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4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4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경기는 일본 히로시마에서 개최되었으며, A조, B조, C조, D조의 조별 리그를 거쳐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우즈베키스탄이 중국을 꺾고 금메달을, 중국이 은메달을, 쿠웨이트가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대한민국은 4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4년 아시안 게임 축구 - 1994년 아시안 게임 축구 여자
1994년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 여자 축구는 중국이 일본을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으며, 일본, 중국, 중화 타이베이, 대한민국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를 치렀다. - 아시안 게임 축구 -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는 대한민국 5개 도시에서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이 결승에서 사우디아라비아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하고 쿠웨이트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 아시안 게임 축구 - 2002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경기는 아시아 국가 U-23 대표팀들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를 거쳐 이란이 우승, 일본이 준우승, 대한민국이 3위를 차지한 대회이다. - 일본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2002년 FIFA 월드컵
2002년 FIFA 월드컵은 대한민국과 일본이 공동 개최하여 브라질이 우승했으며 아시아 축구 발전의 계기가 된 최초의 아시아 개최이자 2개국 이상 공동 개최 월드컵이다. - 일본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2007년 FIFA 클럽 월드컵
2007년 FIFA 클럽 월드컵은 6개 대륙 클럽 대항전 우승팀과 개최국 대표를 포함한 7개 팀이 일본에서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쟁하여 AC 밀란이 우승했고, 카카가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으며, 모든 참가 팀이 첫 출전이었다.
1994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 |
---|---|
대회 개요 | |
종목 | 남자 축구 |
대회 | 1994년 아시안 게임 |
경기장 | 히로시마 광역 공원 히로시마 스타디움 (고카-콜라 웨스트 히로시마 스타디움) 빙고 스타디움 미요시 운동 공원 육상 경기장 히로시마 빅 아치 (에디온 스타디움 히로시마) |
기간 | 1994년 10월 1일 – 16일 |
참가 팀 수 | 18개국 |
이전 대회 | 1990년 |
다음 대회 | 1998년 |
결과 |
2. 참가 팀 명단
1994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종목에 참가한 선수 명단은 1994년 아시안 게임 축구 – 남자 팀 선수 명단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모든 시간은 일본 표준시 (UTC+09:00)를 따릅니다.
3. 조별 리그
=== A조 ===
==== 경기 결과 (A조) ====
=== B조 ===
B조는 우즈베키스탄, 사우디아라비아, 말레이시아, 홍콩, 태국으로 구성되었다. 조별 리그 결과 우즈베키스탄과 사우디아라비아가 8강에 진출했다.
==== 경기 결과 (B조) ====
- 1994년 10월 1일, 히로시마 현립 스타디움(히로시마시)에서 열린 사우디아라비아와 우즈베키스탄의 경기는 우즈베키스탄이 4 – 1로 승리하였다.
- 1994년 10월 1일, 히로시마 현립 스타디움(히로시마시)에서 열린 말레이시아와 홍콩의 경기는 말레이시아가 4 – 3으로 승리하였다.
- 1994년 10월 3일, 히로시마 광역공원 제1경기장(히로시마시)에서 열린 태국과 홍콩의 경기는 홍콩이 2 – 1로 승리하였다.
- 1994년 10월 3일, 히로시마 광역공원 제1경기장(히로시마시)에서 열린 우즈베키스탄과 말레이시아의 경기는 우즈베키스탄이 5 – 0으로 승리하였다.
- 1994년 10월 5일, 미요시 체육공원 육상경기장(미요시)에서 열린 홍콩과 우즈베키스탄의 경기는 우즈베키스탄이 1 – 0으로 승리하였다.
- 1994년 10월 5일, 미요시 체육공원 육상경기장(미요시)에서 열린 태국과 사우디아라비아의 경기는 사우디아라비아가 4 – 2로 승리하였다.
- 1994년 10월 7일, 오노미치 빙고 체육공원 육상경기장(오노미치)에서 열린 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경기는 우즈베키스탄이 5 – 4로 승리하였다.
