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70년 아시안 게임 축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70년 아시안 게임 축구는 태국 방콕의 수파찰라사이 경기장에서 개최되었다. 10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 6강 리그, 준결승 및 결승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대한민국과 버마가 결승에서 0-0 무승부를 기록하여 공동 금메달을 획득했다. 동메달은 인도가 차지했으며, 총 23경기에서 45골이 기록되었다. 버마의 윈 몽 선수가 5골로 최다 득점자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0년 축구 - 197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수단에서 개최된 197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수단이 가나를 꺾고 우승했으며, 코트디부아르의 로랑 포쿠가 득점왕, 가나의 이브라힘 선데이가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고, 아랍 연합 공화국이 3위를 차지했다.
  • 1970년 축구 -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1970-71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1970-71는 스페인 축구 클럽 대항전으로, FC 바르셀로나가 발렌시아 CF를 결승에서 이기고 우승했다.
  • 아시안 게임 축구 -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는 대한민국 5개 도시에서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이 결승에서 사우디아라비아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하고 쿠웨이트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 아시안 게임 축구 - 2002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경기는 아시아 국가 U-23 대표팀들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를 거쳐 이란이 우승, 일본이 준우승, 대한민국이 3위를 차지한 대회이다.
1970년 아시안 게임 축구
대회 정보
종목축구
대회 종류아시안 게임
세부 종목남자
개최 연도1970년
아시안 게임 로고
1970년 아시안 게임 로고
개최 도시방콕
개최 기간12월 10일 ~ 12월 20일
경기장수파찰라사이 경기장
참가국 수10개국
메달 정보
금메달 획득 횟수1회
은메달없음
대회 흐름
이전 대회1966
다음 대회1974

2. 일정

The영어 1970년 아시안 게임 축구 경기는 모두 태국 방콕의 수파찰라사이 경기장에서 진행되었다.

2. 1. 경기 일정표

동메달전금메달전


3. 경기장

Suphachalasai Stadium영어태국 방콕에 위치한 경기장으로, 1970년 아시안 게임 축구 경기가 모두 이 곳에서 열렸다. 수용인원은 19,793명이다.[1]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4. 참가국 및 조 추첨

1970년 아시안 게임 축구에는 총 10개국이 참가하여 3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진행했다.[1] 각 조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국가참가 횟수
대한민국5회
말레이시아4회
버마5회
남베트남5회
이란4회
인도6회
인도네시아6회
일본6회
크메르 공화국1회
태국3회


4. 1. 조 추첨 결과

A조B조C조


5. 경기 결과

1970년 아시안 게임 축구 종목은 조별 리그, 6강 리그, 결선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조별 리그 각 조 상위 2팀은 6강 리그에 진출했다. A조는 인도태국, B조는 일본과 버마, C조는 대한민국인도네시아가 6강 리그에 진출했다.

6강 리그에서는 6팀이 두 개 조로 나뉘어 경기했다. A조는 일본인도가 준결승전에 진출했고, B조는 버마와 대한민국이 준결승전에 진출했다. 인도네시아태국은 5위 결정전으로 진출했다.

결선 토너먼트는 준결승전, 5위 결정전, 동메달전, 금메달전으로 진행되었다.

5. 1. 조별 리그

1970년 아시안 게임 축구 조별 리그에서는 각 조 상위 2팀이 6강 리그에 진출했다. A조에서는 인도태국이, B조에서는 일본과 버마가, C조에서는 대한민국인도네시아가 6강 리그에 진출했다.

5. 1. 1. A조

A조에서는 인도, 태국, 남베트남이 맞붙었다. 인도와 태국은 각각 1승 1무로 승점 3점을 기록하여 6강 리그에 진출했다. 남베트남은 2패로 탈락했다.

