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소 국경 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소 국경 분쟁은 19세기 러시아 제국과 청나라 간의 불평등 조약 체결로 인해 발생한 국경 문제로, 1960년대 중소 대립이 심화되면서 군사적 충돌로 이어졌다. 1969년 다만스키 섬(진보섬)에서 무력 충돌이 발생하여 양국 간 긴장이 고조되었으며, 마오쩌둥은 소련의 남하 정책을 견제하고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모색했다. 이후 외교적 노력을 통해 1991년과 1994년에 동부 및 서부 국경 협정을 체결하고, 2000년대에 최종 합의를 통해 국경 문제를 해결했다. 이 분쟁은 중국의 대미 관계 개선, 북한의 경제적 어려움, 국제 관계 재편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념 대립과 영토 분쟁이 핵전쟁 위협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9년 8월 - 우드스톡 페스티벌
    우드스톡 페스티벌은 1969년 미국에서 열린 대규모 야외 음악 축제이며, 1960년대 반문화를 상징하고 40만 명의 관객이 모여 평화와 사랑을 외쳤으며, 영화와 음반 발매를 통해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 소련-중국 국경 - 러시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중국 삼합점
    러시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중국 삼합점은 러시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의 국경이 만나는 지점이며, 두만강을 기준으로 국경 기념물이 설치되어 위치를 결정하고, 남북 관계 및 통일과도 관련이 있다.
중소 국경 분쟁
지도 정보
아르군 강과 아무르 강에서 분쟁 지역. 다만스키/젠바오는 호수 북쪽 남동쪽에 있음.
분쟁 개요
분쟁 명칭중소 국경 분쟁
다른 명칭중소 국경 충돌
다만스키 섬 국경 충돌
우수리 강 국경 충돌
부분 분쟁냉전
중소 분쟁
날짜1969년 3월 2일 – 1969년 9월 11일
장소중국과 소비에트 연방 사이의 국경
영토현상 유지
결과소비에트 연방 승리
원인국경선 불명확
이념 갈등
중소 분쟁 심화
교전 세력
교전국 1소비에트 연방
교전국 2중국
지휘관 1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지휘관 2마오쩌둥
병력 1658,002명
병력 2814,003명
사상자
사상자 1소련 자료: 58명 사망, 95명 부상
중국 자료: 27대 탱크/장갑차 파괴, 1대 지휘차, 수십 대 트럭 파괴, 소련 T-62 탱크 1대 노획
사상자 2소련 자료: 800명 사망
중국 자료: 72명 사망, 68명 부상

2. 원인

청나라가 약해지고 1858년 아이훈 조약(愛琿條約)으로 헤이룽장성의 북쪽 아무르강 연안의 아이훈에서 맺었고 우수리스키 지방(연해주와 남부 하바롭스크 지방)을 러시아에 영원히 할양하는 두번의 불평등 조약을 맺었다. 중국은 이때부터 동해바다가 막혔다.

이러한 중소 국경 분쟁은 애군조약과 베이징 조약19세기 러시아 제국청나라로부터 외만주(북만주)의 할양을 받았던 시대에 체결된 조약들이 하천 상의 국경 획정에 관한 부분에서 미비한 점이 많았던 것이 원인이었다.

이 때문에 예전부터 중앙아시아에서 극동에 이르는 중소 국경 여러 지역에 귀속이 불분명한 부분이 많았고, 중소 양국의 견해는 일치하지 않았다. 중화민국 시대뿐만 아니라 만주국 시대에도 건차자도 사건이나 장고봉 사건 등의 분쟁이 계속되었다(일소 국경 분쟁).

냉전에서 같은 동측 진영 국가였던 중화인민공화국에서도 제국주의 시대에 부당하게 영토를 빼앗겼다는 피해 의식이 계속되었고, 소련 측에는 인구가 많은 중국에 대한 공포도 있었다.[53]

게다가 1950년대 후반 니키타 흐루쇼프 수상의 스탈린 비판 이후 소련과 중국 사이의 관계는 악화일로를 걸었다.

중소 대립으로 양국 간의 정치 노선 차이와 영토 분쟁을 둘러싸고 긴장이 고조되면서 1960년대 말에는 길이 4,380km에 달하는 국경선 양쪽에 65만 명의 소련군과 81만 4천 명의 중국군이 대치하는 상황이 되었다. 베이징의 소련 대사관에 대한 홍위병의 습격이나 국경 지대에서의 발포 사건 등 양국의 소규모 충돌은 여러 차례 발생했지만, 본격적인 군사 충돌은 일어나지 않았다.

마오쩌둥은 소련과의 전쟁을 일으킴으로써 근세 이래 러시아의 "남하정책"을 견제하고[53], 또한 중국 국내와 세계, 특히 미국에 "중국은 소련의 속국이 아니다"라고 어필하려는 목적도 있었다고 여겨진다.[54]