- 1994년 10월 7일, 오노미치 빙고 체육공원 육상경기장(오노미치)에서 열린 말레이시아와 사우디아라비아의 경기는 사우디아라비아가 2 – 1로 승리하였다.
- 1994년 10월 9일, 히로시마 광역공원 제1경기장(히로시마시)에서 열린 홍콩과 사우디아라비아의 경기는 사우디아라비아가 2 – 1로 승리하였다.
- 1994년 10월 9일, 히로시마 광역공원 제1경기장(히로시마시)에서 열린 태국과 말레이시아의 경기는 1 – 1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 C조 ===
==== 경기 결과 (C조) ====
- 1994년 10월 1일, 대한민국은 오노미치 빙고 체육공원 육상경기장에서 네팔을 상대로 11-0 대승을 거두었다. 하석주가 9분과 55분에 득점하였고, 황선홍은 15분, 21분, 29분, 39분, 43분, 64분, 82분, 86분에 득점, 고정운이 35분에 득점하였다. 심판은 우즈베키스탄의 사르다르 나자팔리예프였다.
- 1994년 10월 1일, 쿠웨이트와 오만은 미요시 체육공원 육상경기장에서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쿠웨이트는 Al-Shammari와 Wael Sulaiman (90분)이 득점, 오만은 Mohammed Khamis와 Tayib Abdelnoor가 득점하였다.
- 1994년 10월 3일, 쿠웨이트는 오노미치 빙고 체육공원 육상경기장에서 네팔을 8-0으로 대파했다. Ali Marwi가 6분, 51분, 93분에 득점하고, Wael Sulaiman이 19분, 23분, 25분, 42분, 89분에 득점하였다.
- 1994년 10월 5일, 대한민국은 히로시마 광역공원 제1경기장에서 오만을 2-1로 이겼다. 전반 14분 오만의 Ahmed Khamis Humaid의 자책골과 후반 49분 황선홍의 득점으로 앞서갔으며, 오만은 후반 39분 Tayib Abdelnoor가 한 골을 만회했다. 심판은 이란의 호세인 코슈칸이었다.
- 1994년 10월 7일, 대한민국은 미요시 체육공원 육상경기장에서 쿠웨이트에게 0-1로 패배했다. 쿠웨이트의 Basheer Salboukh가 후반 28분에 결승골을 넣었다. 심판은 말레이시아의 모하메드 나즈리 압둘라였다.
=== D조 ===
==== 경기 결과 (D조) ====
- 1994년 10월 3일 16:00, 카타르 2 – 2 미얀마 (미요시 체육공원 육상경기장, 미요시)
- * 카타르: 살렘 (페널티골, 44분), 수피 (57분) 득점.
- * 미얀마: 윈 아웅 (81분), 틴 민 아웅 (83분) 득점.
- 1994년 10월 3일 19:00, 일본 1 – 1 아랍에미리트 (미요시 체육공원 육상경기장, 미요시)
- * 일본: 미우라 (페널티골, 67분) 득점.
- * 아랍에미리트: 알탈리아니 (3분) 득점.
- 1994년 10월 5일 16:00, 미얀마 0 – 2 아랍에미리트 (히로시마 현립 스타디움, 히로시마)
- * 아랍에미리트: 알탈리아니 (43분, 58분) 득점.
- 1994년 10월 5일 19:00, 일본 1 – 1 카타르 (히로시마 현립 스타디움, 히로시마)
- * 일본: 다카기 (56분) 득점.
- * 카타르: 하미스 (21분) 득점.
- 1994년 10월 9일 16:00, 아랍에미리트 2 – 2 카타르 (오노미치 빙고 체육공원 육상경기장, 오노미치)
- * 아랍에미리트: 카미스 (26분), 알탈리아니 (78분) 득점.
- * 카타르: 살렘 (페널티골, 40분), 수피 (70분) 득점.
- 1994년 10월 9일 19:00, 일본 5 – 0 미얀마 (오노미치 빙고 체육공원 육상경기장, 오노미치)
- * 일본: 하시라타니 (37분), 다카기 (53분), 이와모토 (82분), 키타자와 (87분), 사와노보리 (89분) 득점.
