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9년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69년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는 1968년 인터조널 토너먼트와 도전자 결정전을 거쳐 소련의 보리스 스파스키가 티그란 페트로시안을 꺾고 우승한 대회이다. 1967년 인터조널 토너먼트는 튀니지 수스에서 열렸으며, 벤트 랄센이 우승하고 빅토르 코르치노이, 에핌 겔러, 스베토자르 글리고리치, 러요시 포르티시, 사무엘 레셰프스키가 도전자 결정전에 진출했다. 도전자 결정전은 1968년 6월부터 1969년 3월까지 진행되었으며, 스파스키는 결승에서 코르치노이를 꺾고 페트로시안에게 도전할 자격을 얻었다. 1969년 모스크바에서 열린 챔피언십 매치에서 스파스키는 12½-10½로 승리하여 세계 챔피언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9년 스포츠 - 1969년 남태평양 게임
1969년 남태평양 게임은 파푸아뉴기니 포트모르즈비에서 12개 태평양 국가 및 영토가 참가하여 육상, 농구, 축구, 수영 등 15개 종목에서 경쟁한 다종목 스포츠 대회로, 누벨칼레도니가 종합 1위를 차지했다. - 1969년 스포츠 - 1969년 동남아시아반도 경기 대회
1969년 동남아시아반도 경기 대회는 육상, 배드민턴, 농구, 복싱 등 14개 종목에 6개국이 참가하여 태국이 종합 1위를 차지했다. - 1969년 소련 - 중소 국경 분쟁
중소 국경 분쟁은 19세기 불평등 조약으로 시작되어 1969년 군사적 충돌로 심화되었고, 1990년대 외교적 노력을 통해 국경 문제를 해결했으며, 국제 관계 재편에 영향을 미쳤다. - 1969년 소련 - N-1
N-1은 소련에서 달, 화성 유인 탐사, 우주 정거장 건설 등을 목표로 개발된 대형 발사체였으나, 유인 달 착륙 계획 변경 후 예산 및 기술 문제로 4번의 시험 비행 실패 끝에 개발이 중단되었다.
1969년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 1969 |
참가 선수 | 티그란 페트로샨, 보리스 스파스키 |
개최 연도 | 1969년 |
이전 대회 | 1966년 |
다음 대회 | 1972년 |
참가 선수 정보 (티그란 페트로샨) | |
선수 | 티그란 페트로샨 |
![]() | |
타이틀 | 디펜딩 챔피언 |
출생 | 1929년 6월 17일 |
나이 | 39세 |
참가 자격 | 1966년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 우승자 |
Elo 레이팅 | 2650 |
세계 랭킹 | 5위 |
참가 선수 정보 (보리스 스파스키) | |
선수 | 보리스 스파스키 |
![]() | |
타이틀 | 챌린저 |
출생 | 1937년 1월 30일 |
나이 | 32세 |
참가 자격 | 1966년 후보 토너먼트 우승자 |
Elo 레이팅 | 2690 |
세계 랭킹 | 2위 |
경기 결과 | |
티그란 페트로샨 점수 | 10½ |
보리스 스파스키 점수 | 12½ |
2. 1967년 인터조널 토너먼트
1967년 인터조널 토너먼트는 1967년 10월부터 11월까지 튀니지 수스에서 열렸으며,[1] 상위 6명은 도전자 결정전에 진출했다.
보비 피셔는 10라운드까지 7승 3무로 선두를 달렸으나, 조직위원회와 갈등으로 기권했다. 피셔는 대회 절반이 되기 전에 기권하여 모든 기록이 무효화되었다.[1]
벤트 라르센이 15½점으로 우승했고, 빅토르 코르치노이, 예핌 겔러, 스베토자르 글리고리치가 14점으로 뒤를 이었다. 러요시 포르티시는 13½점으로 5위였다.
