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 아시안 게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0년 아시안 게임은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에서 개최된 대회이다. 1984년 서울에서 열린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OCA) 총회에서 베이징이 개최지로 선정되었으며, 마스코트는 대왕판다를 형상화한 '판판'이었다. 총 36개국이 참가했으며, 중국이 금메달 183개로 1위를 차지했다. 이라크는 걸프 전쟁으로 인해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아 불참했으며, 중화 타이베이, 마카오, 팔레스타인이 처음 참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0년 종합 스포츠 경기 대회 - 1990년 동계 아시안 게임
1990년 3월 삿포로에서 개최된 동계 아시안 게임은 9개국 300명 이상의 선수들이 참가하여 알파인 스키, 바이애슬론 등 6개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일본의 종합 우승,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강세, 남북 선수단 임원 상봉 등의 이슈가 있었다. - 1990년 종합 스포츠 경기 대회 - 1990년 전국체육대회
1990년 전국체육대회는 제71회 대회로 검도, 골프, 농구, 축구 등 다양한 종목으로 구성되었으며 보디빌딩이 시범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 1990년 9월 - 제47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1990년에 개최된 제47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에서는 고어 비달이 심사위원장을 맡았으며, 톰 스토파드 감독의 《로젠크란츠와 길덴스턴은 죽었다》가 황금사자상을 수상했다. - 1990년 9월 - 1990년 토론토 국제 영화제
1990년 토론토 국제 영화제에서는 제인 캠피온 감독의 '내 책상 위의 천사'가 국제영화비평가협회상을, 장-폴 라프노 감독의 '시라노'가 관객상을 수상했으며, 다양한 섹션을 통해 여러 영화들을 상영했다. - 1990년 중국 - 1990년 다이너스티컵
1990년 다이너스티컵은 대한민국, 중국, 북한, 일본이 참가하여 리그전과 결승전을 통해 우승팀을 가린 축구 대회로, 대한민국이 중국을 꺾고 우승했으며 김주성이 MVP를 수상했다. - 1990년 중국 - 1990년 광저우 바이윈 공항 충돌 사고
1990년 광저우 바이윈 공항 충돌 사고는 장샤오펑이 납치한 샤먼 항공 8301편이 착륙 중 통제 불능 상태로 대기 중이던 항공기 2대와 충돌하여 128명이 사망하고 항공기 3대가 파손된 사고로, 당시 중국 항공 보안 체계의 문제점을 드러냈다.
1990년 아시안 게임 | |
---|---|
대회 개요 | |
정식 명칭 | 제11회 아시아 경기 대회 |
슬로건 | 단결, 우의, 진보 (중국어: 团结、友谊、进步; Tuánjié, yǒuyì, jìnbù) |
개최 도시 | 중국 베이징 |
참가국 | 31개국 |
참가 선수 | 6,122명 |
경기 종목 | 27개 종목, 308개 세부 종목 |
개막일 | 1990년 9월 22일 |
폐막일 | 1990년 10월 7일 |
개회 선언 | 양상쿤 (중국 주석) |
폐회 선언 | 로이 데 실바 (올림픽 평의회 회장 대행) |
선수 선서 | 천룽찬 |
성화 점화 | 쉬하이펑, 가오민, 장룽팡 |
주 경기장 | 노동자 경기장 |
대회 연혁 | |
이전 대회 | 1986 서울 |
다음 대회 | 1994 히로시마 |
이전 동계 대회 | 삿포로 1990 |
다음 동계 대회 | 하얼빈 1996 |
2. 유치 신청 도시
1984년 9월 28일 대한민국 서울에서 열린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OCA) 총회에서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이 1990년 아시안 게임 개최지로 선정되었다.[7] 1994년 아시안 게임 유치를 희망했던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반대가 있었으나, 투표 결과 베이징으로 결정되었다.[7]
2. 1. 유치 과정
1983년, 베이징과 히로시마는 1990년 아시안 게임 유치 의사를 밝혔다.[2] 두 도시는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OCA) 이사회에서 공식 발표를 진행했다.[2] 이들은 1984년 서울에서 열린 평의회 회의에서 평가를 받았는데, 이 회의는 1986년 아시안 게임과 1988년 하계 올림픽 준비 상황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었다.[2]1984년 9월 28일 서울에서 열린 OCA 총회에서 1990년 아시안 게임을 중국 베이징에서, 1994년 아시안 게임을 일본 히로시마에서 개최하자는 안건이 제시되었다.[7] 그러나 1994년 아시안 게임 유치를 희망했던 인도네시아를 비롯한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반대하여 투표가 진행되었다.[7] 투표 결과, 찬성 48표, 반대 22표, 기권 6표로 안건이 통과되었다.[7]
결국 베이징은 1990년 대회 유치권을 획득했고, 히로시마는 훌륭한 기술적 제안을 제시하여 1994년 아시안 게임 유치권을 획득했다.[2] 선정에는 34표가 필요했다.[2]
다음은 1990년 아시안 게임에 사용된 경기장 목록이다.[4][5] 차오양 구(Chaoyang District)에 위치한 선수촌인 야윈춘 가도(Yayuncun Subdistrict)는 현재 주거 지역으로 이용되고 있다.
