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경기는 5개 도시 5개 경기장에서 개최되었으며, 1995년 FIFA 여자 월드컵 8강 진출팀과 예선을 통과한 12개국이 참가했다. 미국이 중국을 꺾고 금메달을, 중국이 은메달, 노르웨이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브라질의 프레치냐와 노르웨이의 안 크리스틴 아로네스, 린다 메달렌이 4골로 득점 공동 1위를 기록했으며, 미국이 FIFA 페어 플레이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6년 여자 축구 - UEFA 여자 유로 1997 예선
UEFA 여자 유로 1997 예선은 1997년 UEFA 여자 유로 본선 진출팀을 가리기 위해 A, B 두 그룹으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조 1위 팀이 본선에 직행하고, 플레이오프를 거쳐 프랑스, 덴마크, 스페인, 독일이 본선에 합류했다. - 1996년 하계 올림픽 여자 종목 - 1996년 하계 올림픽 소프트볼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소프트볼은 8개국이 참가하여 미국이 금메달, 중국이 은메달, 오스트레일리아가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풀 리그 예선과 페이지 플레이오프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종목은 미국의 5개 도시에서 16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나이지리아가 아르헨티나를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고 대한민국은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선수 명단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선수 명단은 E조와 F조에 속한 국가대표팀(덴마크, 스웨덴, 미국, 브라질, 독일, 일본, 노르웨이)의 선수 구성 정보, 즉 감독, 주요 선수, 등번호, 포지션, 생년월일, 소속 클럽 등의 상세 정보를 표 형식으로 제공하며, 예비 선수 명단도 포함한다.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개요 | |
대회 명칭 | 여자 올림픽 축구 토너먼트 |
연도 | 1996년 |
개최국 | 미국 |
기간 | 1996년 7월 21일 – 8월 1일 |
참가 팀 수 | 8 |
참가 연맹 수 | 4 |
경기장 수 | 5 |
도시 수 | 5 |
결과 | |
우승 횟수 | 1 |
통계 | |
총 경기 수 | 16 |
총 득점 수 | 53 |
총 관중 수 | 691762 |
최다 득점 선수 | 프레치냐 안 크리스틴 오뢰네스 린다 메달렌 (각 4골)}} |
페어 플레이 상 | |
대회 연혁 | |
다음 대회 | 2000 |
2. 대회 진행 방식
wikitable
G | 조별 리그 | ½ | 준결승전 | B | 3·4위 결정전 | F | 결승 |
일 21 | 월 22 | 화 23 | 수 24 | 목 25 | 금 26 | 토 27 | 일 28 | 월 29 | 화 30 | 수 31 | 목 1 | |
---|---|---|---|---|---|---|---|---|---|---|---|---|
G | G | G | ½ | B | F |
2. 1. 경기 일정
wikitableG | 조별 리그 | ½ | 준결승전 | B | 3·4위 결정전 | F | 결승 |
일 21 | 월 22 | 화 23 | 수 24 | 목 25 | 금 26 | 토 27 | 일 28 | 월 29 | 화 30 | 수 31 | 목 1 | |
---|---|---|---|---|---|---|---|---|---|---|---|---|
G | G | G | ½ | B | F |
2. 2. 경기장
이번 토너먼트는 5개 도시의 5개 경기장에서 개최되었다.애선스, 조지아주 | 버밍햄, 앨라배마주 | 마이애미, 플로리다주 | |||
---|---|---|---|---|---|
샌포드 스타디움 | 리전 필드 | 오렌지 볼 | |||
수용 인원: 86,100 | 수용 인원: 81,700 | 수용 인원: 74,476 | |||
![]() | ![]() | ||||
올랜도, 플로리다주 | 워싱턴 D.C. | ||||
시트러스 볼 | 로버트 F. 케네디 스타디움 | ||||
수용 인원: 65,000 | 수용 인원: 56,500 | ||||
![]() |
대회는 5개 도시 5개 경기장에서 개최되었다.