3. 1. A조
- 1994년 10월 1일, 투르크메니스탄과 중국의 경기는 2 – 2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투르크메니스탄은 Nurmuradov의 전반 6분 골과 Seydiyev의 후반 89분 페널티골로 득점하였고, 중국은 가오펑의 전반 9분 골과 가오중쉰의 후반 69분 페널티골로 득점하였다. 경기는 히로시마 광역공원 제1경기장에서 진행되었다.
- 1994년 10월 1일, 예멘과 바레인의 경기는 0 – 2로 바레인이 승리하였다. 바레인은 Al-Hammadi와 Saad의 골로 승리하였다. 경기는 히로시마 광역공원 제1경기장에서 진행되었다.
- 1994년 10월 3일 16:00, 중국과 예멘의 경기는 4 – 0으로 중국이 승리하였다. 중국은 가오펑 (전반 10분), 리빙 (전반 15분), 펑웨이궈 (전반 21분), 차오샹둥 (후반 82분)의 골로 승리하였다. 경기는 히로시마 현립 스타디움에서 진행되었다.
- 1994년 10월 5일 16:00, 바레인과 중국의 경기는 2 – 3으로 중국이 승리하였다. 바레인은 Darwish가 두 골(전반 33분, 후반 20분)을, 중국은 펑웨이궈(전반 2분)와 리샤오(전반 30분, 후반 5분)가 득점하였다. 경기는 오노미치 빙고 체육공원 육상경기장에서 진행되었다.
- 1994년 10월 5일 19:00, 이란과 투르크메니스탄의 경기는 1 – 1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이란은 후반 23분 자책골로 득점하였고, 투르크메니스탄은 Mukhadov가 전반 17분에 득점하였다. 경기는 오노미치 빙고 체육공원 육상경기장에서 진행되었다.
- 1994년 10월 7일 19:00, 이란과 중국의 경기는 0 – 1로 중국이 승리하였다. 중국은 후반 25분 Hu Zhijun의 골로 승리하였다. 경기는 히로시마 현립 스타디움에서 진행되었다.
- 1994년 10월 7일 19:00, 예멘과 투르크메니스탄의 경기는 0 – 4로 투르크메니스탄이 승리하였다. 투르크메니스탄은 Mukhadov (전반 20분, 후반 10분, 후반 40분)와 Seydiyev (전반 30분)의 골로 승리하였다. 경기는 오노미치 빙고 체육공원 육상경기장에서 진행되었다.
- 1994년 10월 9일 16:00, 바레인과 투르크메니스탄의 경기는 2 – 2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바레인은 Al-Doseri (전반 6분)와 Marzouqi (전반 21분)가 득점하였고, 투르크메니스탄은 Annadurdiyev (후반 9분, 후반 44분)가 득점하였다. 경기는 미요시 체육공원 육상경기장에서 진행되었다.
- 1994년 10월 9일 19:00, 이란과 예멘의 경기는 4 – 0으로 이란이 승리하였다. 이란은 Pious, Shahmohammadi, Moharrami, Manafi의 골로 승리하였다. 경기는 미요시 체육공원 육상경기장에서 진행되었다.
3. 1. 1. 경기 결과 (A조)
{- 1994년 10월 1일, 투르크메니스탄과 중국의 경기는 2 – 2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투르크메니스탄은 Nurmuradov의 전반 6분 골과 Seydiyev의 후반 89분 페널티골로 득점하였고, 중국은 가오펑의 전반 9분 골과 가오중쉰의 후반 69분 페널티골로 득점하였다. 경기는 히로시마 광역공원 제1경기장에서 진행되었다.
- 1994년 10월 1일, 예멘과 바레인의 경기는 0 – 2로 바레인이 승리하였다. 바레인은 Al-Hammadi와 Saad의 골로 승리하였다. 경기는 히로시마 광역공원 제1경기장에서 진행되었다.