총 36개국이 대회에 참가했다. 마카오, 브루나이, 팔레스타인이 처음으로 참가했다. 요르단은 재정 문제를 이유로 불참하였다. 1986년 아시안 게임에 불참했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베트남, 라오스, 몽골, 시리아, 아프가니스탄, 미얀마가 다시 참가하였다. 타이완은 중화 타이베이라는 이름으로 1970년 아시안 게임 이후 20년 만에 아시안 게임에 복귀하였으며, 예멘은 통일 이후 처음으로 참가하였다.[8]
1990년 아시안 게임에서는 27개의 정식 종목과 야구, 소프트볼 2개의 시범 종목이 진행되었다.
3. 마스코트
1990년 아시안 게임의 마스코트는 중국을 상징하는 동물인 대왕판다를 형상화해 만든 '판판'()이다.
4. 경기장
경기장 종목 베이징 노동자 경기장(Workers' Stadium) 개회식, 축구 (남자) 베이징 노동자 체육관(Workers' Gymnasium) 탁구 베이징 사격장(Beijing Shooting Range Clay Target Field) 양궁, 사격 베이징 골프 클럽(Beijing Golf Club) 골프 베이징 체육관(Beijing Gymnasium) 배드민턴 베이징 체육대학 체육관(Beijing Sports University Gymnasium) 복싱 베이징 국제 테니스 센터(Beijing International Tennis Center) 테니스, 소프트 테니스 (시범) 베이징 대학생 체육관(Beijing University Students' Gymnasium) 농구 베이징 수구 풀 수구 수도체육학원 경기장 카바디 차오양 체육관(Chaoyang Gymnasium) 배구 수도체육관(Capital Indoor Stadium) 체조, 농구, 배구 창핑 벨로드롬(Changping Velodrome) 사이클 (트랙) 디탄 체육관(Ditan Gymnasium) 역도 펑타이 체육관(Fengtai Gymnasium) 세팍타크로 펑타이 소프트볼 및 야구장(Fengtai Softball and Baseball Field) 야구 (시범), 소프트볼 베이징 펑타이 경기장(Fengtai Stadium) 축구 (남자) 광차이 체육관(Guangcai Gymnasium) 펜싱 하이뎬 체육관(Haidian Gymnasium) 우슈 하이뎬 경기장(Haidian Stadium) 축구 (여자) 진하이 호수 스포츠 공원(Jinhai Lake Sports Park) 카누, 조정 올림픽 스포츠 센터 경기장(Olympic Sport Center Stadium) 육상 올림픽 스포츠 센터 체육관(Olympic Sports Center Gymnasium) 핸드볼 올림픽 스포츠 센터 하키장 하키 친황다오 항구 해양 경기장(Qinhuangdao Marine Stadium) 요트 스징산 경기장(Shijingshan Stadium) 축구 (여자) 스징산 체육관(Shijingshan Gymnasium) 레슬링 셴농탄 경기장(Xiannongtan Stadium) 축구 (남자) 잉퉁 수영장(Ying Tung Natatorium) 다이빙, 수영 위에탄 체육관(Yuetan Gymnasium) 유도 화이러우-미윈 및 창핑 시에즈시 고속도로 사이클 (도로)
5. 참가국
1990년 9월 20일 베이징에서 열린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OCA) 임시 총회에서 쿠웨이트를 침공하여 걸프 전쟁을 일으킨 이라크에 대해 회원국 자격 정지 처분을 내려 이라크의 아시안 게임 참가를 금지시켰다. 이라크에 대한 회원국 자격 정지 처분 안건은 찬성 27표, 반대 3표, 기권 5표, 무효 1표, 불참 2표로 통과되었다.[8]참가국 IOC 코드 국가 선수 수 CHN 중화인민공화국 775 VIE 베트남 694 THA 태국 414 JPN 일본 372 KOR 대한민국 371 PHI 필리핀 285 SIN 싱가포르 237 UAE 아랍에미리트 222 IND 인도 195 HKG 홍콩 188 MAL 말레이시아 173 SRI 스리랑카 171 KSA 사우디아라비아 161 INA 인도네시아 152 PAK 파키스탄 144 IRN 이란 102 YEM 예멘 98 QAT 카타르 92 PRK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86 TPE 중화 타이베이 78 NEP 네팔 67 SYR 시리아 61 MYA 미얀마 31 BAN 방글라데시 26 AFG 아프가니스탄 23 LIB 레바논 22 BRN 바레인 21 OMA 오만 21 MGL 몽골 17 LAO 라오스 15 BHU 부탄 11 MDV 몰디브 9 KUW 쿠웨이트 8 PLE 팔레스타인 4 BRU 브루나이 3 MAC 마카오 3
6. 경기 종목
6. 1. 정식 종목
6. 2. 시범 종목
야구와 소프트볼이 시범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7. 메달 집계
개최국인 중국이 금메달 183개, 은메달 107개, 동메달 51개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대한민국은 금메달 54개, 은메달 54개, 동메달 73개로 2위를 기록했다. 일본은 금메달 38개, 은메달 60개, 동메달 76개로 3위를 기록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금메달 12개, 은메달 31개, 동메달 39개로 4위를 기록하며, 동아시아 국가들이 상위권을 휩쓸었다.[1]