- 샌포드 스타디움(조지아주 애선스)
- 리전 필드(앨라배마주 버밍햄)
- 오렌지 보울(플로리다주 마이애미)
- 캠핑 월드 스타디움(플로리다주 올랜도)
- 로버트 F. 케네디 메모리얼 스타디움(워싱턴 D.C.)
3. 참가국
1995년 FIFA 여자 월드컵 본선에서 8강전에 진출했던 팀들은 자동으로 올림픽 본선에 진출했다. 8강전에 진출했던 팀들 가운데 잉글랜드는 올림픽 출전 자격이 없기 때문에 조별 예선에서 탈락했던 팀들 가운데 성적이 가장 높은 브라질이 남은 한 자리를 승계받았다.[4]
참가국은 다음과 같다:
제2회 FIFA 여자 선수권 대회가 올림픽 출전 자격을 얻는 예선 역할을 했으며, 6개 연맹 12개국이 출전했다. 올림픽 개최국인 미국과 올림픽 출전권이 없는 잉글랜드를 제외한 상위 7개국이 본 대회의 출전권을 획득했다.[4]
4. 선수 명단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선수 명단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 여자 선수 명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심판진
연맹 | 주심 | |
---|---|---|
여자 심판 | ||
CONCACAF | 소니아 드농쿠르 (캐나다) | |
CONMEBOL | 클라우디아 바스콘셀로스 (브라질) | |
UEFA | 잉리드 욘손 (스웨덴) | |
벤테 스코방 (노르웨이) | ||
남자 심판 | ||
AFC | 오메르 알 메하나 (사우디 아라비아) | |
CAF | 자말 알 간두르 (이집트) | |
CONCACAF | 베니토 아르춘디아 (멕시코) | |
OFC | 에디 레니 (호주) | |
UEFA | 피에를루이지 콜리나 (이탈리아) | |
호세 마리아 가르시아-아란다 (스페인) |
연맹 | 부심 | |
---|---|---|
여자 심판 | ||
CONCACAF | 재니스 게테마이어 (미국) | |
마리아 델 소코로 로드리게스 (멕시코) | ||
UEFA | 기테 홀름 (덴마크) | |
넬리 비에노 (프랑스) | ||
남자 심판 | ||
AFC | 전영현 (대한민국) | |
모하메드 알-무사위 (오만) | ||
CAF | 드라마네 단테 (말리) | |
아미르 오스만 모하메드 하미드 (수단) | ||
CONCACAF | 피터 켈리 (트리니다드 토바고) | |
CONMEBOL | 호르헤 루이스 아랑고 (콜롬비아) | |
카를로스 벨라스케스 (우루과이) | ||
OFC | 렌시 프레드 (바누아투) | |
UEFA | 유리 두파노프 (벨라루스) |
6. 조별 리그
시간은 모두 동부 서머 타임(UTC-4)[7]
=== E조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3 | 2 | 1 | 0 | 7 | 1 | +6 | 7 | |
3 | 2 | 1 | 0 | 5 | 1 | +4 | 7 | |
3 | 1 | 0 | 2 | 4 | 5 | -1 | 3 | |
3 | 0 | 0 | 3 | 2 | 11 | -9 | 0 |
1996년 7월 21일, 미국은 시트러스 볼에서 열린 덴마크와의 경기에서 벤튜리니, 햄, 밀브렛의 골로 3-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오렌지 볼에서는 중국이 스웨덴을 스구이훙과 자오리훙의 골로 2-0으로 이겼다.
7월 23일, 미국은 스웨덴과의 경기에서 벤튜리니와 맥밀런의 골로 2-1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중국은 덴마크를 스구이훙, 류아이링, 쑨칭메이, 판윈제의 골로 5-1로 대파했다.
7월 25일, 미국과 중국은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같은 날 스웨덴은 덴마크를 스베드베리와 비데쿨의 골로 3-1로 이겼다.