사무엘 레셰프스키, 브라스티밀 호르트, 레오니트 스타인은 13점으로 공동 6위가 되어 1968년 로스앤젤레스에서 플레이오프를 했다. 세 선수 모두 4점으로 동률이었으나, 타이브레이크 점수가 높은 레셰프스키가 도전자 결정전에 진출했다.
순위 | 선수 | 총점 | 타이브레이크 |
---|---|---|---|
1 | 벤트 라르센 | 15½ | |
2 | 빅토르 코르치노이 | 14 | 136.00 |
3 | 예핌 겔러 | 14 | 135.75 |
4 | 스베토자르 글리고리치 | 14 | 135.00 |
5 | 러요시 포르티시 | 13½ | |
6 | 사무엘 레셰프스키 | 13 | 129.75 |
7 | 브라스티밀 호르트 | 13 | 120.25 |
8 | 레오니트 스타인 | 13 | 117.00 |
9 | 밀란 마툴로비치 | 12½ | |
10 | 알렉산다르 마타노비치 | 12 | |
11 | 보리슬라프 이브코프 | 11 | 103.50 |
12 | 엔리케 메킹 | 11 | 102.50 |
13 | 아이바르스 깁슬리스 | 10 | 93.75 |
14 | 류보미르 카발레크 | 10 | 90.00 |
15 | 덩컨 서틀스 | 9½ | |
16 | 이슈트반 빌레크 | 9 | |
17 | 라슬로 바르차이 | 8 | |
18 | 로버트 번 | 7½ | |
19 | 미겔 쿠에야르 | 6½ | 61.00 |
20 | 람수렌 먀그마르수렌 | 6½ | 54.50 |
21 | 오르트빈 사라푸 | 4 | |
22 | 슬림 부아지즈 | 3½ |
2. 1. 진행 방식
1967년 튀니지 수스에서 인터조널 토너먼트가 열렸다. 상위 6명의 선수가 도전자 결정전에 진출할 수 있었다. 보비 피셔는 10라운드 이후 7승 3무로 선두를 달리고 있었으나, 조직위와 갈등을 빚어 대회에서 기권했다. 피셔는 대회 절반이 진행되기 전에 기권했기 때문에 그의 기록은 모두 무효화되었다.[1]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총점 | 타이브레이크 | ||
---|---|---|---|---|---|---|---|---|---|---|---|---|---|---|---|---|---|---|---|---|---|---|---|---|---|
1 | 벤트 라르센 | - | 0 | ½ | ½ | 0 | 1 | 1 | 1 | 1 | ½ | 1 | 1 | 1 | ½ | 0 | 1 | ½ | 1 | 1 | 1 | 1 | 1 | 15½ | |
2 | 빅토르 코르치노이 | 1 | - | ½ | ½ | 1 | ½ | ½ | ½ | 0 | ½ | 0 | 0 | ½ | 1 | 1 | 1 | 1 | 1 | 1 | 1 | ½ | 1 | 14 | 136.00 |
3 | 에핌 겔러 | ½ | ½ | - | ½ | ½ | 0 | 1 | ½ | 1 | ½ | ½ | 1 | ½ | ½ | 1 | ½ | ½ | 1 | ½ | 1 | 1 | 1 | 14 | 135.75 |
4 | 스베토자르 글리고리치 | ½ | ½ | ½ | - | ½ | ½ | ½ | 1 | ½ | ½ | ½ | ½ | ½ | 1 | 1 | ½ | ½ | ½ | 1 | 1 | 1 | 1 | 14 | 135.00 |
5 | 러요시 포르티시 | 1 | 0 | ½ | ½ | - | ½ | ½ | 1 | 0 | ½ | ½ | ½ | ½ | 1 | 1 | ½ | 1 | ½ | ½ | 1 | 1 | 1 | 13½ | |
6 | 사무엘 레셰프스키 | 0 | ½ | 1 | ½ | ½ | - | ½ | ½ | 1 | ½ | ½ | 1 | ½ | ½ | ½ | ½ | 1 | 1 | 0 | 1 | 1 | ½ | 13 | 129.75 |
7 | 브라스티밀 호르트 | 0 | ½ | 0 | ½ | ½ | ½ | - | 1 | ½ | ½ | 1 | ½ | ½ | ½ | ½ | ½ | ½ | 1 | 1 | 1 | 1 | 1 | 13 | 120.25 |