- 1994년 10월 3일 16:00, 중국과 예멘의 경기는 4 – 0으로 중국이 승리하였다. 중국은 가오펑 (전반 10분), 리빙 (전반 15분), 펑웨이궈 (전반 21분), 차오샹둥 (후반 82분)의 골로 승리하였다. 경기는 히로시마 현립 스타디움에서 진행되었다.
- 1994년 10월 5일 16:00, 바레인과 중국의 경기는 2 – 3으로 중국이 승리하였다. 바레인은 Darwish가 두 골(전반 33분, 후반 20분)을, 중국은 펑웨이궈(전반 2분)와 리샤오(전반 30분, 후반 5분)가 득점하였다. 경기는 오노미치 빙고 체육공원 육상경기장에서 진행되었다.
- 1994년 10월 5일 19:00, 이란과 투르크메니스탄의 경기는 1 – 1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이란은 후반 23분 자책골로 득점하였고, 투르크메니스탄은 Mukhadov가 전반 17분에 득점하였다. 경기는 오노미치 빙고 체육공원 육상경기장에서 진행되었다.
- 1994년 10월 7일 19:00, 이란과 중국의 경기는 0 – 1로 중국이 승리하였다. 중국은 후반 25분 Hu Zhijun의 골로 승리하였다. 경기는 히로시마 현립 스타디움에서 진행되었다.
- 1994년 10월 7일 19:00, 예멘과 투르크메니스탄의 경기는 0 – 4로 투르크메니스탄이 승리하였다. 투르크메니스탄은 Mukhadov (전반 20분, 후반 10분, 후반 40분)와 Seydiyev (전반 30분)의 골로 승리하였다. 경기는 오노미치 빙고 체육공원 육상경기장에서 진행되었다.
- 1994년 10월 9일 16:00, 바레인과 투르크메니스탄의 경기는 2 – 2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바레인은 Al-Doseri (전반 6분)와 Marzouqi (전반 21분)가 득점하였고, 투르크메니스탄은 Annadurdiyev (후반 9분, 후반 44분)가 득점하였다. 경기는 미요시 체육공원 육상경기장에서 진행되었다.
- 1994년 10월 9일 19:00, 이란과 예멘의 경기는 4 – 0으로 이란이 승리하였다. 이란은 Pious, Shahmohammadi, Moharrami, Manafi의 골로 승리하였다. 경기는 미요시 체육공원 육상경기장에서 진행되었다.
3. 2. B조
B조는 우즈베키스탄, 사우디아라비아, 말레이시아, 홍콩, 태국으로 구성되었다. 조별 리그 결과 우즈베키스탄과 사우디아라비아가 8강에 진출했다.- 1994년 10월 1일, 히로시마 현립 스타디움(히로시마시)에서 열린 사우디아라비아와 우즈베키스탄의 경기는 우즈베키스탄이 4 – 1로 승리하였다.
- 1994년 10월 1일, 히로시마 현립 스타디움(히로시마시)에서 열린 말레이시아와 홍콩의 경기는 말레이시아가 4 – 3으로 승리하였다.
- 1994년 10월 3일, 히로시마 광역공원 제1경기장(히로시마시)에서 열린 태국과 홍콩의 경기는 홍콩이 2 – 1로 승리하였다.
- 1994년 10월 3일, 히로시마 광역공원 제1경기장(히로시마시)에서 열린 우즈베키스탄과 말레이시아의 경기는 우즈베키스탄이 5 – 0으로 승리하였다.
- 1994년 10월 5일, 미요시 체육공원 육상경기장(미요시)에서 열린 홍콩과 우즈베키스탄의 경기는 우즈베키스탄이 1 – 0으로 승리하였다.
- 1994년 10월 5일, 미요시 체육공원 육상경기장(미요시)에서 열린 태국과 사우디아라비아의 경기는 사우디아라비아가 4 – 2로 승리하였다.
- 1994년 10월 7일, 오노미치 빙고 체육공원 육상경기장(오노미치)에서 열린 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경기는 우즈베키스탄이 5 – 4로 승리하였다.
