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4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74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1974년 11월 5일에 치러졌으며, 워터게이트 사건, 경제 불황, 베트남 전쟁 후유증 등의 배경 속에서 민주당이 압승을 거두었다. 선거 결과, 민주당은 49석을 추가하여 291석을 확보했고, 공화당은 48석을 잃어 144석을 얻었다. 이 선거는 현직 의원의 낙선율이 매우 높았으며, 391명의 현직 의원 중 343명만이 재선에 성공하여 1954년부터 1992년 사이 가장 낮은 재선 성공률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4년 미국의 선거 - 1974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
1974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에서 민주당은 워터게이트 사건의 영향으로 23석을 확보하며 상원 다수당 지위를 굳혔고, 공화당은 11석을 얻는 데 그쳤다. - 1974년 미국의 선거 - 1974년 캘리포니아 주지사 선거
1974년 캘리포니아 주지사 선거는 로널드 레이건의 불출마로 민주당의 제리 브라운과 공화당의 휴스턴 I. 플루어노이의 대결로 치러졌으며, 제리 브라운이 당선되었다. - 미국의 하원의원 선거 - 185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1850년-1851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민주당이 127석으로 가장 많은 의석을 확보했으며, 휘그당, 입헌통일당, 자유토지당, 주권당, 무소속 의원들이 선출되었다. - 미국의 하원의원 선거 - 184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184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위스콘신 준주의 주 승격으로 하원 의석이 증가한 첫 선거로, 휘그당이 근소하게 승리했으며, 텍사스와 아이오와 주의 신설로 의석이 증가하는 등 의회의 정치적 역학 관계에 변화를 가져왔다.
1974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 |
---|---|
지도 정보 | |
![]() | |
선거 개요 | |
선거 이름 | 1974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
국가 | 미국 |
선거 유형 | 입법부 |
이전 선거 | 1972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
이전 선거 연도 | 1972 |
선거일 | 1974년 11월 5일 |
차기 선거 | 197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
차기 선거 연도 | 1976 |
선출 의석 | 미국 하원 전체 435석 |
과반수 의석 | 218석 |
정당별 결과 | |
정당 1 | 민주당 (미국) |
정당 1 대표 | 칼 앨버트 |
정당 1 대표 임기 시작일 | 1971년 1월 21일 |
정당 1 대표 선거구 | 오클라호마 제3선거구 |
정당 1 이전 선거 의석 | 242석 |
정당 1 당선 의석 | 291석 |
정당 1 의석 변동 | 49석 |
정당 1 득표수 | 30,054,097 |
정당 1 득표율 | 57.5% |
정당 1 득표율 변동 | 5.4% |
정당 2 | 공화당 (미국) |
정당 2 대표 | 존 로즈 |
정당 2 대표 임기 시작일 | 1973년 12월 7일 |
정당 2 대표 선거구 | 애리조나 제1선거구 |
정당 2 이전 선거 의석 | 192석 |
정당 2 당선 의석 | 144석 |
정당 2 의석 변동 | 48석 |
정당 2 득표수 | 21,271,332 |
정당 2 득표율 | 40.7% |
정당 2 득표율 변동 | 5.8% |
선거 전후 의장 | |
직책 | 의장 |
선거 전 의장 | 칼 앨버트 |
선거 전 의장 정당 | 민주당 (미국) |
선거 후 의장 | 칼 앨버트 |
선거 후 의장 정당 | 민주당 (미국) |
추가 정보 | |
참고 자료 | "https://query.nytimes.com/gst/abstract.html?res=9402E4DA163FE13BBC4E53DFB767838F669EDE (2014년 10월 31일 접속)" "https://www.politico.com/magazine/story/2018/05/26/congress-broke-american-politics-218544 (2019년 10월 12일 접속)" |
2. 선거 배경