순위국가승점경기
1인도3211042+2
2태국3211032+1
3남베트남0200203−3



경기 결과
1970년 12월 10일한국어인도 2 – 2 태국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방콕)[1]
1970년 12월 11일한국어인도 2 – 0 남베트남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방콕)[2]
1970년 12월 13일한국어태국 1 – 0 남베트남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방콕)[3]


5. 1. 2. B조

순위국가승점경기
1일본6330041+3
2버마4320143+1
3크메르 공화국23102330
4말레이시아0300304−4



경기 결과
날짜팀 1결과팀 2비고
1970년 12월 10일일본1 – 0말레이시아가마모토 득점[5]
1970년 12월 10일버마2 – 1크메르 공화국버마: 윈 몽, 묘 윈 닌 득점, 크메르 공화국: 도욱 밀라도르드 (페널티킥) 득점
1970년 12월 12일일본1 – 0크메르 공화국유구치 득점[5]
1970년 12월 12일버마1 – 0말레이시아윈 몽 득점
1970년 12월 14일일본2 – 1버마일본: 미야모토, 우에다 득점, 버마: 윈 몽 득점[5]
1970년 12월 14일말레이시아0 – 2크메르 공화국크메르 공화국: 슬레이만 세림, 펜 팟 득점



모든 경기는 수파찰라사이 경기장(방콕)에서 열렸다.

5. 1. 3. C조

순위국가승점경기
1대한민국3211010+1
2인도네시아22020220
3이란1201123−1



경기득점실점골득실승점
대한민국211010+13
인도네시아20202202
이란201123−11



;1970년 12월 10일



;1970년 12월 11일

;1970년 12월 13일

5. 2. 6강 리그

조별 리그를 통과한 6팀은 다시 두 개의 조로 나뉘어 경기를 치렀다. A조에서는 일본인도가 준결승전에 진출했고, B조에서는 버마와 대한민국이 준결승전에 진출했다. 인도네시아태국은 5위 결정전으로 진출했다.

5. 2. 1. A조

경기득점실점골득실승점
일본220031+24
인도210131+22
인도네시아200215-40

5. 2. 2. B조

순위국가승점경기
1style="text-align:left"|4220031+2
2style="text-align:left"|2210131+2
3style="text-align:left"|0200215−4

5. 3. 결선 토너먼트

6강 리그 각 조 상위 2팀이 준결승전에 진출했다. 6강 리그 B조에서는 버마와 대한민국이, 6강 리그 A조에서는 일본인도가 준결승에 진출했다.

6강 리그 B조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6]

순위국가승점경기
1버마3211032+1
2대한민국22101220
3태국1201134−1

5. 3. 1. 대진표

준준결승전준결승전금메달전
6강 리그 A조
12월 18일 - 방콕
일본 & 인도 진출일본1대한민국 (연장전)2
인도네시아탈락
5위 결정전
대한민국 (연장전)2
인도네시아1
12월 20일 - 방콕
태국0대한민국 (연장전)0
대한민국 (연장전)0
12월 19일 - 방콕6강 리그 B조
12월 18일 - 방콕
버마 (연장전)0
버마 & 대한민국 진출
태국탈락
버마2
동메달전
인도0
일본0
인도1
12월 19일 - 방콕


5. 3. 2. 준결승전

1970년 12월 18일, 대한민국일본과의 준결승전에서 연장전 끝에 2-1로 승리하였다.[6][5] 전반 40분 정강지가 선제골을 넣었고, 후반 73분 일본의 우에다에게 동점골을 허용했으나, 연장 후반 114분 박이천이 결승골을 넣어 결승에 진출했다.[6] 이 경기는 수파찰라사이 경기장에서 25,000명의 관중이 지켜보는 가운데 진행되었으며, 심판은 태국의 완차이 수바레였다.

같은 날, 버마는 인도를 2-0으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버마는 예 뉜이 두 골을 넣으며 승리했다.

5. 3. 3. 5위 결정전

카디르id의 결승골로 인도네시아태국을 1-0으로 꺾고 5위를 차지했다.[6]

5. 3. 4. 동메달전

1970년 12월 19일, 인도일본을 1-0으로 꺾고 동메달을 획득했다.[5] 만지트 싱이 36분에 득점을 기록했다. 경기는 방콕 수파찰라사이 경기장에서 6,000명의 관중이 모인 가운데 진행되었다.