2. 1. 역사적 배경

19세기 중엽, 청나라가 약화되면서 러시아 제국과의 관계에서 불평등 조약이 체결되기 시작했다. 1858년 아이훈 조약을 통해 헤이룽장성 북쪽 아무르강 연안 지역을, 그리고 베이징 조약(1860)을 통해 우수리스키 지방(연해주와 남부 하바롭스크 지방)을 러시아에 영원히 할양했다. 이로 인해 중국은 동해로의 출해구를 상실했다.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는 1933년부터 1944년까지 성세재 주지사 재임 기간 동안, 중국 국민당은 소련의 민족 정책을 따라 위구르족을 인정했다.[7] 소련은 페르가나제티수에서 회의를 개최하여 알타이샤르와 준가리아에서 "혁명"을 일으키려 했다.[8][7] 일리 민족군은 삼구 혁명에서 중국 국민당과 싸웠으며, 이 혼란은 결국 신장에서 중국 공산당의 지배로 이어졌다.[8] 1960년대 중소 분쟁의 긴장에 맞춰 소련의 역사학, 특히 "위구르 연구"는 점점 더 정치화되었다. 소련은 1962년 5월, 대약진운동으로 인한 기근과 경제적 혼란을 피해 6만 명의 위구르족이 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국경을 넘도록 장려했다.[9]

1964년 7월, 마오쩌둥 중국 공산당 주석은 일본 사회당 대표단과의 회의에서 러시아가 시베리아극동 지역의 광대한 영토를 일방적으로 편입했다고 비판하며, 양국 간의 영토 문제가 아직 해결되지 않았음을 언급했다.[10]

현대 국제법상 강을 경계로 하는 국경은 강의 중심선이나 가장 깊은 수로(탈베크, thalweg)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11] 그러나 1858년 아이훈 조약이나 1860년 베이징 조약에는 이러한 규정이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아 분쟁의 원인이 되었다. 중국은 선박 항로를 기준으로 할 때 강의 중국 쪽에 있는 섬들을 자국 영토로 주장했지만, 소련은 이미 강을 따라 거의 모든 섬을 실질적으로 통제하고 있었다.

중소 대립으로 양국 간의 정치 노선 차이와 영토 분쟁을 둘러싸고 긴장이 고조되면서, 1960년대 말에는 4,380km에 달하는 국경선 양쪽에 소련군과 중국군이 대치하는 상황이 되었다. 마오쩌둥은 소련과의 전쟁을 통해 러시아의 "남하정책"을 견제하고,[53] 중국이 소련의 속국이 아님을 국제사회에 알리고자 했다.[54]

2. 2. 이념 대립과 갈등 심화

1950년대 후반, 니키타 흐루쇼프스탈린 격하 운동대약진 운동 실패 이후 중소 양국의 이념적 균열이 발생했다.[53] 쿠바 미사일 위기 이후 소련의 평화공존 노선에 대해 마오쩌둥은 "수정주의"라고 비난하며 갈등이 심화되었다.[12] 1960년대 브레즈네프 독트린은 사회주의 국가에 대한 소련의 개입 명분을 제공하여 중국의 안보 불안감을 증폭시켰다.

진먼 섬 포격전에서 소련의 소극적 대응과 베트남 전쟁에 대한 양국의 입장 차이는 관계를 더욱 악화시켰다. 소련은 중국보다 핵무기를 먼저 보유했기에, 중국은 대규모 재래식 인민전쟁을 통한 비대칭 억제 전략을 채택했다. 마오쩌둥은 "무기보다 인간이 우월하다"며 "창의성, 유연성, 높은 사기"와 같은 "비물질적" 요소가 전쟁에서 중요하다고 강조했다.[12]

소련은 중국의 대규모 침입과 게릴라전에 대한 깊은 지식, 경험을 우려했다. 수백만 명의 중국군 침공은 소련 지도자들을 공포에 빠뜨렸고, "막대한 인구와 게릴라전에 대한 깊은 지식과 경험"은 소련이 중국의 핵 프로그램을 공격하면 양국이 "끝없는 전쟁에 휘말리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예상했다.[12]

모스크바의 일부 관료들은 대규모 재래식 공격에 대응하는 유일한 방법은 핵무기 사용이라고 주장했고, 심지어 국경에 핵 지뢰를 배치하는 것을 옹호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그러나 중국은 핵 공격에 대한 보복으로 장기간의 재래식 분쟁을 일으킬 것이라고 위협하며 비대칭 억제 전략을 사용했다. 소련 고위 군사 장교 니콜라이 오가르코프는 대규모 핵 공격은 "불가피하게 세계 대전을 의미할 것"이며, 제한적인 핵 공격조차 중국을 "거의 멸망시킬 수 없으며", 중국은 "끊임없이 싸울 것"이라고 주장했다.[12]

서구 역사가들은 진보섬 사건과 신장 지역 국경 충돌이 1969년 마오쩌둥의 국내 정치적 목표 달성을 위한 것이라고 보았다.[41] 양쿠이송은 "[중소] 군사 충돌은 주로 문화대혁명에 대한 우려와 관련된 마오쩌둥의 국내 동원 전략의 결과"라고 결론지었다.[42] 러시아 역사가들은 이 갈등의 결과가 중국의 세계적 주도권 장악 욕구와 미국과의 관계 강화에서 비롯되었다고 지적한다. 2004년 러시아 다큐멘터리 영화 ''다만스키 섬 1969년''에 따르면, 마오쩌둥은 중국을 세계 변방에서 벗어나 세계 정치의 중심에 위치시키려고 했다.[43] 다른 분석가들은 중국이 진보섬 공격을 통해 미래의 소련 침략을 저지하려 했다고 말한다.[12]

이러한 갈등은 19세기 러시아 제국청나라로부터 외만주(북만주)를 할양받았던 애군조약과 베이징 조약의 하천 국경 획정 부분의 미비함이 원인이었다. 중앙아시아에서 극동에 이르는 중소 국경 지역의 귀속 문제는 중화민국 및 만주국 시대에도 건차자도 사건, 장고봉 사건 등 분쟁(일소 국경 분쟁)으로 이어졌다.