8 | 레오니트 스타인 | 0 | ½ | ½ | 0 | 0 | ½ | 0 | - | ½ | ½ | ½ | 1 | 1 | ½ | 1 | 1 | 1 | 1 | 1 | 1 | 1 | ½ | 13 | 117.00 |
9 | 밀란 마툴로비치 | 0 | 1 | 0 | ½ | 1 | 0 | ½ | ½ | - | 0 | 1 | 1 | ½ | 1 | 0 | ½ | ½ | 1 | 1 | ½ | 1 | 1 | 12½ | |
10 | 알렉산다르 마타노비치 | ½ | ½ | ½ | ½ | ½ | ½ | ½ | ½ | 1 | - | ½ | 1 | ½ | ½ | ½ | ½ | 1 | ½ | 0 | 1 | ½ | ½ | 12 | |
11 | 보리슬라프 이브코프 | 0 | 1 | ½ | ½ | ½ | ½ | 0 | ½ | 0 | ½ | - | 0 | ½ | ½ | 1 | ½ | 1 | ½ | 1 | 0 | 1 | 1 | 11 | 103.50 |
12 | 엔리케 메킹 | 0 | 1 | 0 | ½ | ½ | 0 | ½ | 0 | 0 | 0 | 1 | - | 1 | 1 | 1 | ½ | ½ | ½ | 1 | ½ | 1 | ½ | 11 | 102.50 |
13 | 아이바르스 깁슬리스 | 0 | ½ | ½ | ½ | ½ | ½ | ½ | 0 | ½ | ½ | ½ | 0 | - | ½ | 0 | 1 | ½ | 0 | 1 | ½ | 1 | 1 | 10 | 93.75 |
14 | 류보미르 카발레크 | ½ | 0 | ½ | 0 | 0 | ½ | ½ | ½ | 0 | ½ | ½ | 0 | ½ | - | ½ | 1 | ½ | 1 | 0 | 1 | 1 | 1 | 10 | 90.00 |
15 | 덩컨 서틀스 | 1 | 0 | 0 | 0 | 0 | ½ | ½ | 0 | 1 | ½ | 0 | 0 | 1 | ½ | - | ½ | 1 | 0 | ½ | 1 | ½ | 1 | 9½ | |
16 | 이슈트반 빌레크 | 0 | 0 | ½ | ½ | ½ | ½ | ½ | 0 | ½ | ½ | ½ | ½ | 0 | 0 | ½ | - | ½ | ½ | 1 | 0 | 1 | 1 | 9 | |
17 | 라슬로 바르차이 | ½ | 0 | ½ | ½ | 0 | 0 | ½ | 0 | ½ | 0 | 0 | ½ | ½ | ½ | 0 | ½ | - | ½ | 1 | ½ | ½ | 1 | 8 | |
18 | 로버트 번 | 0 | 0 | 0 | ½ | ½ | 0 | 0 | 0 | 0 | ½ | ½ | ½ | 1 | 0 | 1 | ½ | ½ | - | 1 | ½ | ½ | 0 | 7½ | |
19 | 미겔 쿠에야르 | 0 | 0 | ½ | 0 | ½ | 1 | 0 | 0 | 0 | 1 | 0 | 0 | 0 | 1 | ½ | 0 | 0 | 0 | - | 0 | 1 | 1 | 6½ | 61.00 |
20 | 람수렌 먀그마르수렌 | 0 | 0 | 0 | 0 | 0 | 0 | 0 | 0 | ½ | 0 | 1 | ½ | ½ | 0 | 0 | 1 | ½ | ½ | 1 | - | 0 | 1 | 6½ | 54.50 |
21 | 오르트빈 사라푸 | 0 | ½ | 0 | 0 | 0 | 0 | 0 | 0 | 0 | ½ | 0 | 0 | 0 | 0 | ½ | 0 | ½ | ½ | 0 | 1 | - | ½ | 4 | |
22 | 슬림 부아지즈 | 0 | 0 | 0 | 0 | 0 | ½ | 0 | ½ | 0 | ½ | 0 | ½ | 0 | 0 | 0 | 0 | 0 | 1 | 0 | 0 | ½ | - | 3½ |
사무엘 레셰프스키, 브라스티밀 호르트, 레오니트 스타인은 공동 6위를 기록하여 1968년 로스앤젤레스에서 플레이오프를 진행했다. 세 선수 모두 동점으로 끝났고, 타이브레이크 점수가 가장 높은 레셰프스키가 도전자 결정전에 진출했다.
