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04년 하계 올림픽 하키 남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4년 하계 올림픽 하키 남자 경기는 2004년 8월 14일부터 27일까지 그리스 아테네에서 열렸다. 총 12개 팀이 참가했으며, 예선 통과 팀과 개최국 자격으로 참여한 팀들이 경쟁했다. 오스트레일리아가 네덜란드를 꺾고 금메달을, 네덜란드가 은메달, 독일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대한민국은 8위를 기록했다. 파키스탄의 소하일 아바스가 11골로 득점 1위를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4년 하계 올림픽 하키 - 2004년 하계 올림픽 하키 여자
    2004년 하계 올림픽 여자 하키에서는 아르헨티나가 금메달, 독일이 은메달을 차지했으며, 네덜란드가 동메달 결정전에서 중국을 꺾고 동메달을 획득했고, 마켄지 굴드가 6골로 득점 1위를 기록했다.
2004년 하계 올림픽 하키 남자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개요
대회2004년 하계 올림픽 남자 필드하키
다른 제목해당 없음
헬리니코 올림픽 단지
개최국그리스
개최 도시아테네
기간2004년 8월 15일 – 27일
경기장헬리니콘 올림픽 하키 센터
참가 팀 수12
경기 수42
총 득점213
결과
우승오스트레일리아
준우승네덜란드
3위독일
횟수1
최다 득점 선수소하일 아바스(파키스탄)
최다 득점11
최고 선수해당 없음
올림픽 필드하키
이전 대회2000년 하계 올림픽 필드하키 – 남자 토너먼트
이전 연도2000
다음 대회2008년 하계 올림픽 필드하키 – 남자 토너먼트
다음 연도2008

2. 예선

다섯 개 연맹의 각 대륙별 챔피언은 자동 출전 자격을 얻었다. 2004년 남자 필드하키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를 통해 예선 통과한 7개 팀과 함께 총 12개 팀이 이 토너먼트에 참가했다.[2]

날짜대회개최지본선진출국
2002년 9월 30일 ~ 10월 12일2002년 아시안 게임부산/부산한국어 (대한민국)대한민국/South Korea영어
2003년 8월 2일 ~ 13일2003년 팬아메리카 게임산토도밍고/산토도밍고es (도미니카 공화국)아르헨티나/Argentina영어
2003년 9월 1일 ~ 13일2003년 유로하키 네이션스 챔피언십바르셀로나/바르셀로나ca (스페인)독일/Germanyde
2003년 9월 17일 ~ 21일2003년 남자 오세아니아컵크라이스트처치/크라이스트처치영어, 웰링턴/웰링턴영어 (뉴질랜드)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영어
2003년 10월 10일 ~ 16일2003년 전 아프리카 게임아부자/아부자영어 (나이지리아)이집트/Egypt영어
2004년 3월 2일 ~ 13일올림픽 예선 토너먼트마드리드/마드리드es (스페인)네덜란드/Netherlandsnl
스페인/Spaines
파키스탄/Pakistan영어
인도/India영어
영국/Great Britain영어
뉴질랜드/New Zealand영어
남아프리카 공화국/South Africa영어



개최국도 자동 출전 자격을 얻을 수 있었지만, 국제 하키 연맹(FIH)과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는 그리스의 하키 수준을 이유로 자동 출전권을 부여하지 않았다. 그리스는 이 결정에 대해 스포츠 중재 재판소(CAS)에 항소했지만 기각되었다. 그리스가 올림픽 출전 자격을 얻을 수 있는 첫 번째 방법은 2003년에 열린 유로하키 네이션스 챔피언십 예선 통과였으나 실패하였고, 마지막 기회는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에서 최하위 팀인 캐나다를 상대로 3전 2선승제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는 것이었으나, 캐나다와의 첫 두 경기에서 패배하여 올림픽 출전 기회를 잃었다.[3]

2. 1. 예선 통과 팀

다섯 개 연맹의 각 대륙별 챔피언은 자동 출전 자격을 얻었다. 2004년 남자 필드하키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를 통해 예선 통과한 7개 팀과 함께 총 12개 팀이 이 토너먼트에 참가했다.[2]