냉전 시기 같은 동측 진영이었던 중화인민공화국은 제국주의 시대에 영토를 빼앗겼다는 피해 의식을, 소련은 인구가 많은 중국에 대한 공포를 가지고 있었다.[53] 중소 대립으로 정치 노선 차이와 영토 분쟁을 둘러싼 긴장이 고조되면서, 1960년대 말에는 4,380km에 달하는 국경선 양쪽에 65만 명의 소련군과 81만 4천 명의 중국군이 대치했다. 베이징의 소련 대사관에 대한 홍위병의 습격이나 국경 지대에서의 발포 사건 등 소규모 충돌은 있었지만, 본격적인 군사 충돌은 없었다. 마오쩌둥은 소련과의 전쟁을 통해 러시아의 "남하정책"을 견제하고,[53] 미국에 "중국은 소련의 속국이 아니다"라고 알리려 했다.[54]

3. 전개

wikitext

1969년 3월 2일, 우수리강전바오섬(다만스키섬)에서 소련 국경경비대와 중국군 간의 무력 충돌이 발생했다.[55] 양측은 서로 상대방이 먼저 공격했다고 주장했지만, 대부분의 중국 역사학자들은 중국 측이 기습 공격을 계획하고 실행했음을 인정한다.[55]

우수리 강에서 발생한 홍수 때문에 전바오섬의 국경지대는 불명확해졌고, 중·소 양국 국경 수비대원들 간의 말다툼이 1969년 3월 2일 16시 12분에 양측 간의 몸싸움으로 번졌다. 중국 국경수비대원들이 소련군의 복싱에 밀리자 중국군은 특수부대원들을 동원해 봉술로 소련군을 제압했고, 소련군은 봉을 무기로 판단해 중국군을 총격으로 사살해 양측간의 난투극은 총격전으로 번지게 되었다.

1969년 3월 2일부터 2주 동안 벌어진 교전으로 소련군의 공식 사망자는 59명이었고, 중국군의 사망자는 100명이 넘을 것으로 추정되었다.[15] 3월 12일에 중국군 3개 소대 병력이 2개 소대 규모의 소련 국경 수비대를 기습하였으나 60여 명의 병력과 6대의 BTR 장갑차를 동원해 반격한 소련군에 크게 패하였다. 3월 15일에는 10대의 T-62 전차와 14대의 장갑차에 100여 명의 보병으로 이루어진 소련군 제병합동부대의 기습에 85mm 대전차포와 59식 화전통으로 대응하던 중국군 보병부대가 BM-21 로켓포의 포격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12]

중국 측 자료에 따르면, 소련은 상급 장교를 포함해 58명이 사망하고 94명이 부상을 입었으며,[56] 중국 측의 손실은 29명 사망으로 알려졌다.[56] 소련 측 자료에 따르면 중국군 사망자는 248명 이상이며,[57] 소련 국경경비병은 32명이 사망하고 14명이 부상을 입었다.[58] 이 충돌에서 T-62 전차 1대가 중국 측에 노획되어 중국인민혁명군사박물관에 전시되어 있으며, 이는 중국산 69식 전차 개발에 활용되었다.[59]

1969년 충돌 당시 중국군이 노획한 소련 T-62 전차는 현재 중국인민혁명군사박물관에 전시되어 있습니다.


이 사건으로 인해 중·소 국경지대에는 소련군 병력 65만 명과 중국군 병력 81만 명이 집결해 대치하게 되었다.[12] 알렉세이 코시긴 소련 수상은 중국에 대한 핵공격을 포함한 대대적인 군사작전을 지시하였고, 마오쩌둥 중국 지도자는 핵 방공호 건설을 지시하고 수도를 베이징에서 충칭으로 이전할 계획까지 수립하였다.[12] 중국은 4월에 9차 당대회를 소집해 소련에 대한 후속 대응을 논의한 후 5월에 소련에 협상을 요청했다.

7월 8일에는 아무르강(흑룡강)의 팔차도(골지스키섬)에서 양국 간의 국경 분쟁이 발생했고,[60] 8월 13일에는 수백 명의 소련군이 헬기와 전차의 지원을 받으며 신장 위구르 자치구로 진입하는 등 추가적인 군사 충돌이 발생했다.[60] 티엘리에커티 사건에서 중국군은 28명의 사상자를 기록했다. 이러한 긴장 고조는 중국과 소련 간의 전면적인 핵전쟁 가능성을 제기했다.[36]

1969년 9월, 베트남 민주 공화국(북베트남)의 호찌민 주석이 사망하자, 코시긴 총리는 하노이에서 열린 장례식에 참석한 후 베이징에 들러 저우언라이 총리와 회담하여 정치적 해결을 모색했고, 군사적 긴장은 완화되었다.[60]

3. 1. 군사적 충돌

1969년 3월 2일, 우수리강전바오섬(다만스키섬)에서 소련 국경경비대와 중국군 간의 무력 충돌이 발생했다.[55] 양측은 서로 상대방이 먼저 공격했다고 주장했지만, 대부분의 중국 역사학자들은 중국 측이 기습 공격을 계획하고 실행했음을 인정한다.[55]