1974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워터게이트 사건, 경제 불황, 베트남 전쟁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 민주당은 이 선거에서 압승을 거두었다. 391명의 현직 의원이 재선에 도전했으나, 이 중 48명이 낙선하여 1954년부터 1992년 사이 가장 낮은 현직 의원 재선 성공률을 기록했다.[3]
민주당은 1972년 선거 대비 49석을 추가하여 총 291석을 확보했고, 공화당은 48석을 잃어 144석에 그쳤다. 득표율에서도 민주당은 57.5%를 얻어 40.7%에 그친 공화당을 크게 앞섰다.[3]
이러한 결과는 당시 미국의 정치, 경제, 사회적 상황에 대한 유권자들의 불만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2. 1. 워터게이트 사건과 닉슨 대통령 사임
1972년 미국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발생한 워터게이트 사건은 리처드 닉슨 행정부에 대한 국민적 불신을 야기했다. 닉슨 대통령은 1974년 8월 탄핵 위기에 직면하여 결국 사임을 선택했다.2. 2. 경제 불황
1973년부터 시작된 오일 쇼크는 미국 경제에 심각한 타격을 주었다. 인플레이션과 실업률 상승은 국민들의 삶을 어렵게 했고, 이는 공화당에 대한 불만으로 이어졌다.2. 3. 베트남 전쟁 후유증
Vietnam War영어은 장기간 지속되며 미국의 막대한 재정적 손실과 인명 피해를 초래했다. 반전 여론이 확산되면서, 국민들은 전쟁을 주도한 공화당에 등을 돌렸다.3. 선거 결과
1974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민주당 | 30,054,097 | 57.5% |
공화당 | 21,271,332 | 40.7% |
미국당 | 238,265 | 0.5% |
보수당 | 115,980 | 0.2% |
뉴욕자유당 | 56,714 | 0.1% |
평화자유당 | 35,984 | 0.1% |
미국노동당 | 26,342 | 0.1% |
경제정의당 | 16,932 | 0.03% |
입헌당 | 16,822 | 0.03% |
사회주의노동자당 | 13,982 | 0.03% |
조지 월리스당 | 11,943 | 0.02% |
공산당 | 10,627 | 0.02% |
사회주의노동당 | 10,564 | 0.02% |
자유연맹당 | 9,961 | 0.02% |
독립시민행동당 | 9,520 | 0.02% |
금주당 | 8,387 | 0.02% |
생명자유정의당 | 8,199 | 0.02% |
인권당 | 6,700 | 0.01% |
국민민주당 | 5,723 | 0.01% |
좋은이웃당 | 4,266 | 0.008% |
정치인들사기꾼당 | 3,460 | 0.007% |
자유주의자당 | 3,099 | 0.006% |
독립버몬트인당 | 2,641 | 0.005% |
뉴리더십당 | 1,778 | 0.003% |
규칙민주당 | 1,451 | 0.003% |
대중회의당 | 1,241 | 0.002% |
정부통합당 | 1,182 | 0.002% |
반독점당 | 1,177 | 0.002% |
기타 | 7,655 | 0.01% |
무소속 | 340,501 | 0.7% |
총합 | 52,313,457 | 100.0% |
민주당은 30,054,097표(57.5%)를 얻어 다수당을 유지했고, 공화당은 21,271,332표(40.7%)를 얻었다. 그 외에도 여러 군소정당과 무소속 후보들이 출마했지만, 의미 있는 결과를 얻지는 못했다.
아칸소 주에서는 4명의 하원의원을 선출했으며, 각 선거구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거구 | 의원 | 정당 | 최초 당선 | 결과 |
---|---|---|---|---|
윌리엄 볼리 알렉산더 주니어 | 민주당 | 1968년 | 현직 의원 재선 | |
윌버 밀스 | 민주당 | 1938년 | 현직 의원 재선 | |
존 폴 해머슈미트 | 공화당 | 1966년 | 현직 의원 재선 | |
레이 손튼 | 민주당 | 1972년 | 현직 의원 재선 |
3. 1. 정당별 의석 변화
3. 2. 주요 특징
1974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워터게이트 사건으로 리처드 닉슨 대통령이 사임하고 제럴드 포드 부통령이 대통령직을 승계한 직후에 치러졌다. 이 선거에서 민주당은 공화당으로부터 49석을 추가로 확보하여 하원 의석을 291석으로 늘렸다. 반면 공화당은 49석을 잃고 144석으로 의석수가 크게 줄었다.[1]
1974년 선거는 현직 의원의 낙선율이 매우 높았던 선거로 기록된다. 1954년부터 1992년 사이의 선거 중 재선에 성공한 현직 의원의 수와 비율이 가장 낮았다.[1]
4. 선거 영향
1974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워터게이트 사건과 경제 불황의 여파로 민주당이 압승을 거둔 선거였다. 특히 코네티컷주에서는 6개 선거구 중 2곳에서 현역 의원이 주지사 선거 출마를 위해 은퇴했고, 이 중 한 곳에서 민주당이 공화당 의석을 획득했다.