날짜대회개최지본선진출국
2002년 9월 30일 ~ 10월 12일2002년 아시안 게임 대한민국 부산
2003년 8월 2일 ~ 13일2003년 팬아메리카 게임 도미니카 공화국 산토도밍고
2003년 9월 1일 ~ 13일2003년 유럽 남자 하키 선수권 대회 바르셀로나
2003년 9월 17일 ~ 21일2003년 남자 오세아니아컵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 웰링턴
2003년 10월 10일 ~ 16일2003년 올아프리카 게임 아부자
2004년 3월 2일 ~ 13일올림픽 세계 예선 마드리드



개최국도 자동 출전 자격을 얻을 수 있었지만, 국제 하키 연맹(FIH)과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는 그리스의 하키 수준을 이유로 자동 출전권을 부여하지 않았다. 그리스는 이 결정에 대해 스포츠 중재 재판소(CAS)에 항소했지만 기각되었다. 그리스가 올림픽 출전 자격을 얻을 수 있는 첫 번째 방법은 2003년에 열린 유로하키 네이션스 챔피언십 예선 통과였으나 실패하였고, 마지막 기회는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에서 최하위 팀인 캐나다를 상대로 3전 2선승제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는 것이었으나, 캐나다와의 첫 두 경기에서 패배하여 올림픽 출전 기회를 잃었다.[3]

3. 심판

하비에르 아델(스페인), 헨리크 에흘레르스(덴마크), 데이비드 젠틀스(오스트레일리아), 한진수(대한민국), 데이비드 레이퍼(영국), 라이 오코노르(아일랜드), 아마르지트 싱(말레이시아), 존 라이트(남아프리카 공화국), 크리스티안 블라슈(독일), 페테르 엘데르스(네덜란드), 머라이 그리미(오스트레일리아), 사틴데르 쿠마르(인도), 제이슨 맥크라켄(뉴질랜드), 수메시 푸트라(캐나다), 페드로 테이헤이라(포르투갈)가 심판으로 참여했다.

4. 선수 명단

2004년 하계 올림픽 필드하키 남자 팀 명단 문서를 참고하라.

5. 조별 리그

모든 시간은 동유럽 시간 (UTC+2) 기준입니다.

=== A조 ===

2004년 하계 올림픽 남자 하키 A조에서는 스페인, 독일, 파키스탄, 대한민국, 영국, 이집트가 참가했다.

순위경기승점
1스페인5320143+1111
2독일5320156+911
3파키스탄5302198+119
4대한민국5221178+98
5영국5104921-123
6이집트5005230-280



2004년 8월 15일, 대한민국스페인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다. 유효식이 선제골을 넣었지만, 산티 프레익사가 동점골을 기록했다. 같은 날 독일파키스탄을 2-1로 이겼고, 영국이집트를 3-1로 이겼다.

8월 17일, 대한민국영국을 3-2로 꺾었다. 이정선이 두 골을 넣고 여운곤이 한 골을 추가했다. 같은 날 파키스탄이집트를 7-0으로 크게 이겼고, 스페인독일은 1-1로 비겼다.

8월 19일, 파키스탄대한민국을 3-0으로 이겼다. 같은 날 독일이집트를 6-1로, 스페인영국을 5-1로 이겼다.

8월 21일, 이집트대한민국에 0-11로 대패했다. 이정선은 5골을 넣으며 맹활약했다. 스페인파키스탄을 4-0으로 이겼고, 독일영국을 4-1로 이겼다.

8월 23일, 스페인이집트를 3-0으로 이겼다. 파키스탄영국을 8-2로 이겼고, 대한민국독일은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이정선은 이 경기에서 두 골을 넣었다.