5. 3. 5. 금메달전

1970년 아시안 게임 축구 결승전은 1970년 12월 20일 17:00 UTC+7에 수파찰라사이 경기장(방콕)에서 열렸다. 대한민국과 버마는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0 – 0 무승부를 기록, 공동 금메달을 수상했다.[6]

6. 메달리스트

최재모
최길수
최상철
정강지
정규풍
홍인웅
김창일
김호
김정남
김기복
김기효
이회택
이세연
임국찬
오인복
박병주
박이천
박수덕
박수일
서윤찬버마
아웅 키
아예 마웅 I
아예 마웅 II
아예 마웅 지
아예 마웅 레이
킨 마웅 틴
마웅 흘라 흐타이
마웅 마웅 민트
마웅 마웅 틴
묘 윈 뉴트
페 킨
소 페잉
수크 바하두르
탄 소
틴 아웅
틴 아웅 모에
틴 세인
틴 윈
윈 마웅
예 뉴트남자 축구

동메달
인도알타프 아흐메드
아마르 바하두르
히세이 "제리" 바시
수바시 바우믹
PM 시브다스
수칼리안 고쉬 다스티다르
모하메드 하비브
반디야 카카데
수디르 카르마카르
압둘 라티프
사이드 나이무딘
도라이스와미 나타라지
찬드레슈와르 프라사드
마간 싱 라즈비
칼리안 사하
쿠푸스와미 삼파스
니르말 센굽타
아자입 싱
만지트 싱
샴 타파


7. 최종 순위

순위국가경기승점
=1버마742195+410
=1대한민국632153+28
▲ 결승전 진출
3인도631285+37
4일본750285+310
▲ 준결승전 진출
5인도네시아512247−34
6태국512267−14
▲ 6강 리그 진출
7크메르 공화국31023302
8이란201123−11
9남베트남200203−30
10말레이시아300304−40
▲ 조별 리그 진출


8. 기록과 통계

대회 기간 동안 총 23경기에서 45골이 터져, 경기당 평균 1.96골을 기록했다.[1]

8. 1. 선수 득점 기록

ဝင်းမောင်|윈 몽my 선수가 5골로 최다 득점자에 올랐다.

득점선수국가
5골윈 몽버마
3골가마모토 구니시게일본
2골박이천대한민국
예 뉜버마
수바시 보우믹인도
마간 싱 라지비인도
우에다 다다히코일본
찻차이 파홀파트태국
1골이회택대한민국
박수일대한민국
정강지대한민국
묘 윈 닌버마
탄 소버마
에브라힘 아슈티아니이란
아슈가르 아디비이란
모하메드 하비브인도
도라이스와미 나타라지인도
시얌 타파인도
만지트 싱인도
스트집토 순토로인도네시아
이스와디 이드리스인도네시아
자콥 시하살레인도네시아
압둘 카디르인도네시아
유구치 에이조일본
미야모토 데루키일본
기무라 다케오일본
도욱 밀라도르드크메르 공화국
슬레이만 세림크메르 공화국
펜 팟크메르 공화국
사하트 폰스완태국
프레차 키즈분태국
수트다 수드사아데태국
니와타나 세사와디태국


참조

[1] 웹사이트 Indian football's finest: 50 years on, remembering the stars of 1970 Asian Games bronze-winning team https://scroll.in/fi[...] Scroll 2020-02-03
[2] 웹사이트 The Indian Senior Team at the 1970 Bangkok Asian Games http://www.indianfoo[...] 2021-11-23
[3] 웹사이트 Indian football team at the Asian Games: 1970 Bangkok https://www.sportske[...] Sportskeeda 2018-07-10
[4] 문서 日本代表公式記録集2008 日本サッカー協会 2008
[5] 서적 日本代表公式記録集2008 일본 축구 협회 2008
[6] 웹인용 1970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일정 및 결과 http://www.kfa.or.kr[...] 대한축구협회 2018-09-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