- 1994년 10월 7일, 오노미치 빙고 체육공원 육상경기장(오노미치)에서 열린 말레이시아와 사우디아라비아의 경기는 사우디아라비아가 2 – 1로 승리하였다.
- 1994년 10월 9일, 히로시마 광역공원 제1경기장(히로시마시)에서 열린 홍콩과 사우디아라비아의 경기는 사우디아라비아가 2 – 1로 승리하였다.
- 1994년 10월 9일, 히로시마 광역공원 제1경기장(히로시마시)에서 열린 태국과 말레이시아의 경기는 1 – 1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3. 2. 1. 경기 결과 (B조)
wikitext- 1994년 10월 1일, 히로시마 현립 스타디움(히로시마시)에서 열린 사우디아라비아와 우즈베키스탄의 경기는 우즈베키스탄이 4 – 1로 승리하였다.
- 1994년 10월 1일, 히로시마 현립 스타디움(히로시마시)에서 열린 말레이시아와 홍콩의 경기는 말레이시아가 4 – 3으로 승리하였다.
- 1994년 10월 3일, 히로시마 광역공원 제1경기장(히로시마시)에서 열린 태국과 홍콩의 경기는 홍콩이 2 – 1로 승리하였다.
- 1994년 10월 3일, 히로시마 광역공원 제1경기장(히로시마시)에서 열린 우즈베키스탄과 말레이시아의 경기는 우즈베키스탄이 5 – 0으로 승리하였다.
- 1994년 10월 5일, 미요시 체육공원 육상경기장(미요시)에서 열린 홍콩과 우즈베키스탄의 경기는 우즈베키스탄이 1 – 0으로 승리하였다.
- 1994년 10월 5일, 미요시 체육공원 육상경기장(미요시)에서 열린 태국과 사우디아라비아의 경기는 사우디아라비아가 4 – 2로 승리하였다.
- 1994년 10월 7일, 오노미치 빙고 체육공원 육상경기장(오노미치)에서 열린 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경기는 우즈베키스탄이 5 – 4로 승리하였다.
- 1994년 10월 7일, 오노미치 빙고 체육공원 육상경기장(오노미치)에서 열린 말레이시아와 사우디아라비아의 경기는 사우디아라비아가 2 – 1로 승리하였다.
- 1994년 10월 9일, 히로시마 광역공원 제1경기장(히로시마시)에서 열린 홍콩과 사우디아라비아의 경기는 사우디아라비아가 2 – 1로 승리하였다.
- 1994년 10월 9일, 히로시마 광역공원 제1경기장(히로시마시)에서 열린 태국과 말레이시아의 경기는 1 – 1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3. 3. C조
- 1994년 10월 1일, 대한민국은 오노미치 빙고 체육공원 육상경기장에서 네팔을 상대로 11-0 대승을 거두었다. 하석주가 9분과 55분에 득점하였고, 황선홍은 15분, 21분, 29분, 39분, 43분, 64분, 82분, 86분에 득점, 고정운이 35분에 득점하였다. 심판은 우즈베키스탄의 사르다르 나자팔리예프였다.
- 1994년 10월 1일, 쿠웨이트와 오만은 미요시 체육공원 육상경기장에서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쿠웨이트는 Al-Shammari와 Wael Sulaiman (90분)이 득점, 오만은 Mohammed Khamis와 Tayib Abdelnoor가 득점하였다.
- 1994년 10월 3일, 쿠웨이트는 오노미치 빙고 체육공원 육상경기장에서 네팔을 8-0으로 대파했다. Ali Marwi가 6분, 51분, 93분에 득점하고, Wael Sulaiman이 19분, 23분, 25분, 42분, 89분에 득점하였다.
- 1994년 10월 5일, 대한민국은 히로시마 광역공원 제1경기장에서 오만을 2-1로 이겼다. 전반 14분 오만의 Ahmed Khamis Humaid의 자책골과 후반 49분 황선홍의 득점으로 앞서갔으며, 오만은 후반 39분 Tayib Abdelnoor가 한 골을 만회했다. 심판은 이란의 호세인 코슈칸이었다.