=== B조 ===

B조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순위경기득점실점차이점수
1네덜란드5500169+715
2오스트레일리아53111410+410
3뉴질랜드53021311+29
4인도51131113-24
5남아프리카 공화국5104915-63
6아르헨티나5023813-52



네덜란드는 5승으로 1위를 차지했고, 오스트레일리아는 3승 1무 1패로 2위를 기록했다. 뉴질랜드는 3승 2패, 인도는 1승 1무 3패,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1승 4패, 아르헨티나는 2무 3패를 기록했다.

2004년 8월 15일, 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를 4-1로 이겼고, 남아프리카 공화국아르헨티나를 2-1로 이겼으며, 네덜란드인도를 3-1로 이겼다.

8월 17일, 아르헨티나오스트레일리아는 2-2로 비겼고, 인도남아프리카 공화국을 4-2로 이겼으며, 네덜란드뉴질랜드를 4-3으로 이겼다.

8월 19일, 네덜란드남아프리카 공화국을 3-2로 이겼고, 뉴질랜드아르헨티나를 3-1로 이겼으며, 오스트레일리아인도를 4-3으로 이겼다.

8월 21일, 인도뉴질랜드를 2-1로 이겼고, 오스트레일리아남아프리카 공화국을 3-2로 이겼으며, 네덜란드아르헨티나를 4-2로 이겼다.

8월 23일, 뉴질랜드남아프리카 공화국을 4-1로 이겼고, 인도아르헨티나는 2-2로 비겼으며, 네덜란드오스트레일리아를 2-1로 이겼다.

5. 1. A조

2004년 하계 올림픽 남자 하키 A조에서는 스페인, 독일, 파키스탄, 대한민국, 영국, 이집트가 참가했다.

순위경기승점
1스페인5320143+1111
2독일5320156+911
3파키스탄5302198+119
4대한민국5221178+98
5영국5104921-123
6이집트5005230-280



2004년 8월 15일, 대한민국스페인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다. 유효식이 선제골을 넣었지만, 산티 프레익사가 동점골을 기록했다. 같은 날 독일파키스탄을 2-1로 이겼고, 영국이집트를 3-1로 이겼다.

8월 17일, 대한민국영국을 3-2로 꺾었다. 이정선이 두 골을 넣고 여운곤이 한 골을 추가했다. 같은 날 파키스탄이집트를 7-0으로 크게 이겼고, 스페인독일은 1-1로 비겼다.

8월 19일, 파키스탄대한민국을 3-0으로 이겼다. 같은 날 독일이집트를 6-1로, 스페인영국을 5-1로 이겼다.

8월 21일, 이집트대한민국에 0-11로 대패했다. 이정선은 5골을 넣으며 맹활약했다. 스페인파키스탄을 4-0으로 이겼고, 독일영국을 4-1로 이겼다.

8월 23일, 스페인이집트를 3-0으로 이겼다. 파키스탄영국을 8-2로 이겼고, 대한민국독일은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이정선은 이 경기에서 두 골을 넣었다.

5. 2. B조

B조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순위경기득점실점차이점수
1네덜란드5500169+715
2오스트레일리아53111410+410
3뉴질랜드53021311+29
4인도51131113-24
5남아프리카 공화국5104915-63
6아르헨티나5023813-52



네덜란드는 5승으로 1위를 차지했고, 오스트레일리아는 3승 1무 1패로 2위를 기록했다. 뉴질랜드는 3승 2패, 인도는 1승 1무 3패,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1승 4패, 아르헨티나는 2무 3패를 기록했다.

2004년 8월 15일, 오스트레일리아는 뉴질랜드를 4-1로 이겼고,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아르헨티나를 2-1로 이겼으며, 네덜란드는 인도를 3-1로 이겼다.

8월 17일, 아르헨티나와 오스트레일리아는 2-2로 비겼고, 인도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4-2로 이겼으며, 네덜란드는 뉴질랜드를 4-3으로 이겼다.

8월 19일, 네덜란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3-2로 이겼고, 뉴질랜드는 아르헨티나를 3-1로 이겼으며, 오스트레일리아는 인도를 4-3으로 이겼다.

8월 21일, 인도는 뉴질랜드를 2-1로 이겼고, 오스트레일리아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3-2로 이겼으며, 네덜란드는 아르헨티나를 4-2로 이겼다.