결과적으로 중국과 미국이 승점 7점으로 동률을 이루었으나, 골득실에서 앞선 중국이 조 1위, 미국이 조 2위로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스웨덴은 승점 3점으로 조 3위, 덴마크는 승점 0점으로 조 4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 F조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3 | 2 | 1 | 0 | 9 | 4 | +5 | 7 | |
3 | 1 | 2 | 0 | 5 | 3 | +2 | 5 | |
3 | 1 | 1 | 1 | 6 | 6 | 0 | 4 | |
3 | 0 | 0 | 3 | 2 | 9 | -7 | 0 |
1996년 7월 21일, 노르웨이와 브라질은 워싱턴 D.C.의 로버트 F. 케네디 메모리얼 스타디움에서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노르웨이의 메달렌과 오뢰네스가 득점했고, 브라질의 프레치냐가 두 골을 넣었다. 같은 날 버밍햄의 리전 필드에서는 독일이 일본을 3-2로 이겼다. 독일의 비크만과 모어가 득점하고,도메이의 자책골이 나왔으며, 일본에서는 기오카와 노다가 득점했다.
7월 23일, 워싱턴 D.C.에서 열린 경기에서 노르웨이는 독일을 3-2로 꺾었다. 노르웨이에서는 오뢰네스, 메달렌, 리세가 득점했고, 독일에서는 비크만과 프린츠가 득점했다. 같은 날 버밍햄에서는 브라질이 일본을 2-0으로 이겼으며, 카치아와 프레치냐가 골을 넣었다.
7월 25일, 노르웨이는 워싱턴 D.C.에서 일본을 4-0으로 대파했다. 페테르센이 두 골, 메달렌과 탕에로스가 각각 한 골씩 넣었다. 같은 날 버밍햄에서는 브라질과 독일이 1-1 무승부를 거두었다. 브라질의 시시와 독일의 분더리히가 득점했다.
결과적으로 노르웨이와 브라질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하였다.
6. 1. E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3 | 2 | 1 | 0 | 7 | 1 | +6 | 7 | |
3 | 2 | 1 | 0 | 5 | 1 | +4 | 7 | |
3 | 1 | 0 | 2 | 4 | 5 | -1 | 3 | |
3 | 0 | 0 | 3 | 2 | 11 | -9 | 0 |
1996년 7월 21일, 미국은 시트러스 볼에서 열린 덴마크와의 경기에서 벤튜리니, 햄, 밀브렛의 골로 3-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오렌지 볼에서는 중국이 스웨덴을 스구이훙과 자오리훙의 골로 2-0으로 이겼다.
7월 23일, 미국은 스웨덴과의 경기에서 벤튜리니와 맥밀런의 골로 2-1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중국은 덴마크를 스구이훙, 류아이링, 쑨칭메이, 판윈제의 골로 5-1로 대파했다.
7월 25일, 미국과 중국은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같은 날 스웨덴은 덴마크를 스베드베리와 비데쿨의 골로 3-1로 이겼다.
결과적으로 중국과 미국이 승점 7점으로 동률을 이루었으나, 골득실에서 앞선 중국이 조 1위, 미국이 조 2위로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스웨덴은 승점 3점으로 조 3위, 덴마크는 승점 0점으로 조 4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6. 2. F조
'''F조'''는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부 경기의 조별 리그 중 하나였다.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3 | 2 | 1 | 0 | 9 | 4 | +5 | 7 | |
3 | 1 | 2 | 0 | 5 | 3 | +2 | 5 | |
3 | 1 | 1 | 1 | 6 | 6 | 0 | 4 | |
3 | 0 | 0 | 3 | 2 | 9 | -7 | 0 |
1996년 7월 21일, 노르웨이와 브라질은 워싱턴 D.C.의 로버트 F. 케네디 메모리얼 스타디움에서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노르웨이의 메달렌과 오뢰네스가 득점했고, 브라질의 프레치냐가 두 골을 넣었다. 같은 날 버밍햄의 리전 필드에서는 독일이 일본을 3-2로 이겼다. 독일의 비크만과 모어가 득점하고,도메이의 자책골이 나왔으며, 일본에서는 기오카와 노다가 득점했다.