1969년 3월 2일부터 2주 동안 벌어진 교전으로 소련군의 공식 사망자는 59명이었고, 중국군의 사망자는 100명이 넘을 것으로 추정되었다.[15] 3월 15일에는 소련군 제병합동부대의 기습에 중국군 보병부대가 BM-21 로켓포의 포격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12]

중국 측 자료에 따르면, 소련은 상급 장교를 포함해 58명이 사망하고 94명이 부상을 입었으며,[56] 중국 측의 손실은 29명 사망으로 알려졌다.[56] 소련 측 자료에 따르면 중국군 사망자는 248명 이상이며,[57] 소련 국경경비병은 32명이 사망하고 14명이 부상을 입었다.[58] 이 충돌에서 T-62 전차 1대가 중국 측에 노획되어 중국인민혁명군사박물관에 전시되어 있으며, 이는 중국산 69식 전차 개발에 활용되었다.[59]

이 사건으로 인해 중·소 국경지대에는 소련군 병력 65만 명과 중국군 병력 81만 명이 집결해 대치하게 되었다.[12] 알렉세이 코시긴 소련 수상은 중국에 대한 핵공격을 포함한 대대적인 군사작전을 지시하였고, 마오쩌둥 중국 지도자는 핵 방공호 건설을 지시하고 수도를 베이징에서 충칭으로 이전할 계획까지 수립하였다.[12]

7월 8일에는 아무르강(흑룡강)의 팔차도(골지스키섬)에서 양국 간의 국경 분쟁이 발생했고,[60] 8월 13일에는 수백 명의 소련군이 헬기와 전차의 지원을 받으며 신장 위구르 자치구로 진입하는 등 추가적인 군사 충돌이 발생했다.[60] 티엘리에커티 사건에서 중국군은 28명의 사상자를 기록했다. 이러한 긴장 고조는 중국과 소련 간의 전면적인 핵전쟁 가능성을 제기했다.[36]

1969년 9월, 베트남 민주 공화국(북베트남)의 호찌민 주석이 사망하자, 코시긴 총리는 하노이에서 열린 장례식에 참석한 후 베이징에 들러 저우언라이 총리와 회담하여 정치적 해결을 모색했고, 군사적 긴장은 완화되었다.[60]

3. 2. 외교적 노력과 협상

1969년 9월, 알렉세이 코시긴 소련 총리는 호찌민 장례식 참석 후 귀국길에 중국을 방문, 저우언라이 총리와 회담을 갖고 군사적 긴장 완화 및 정치적 해결책을 모색했다.[60] 이 회담을 통해 1987년 2월부터 국경 협상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양국 간의 깊은 불신과 갈등은 쉽게 해소되지 않았다. 1969년 3월 17일, 브레즈네프는 바르샤바 조약기구 긴급 회의를 소집하여 중국을 규탄하려 했으나, 루마니아의 차우셰스쿠가 반대하여 실패했다. 3월 21일, 코시긴 총리가 마오쩌둥에게 휴전을 제안하는 전화를 걸었으나, 중국 측 교환원은 "수정주의자"라며 전화를 끊었다. 마오쩌둥은 소련과의 전면전에 대비하여 군에 준비를 지시했고, 저우언라이는 휴전 논의를 촉구했지만 마오쩌둥은 코시긴의 전화를 받지 않기로 결정했다.

이후에도 협상은 난항을 거듭했다. 1970년대 내내 중국은 소련을 적국으로 간주하고 국경 문제를 외교 최우선 과제로 삼았으나, 실질적인 성과는 없었다. 1980년대 후반에 이르러서야 양국은 국경 문제를 관계 개선의 우선순위에서 제외하고 비밀 협상을 재개했다.

1989년 미하일 고르바초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의 중국 방문으로 중소 국교가 정상화되면서, 국경 문제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양국은 4년여의 협상 끝에 1991년 5월 16일, 강동육십사둔을 소련 영토로, 전바오섬우수리강하중도 대부분을 중국 영토로 확정하는 동부 국경 협정을 체결했다. 1994년에는 중앙아시아 지역 국경 협정인 서부 국경 협정이 체결되었다.

2000년대 이후, 아무르강우수리강 합수지점에 위치한 헤이샤쯔 삼각주만이 유일한 국경 문제로 남았다. 2004년 10월 14일, 양국은 이곳을 동·서로 2등분하는 국경 협정을 체결했고, 2005년 6월 2일 비준서 교환을 통해 양국 외무장관은 국경 분쟁의 완전한 해결을 선언했다. 2008년 10월 14일, 경계비 설치 작업을 완료함으로써 중소 국경 분쟁은 공식적으로 종결되었다.