- 1994년 10월 7일, 대한민국은 미요시 체육공원 육상경기장에서 쿠웨이트에게 0-1로 패배했다. 쿠웨이트의 Basheer Salboukh가 후반 28분에 결승골을 넣었다. 심판은 말레이시아의 모하메드 나즈리 압둘라였다.
3. 3. 1. 경기 결과 (C조)
- 1994년 10월 1일, 대한민국은 오노미치 빙고 체육공원 육상경기장에서 네팔을 상대로 11-0 대승을 거두었다. 하석주가 9분과 55분에 득점하였고, 황선홍은 15분, 21분, 29분, 39분, 43분, 64분, 82분, 86분에 득점, 고정운이 35분에 득점하였다. 심판은 우즈베키스탄의 사르다르 나자팔리예프였다.
- 1994년 10월 1일, 쿠웨이트와 오만은 미요시 체육공원 육상경기장에서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쿠웨이트는 Al-Shammari와 Wael Sulaiman (90분)이 득점, 오만은 Mohammed Khamis와 Tayib Abdelnoor가 득점하였다.
- 1994년 10월 3일, 쿠웨이트는 오노미치 빙고 체육공원 육상경기장에서 네팔을 8-0으로 대파했다. Ali Marwi가 6분, 51분, 93분에 득점하고, Wael Sulaiman이 19분, 23분, 25분, 42분, 89분에 득점하였다.
- 1994년 10월 5일, 대한민국은 히로시마 광역공원 제1경기장에서 오만을 2-1로 이겼다. 전반 14분 오만의 Ahmed Khamis Humaid의 자책골과 후반 49분 황선홍의 득점으로 앞서갔으며, 오만은 후반 39분 Tayib Abdelnoor가 한 골을 만회했다. 심판은 이란의 호세인 코슈칸이었다.
- 1994년 10월 7일, 대한민국은 미요시 체육공원 육상경기장에서 쿠웨이트에게 0-1로 패배했다. 쿠웨이트의 Basheer Salboukh가 후반 28분에 결승골을 넣었다. 심판은 말레이시아의 모하메드 나즈리 압둘라였다.
3. 4. D조
- 1994년 10월 3일 16:00, 카타르 2 – 2 미얀마 (미요시 체육공원 육상경기장, 미요시)
- * 카타르: 살렘 (페널티골, 44분), 수피 (57분) 득점.
- * 미얀마: 윈 아웅 (81분), 틴 민 아웅 (83분) 득점.
- 1994년 10월 3일 19:00, 일본 1 – 1 아랍에미리트 (미요시 체육공원 육상경기장, 미요시)
- * 일본: 미우라 (페널티골, 67분) 득점.
- * 아랍에미리트: 알탈리아니 (3분) 득점.
- 1994년 10월 5일 16:00, 미얀마 0 – 2 아랍에미리트 (히로시마 현립 스타디움, 히로시마)
- * 아랍에미리트: 알탈리아니 (43분, 58분) 득점.
- 1994년 10월 5일 19:00, 일본 1 – 1 카타르 (히로시마 현립 스타디움, 히로시마)
- * 일본: 다카기 (56분) 득점.
- * 카타르: 하미스 (21분) 득점.
- 1994년 10월 9일 16:00, 아랍에미리트 2 – 2 카타르 (오노미치 빙고 체육공원 육상경기장, 오노미치)
- * 아랍에미리트: 카미스 (26분), 알탈리아니 (78분) 득점.
- * 카타르: 살렘 (페널티골, 40분), 수피 (70분) 득점.
- 1994년 10월 9일 19:00, 일본 5 – 0 미얀마 (오노미치 빙고 체육공원 육상경기장, 오노미치)
- * 일본: 하시라타니 (37분), 다카기 (53분), 이와모토 (82분), 키타자와 (87분), 사와노보리 (89분) 득점.
3. 4. 1. 경기 결과 (D조)
- 1994년 10월 3일 16:00, 카타르 2 – 2 미얀마 (미요시 체육공원 육상경기장, 미요시)
- * 카타르: Salem (페널티골, 44분), Soufi (57분) 득점.