1 | 2 | 3 | 총점 | ||
---|---|---|---|---|---|
1 | 사무엘 레셰프스키 | - | ==== | ==== | 4 |
2 | 브라스티밀 호르트 | ==== | - | =0=1 | 4 |
3 | 레오니트 스타인 | ==== | =1=0 | - | 4 |
2. 2. 결과
1967년 튀니지 수스에서 열린 인터조널 토너먼트 결과는 다음과 같다.[1]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총점 | 타이브레이크 | ||
---|---|---|---|---|---|---|---|---|---|---|---|---|---|---|---|---|---|---|---|---|---|---|---|---|---|
1 | 벤트 라르센(Bent Larsen|벤트 라르센da) | - | 0 | ½ | ½ | 0 | 1 | 1 | 1 | 1 | ½ | 1 | 1 | 1 | ½ | 0 | 1 | ½ | 1 | 1 | 1 | 1 | 1 | 15½ | |
2 | 빅토르 코르치노이(Viktor Korchnoi|빅토르 코르치노이ru) | 1 | - | ½ | ½ | 1 | ½ | ½ | ½ | 0 | ½ | 0 | 0 | ½ | 1 | 1 | 1 | 1 | 1 | 1 | 1 | ½ | 1 | 14 | 136.00 |
3 | 예핌 겔러(Efim Geller|예핌 겔러ru) | ½ | ½ | - | ½ | ½ | 0 | 1 | ½ | 1 | ½ | ½ | 1 | ½ | ½ | 1 | ½ | ½ | 1 | ½ | 1 | 1 | 1 | 14 | 135.75 |
4 | 스베토자르 글리고리치(Svetozar Gligorić|스베토자르 글리고리치sr) | ½ | ½ | ½ | - | ½ | ½ | ½ | 1 | ½ | ½ | ½ | ½ | ½ | 1 | 1 | ½ | ½ | ½ | 1 | 1 | 1 | 1 | 14 | 135.00 |
5 | 러요시 포르티시(Lajos Portisch|러요시 포르티시hu) | 1 | 0 | ½ | ½ | - | ½ | ½ | 1 | 0 | ½ | ½ | ½ | ½ | 1 | 1 | ½ | 1 | ½ | ½ | 1 | 1 | 1 | 13½ | |
6 | 사무엘 레셰프스키(Samuel Reshevsky|사무엘 레셰프스키영어) | 0 | ½ | 1 | ½ | ½ | - | ½ | ½ | 1 | ½ | ½ | 1 | ½ | ½ | ½ | ½ | 1 | 1 | 0 | 1 | 1 | ½ | 13 | 129.75 |
7 | 브라스티밀 호르트(Vlastimil Hort|브라스티밀 호르트cs) | 0 | ½ | 0 | ½ | ½ | ½ | - | 1 | ½ | ½ | 1 | ½ | ½ | ½ | ½ | ½ | ½ | 1 | 1 | 1 | 1 | 1 | 13 | 120.25 |
8 | 레오니트 스타인(Leonid Stein|레오니트 스타인ru) | 0 | ½ | ½ | 0 | 0 | ½ | 0 | - | ½ | ½ | ½ | 1 | 1 | ½ | 1 | 1 | 1 | 1 | 1 | 1 | 1 | ½ | 13 | 117.00 |
9 | 밀란 마툴로비치(Milan Matulović|밀란 마툴로비치sr) | 0 | 1 | 0 | ½ | 1 | 0 | ½ | ½ | - | 0 | 1 | 1 | ½ | 1 | 0 | ½ | ½ | 1 | 1 | ½ | 1 | 1 | 12½ | |