4. 영향

중소 국경 분쟁의 여파로 중국은 미국과의 국교(國交) 회복에 나서, 1972년 2월 닉슨 대통령이 중국을 방문했고, 1979년 1월 1일에 미국과 수교했다.[63] 이는 소련군의 취약함도 원인이 되었다. 당시 조잡한 품질로 악명이 높았던 중공군을 소련군이 서류상 전력처럼 이기지 못하고 일시적으론 패퇴하기까지 했기 다소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는데 간신히 성공하였다. 그러나 중국에 대한 대대적인 군사적 계획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을 보인 레오니트 브레즈네프프라하의 봄 사건으로 인해 소련 군부는 결국 중국과의 전면전 계획을 철회한다. 인도와 파키스탄 간의 전쟁이 발발하자 파키스탄은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인도는 중화인민공화국 견제를 위해 소련과 군사적 협력에 나서게 된다.[63] 이 사건을 계기로 중화인민공화국은 약간의 친미반소 정책을, 소련은 중국에 대한 군사적 개입을 점진적으로 포기하는 정책을 강화하게 된다. 이런 분쟁들의 장기적인 결과로 소련과 러시아는 소련이나 러시아가 점유하거나 그렇다고 주장했던 헤이룽장성 우수리강의 헤이샤쯔섬과 내몽골자치구의 맞저울리 부근의 아나가이투제 지역 등 도합 375㎢를 포기하거나 중국에 이양하였고 인룽다오(銀龍島)는 전체를 중국에 넘기고, 헤이샤쯔섬(중국명 밍웨다오, 明月島)의 절반을 중국에 넘겨서 국제자유도시로 개발하기로 합의하였다.[63]

브레즈네프와 닉슨 간의 전략무기제한협상을 배경으로 볼 때, 다만스키 사건은 소련이 침입자에 대한 대규모 군사 작전으로 대응하기로 선택할 경우 평화 애호 국가라는 소련의 이미지를 훼손하는 이중적인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만약 소련이 약점을 보였다면, 중국의 공격은 무대응으로 남겨질 수도 있었다. 국경에서 소련 군인들이 사망한 것은 중국이 고차원 정치에 진입하여 대화할 준비가 되었다는 신호를 미국에 보냈다.[45]

갈등 후, 미국은 1971년 소위 핑퐁 외교 기간 동안 비밀리에 헨리 키신저를 중국에 보내 저우언라이와 회담하게 함으로써 중국 정부와의 관계 강화에 관심을 보였다.[45] 이는 1972년 닉슨이 중국을 방문하여 마오쩌둥과 회담하는 길을 열었다.

1969년에 시작되어 10년 동안 결론 없이 계속된 국경 회담에도 불구하고, 중소 관계는 갈등 후에도 악화된 상태를 유지했다. 국내적으로는 국경 충돌로 인한 전쟁 위협이 문화 대혁명의 새로운 단계를 개막했다. 중국은 철저한 군사화를 추진했다. 진보섬 사건 이후 열린 제9차 중국 공산당 전국대표대회는 국방장관 린뱌오마오쩌둥후계자로 확정했다. 1969년 사건 이후 소련은 중소 국경과 몽골 인민 공화국에 주둔하는 병력을 더욱 증강했다.

전반적으로 1969년에 정점에 달한 중소 대립은 국제 정치 체제의 심대한 변화의 길을 열었다.

냉전과 문화 대혁명(文化大革命) 한창이던 중 벌어진 이 전쟁을 계기로 소련과 중국의 관계는 결정적으로 악화되었다. 그 때문에 중국은 비밀리에 소련과 마찬가지로 대립하고 있던 미국에 급격히 접근하기 시작했다.

한편 미국 역시 베트남 전쟁에서 손을 떼기 위해 과거 한국전쟁에서 적국이었던 중국과의 접근을 시도했고, 1972년에는 닉슨 대통령의 중국 방문이 이루어지면서 우방국이 되었다.

그 후, 지미 카터 행정부 하에서 1979년 1월 1일을 기하여 양국은 국교(国交)를 수립했다.

참고로, 이와 함께 미국과 장제스가 이끄는 중화민국의 국교는 단절되었다.

4. 1. 국제 관계 재편

중소 국경 분쟁은 중국이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모색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63] 1972년 2월 닉슨 대통령의 중국 방문과[63] 1979년 1월 1일 미중 수교는 냉전 구도를 뒤흔드는 중대한 사건이었다.[63] 이는 소련이 침입자에 대한 대규모 군사 작전으로 대응할 경우 평화 애호 국가라는 이미지를 훼손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했다.[45]

이 분쟁은 인도와 파키스탄 간의 전쟁에도 영향을 미쳤다.[63] 파키스탄은 중국과의 관계를 강화했고, 인도는 소련과의 군사적 협력을 강화했다.[63]

분쟁의 장기적인 결과로, 소련과 러시아는 헤이룽장성 우수리강의 헤이샤쯔섬과 내몽골자치구 맞저울리 부근의 아나가이투제 지역 등 375㎢를 포기하거나 중국에 이양했다.[63] 인룽다오(銀龍島)는 전체를 중국에 넘기고, 헤이샤쯔섬(중국명 밍웨다오, 明月島)의 절반을 중국에 넘겨 국제자유도시로 개발하기로 합의했다.[63]

1969년에 정점에 달한 중소 대립은 국제 정치 체제의 심대한 변화를 가져왔다. 미국은 1971년 핑퐁 외교 기간 동안 헨리 키신저를 중국에 보내 저우언라이와 회담하게 했다.[45]

4. 2. 북한에 대한 영향

중소 분쟁은 북한 경제에도 영향을 끼쳤다. 1960년대 초 북한은 한국 전쟁으로 입은 피해를 소련과 동구권의 무상 원조로 빠르게 복구하고 경제개발 계획을 성공시켰다. 1960년 1인당 GNP는 137달러로 남한의 94달러에 비해 1.5배였다. "쌀은 곧 사회주의다."라는 기치 아래 벌인 농촌 4화 운동도 성공하여, 당시 경작지가 대한민국보다 적음에도 불구하고 농업 생산량은 대한민국을 훨씬 앞섰다.