- * 미얀마: Win Aung (81분), Aung Tin Myint (83분) 득점.
- 1994년 10월 3일 19:00, 일본 1 – 1 아랍에미리트 (미요시 체육공원 육상경기장, 미요시)
- * 일본: 가즈요시 (페널티골, 67분) 득점.
- * 아랍에미리트: Al-Talyani (3분) 득점.
- 1994년 10월 5일 16:00, 미얀마 0 – 2 아랍에미리트 (히로시마 현립 스타디움, 히로시마)
- * 아랍에미리트: Al-Talyani (43분, 58분) 득점.
- 1994년 10월 5일 19:00, 일본 1 – 1 카타르 (히로시마 현립 스타디움, 히로시마)
- * 일본: 다쿠야 (56분) 득점.
- * 카타르: Khamis (21분) 득점.
- 1994년 10월 9일 16:00, 아랍에미리트 2 – 2 카타르 (오노미치 빙고 체육공원 육상경기장, 오노미치)
- * 아랍에미리트: Nasser Khamis, Al-Talyani (78분) 득점.
- * 카타르: Salem, Soufi 득점.
- 1994년 10월 9일 19:00, 일본 5 – 0 미얀마 (오노미치 빙고 체육공원 육상경기장, 오노미치)
- * 일본: 하시라타니 (37분), 다쿠야 (53분), Teruo Iwamoto (81분), 쓰요시 (86분), Masaaki Sawanobori (88분) 득점.
4. 결선 토너먼트
8강 |
---|
1994년 10월 11일, 히로시마에서 열린 8강전에서 중국이 사우디아라비아를 2-0으로 꺾었다. 빙고 스타디움에서 열린 이 경기에서 차오시안둥과 리샤오가 연속골을 기록했다. 같은 날, 쿠웨이트는 히로시마현 종합공원 육상 경기장에서 아랍에미리트와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2-1로 승리했다. 자랄라의 선제골과 술라이만의 골든 골이 승리를 이끌었다. 우즈베키스탄은 미요시 육상 경기장에서 투르크메니스탄을 상대로 3-0 완승을 거두었다. 시크비린의 두 골과 압두라이모프의 페널티킥 골이 터졌다. 한편, 대한민국은 히로시마 스타디움에서 열린 일본과의 경기에서 3-2로 승리하며 준결승에 진출했다. 유상철의 동점골과 황선홍의 두 골(한 골은 페널티킥)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미우라와 이하라가 골을 넣었으나, 일본은 1994년 월드컵 최종예선에 이어 또다시 대한민국에 패하며 4강 진출이 좌절되었다. |
준결승 |
1994년 10월 13일, 히로시마 광역공원 제1경기장에서 열린 준결승전에서 중국이 쿠웨이트를 2-0으로 꺾었다. 리빙과 펑웨이궈가 득점했다. 같은 날, 우즈베키스탄은 대한민국을 1-0으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압두라이모프가 이 경기에서 결승골을 기록했다. |
3·4위전 |
1994년 10월 15일, 히로시마 광역공원 제1경기장에서 쿠웨이트가 대한민국을 2-1로 꺾고 동메달을 차지했다. 서정원이 전반 5분에 골을 기록하였으나, 쿠웨이트의 Sulaiman과 Al-Ahmad가 각각 전반 8분, 20분에 득점하였다. |
결승 |
1994년 10월 16일, 히로시마 빅 아치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우즈베키스탄이 중국을 4-2로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다.[1] 중국의 후즈쥔과 리빙이 각각 득점을 기록했고, 우즈베키스탄의 슈크비린, 레베데프, 압두라이모프, Maksudov가 득점을 기록했다.[1] |
4. 1. 8강전
1994년 10월 11일, 8강전 4경기가 동시에 열렸다. 중국은 빙고 스타디움에서 열린 사우디아라비아와의 경기에서 차오시안둥과 리샤오의 연속골로 2-0 승리를 거두었다. 쿠웨이트는 히로시마현 종합공원 육상 경기장에서 아랍에미리트와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자랄라의 선제골과 술라이만의 골든 골에 힘입어 2-1로 승리했다. 우즈베키스탄은 미요시 육상 경기장에서 투르크메니스탄을 상대로 시크비린의 두 골과 압두라이모프의 페널티킥 골을 묶어 3-0 완승을 거두었다.한편, 대한민국은 히로시마 스타디움에서 열린 일본과의 숙명의 대결에서 유상철의 동점골과 황선홍의 두 골(한 골은 페널티킥)에 힘입어 3-2로 승리하며 준결승에 진출했다. 일본은 미우라와 이하라가 골을 넣었으나, 1994년 월드컵 최종예선에 이어 또다시 대한민국에 패하며 4강 진출이 좌절되었다.
