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6년 하계 올림픽 소련 선수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76년 하계 올림픽에서 소련 선수단은 육상, 체조, 수영 등 다양한 종목에서 총 125개의 메달(금 49, 은 41, 동 35)을 획득했다. 육상에서는 타티아나 카잔키나가 여자 800m와 1500m에서 금메달을 획득했고, 농구, 레슬링, 복싱, 사이클, 수구, 수영, 유도, 체조, 육상, 펜싱, 역도, 조정 등 여러 종목에서 메달을 추가했다. 특히 체조에서는 니콜라이 안드리야노프, 넬리 킴 등이 금메달을 획득하며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계 올림픽 소련 선수단 - 1988년 하계 올림픽 소련 선수단
1988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소련 선수단은 다양한 종목에서 132명의 메달리스트를 배출하며 압도적인 기량을 과시, 공화국별 메달 집계 기록을 남겼다. - 1976년 소련 - 빅토르 벨렌코 망명 사건
빅토르 벨렌코 망명 사건은 1976년 소련 조종사 빅토르 벨렌코가 MiG-25 전투기를 몰고 일본으로 망명한 사건으로, 일본 방공망 취약점을 드러내고 미-소 간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켰다. - 1976년 소련 - 루나 24호
루나 24호는 1976년 소련이 발사한 달 표면 샘플 채취 무인 우주선으로, 위난의 바다 지역에서 토양 샘플 170.1g을 채취하여 지구로 귀환했으며, 달 표면 물의 존재 가능성을 제시했다. - 1976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1976년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1976년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은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 동메달 4개를 획득했으며, 레슬링의 양정모가 첫 금메달을, 여자 배구 대표팀이 구기 종목 사상 첫 메달을 획득했다. - 1976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1976년 하계 올림픽 영국 선수단
1976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영국 선수단은 금메달 3개, 은메달 5개, 동메달 5개를 획득하여 메달 순위 13위를 기록했으며, 데이비드 윌키, 존 오스본과 레그 화이트 등이 주요 메달리스트로 활약했다.
1976년 하계 올림픽 소련 선수단 | |
---|---|
기본 정보 | |
NOC | 소비에트 올림픽 위원회 |
참가 대회 | 하계 올림픽 |
개최지 | 몬트리올, 캐나다 |
시작일 | 1976년 7월 17일 |
종료일 | 1976년 8월 1일 |
기수 | 바실리 알렉세예프 |
총 참가 횟수 | 자동 계산 (1952년 ~ 1988년) |
참가 규모 | |
선수 | 410명 (남자 285명, 여자 125명) |
종목 | 22개 |
메달 획득 | |
순위 | 1위 |
금메달 | 49 |
은메달 | 41 |
동메달 | 35 |
총 메달 | 125 |
관련 국가 | |
관련 국가 | 러시아 (1900–1912, 1994–) 에스토니아 (1920–1936, 1992–) 라트비아 (1924–1936, 1992–) 리투아니아 (1924–1928, 1992–) 연합 선수단 (1992) 아르메니아 (1994–) 벨라루스 (1994–) 조지아 (1994–) 카자흐스탄 (1994–) 키르기스스탄 (1994–) 몰도바 (1994–) 우크라이나 (1994–) 우즈베키스탄 (1994–) 아제르바이잔 (1996–) 타지키스탄 (1996–) 투르크메니스탄 (1996–)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sports-reference.com (과거 웹사이트, 현재 접속 불가) |
2. 메달리스트
발레리 차플리긴
블라디미르 카민스키
아르보 피쿠스
안드레이 보그다노프
세르게이 코프리아코프
안드레이 크릴로프
블라디미르 오소킨
알렉산드르 페로프
비탈리 페트라코프
니콜라이 콜레스니코프
율리스 시로우스
발레리 보르조프
류드밀라 자르코바-마슬라코바
나데즈다 베스파밀리나야
벨라 아니시모바
류드밀라 악쇼노바
나탈리아 소콜로바
나데즈다 이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