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03년 전국체육대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3년 전국체육대회는 2003년 10월 10일부터 10월 16일까지 전라북도 전주시를 주개최지로 개최되었다. '굳센 체력, 알찬 단결, 빛나는 전진'을 구호로, 일반부, 대학부, 고등부 종별에 22,330명이 참가했으며, 마스코트는 신명이었다. 정식 종목 39개와 시범 종목 2개(소프트볼, 트라이애슬론)가 진행되었으며, 경기도가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 최우수 선수(MVP)는 허희선(부산광역시/육상)이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3년 종합 스포츠 경기 대회 - 2003년 동계 유니버시아드
    2003년 동계 유니버시아드는 이탈리아 타르비시오 등지에서 분산 개최된 동계 스포츠 대회로, 알파인 스키, 아이스하키 등을 포함한 다양한 종목이 진행되었으며 러시아가 최다 메달, 대한민국은 6위를 기록했다.
  • 2003년 종합 스포츠 경기 대회 - 2003년 동계 아시안 게임
    2003년 동계 아시안 게임은 2003년 1월 30일부터 2월 8일까지 일본 아오모리현에서 17개국 선수단이 참가하여 11개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대한민국은 스키 점프, 컬링, 쇼트트랙 등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다.
  • 2003년 대한민국 -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
    2003년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중앙로역에서 발생한 방화로 인해 192명이 사망하고 151명이 부상당한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는 방화범의 범행, 안전 불감증, 부실한 시설 관리, 미흡한 초기 대응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대한민국 역사상 최악의 지하철 참사로 기록되며 사회 안전망의 취약성을 드러냈다.
  • 2003년 대한민국 - 태풍 매미
    태풍 매미는 2003년 괌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여 한반도에 상륙, 기록적인 강풍과 폭우로 큰 피해를 입히고 2005년 태풍위원회 총회에서 퇴출되었다.
  • 연도별 전국체육대회 - 2000년 전국체육대회
    2000년 전국체육대회는 "새천년, 새출발, 한민족 힘찬 도약"이라는 구호 아래 부산광역시에서 개최된 제81회 대회로, 21,887명의 선수단이 참가하여 경기도가 종합 우승을 차지했으며, '부비'를 마스코트로 활용하고 소프트볼과 트라이애슬론이 시범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 연도별 전국체육대회 - 2019년 전국체육대회
    2019년 전국체육대회는 "전국체육대회 100년, 서울에서 함께 뛰다"라는 모토로 3만여 명이 참가하여 일반부, 대학부, 고등부, 재외동포부로 나뉘어 서울특별시에서 개최된 제100회 전국체육대회로, 김서영이 최우수 선수상을 수상하고 양궁, 수영, 원반던지기에서 신기록이 경신되었다.
2003년 전국체육대회
대회 정보
연도2003
종류하계
대회제84회 전국체육대회
개최 도시전라북도
참가 선수단16
참가 선수22,330
종목40
개폐막식 정보
개막식2003년 10월 10일
폐막식2003년 10월 16일
개회 선언이창동 문화관광부 장관
성화 점화양영자, 유인탁
주 경기장전주월드컵경기장

2. 대회 개요

2003년 10월 10일부터 10월 16일까지 전라북도 (전주시 주개최)에서 제84회 전국체육대회가 개최되었다. 구호는 '굳센 체력, 알찬 단결, 빛나는 전진'이었으며, 22,330명이 참가하였다. 일반부, 대학부, 고등부 종별로 진행되었고, 마스코트는 '신명이'였다.

2. 1. 기본 정보

2003년 10월 10일부터 10월 16일까지 전라북도 (전주시 주개최)에서 제84회 전국체육대회가 개최되었다. 구호는 '굳센 체력, 알찬 단결, 빛나는 전진'이었으며, 22,330명이 참가하였다. 일반부, 대학부, 고등부 종별로 진행되었고, 마스코트는 '신명이'였다.

3. 경기 종목

2003년 전국체육대회에서는 다음과 같은 정식 종목과 시범 종목이 있었다.

'''정식 종목'''

검도, 골프, 궁도, 근대5종, 농구, 럭비, 레슬링, 배구, 배드민턴, 보디빌딩, 복싱, 볼링, 사격, 사이클, 세팍타크로, 수영 (경영, 다이빙, 수구), 수중, 승마, 씨름, 야구, 양궁, 역도, 요트, 우슈, 유도, 육상, 인라인롤러, 정구, 조정, 체조, 축구, 카누, 탁구, 태권도, 테니스, 펜싱, 하키, 핸드볼

'''시범 종목'''

소프트볼, 트라이애슬론

3. 1. 정식 종목

3. 2. 시범 종목

4. 대회 결과

순위지역점수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경기도75,981120126120366
2서울특별시64,09313587102324
3전라북도59,584756993237
4충청남도43,338485264164
5경상북도43,112456083188
6경상남도39,676404979168
7전라남도38,441504466160
8강원도38,402485179178
9부산광역시35,704325878168
10인천광역시35,080374770154
11충청북도33,965364558139
12대전광역시31,567374952138
13광주광역시30,857383364135
14대구광역시29,798322657115
15울산광역시26,645452236103
16제주도14,01629223182
총계84784011322819



대회 결과, 허희선(부산광역시/육상)이 한국체육기자연맹 기자단의 투표로 최우수 선수상(MVP)을 받았다.

4. 1. 종합 순위

순위지역점수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경기도75,981120126120366
2서울특별시64,09313587102324
3전라북도59,584756993237
4충청남도43,338485264164
5경상북도43,112456083188
6경상남도39,676404979168
7전라남도38,441504466160
8강원도38,402485179178
9부산광역시35,704325878168
10인천광역시35,080374770154
11충청북도33,965364558139
12대전광역시31,567374952138
13광주광역시30,857383364135
14대구광역시29,798322657115
15울산광역시26,645452236103
16제주도14,01629223182
총계84784011322819


4. 2. 최우수 선수상

최우수 선수상은 한국체육기자연맹 기자단의 투표로 결정된다.

  • 최우수 선수상(MVP) : 허희선 (부산광역시/육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