그러나 1964년부터 중국과 소련이 사회주의 노선 문제로 국경 분쟁에 돌입하면서, 북한은 중립 외교를 펼쳐야 했다. 이는 미국과의 전쟁 발발 시 두 나라의 지원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했기에, 북한은 군사비를 크게 늘렸다. 1960년 전체 예산의 1%에 불과하던 국방비는 1967년에 30.4%로 증가했다. 이로 인해 북한은 1966년 제1차 7개년 계획(1962~1970년)을 3년 연장해야 했다.

이후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와 동구권 붕괴, 소련 해체는 북한 경제에 더욱 심각한 타격을 주었다. 소련 해체와 함께 공산권이 무너지자, 석유와 기계 제품 등 필수적인 물자 지원이 끊기면서 북한 경제는 쇠락의 길을 걷게 되었다.

5. 국경 협상의 진전

미국소련을 압박하자 1969년 9월 소련의 알렉세이 코시긴호찌민의 장례식에 참석하고 귀국하는 길에 중국을 방문해 중국의 저우언라이 총리와 회담을 가졌으며 1987년 2월부터 국경 협상을 시작하였다.[49] 양국은 4년여의 협상 끝에 소련 붕괴 7개월 전인 1991년 5월 16일에 강동육십사둔을 소련의 영토로 인정하고 전바오섬우수리강하중도 대부분을 중국 영토로 확정하는 동부국경협정(東部國境協定)을 체결하였다.[49] 이어 1994년에는 중국과 러시아 사이에 중앙아시아 지역에 관한 국경 협정 서부국경협정(西部國境協定)이 체결되었다.

2000년 이후, 중국과 러시아 사이에 남은 유일한 국경 문제는 아무르강우수리강의 합수지점에 위치한 헤이샤쯔 삼각주(러시아 명: 볼쇼이우수리스키섬)였다. 양국은 2004년 10월 14일 이 곳을 양국이 동·서로 2등분하는 국경협정을 체결했고 2005년 6월 2일, 이 협정의 비준서(批准書)가 교환되는 자리에서 두 나라의 외무장관인 라브로프와 리자오싱은 두 나라 사이의 국경 분쟁이 완전히 해결되었다고 발표하였다. 2008년 10월 14일 경계비를 세우는 작업을 완료함으로써 국경 분쟁을 종결하였다.

양국의 국경 획정을 위한 협의와 협상은 1970년대에도 계속되었지만, 소련을 적국으로 간주하고 중소 외교에서 국경 문제를 최우선 과제로 삼은 중국은 유의미한 성과를 얻지 못했다.

1980년대 후반, 중소는 국경 문제를 양국 관계의 최우선 과제에서 제외하고 국경 협상을 비밀리에 재개했으며, 1989년 미하일 고르바초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이 중국을 방문하여 중소 국교가 정상화된 시기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전면적인 국경 재검토가 시작되었다.

'''1990년대 협정'''

소련 붕괴 직전인 1991년 5월 16일, 중국과 소련은 동부 국경 협정을 체결하여 대부분의 국경선을 확정하고 전바오섬의 중국 귀속에 합의했다. 이 협정은 1992년에 비준되었다. 특히 양측이 모두 관리권을 주장하며 분쟁을 벌여왔던 전바오섬(다만스키 섬)은 중국에 귀속되는 것으로 합의되었다. 협상 과정에서 양국은 강동육십사둔을 소련 영토로, 우수리강하중도 대부분을 중국 영토로 확정했다.

1994년에는 중국과 러시아 사이에 중앙아시아 지역에 관한 서부 국경 협정이 체결되었으며, 1995년 10월 17일에 비준되었다. 이로써 중러 국경 서부의 미확정 지역 54km가 확정되었고, 중앙아시아 지역의 국경 문제는 모두 해결되었다. 소련으로부터 독립한 중앙아시아 국가들과 중국 간의 국경 협정도 개별적으로 체결되었다.

'''2000년대 최종 합의'''

2004년, 중화인민공화국러시아는 추가 협정을 통해 아무르강우수리강 합류 지점에 위치한 볼쇼이우수리스키섬(헤이샤쯔섬)을 양분하는 등 잔존하던 모든 국경 문제를 해결했다. 2004년 10월 14일에 최종적인 '''중러 국경 협정'''이 체결되었으며, 이 협정에서는 분쟁 지역을 이등분하듯 경계선을 그어 탈라바로프섬 전체와 대우수리섬의 서쪽 절반은 중국에, 대우수리섬 동쪽 하바롭스크 시에 면한 부분은 러시아에 귀속되도록 했다. 또한 내몽골 자치구 쪽 아바가이트섬은 중러 양국이 이등분하기로 했다.

중국의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는 2005년4월 27일에 비준했고, 러시아 연방 의회의 연방평의회(상원)와 국가두마(하원)도 이어서 2005년 5월 20일에 비준했다. 비준서 교환은 2005년 6월 2일에 완료되었고, 러시아의 세르게이 라브로프외무장관과 중국의 리자오싱외무장관이 서명했다.