10 | 알렉산다르 마타노비치(Aleksandar Matanović|알렉산다르 마타노비치sr) | ½ | ½ | ½ | ½ | ½ | ½ | ½ | ½ | 1 | - | ½ | 1 | ½ | ½ | ½ | ½ | 1 | ½ | 0 | 1 | ½ | ½ | 12 | |
11 | 보리슬라프 이브코프(Borislav Ivkov|보리슬라프 이브코프sr) | 0 | 1 | ½ | ½ | ½ | ½ | 0 | ½ | 0 | ½ | - | 0 | ½ | ½ | 1 | ½ | 1 | ½ | 1 | 0 | 1 | 1 | 11 | 103.50 |
12 | 엔리케 메킹(Henrique Mecking|엔리케 메킹pt) | 0 | 1 | 0 | ½ | ½ | 0 | ½ | 0 | 0 | 0 | 1 | - | 1 | 1 | 1 | ½ | ½ | ½ | 1 | ½ | 1 | ½ | 11 | 102.50 |
13 | 아이바르스 깁슬리스(Aivars Gipslis|아이바르스 깁슬리스ru) | 0 | ½ | ½ | ½ | ½ | ½ | ½ | 0 | ½ | ½ | ½ | 0 | - | ½ | 0 | 1 | ½ | 0 | 1 | ½ | 1 | 1 | 10 | 93.75 |
14 | 류보미르 카발레크(Lubomir Kavalek|류보미르 카발레크cs) | ½ | 0 | ½ | 0 | 0 | ½ | ½ | ½ | 0 | ½ | ½ | 0 | ½ | - | ½ | 1 | ½ | 1 | 0 | 1 | 1 | 1 | 10 | 90.00 |
15 | 덩컨 서틀스(Duncan Suttles|덩컨 서틀스영어) | 1 | 0 | 0 | 0 | 0 | ½ | ½ | 0 | 1 | ½ | 0 | 0 | 1 | ½ | - | ½ | 1 | 0 | ½ | 1 | ½ | 1 | 9½ | |
16 | 이슈트반 빌레크(István Bilek|이슈트반 빌레크hu) | 0 | 0 | ½ | ½ | ½ | ½ | ½ | 0 | ½ | ½ | ½ | ½ | 0 | 0 | ½ | - | ½ | ½ | 1 | 0 | 1 | 1 | 9 | |
17 | 라슬로 바르차이(László Barczay|라슬로 바르차이hu) | ½ | 0 | ½ | ½ | 0 | 0 | ½ | 0 | ½ | 0 | 0 | ½ | ½ | ½ | 0 | ½ | - | ½ | 1 | ½ | ½ | 1 | 8 | |
18 | 로버트 번(Robert Byrne|로버트 번영어) | 0 | 0 | 0 | ½ | ½ | 0 | 0 | 0 | 0 | ½ | ½ | ½ | 1 | 0 | 1 | ½ | ½ | - | 1 | ½ | ½ | 0 | 7½ | |
19 | 미겔 쿠에야르(Miguel Cuéllar|미겔 쿠에야르es) | 0 | 0 | ½ | 0 | ½ | 1 | 0 | 0 | 0 | 1 | 0 | 0 | 0 | 1 | ½ | 0 | 0 | 0 | - | 0 | 1 | 1 | 6½ | 61.00 |
20 | 람수렌 먀그마르수렌(Lhamsuren Myagmarsuren|람수렌 먀그마르수렌mn) | 0 | 0 | 0 | 0 | 0 | 0 | 0 | 0 | ½ | 0 | 1 | ½ | ½ | 0 | 0 | 1 | ½ | ½ | 1 | - | 0 | 1 | 6½ | 54.50 |
21 | 오르트빈 사라푸(Ortvin Sarapu|오르트빈 사라푸영어) | 0 | ½ | 0 | 0 | 0 | 0 | 0 | 0 | 0 | ½ | 0 | 0 | 0 | 0 | ½ | 0 | ½ | ½ | 0 | 1 | - | ½ | 4 | |
