상세 선거구 결과
wikitext일반 선거구 | |||||||
---|---|---|---|---|---|---|---|
하우라키 |
참조
[1]
뉴스
By-election is necessitated
The Evening Post
1968-06-05
[2]
웹사이트
General elections 1853–2005 – dates & turnout
http://www.elections[...]
Elections New Zealand
[3]
서적
A Lifetime in Politics: the memoirs of Warren Freer
Victoria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