2008년7월 21일, 중국의 양제츠 외무장관과 러시아의 라브로프 외무장관이 베이징에서 동부 국경 획정에 관한 의정서에 서명하여 중러 국경이 모두 획정되었다. 같은 해 10월 14일, 동 의정서가 공식적으로 발효되면서 중러 국경선이 공식적으로 확정되었다.

5. 1. 1990년대 협정

소련 붕괴 직전인 1991년 5월 16일, 중국과 소련은 동부 국경 협정을 체결하여 대부분의 국경선을 확정하고 전바오섬의 중국 귀속에 합의했다.[49] 이 협정은 1992년에 비준되었다. 특히 양측이 모두 관리권을 주장하며 분쟁을 벌여왔던 전바오섬(다만스키 섬)은 중국에 귀속되는 것으로 합의되었다.[49] 협상 과정에서 양국은 강동육십사둔을 소련 영토로, 우수리강하중도 대부분을 중국 영토로 확정했다.

1994년에는 중국과 러시아 사이에 중앙아시아 지역에 관한 서부 국경 협정이 체결되었으며, 1995년 10월 17일에 비준되었다. 이로써 중러 국경 서부의 미확정 지역 54km가 확정되었고, 중앙아시아 지역의 국경 문제는 모두 해결되었다. 소련으로부터 독립한 중앙아시아 국가들과 중국 간의 국경 협정도 개별적으로 체결되었다.

5. 2. 2000년대 최종 합의

2004년, 중화인민공화국러시아는 추가 협정을 통해 아무르강우수리강 합류 지점에 위치한 볼쇼이우수리스키섬(헤이샤쯔섬)을 양분하는 등 잔존하던 모든 국경 문제를 해결했다.[61] 2004년 10월 14일에 최종적인 '''중러 국경 협정'''이 체결되었으며, 이 협정에서는 분쟁 지역을 이등분하듯 경계선을 그어 탈라바로프섬 전체와 대우수리섬의 서쪽 절반은 중국에, 대우수리섬 동쪽 하바롭스크 시에 면한 부분은 러시아에 귀속되도록 했다. 또한 내몽골 자치구 쪽 아바가이트섬은 중러 양국이 이등분하기로 했다.

중국의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는 2005년4월 27일에 비준했고, 러시아 연방 의회의 연방평의회(상원)와 국가두마(하원)도 이어서 2005년 5월 20일에 비준했다. 비준서 교환은 2005년 6월 2일에 완료되었고, 러시아의 세르게이 라브로프외무장관과 중국의 리자오싱외무장관이 서명했다.[61]

2008년7월 21일, 중국의 양제츠 외무장관과 러시아의 라브로프 외무장관이 베이징에서 동부 국경 획정에 관한 의정서에 서명하여 중러 국경이 모두 획정되었다. 같은 해 10월 14일, 동 의정서가 공식적으로 발효되면서 중러 국경선이 공식적으로 확정되었다.[62]

6. 평가 및 교훈

중소 국경 분쟁에 대한 해석은 다양하다. 서구 역사가들은 1969년 진보섬(다만스키 섬) 사건과 신장 지역 국경 충돌이 마오쩌둥이 국내 정치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중국의 군사적 우세를 이용한 결과라고 본다.[41] 양쿠이송(Yang Kuisong)은 중소 군사 충돌이 문화대혁명에 대한 우려와 관련된 마오쩌둥의 국내 동원 전략의 결과라고 결론짓는다.[42]

러시아 역사가들은 이 갈등이 중국의 세계적 주도권 장악 욕구와 미국과의 관계 강화에서 비롯되었다고 지적한다. 2004년 러시아 다큐멘터리 영화 ''다만스키 섬 1969년''에 따르면, 마오쩌둥은 중국을 세계 변방에서 벗어나 세계 정치의 중심에 위치시키려고 했다.[43] 다른 분석가들은 중국이 진보섬 공격을 통해 미래의 소련 침략을 저지하려 했다고 말한다.[12]

대부분의 학자와 분석가들은 이 갈등이 소련의 승리로 끝났다고 평가한다. 갈등의 핵심은 국경 협정의 내용이 아니라 협상 진행 여부였고, 중국이 결국 협상에 동의했기 때문이다. 1969년 10월 20일, 중국이 국경 협상에 동의하면서 갈등은 종식되었다.[44]

이 분쟁은 이념 대립과 영토 분쟁이 결합될 경우 핵전쟁 위협으로까지 비화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국제 관계에서 국익에 따라 외교 관계가 변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대한민국은 주변 강대국 간의 갈등과 협력 관계 변화를 주시하며, 한반도 안보와 국익을 최우선으로 하는 유연한 외교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6. 1. 관련 인물