순위 | 국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
1 | 중국 | 183 | 107 | 51 | 341 |
2 | 대한민국 | 54 | 54 | 73 | 181 |
3 | 일본 | 38 | 60 | 76 | 174 |
4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12 | 31 | 39 | 82 |
5 | 이란 | 4 | 6 | 8 | 18 |
6 | 파키스탄 | 4 | 1 | 7 | 12 |
7 | 인도네시아 | 3 | 6 | 21 | 30 |
8 | 카타르 | 3 | 2 | 1 | 6 |
9 | 태국 | 2 | 7 | 8 | 17 |
10 | 말레이시아 | 2 | 2 | 4 | 8 |
11 | 인도 | 1 | 8 | 14 | 23 |
12 | 몽골 | 1 | 7 | 9 | 17 |
13 | 필리핀 | 1 | 2 | 7 | 10 |
14 | 시리아 | 1 | 0 | 2 | 3 |
15 | 오만 | 1 | 0 | 0 | 1 |
16 | 타이베이 | 0 | 10 | 21 | 31 |
17 | 홍콩 | 0 | 2 | 5 | 7 |
18 | 스리랑카 | 0 | 2 | 1 | 3 |
19 | 싱가포르 | 0 | 1 | 4 | 5 |
20 | 방글라데시 | 0 | 1 | 0 | 1 |
21 | 미얀마 | 0 | 0 | 2 | 2 |
22 | 라오스 | 0 | 0 | 1 | 1 |
23 | 마카오 | 0 | 0 | 1 | 1 |
24 | 네팔 | 0 | 0 | 1 | 1 |
25 | 사우디아라비아 | 0 | 0 | 1 | 1 |
합계 | 310 | 309 | 357 | 976 |
8. 대회 이모저모
개최국 중국은 3관왕 19명을 배출하였다.[1] 중국은 수영에서 40개의 메달 중 32개를 획득하며 강세를 보였다.[2] 카타르의 육상 선수 탈랄 만수르는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에 이어 100m에서 우승하여 2연패를 차지했다.[3] 대한민국의 천인식 선수는 소아마비로 왼쪽 다리를 저는 상태에서도 카누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4]
이번 대회를 계기로 중국은 2000년 하계 올림픽 유치에 나섰으나, 1993년 모나코 몬테카를로에서 열린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총회에서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에 패했다.[5] 8년 뒤인 2001년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열린 총회에서 2008년 하계 올림픽 개최지로 선정되었다.[5] 태권도는 정식 종목에서 제외되었다.[6]
아시안 게임 상위 4개국은 모두 동아시아 국가였다. 1위는 중국, 2위는 한국, 3위는 일본이었고, 4위는 북한이었다. 동아시아 외 국가로는 이란이 5위를 차지했으나, 금메달은 4개에 불과했다.[7]
걸프 전쟁의 영향으로 이라크는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로부터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아 불참했다. 중화민국은 1970년 방콕 아시안 게임 이후 20년 만에 "중화 타이베이"라는 이름으로 참가하게 되었고, 마카오와 팔레스타인이 처음으로 참가했다.
대회는 중국이 다른 나라보다 훨씬 많은 금메달을 획득하며 압승을 거두었다.
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http://www.peopledai[...]
2019-05-28
[2]
웹사이트
The 11th Asian Games : Beijing, China
http://www.hangzhou2[...]
Hangzhou 2022 Official Website
2018-09-04
[3]
웹사이트
1990 Asian Games (Welcome to tanwj.com by Tan Wei Jie)
http://www.tanwj.com[...]
2009-09-09
[4]
웹사이트
经典回顾:1990年北京亚运会体育场馆
http://2010.163.com/[...]
2019-02-11
[5]
웹사이트
1990 Asian Games
https://www.slidesha[...]
2010-05-27
[6]
웹사이트
Iraq booted from Asian Games
https://www.upi.com/[...]
[7]
뉴스
OCA 총회 90年(년) 아시안게임 北京(북경)서 개최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4-09-29
[8]
뉴스
이라크 아시아競技(경기) 축출
https://newslibra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