8월 23일, 뉴질랜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4-1로 이겼고, 인도와 아르헨티나는 2-2로 비겼으며, 네덜란드는 오스트레일리아를 2-1로 이겼다.

6. 순위 결정전

6. 1. 5-8위 순위 결정전

2004년 8월 25일, 뉴질랜드는 대한민국을 4-3으로 꺾었다. 뉴질랜드의 필 버로우스는 26분, 62분, 69분에 필드골을, 와이니 맥인도는 28분에 페널티 코너 골을 넣었다. 대한민국의 여운곤은 14분에 필드골을, 이정선은 39분에 페널티 코너 골을, 전종하는 57분에 필드골을 넣었다. 같은 날, 파키스탄은 인도를 3-0으로 이겼다. 파키스탄의 타리크 아지즈는 43분에 필드골을, 소하일 아바스는 59분에 페널티 코너 골을, 무함마드 샤비르는 68분에 필드골을 기록했다.

8월 27일, 파키스탄은 뉴질랜드를 4-2로 이겼다. 파키스탄의 소하일 아바스는 35분, 47분, 68분에 페널티 코너 골을 넣었고, 카시프 자와드는 55분에 필드골을 넣었다. 뉴질랜드의 가레트 브룩스는 16분에 필드골을, 다렌 스미스는 35분에 페널티 코너 골을 넣었다.

6. 2. 7-8위 결정전

2004년 8월 27일 08:30에 열린 7-8위 결정전에서는 대한민국과 인도가 맞붙었다. 가간 아지트 싱이 경기 시작 4분과 11분에 득점하고, 비크람 필레이가 15분, 프라브조트 싱이 32분에 득점하여 인도가 전반전을 4-0으로 앞서나갔다. 대한민국은 지성환이 57분에, 강성정이 58분에 득점을 기록하였으나, 아담 싱클레어가 68분에 추가 득점을 기록하여 최종 점수 5-2로 인도가 승리하였다. 심판은 제이슨 매크라켄(뉴질랜드)과 피터 엘더스(네덜란드)가 맡았다.

6. 3. 9-12위 순위 결정전

크라이그 풀톤 크레이그 풀턴/Craig Fulton영어 7 (FG)
에밀레 스미스 에밀 스미스/Emile Smith영어 50
(FG)아드난 아흐메드 아드난 아흐메드/Adnan Ahmed영어 17' (PS)2004년 8월 25일 11:00영국 4 – 1 아르헨티나로브 모어 로브 무어/Rob Moore영어 24 (FG)
톰 버트람 톰 버트럼/Tom Bertram영어 35+
(PC)
대니 홀 대니 홀/Danny Hall영어 38 (FG)
마크 피언 마크 펀/Mark Pearn영어 67
(FG)카를로스 레테구이 카를로스 레테기/Carlos Retegui영어 64' (FG)



==== 11-12위 결정전 ====

2004년 8월 27일 09:00에 이집트아르헨티나의 경기가 열렸다. 이집트의 엘 세예드가 21분에 필드골을, 모하메드가 43분에 필드골을 기록했다. 아르헨티나의 레테기는 20분에 필드골을, 알마다는 26분, 48분에 페널티 코너 골을, 62분에 필드골을 기록했다. 심판은 스페인의 사비에르 아델과 대한민국의 한진수 심판이었다.

==== 9-10위 결정전 ====

2004년 8월 27일 11시 30분에 9-10위 결정전이 열렸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영국이 맞붙었으며, 경기 결과는 1-1 무승부였다. 연장전까지 진행되었으나 승부가 나지 않아 승부던지기가 진행되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그레그 니콜이 45분에 페널티 코너로 득점했고, 영국은 구이 포드햄이 43분에 필드 골을 넣었다. 승부차기 결과, 영국이 4-3으로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꺾고 9위를 차지했다.