6. 2. 관련 사건

참조

[1] 서적 POWER GROWS OUT OF THE BARREL OF A GUNBOAT: THE U.S. IN SINO-SOVIET CRISES https://apps.dtic.mi[...] CNA
[2] 서적 Мифы Даманского https://books.google[...] АСТ
[3] 간행물 Kuisong
[4] 간행물 Kuisong
[5] 서적 Contemporary Strategy: Theories and concepts https://books.google[...] Lynne Rienner Pub
[6] 서적 The Cold War 1949-2016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7] 서적 Eurasian Crossroads: A History of Xinjiang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8] 서적 Warlords and Muslims in Chinese Central Asia: A Political History of Republican Sinkiang 1911–1949 CUP Archive
[9] 서적 Situating the Uyghurs Between China and Central Asia Ashgate Publishing
[10] Youtube Duóbǎo bīngyuán——ZhōngSū Zhēnbǎo dǎo chōngtú 45 zhōunián jì https://www.youtube.[...] 2014-04-05
[11] 학술지 River Boundary Delimitation and the Resolution of the Sir Creek Dispute Between Pakistan and India https://web.archive.[...] 2012-02-01
[12] 웹사이트 The Sino-Soviet Border Conflict: Deterrence, Escalation, and the Threat of Nuclear War in 1969 https://www.cna.org/[...] 2010-11-01
[13] 간행물 Kuisong
[14] 간행물 Robinson
[15] 간행물 珍宝岛自卫反击战的情况介绍
[16] 웹사이트 How Vitaly Bubenin saved the Soviet Union from great shame https://web.archive.[...] 2010-03-15
[17] 웹사이트 Some little-known episodes of the border conflict on Damansky Island https://web.archive.[...] 2018-03-10
[18] 간행물 Goldstein
[19] 간행물 Robinson
[20] 간행물 Robinson
[21] 학술지 The Sino-Soviet Border Clash of 1969: From Zhenbao Island to Sino-American Rapprochment https://www.research[...] 2000-08-01
[22] 간행물 Kuisong
[23] 간행물 Kuisong
[24] 기타 Война 1969 года с Китаем, про которую не принято говорить. Ведь мы сейчас лучшие друзья
[25] 웹사이트 珍宝岛隐藏历史:冰雹火箭炮第一次实战,开火前遭到中方炮火覆盖 https://c.m.163.com/[...]
[26] 간행물 Robinson
[27] 웹사이트 Остров Даманский: бой по заказу-Полвека назад советские воины погибали, защищая Родину https://nvo.ng.ru/hi[...]
[28] 학술지 How the Sino-Russian boundary conflict was finally settled https://doi.org/10.1[...] 2007-06-01
[29] 웹사이트 乌苏里江上的神秘小岛"珍宝岛" http://k.sina.com.cn[...]
[30] 서적 Myths of Damansky Tranzitkniga
[31] 서적 The Chinese People's Liberation Army since 1949: Ground Forces Bloomsbury 2012-11-20
[32] 간행물 Kuisong
[33] 서적 Myths of Damansky AST 2004
[34] 웹사이트 在中苏边界对峙的日子里 https://web.archive.[...] 2019-02-03
[35] 웹사이트 纪念铁列克提战斗40周年聚会活动联系启事 https://web.archive.[...] 2019-02-03
[36] wiki Kuisong
[37] 웹사이트 The Sino-Soviet Border Conflict, 1969 http://www.gwu.edu/~[...]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2009-10-13
[38] 웹사이트 The President's Daily Brief https://web.archive.[...] Central Intelligence Agency 1969-08-14
[39] 웹사이트 The President's Daily Brief https://web.archive.[...] Central Intelligence Agency 1969-08-13
[40] 서적 The Art of State Persuasion: China's Strategic Use of Media in Interstate Disputes Oxford University Press
[41] wiki Goldstein
[42] wiki Kuisong
[43] 기타
[44] 웹사이트 The Spread of Nuclear Technology: The Difficulty of Arms Control and the Consequences of Nuclear Proliferation https://uknowledge.u[...] University of Kentucky
[45] 웹사이트 Henry Kissinger plays ping-pong http://tabletennis.h[...] Tabletennis.hobby.ru 2001-03-20
[46] 웹사이트 Treaty of Good-Neighborliness and Friendly Cooperation Betwee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the Russian Federation https://web.archive.[...]
[47] 뉴스 China, Russia solve all border disputes https://web.archive.[...] Xinhua 2005-06-02
[48] 뉴스 China, Russia complete border survey, determination https://web.archive.[...] Xinhua 2008-07-21
[49] 웹사이트 The latest falsification by China of the history of the conflict on Damansky Island and the inaction of the Russian Foreign Ministry https://www.academia[...]
[50] 웹사이트 Graviteam Tactics: Zhalanashkol 1969 https://store.steamp[...] 2014-07-24
[51] 웹사이트 中ソ国境紛争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52] 웹사이트 中ソ国境紛争 https://www.y-histor[...] 世界史の窓
[53] 간행물 The Sino-Soviet Border Conflict: Deterrence, Escalation, and the Threat of Nuclear War in 1969 Center for Naval Analyses 2010-11
[54] 서적 Остров Даманский. 1969 год
[55] 논문 Return to Zhenbao Island: Who Started Shooting and Why it Matters
[56] 기타 珍宝岛自卫反击战的情况介绍
[57] 뉴스 Как Виталий Бубенин спас Советский Союз от большого позора http://www.1sn.ru/38[...] 2010-03-15
[58] 웹사이트 Некоторые малоизвестные эпизоды пограничного конфликта на о. Даманском http://warfor.me/nek[...]
[59] 서적 T-62 Main Battle Tank 1965–2005 Osprey Publishing
[60] 논문 The Sino-Soviet Border Clash of 1969: From Zhenbao Island to Sino-American Rapprochement
[61] 뉴스 China, Russia solve all border disputes https://web.archive.[...] 新華社 2005-06-02
[62] 뉴스 China, Russia complete border survey, determination https://web.archive.[...] 新華社 2008-07-21
[63] 웹인용 러시아, 내달 中에 두개 섬 반환 http://www.gnynews.c[...] 2008-07-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