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8년 하계 올림픽 야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88년 하계 올림픽 야구는 1988년 서울 올림픽의 시범 종목으로, 총 8개국이 참가하여 진행되었다. 참가국은 각 대륙별 예선을 통과한 팀과 개최국 대한민국으로 구성되었으며, 쿠바의 불참으로 호주가 대신 출전했다. 경기는 예선 라운드, 결선 토너먼트 순으로 진행되었으며, 미국이 결승에서 일본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한국은 4위를 기록했고, 푸에르토리코가 3위를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8년 하계 올림픽 야구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은 서울에 위치한 야구장으로, 올림픽 야구 경기와 프로야구 홈 구장으로 사용되었으며, 투수 친화적인 구장으로 알려져 있고, 2026년 철거 후 돔구장 건설이 계획되어 있다. - 1988년 하계 올림픽 남자 종목 - 1988년 하계 올림픽 양궁 남자 단체
1988년 하계 올림픽 양궁 남자 단체 경기는 그랜드 FITA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대한민국이 금메달을 획득했다. - 올림픽 시범 종목 - 1904년 하계 올림픽 야구
- 올림픽 시범 종목 - 1904년 하계 올림픽 농구
1904년 하계 올림픽 농구는 남자 아마추어 챔피언십, 대학부, 고등부, 초등부로 나뉘어 미국 팀들이 모든 메달을 석권했으며, 버펄로 저먼 YMCA가 남자 아마추어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1988년 하계 올림픽 야구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종목 | 야구 (시범 종목) |
기타 명칭 | 데먼스트레이션 스포츠 |
개최 도시 | 서울 |
개최 국가 | 대한민국 |
기간 | 1988년 9월 19일 - 1988년 9월 28일 |
참가 팀 수 | 8 |
경기 수 | 16 |
메달 정보 | |
금메달 | (미국) |
은메달 | (일본) |
동메달 | (푸에르토리코) |
4위 | (대한민국) |
최우수 선수 | 미상 |
올림픽 야구 연혁 | |
이전 대회 | 1984 |
다음 대회 | 1992 |
2. 참가국
1988년 하계 올림픽 야구에는 총 8개국이 참가했다. 서울 올림픽 개최국인 대한민국을 비롯하여, 각 대륙별 예선을 통과한 팀들이 출전했다. 아마추어 최강으로 여겨졌던 쿠바가 불참하면서 오스트레일리아가 대신 출전하게 되었다.[1]
참가국 | 비고 |
---|---|
대한민국 | 개최국 |
중화 타이베이 | 아시아·오세아니아 예선 우승 |
일본 | 아시아·오세아니아 예선 준우승 |
네덜란드 | 유럽 예선 우승 |
미국 | 아메리카·아프리카 예선 준우승 |
푸에르토리코 | 아메리카·아프리카 예선 3위 |
캐나다 | 아메리카·아프리카 예선 4위 |
호주 | 쿠바 대체 국가 |
2. 1. 참가국 목록 (가나다순)
참가국 | 비고 |
---|---|
대한민국 | 개최국 |
네덜란드 | 1987년 유럽 야구 선수권 대회 금메달리스트 |
미국 | 1987년 팬아메리카 게임 은메달리스트 |
일본 | 1984년 하계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
중화 타이베이 | 1987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금메달리스트 |
캐나다 | 1987년 팬아메리카 게임 4위, 플레이오프에서 1987년 유럽 야구 선수권 대회 은메달리스트 이탈리아 격파[2] |
푸에르토리코 | 1987년 팬아메리카 게임 동메달리스트 |
호주 | 쿠바 대체 초청, 니카라과, 멕시코, 이탈리아 우선권을 가졌으나, 짧은 시간 안에 팀을 보낼 수 없었음[1] |
두 개의 조로 나누어 예선 라운드를 진행했으며, 각 팀은 같은 조의 다른 세 팀과 한 번씩 경기를 치렀다.[1]
1988년 하계 올림픽 야구 예선 라운드는 A조와 B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각 조에 속한 팀들은 같은 조의 다른 팀들과 한 번씩 경기를 치렀다. A조에서는 일본과 푸에르토리코가, B조에서는 미국과 대한민국이 각각 2승 1패로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1] 오스트레일리아와 캐나다는 B조에서 1승 2패로 탈락했고, A조의 네덜란드와 중화 타이베이는 각각 1승 2패, 3패로 탈락했다.
3. 경기 방식
4. 예선 라운드
4. 1. A조 (Blue Division)
1988년 서울 올림픽 야구 A조에는 일본, 푸에르토리코, 네덜란드, 중화 타이베이가 속했다.[1] A조에서는 일본과 푸에르토리코가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4. 1. 1. 경기 결과 (A조)
연장 12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