승부차기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이안 시몬스, 그레그 클라크, 그레그 니콜이 성공하고, 와이네 데네, 크라이그 풀톤은 실축했다. 영국은 벤 하위스, 그라햄 무디, 브레트 가라드, 대니 홀이 성공하고, 니알 스토트가 실축했다.

이 경기의 심판은 호주 출신 데이비드 젠틀스와 말레이시아 출신 아마르지트 싱이 맡았다.

6. 3. 1. 11-12위 결정전

2004년 8월 27일 09:00에 이집트아르헨티나의 경기가 열렸다. 이집트의 엘 세예드가 21분에 필드골을, 모하메드가 43분에 필드골을 기록했다. 아르헨티나의 레테기는 20분에 필드골을, 알마다는 26분, 48분에 페널티 코너 골을, 62분에 필드골을 기록했다. 심판은 스페인의 사비에르 아델과 대한민국의 한진수 심판이었다.

6. 3. 2. 9-10위 결정전

2004년 8월 27일 11시 30분에 9-10위 결정전이 열렸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영국이 맞붙었으며, 경기 결과는 1-1 무승부였다. 연장전까지 진행되었으나 승부가 나지 않아 승부차기가 진행되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그레그 니콜이 45분에 페널티 코너로 득점했고, 영국은 구이 포드햄이 43분에 필드 골을 넣었다. 승부차기 결과, 영국이 4-3으로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꺾고 9위를 차지했다.

승부차기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이안 시몬스, 그레그 클라크, 그레그 니콜이 성공하고, 와이네 데네, 크라이그 풀톤은 실축했다. 영국은 벤 하위스, 그라햄 무디, 브레트 가라드, 대니 홀이 성공하고, 니알 스토트가 실축했다.

이 경기의 심판은 호주 출신 데이비드 젠틀스와 말레이시아 출신 아마르지트 싱이 맡았다.

7. 메달 결정전

'''준결승'''

2004년 8월 25일, 해당 대회 준결승전 두 경기가 열렸다. 첫 번째 경기에서는 네덜란드가 독일을 3-2로 꺾었다. 네덜란드의 타에케 타에케마가 페널티 스트로크로 선제골을 넣었고, 마르텐 에이켈봄과 테운 노이예르가 필드골을 추가했다. 독일에서는 마티아스 비타우스와 크리스토프 베흐만이 필드골을 넣었다.

두 번째 경기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가 스페인을 6-3으로 이겼다. 오스트레일리아의 트로이 엘더가 페널티 코너로 선제골을, 마이클 맥캔과 매튜 웰스가 각각 필드골과 페널티 코너골을 추가했으며, 그랜트 슈버트가 두 번의 필드골을 넣었다. 스페인에서는 에두아르도 투바우가 필드골을, 하비에르 리바스가 두 번의 페널티 코너골을 넣었다.

'''동메달 결정전'''

2004년 8월 27일 18:00, 독일스페인의 동메달 결정전이 열렸다. 사샤 라이넬트(22분), 에이케 두크비츠(45분), 비요른 에메를링(49분), 비요른 미헬(80분)이 득점하여 독일이 앞서나갔다. 스페인은 산티아고 프레익사(31분)와 에두아르도 투바우(39분, 47분)의 득점으로 추격했으나, 결국 독일이 4-3으로 승리하여 동메달을 획득했다. 경기는 머레이 그림(오스트레일리아)과 헨리크 엘러스(덴마크)가 심판을 맡았다.

'''금메달 결정전'''

2004년 8월 27일 20시 30분에 네덜란드오스트레일리아의 경기가 열렸다. 로날드 브라우베르(R. 브라우어)가 29분에 득점하였고, 트라비스 브룩스(브룩스)가 37분에, 제이미 드위어(드와이어)가 78분에 득점하였다.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끝에 오스트레일리아가 2-1로 승리했다. 심판은 레이먼드 오코너 (아일랜드)와 조나단 라이트 (남아프리카 공화국)가 맡았다.