22 | 슬림 부아지즈(Slim Bouaziz|슬림 부아지즈ar) | 0 | 0 | 0 | 0 | 0 | ½ | 0 | ½ | 0 | ½ | 0 | ½ | 0 | 0 | 0 | 0 | 0 | 1 | 0 | 0 | ½ | - | 3½ |
덴마크의 벤트 라르센이 15½점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소련의 빅토르 코르치노이, 예핌 겔러, 유고슬라비아의 스베토자르 글리고리치가 각각 14점으로 2, 3, 4위를 차지했다. 헝가리의 러요시 포르티시가 13½점으로 5위를 차지했다.
미국의 사무엘 레셰프스키는 13점으로 6위를 차지하여, 브라스티밀 호르트(체코슬로바키아), 레오니트 스타인(소련)과의 플레이오프를 통해 도전자 결정전에 진출했다. 플레이오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 2 | 3 | 총점 | ||
---|---|---|---|---|---|
1 | 사무엘 레셰프스키(Samuel Reshevsky|사무엘 레셰프스키영어) | - | ==== | ==== | 4 |
2 | 브라스티밀 호르트(Vlastimil Hort|브라스티밀 호르트cs) | ==== | - | =0=1 | 4 |
3 | 레오니트 스타인(Leonid Stein|레오니트 스타인ru) | ==== | =1=0 | - | 4 |
도전자 결정전은 1968년 6월부터 1969년 3월까지 진행되었다. 보리스 스파스키와 빅토르 코르치노이는 지난 도전자 결정전에서 1, 2위를 기록하였기 때문에 자동으로 진출했다. 스파스키는 1966년 사이클에서와 마찬가지로 1968년 후보 토너먼트에서 우승하여 티그란 페트로시안에게 두 번째로 세계 선수권 도전을 할 자격을 얻었다.
세 선수 모두 4점으로 동률을 이루었으나, 타이브레이크 점수가 가장 높은 레셰프스키가 도전자 결정전에 진출했다.
3. 1968년 도전자 결정전
8강전, 준결승전, 결승전, 3위 결정전 결과는 다음과 같다.구분 장소 선수 1 결과 선수 2 8강전 수후미 보리스 스파스키|Boris Spasskyru (소련) 5½ - 2½ 예핌 겔러|Efim Gellerru (소련) 8강전 포레치 러요시 포르티시|Lajos Portischhu (헝가리) 4½ - 5½ 벤트 라르센|Bent Larsenda (덴마크) 8강전 베오그라드 스베토자르 글리고리치|Svetozar Gligorićsr (유고슬라비아) 3½ - 5½ 미하일 탈|Mikhail Talru (소련) 8강전 암스테르담 새뮤얼 레셰프스키|Samuel Reshevsky영어 (미국) 2½ - 5½ 빅토르 코르치노이|Viktor Korchnoiru (소련) 준결승전 말뫼 보리스 스파스키|Boris Spasskyru (소련) 5½ - 2½ 벤트 라르센|Bent Larsenda (덴마크) 준결승전 모스크바 빅토르 코르치노이|Viktor Korchnoiru (소련) 5½ - 4½ 미하일 탈|Mikhail Talru (소련) 결승전 키예프 보리스 스파스키|Boris Spasskyru (소련) 6½ - 3½ 빅토르 코르치노이|Viktor Korchnoiru (소련) 3위 결정전 에어설 벤트 라르센|Bent Larsenda (덴마크) 5½ - 2½ 미하일 탈|Mikhail Talru (소련)
3. 1. 8강전
도전자 결정전 8강전은 1968년에 진행되었다.