4. 2. 준결승전
중국은 1994년 10월 13일 히로시마 광역공원 제1경기장에서 열린 쿠웨이트와의 준결승전에서 리빙과 펑웨이궈의 득점에 힘입어 2-0으로 승리했다. 같은 날, 우즈베키스탄은 대한민국을 1-0으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우즈베키스탄의 압두라이모프는 이 경기에서 결승골을 기록했다.4. 3. 동메달 결정전
쿠웨이트가 대한민국을 2-1로 꺾고 동메달을 차지했다. 서정원은 전반 5분에 골을 기록하였으나, 쿠웨이트의 Sulaiman과 Al-Ahmad가 각각 전반 8분, 20분에 득점하였다. 경기는 히로시마 광역공원 제1경기장에서 5,850명의 관중이 모인 가운데 진행되었다.4. 4. 결승전
1994년 10월 16일 히로시마 빅 아치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우즈베키스탄이 중국을 4-2로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다.[1] 중국의 후즈쥔과 리빙이 각각 득점을 기록했고, 우즈베키스탄의 슈크비린, 레베데프, 압두라이모프, Maksudov가 득점을 기록했다.[1]5. 최종 순위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
우즈베키스탄 | 7 | 7 | 0 | 0 | 23 | 7 | +16 | 21 | |
중국 | 7 | 5 | 1 | 1 | 16 | 8 | +8 | 16 | |
쿠웨이트 | 6 | 4 | 1 | 1 | 15 | 6 | +9 | 13 | |
4 | 대한민국 | 6 | 3 | 0 | 3 | 17 | 7 | +10 | 9 |
5 | 사우디아라비아 | 5 | 3 | 0 | 2 | 9 | 10 | −1 | 9 |
6 | 투르크메니스탄 | 5 | 1 | 3 | 1 | 9 | 8 | +1 | 6 |
7 | 일본 | 4 | 1 | 2 | 1 | 9 | 5 | +4 | 5 |
8 | 아랍에미리트 | 4 | 1 | 2 | 1 | 6 | 5 | +1 | 5 |
9 | 이란 | 4 | 1 | 2 | 1 | 5 | 2 | +3 | 5 |
10 | 바레인 | 4 | 1 | 2 | 1 | 6 | 5 | +1 | 5 |
11 | 오만 | 3 | 1 | 1 | 1 | 4 | 4 | 0 | 4 |
12 | 말레이시아 | 4 | 1 | 1 | 2 | 6 | 11 | −5 | 4 |
13 | 카타르 | 3 | 0 | 3 | 0 | 5 | 5 | 0 | 3 |
14 | 홍콩 | 4 | 1 | 0 | 3 | 6 | 8 | −2 | 3 |
15 | 태국 | 4 | 0 | 1 | 3 | 8 | 12 | −4 | 1 |
16 | 미얀마 | 3 | 0 | 1 | 2 | 2 | 9 | −7 | 1 |
17 | 예멘 | 4 | 0 | 0 | 4 | 0 | 14 | −14 | 0 |
18 | 네팔 | 3 | 0 | 0 | 3 | 0 | 20 | −20 | 0 |
1994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종목에서는 우즈베키스탄이 금메달, 중국이 은메달, 쿠웨이트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대한민국은 4위를 기록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