7월 23일, 워싱턴 D.C.에서 열린 경기에서 노르웨이는 독일을 3-2로 꺾었다. 노르웨이에서는 오뢰네스, 메달렌, 리세가 득점했고, 독일에서는 비크만과 프린츠가 득점했다. 같은 날 버밍햄에서는 브라질이 일본을 2-0으로 이겼으며, 카치아와 프레치냐가 골을 넣었다.
7월 25일, 노르웨이는 워싱턴 D.C.에서 일본을 4-0으로 대파했다. 페테르센이 두 골, 메달렌과 탕에로스가 각각 한 골씩 넣었다. 같은 날 버밍햄에서는 브라질과 독일이 1-1 무승부를 거두었다. 브라질의 시시와 독일의 분더리히가 득점했다.
결과적으로 노르웨이와 브라질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하였다.
7. 결선 토너먼트
7월 28일 애선스에서 열린 준결승전에서 중국은 브라질을 3-2로 꺾었다. 같은 날 미국은 노르웨이를 연장전 끝에 2-1로 이겼다.
8월 1일 애선스에서 열린 3·4위전에서 노르웨이는 브라질을 2-0으로 꺾고 동메달을 차지했다.
같은 날 열린 결승전에서 미국은 중국을 2-1로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7. 1. 준결승전
1996년 7월 28일에 샌퍼드 스타디움(애선스)에서 두 경기가 열렸다. 64,196명의 관중이 운집한 가운데, 중국은 쑨칭메이와 웨이하이잉의 득점에 힘입어 브라질을 3-2로 꺾었다. 같은 날, 미국은 노르웨이를 상대로 연장전 끝에 2-1 승리를 거두었다. 메달렌이 선제골을 넣었지만, 에이커스가 페널티골로 동점을 만들었고, 맥밀런이 연장전 골든골을 기록했다.7. 2. 3·4위전
1996년 8월 1일 18시, 애선스의 샌퍼드 스타디움에서 열린 브라질과 노르웨이의 3·4위전 경기는 76,489명의 관중이 지켜보는 가운데 진행되었다. 오뢰네스가 21분과 25분에 연속 득점을 기록하여 노르웨이가 브라질을 2-0으로 이겼다. 주심은 잉리드 욘손 (스웨덴)이 담당했다.7. 3. 결승전
1996년 8월 1일에 애선스의 샌퍼드 스타디움에서 열린 여자 축구 결승전에서는 중국이 미국에 1-2로 패배했다. 쑨원이 32분에 선제골을 넣었지만, 맥밀런이 19분에, 밀브렛이 68분에 각각 골을 넣어 미국이 승리했다. 이날 경기에는 76,489명의 관중이 입장했다.8. 최종 순위
순위 | 국가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
1 | 미국/United States영어 | 4 | 1 | 0 | 9 | 3 | +6 |
2 | 중국/China중국어 | 3 | 1 | 1 | 11 | 5 | +6 |
3 | 노르웨이/Norwayno | 3 | 1 | 1 | 12 | 6 | +6 |
4 | 브라질/Brazilpt | 1 | 2 | 2 | 7 | 8 | -1 |
5 | 독일/Germanyde | 1 | 1 | 1 | 6 | 6 | 0 |
6 | 스웨덴/Swedensv | 1 | 0 | 2 | 4 | 5 | -1 |
7 | 일본/Japan일본어 | 0 | 0 | 3 | 2 | 9 | -7 |
8 | 덴마크/Denmarkda | 0 | 0 | 3 | 2 | 11 | -9 |
축구의 통계적 관례에 따라, 연장전에서 승부가 결정된 경기는 승패로, 승부차기에서 결정된 경기는 무승부로 간주한다.[5]
미국이 첫 번째 우승을 차지하였다.