7. 1. 준결승

2004년 8월 25일, 해당 대회 준결승전 두 경기가 열렸다. 첫 번째 경기에서는 네덜란드가 독일을 3-2로 꺾었다. 네덜란드의 타에케 타에케마가 페널티 스트로크로 선제골을 넣었고, 마르텐 에이켈봄과 테운 노이예르가 필드골을 추가했다. 독일에서는 마티아스 비타우스와 크리스토프 베흐만이 필드골을 넣었다.

두 번째 경기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가 스페인을 6-3으로 이겼다. 오스트레일리아의 트로이 엘더가 페널티 코너로 선제골을, 마이클 맥캔과 매튜 웰스가 각각 필드골과 페널티 코너골을 추가했으며, 그랜트 슈버트가 두 번의 필드골을 넣었다. 스페인에서는 에두아르도 투바우가 필드골을, 하비에르 리바스가 두 번의 페널티 코너골을 넣었다.

7. 2. 동메달 결정전



2004년 8월 27일 18:00, 독일스페인의 동메달 결정전이 열렸다. 사샤 라이넬트(22분), 에이케 두크비츠(45분), 비요른 에메를링(49분), 비요른 미헬(80분)이 득점하여 독일이 앞서나갔다. 스페인은 산티아고 프레익사(31분)와 에두아르도 투바우(39분, 47분)의 득점으로 추격했으나, 결국 독일이 4-3으로 승리하여 동메달을 획득했다. 경기는 머레이 그림(오스트레일리아)과 헨리크 엘러스(덴마크)가 심판을 맡았다.

7. 3. 금메달 결정전

2004년 8월 27일 20시 30분에 네덜란드오스트레일리아의 경기가 열렸다. 로날드 브라우베르 (R. 브라우어)가 29분에 득점하였고, 트라비스 브룩스 (브룩스)가 37분에, 제이미 드위어 (드와이어)가 78분에 득점하였다.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끝에 오스트레일리아가 2-1로 승리했다. 심판은 레이먼드 오코너 (아일랜드)와 조나단 라이트 (남아프리카 공화국)가 맡았다.

8. 최종 순위

순위대표팀경기득점실점차이점수
|| || 7||5||1||1||22||14||+8||16
|| || 7||6||0||1||20||13||+7||18
|| || 7||4||2||1||21||12||+9||14
473222013+711
575022610+1615
674031918+112
772141618-27
872232217+58
972141423-97
1072141517-25
1171241319-65
127007539-340



정규 시간 내에 승부가 결정된 경기는 승리 및 패배로, 승부차기로 결정된 경기는 무승부로 간주한다.

오스트레일리아(오스트레일리아)가 금메달, 네덜란드(네덜란드)가 은메달, 독일(독일)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4위는 스페인(에스파냐)이 차지했다. 대한민국은 8위를 기록했다.

9. 득점 순위

2004년 하계 올림픽 하키 남자 종목에서는 총 42경기에서 213골이 나왔다. 파키스탄의 소하일 아바스가 11골로 득점 1위를 기록했고, 대한민국의 이정선이 10골로 그 뒤를 이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그렉 니콜과 스페인의 에두아르도 투바우는 각각 8골을 기록했다. 아르헨티나의 마리오 알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제이미 드와이어, 인도의 가간 아지트 싱, 네덜란드의 타케 타케마, 뉴질랜드의 필 버로우스는 각각 7골을 기록했다.

순위선수득점
1소하일 아바스/سہیل عباسur11
2이정선10
3그렉 니콜8
3에두아르도 투바우8
4마리오 알마다7
4제이미 드와이어7
4가간 아지트 싱7
4타케 타케마7
4필 버로우스7
5헤이든 쇼6
5산티아고 프레이샤6
6크리스토퍼 젤러5


참조

[1] 웹사이트 Hockey at the 2004 Athens Summer Games: Men's Hockey https://web.archive.[...] 2019-10-21
[2] 뉴스 Qualification for Athens 2004 Olympic Games clarified https://web.archive.[...] Planet Field Hockey 2012-07-03
[3] 뉴스 FIH responds to HHF News Release https://web.archive.[...] PLanet Field Hockey 2012-08-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