장소 | 선수 1 | 결과 | 선수 2 |
---|---|---|---|
수후미 | 보리스 스파스키|Boris Spasskyru (소련) | 5½ - 2½ | 예핌 겔러|Efim Gellerru (소련) |
포레치 | 러요시 포르티시|Lajos Portischhu (헝가리) | 4½ - 5½ | 벤트 라르센|Bent Larsenda (덴마크) |
베오그라드 | 스베토자르 글리고리치|Svetozar Gligorićsr (유고슬라비아) | 3½ - 5½ | 미하일 탈|Mikhail Talru (소련) |
암스테르담 | 새뮤얼 레셰프스키|Samuel Reshevsky영어 (미국) | 2½ - 5½ | 빅토르 코르치노이|Viktor Korchnoiru (소련) |
3. 2. 준결승전
1968년 7월 스웨덴 말뫼에서 열린 준결승전에서 보리스 스파스키|보리스 스파스키ru(소련ru)가 벤트 라르센|벤트 라르센da(덴마크da)을 5½-2½로 꺾었다. 같은 해 6월부터 7월까지 모스크바에서 열린 또 다른 준결승전에서는 빅토르 코르치노이|빅토르 코르치노이ru(소련ru)가 미하일 탈|미하일 탈ru(소련ru)을 5½-4½로 꺾었다.선수 | 결과 |
---|---|
보리스 스파스키|보리스 스파스키ru (소련ru) | 5½ |
벤트 라르센|벤트 라르센da (덴마크da) | 2½ |
빅토르 코르치노이|빅토르 코르치노이ru (소련ru) | 5½ |
미하일 탈|미하일 탈ru (소련ru) | 4½ |
3. 3. 결승전
보리스 스파스키ru(소련)가 빅토르 코르치노이ru(소련)를 6½-3½로 꺾고 도전자 자격을 획득했다.3. 4. 3위 결정전
벤트 라르센(덴마크)은 1969년 3월 네덜란드 에어설에서 열린 3위 결정전에서 미하일 탈(소련)을 5½-2½로 꺾고 3위를 차지했다.4. 1969년 챔피언십 매치
1969년 모스크바에서 개최된 챔피언십 매치는 24경기로 진행되었으며, 12.5점을 먼저 획득하는 선수가 승리하는 방식이었다. 보리스 스파스키가 티그란 페트로시안을 12½-10½로 꺾고 새로운 세계 챔피언이 되었다. 만약 12-12 동점일 경우에는 타이틀 보유자인 페트로시안이 챔피언 자리를 유지하게 되어 있었다.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총점 | |
---|---|---|---|---|---|---|---|---|---|---|---|---|---|---|---|---|---|---|---|---|---|---|---|---|
보리스 스파스키 (소련) | 0 | ½ | ½ | 1 | 1 | ½ | ½ | 1 | ½ | 0 | 0 | ½ | ½ | ½ | ½ | ½ | 1 | ½ | 1 | 0 | 1 | ½ | ½ | 12½ |
티그란 페트로시안 (소련) | 1 | ½ | ½ | 0 | 0 | ½ | ½ | 0 | ½ | 1 | 1 | ½ | ½ | ½ | ½ | ½ | 0 | ½ | 0 | 1 | 0 | ½ | ½ | 10½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