9. 기록
9. 1. 득점 순위
브라질의 프레티냐, 노르웨이의 안 크리스틴 아로네스와 린다 메달렌은 각각 4골을 기록하며 대회 득점 공동 1위에 올랐다.[5]4골
- 프레티냐
- 안 크리스틴 아로네스
- 린다 메달렌
3골
- 쑨칭메이
- 섀넌 맥밀런
2골
- 스구이홍
- 웨이하이잉
- 베티나 비에그만
- 마리안 페테르센
- 말린 스베드베리
- 티페니 밀브레트
- 티샤 벤투리니
1골
자책골
- 토메이 유미 (독일전)
- 카를라 오버벡 (스웨덴전)
9. 2. 최다 도움
선수 | 국가 | 도움 | 경기 |
---|---|---|---|
로젤리 | 로젤리 지 벨루/Roseli de Belopt | 4 | 5 |
쑨칭메이 | 쑨칭메이/Sun Qingmei중국어 | 4 | 5 |
스구이홍 | 스구이훙/Shi Guihong중국어 | 2 | 5 |
린다 메달렌 | 린다 메달렌/Linda Medalenno | 2 | 5 |
판타 | 판타/Fantapt | 1 | 4 |
판윈지에 | 판윈제/Fan Yunjie중국어 | 1 | 5 |
쑨원 | 쑨원/Sun Wen중국어 | 1 | 5 |
자오리훙 | 자오리훙/Zhao Lihong중국어 | 1 | 5 |
리베트 콜딩 | 리베트 콜딩/Helle Bonnesenda | 1 | 3 |
기테 크로 | 기테 크로그/Gitte Kroghda | 1 | 3 |
레네 마드센 | 리케 홀름/Rikke Holmda | 1 | 3 |
마르티나 포스 | 마르티나 포스테클렌부르크/Martina Voss-Tecklenburgde | 1 | 3 |
키오카 후타바 | 기오카 후타바/木岡 二葉일본어 | 1 | 3 |
아그네테 칼센 | 아그네테 칼센/Agnete Carlsenno | 1 | 5 |
그로 에스페세스 | 그로 에스페세트/Gro Espesethno | 1 | 5 |
헤게 리세 | 헤게 리세/Hege Riiseno | 1 | 5 |
브리트 산다운 | 브리트 산다우네/Brit Sandauneno | 1 | 4 |
티나 스벤손 | 티나 스벤손/Tina Svenssonno | 1 | 5 |
트리네 탕게라스 | 트리네 탕에로스/Trine Tangeraasno | 1 | 5 |
크리스틴 벵트손 | 크리스틴 벵트손/Kristin Bengtssonsv | 1 | 4 |
울리카 칼테 | 울리카 칼테/Ulrika Kaltesv | 1 | 4 |
피아 순드하게 | 피아 순드하게/Pia Sundhagesv | 1 | 4 |
미셸 에이커스 | 미셸 에이커스/Michelle Akers영어 | 1 | 4 |
줄리 푸디 | 줄리 파우디/Julie Foudy영어 | 1 | 5 |
미아 햄 | 미아 햄/Mia Hamm영어 | 1 | 5 |
크리스틴 릴리 | 크리스틴 릴리/Kristine Lilly영어 | 1 | 5 |
9. 3. FIFA 페어 플레이상
미국은 토너먼트 기간 동안 가장 훌륭한 페어플레이 기록을 보인 팀에게 수여되는 FIFA 페어 플레이상을 수상했다.[5]10. 의의 및 영향
참조
[1]
뉴스
Women's Soccer: 76,481 Fans, 1 U.S. Gold
https://www.nytimes.[...]
1996-08-02
[2]
뉴스
Women Sports Get a Boost
https://www.nytimes.[...]
1993-09-20
[3]
뉴스
U.S. Women's Soccer Team Wins Gold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1996-08-02
[4]
웹사이트
Women's Olympic Football Tournament Atlanta 1996
https://www.fifa.com[...]
[5]
서적
Statistics – Olympic Football Tournaments Atlanta '96
[6]
웹사이트
U.S. Women's Soccer Team Wins Gold
https://www.washingt[...]
WashingtonPost.com
1996-08-02
[7]
웹사이트
Daylight saving time dates for U.S.A. – Georgia – Atlanta between 1990 and 1999
http://www.timeandda[...]
timeanddate.com
2014-02-14
[8]
서적
Statistics – Olympic Football Tournaments Atlanta '9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