선거구 | 현직 의원 | 정당 | 결과 | 당선자 |
---|---|---|---|---|
제1선거구 | 윌리엄 R. 코터 | 민주당 | 재선 | 윌리엄 R. 코터 |
제2선거구 | 로버트 H. 스틸 | 공화당 | 은퇴 (주지사 선거 출마) | 크리스 도드 (민주당) |
제3선거구 | 로버트 자이모 | 민주당 | 재선 | 로버트 자이모 |
제4선거구 | 스튜어트 매키니 | 공화당 | 재선 | 스튜어트 매키니 |
제5선거구 | 로널드 A. 사라신 | 공화당 | 재선 | 로널드 A. 사라신 |
제6선거구 | 엘라 T. 그라소 | 민주당 | 은퇴 (주지사 선거 출마) | 토비 모펫 (민주당) |
2선거구에서는 공화당 로버트 H. 스틸이 주지사 선거에 출마하기 위해 은퇴하면서, 민주당 크리스 도드 후보가 당선되어 민주당이 의석을 획득했다. 6선거구에서는 민주당 엘라 T. 그라소 역시 주지사 선거 출마로 은퇴했지만, 민주당 토비 모펫 후보가 당선되어 의석을 유지했다.
4. 1. 정치 지형 변화
1974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나타난 두드러진 변화는 민주당의 압승이었다. 이는 워터게이트 사건과 경제 불황에 대한 국민들의 심판으로 해석된다.[1] 특히, 공화당 소속이었던 도널드 G. 브로츠먼과 로버트 H. 스틸이 낙선하고, 그 자리를 민주당의 팀 위어스와 크리스 도드가 차지하면서, 민주당은 의석을 추가 확보했다.[1]이 선거를 통해 패트리샤 슈뢰더, 팀 위어스, 크리스 도드, 토비 모펫 등 진보 성향의 젊은 정치인들이 대거 의회에 진출했다.[1] 이들의 등장은 미국의 정치 지형을 더욱 진보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데 기여했다.[1]
4. 2. 정책 변화
1974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민주당은 워터게이트 사건의 여파로 공화당에 압승을 거두며 의석 수를 크게 늘렸다. 이러한 의석 분포 변화는 미국 정치 지형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민주당은 다수당의 지위를 이용하여 사회 복지 프로그램 확대, 노동자 권익 보호, 환경 규제 강화 등 진보적인 정책들을 추진했다.[1] 대외 정책에 있어서도 변화가 예상되었는데, 특히 대외 원조 및 군사 지원 축소 가능성이 제기되었다.[1]
이러한 정책 변화는 선거 결과에서 나타난 민심의 변화를 반영한 것이었다. 워터게이트 사건으로 인해 공화당에 대한 불신이 커졌고, 민주당은 이러한 기회를 적극 활용하여 자신들의 정책 어젠다를 추진할 수 있었다.
4. 3. 한국에 미친 영향
1974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민주당이 대거 의석을 확보하면서, 한국의 안보와 경제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미국의 대외 원조 및 군사 지원이 축소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한국은 국방력 강화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었다.그러나 민주당 정부는 인권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당시 권위주의적인 박정희 정부와 외교적 마찰을 빚기도 했다. 이러한 상황은 한미 관계에 있어서 새로운 관계 설정을 모색하고, 관계를 더욱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분석도 제기되었다.
5. 주요 선거구별 결과
선거구 | 현직 의원 | 정당 | 최초 당선 | 결과 | 후보 |
---|---|---|---|---|---|
하와이 1선거구 | 스파크 마쓰나가 | 민주당 | 1962년 | 현직 의원 재선 | |
하와이 2선거구 | 패티 민크 | 민주당 | 1964년 | 현직 의원 재선 |
5. 1. 보궐선거
1974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는 다음과 같은 보궐선거가 치러졌다.- 펜실베이니아주 제12선거구: 존 세일러 의원 사망으로 민주당 존 머서 후보가 당선되었다.
- 미시간주 제5선거구: 제럴드 포드가 부통령으로 취임함에 따라 공석이 되어, 민주당 리처드 반더빈 후보가 승리했다.
- 오하이오주 제1선거구: 윌리엄 키팅 의원 사임으로 민주당 톰 루켄 후보가 승리했다.
- 미시간주 제8선거구: 제임스 하비 의원 사임으로 민주당 밥 트랙슬러 후보가 승리했다.
- 캘리포니아주 제6선거구: William S. Mailliard|윌리엄 밀리아드영어 의원 사임으로 민주당 존 버튼 후보가 승리했다.
- 캘리포니아주 제13선거구: 찰스 티그 의원 사망으로 공화당 로버트 라고마르시노 후보가 승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