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4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는 말레이시아에서 개최되었으며, 총 16개 팀이 참가하여 우승팀을 가렸다. 대한민국은 결승전에서 중국을 2-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박주영은 득점왕과 대회 MVP를 동시에 수상했다. 상위 4개 팀인 대한민국, 중국, 일본, 시리아는 2005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4년 청소년 축구 - 2004년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
2004년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는 독일에서 개최되어 이탈리아가 우승했으며, 이탈리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포르투갈은 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본선 진출 자격을 획득했다. - 2004년 청소년 축구 - 2004년 FIFA U-19 세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2004년 FIFA U-19 세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는 FIFA 주관으로 태국에서 12개국 U-19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이 참가하여 독일이 중국을 꺾고 우승, 미국이 3위, 브라질이 4위를 기록한 국제 대회이다. - 2004년 9월 - 제61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제61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는 2004년에 개최되었으며, 마이크 리 감독의 《베라 드레이크》가 황금사자상을, 김기덕 감독의 《빈집》이 감독상을 수상하고, 《빈집》의 수상과 《하류인생》, 《쓰리, 몬스터》 등이 초청되어 한국 영화의 위상을 높였다. - 2004년 9월 - 베슬란 학교 인질극
베슬란 학교 인질극은 2004년 9월 1일부터 3일까지 러시아 베슬란 제1학교에서 체첸 분리주의 무장 세력이 1,100명 이상을 인질로 잡아 330명 이상의 사망자를 낸 대규모 테러 사건으로, 러시아 정부의 대응에 대한 비판이 있었다. - 2004년 10월 - 유럽 헌법
유럽 헌법은 유럽 연합의 통합을 심화하기 위해 제정되었으나 프랑스와 네덜란드 국민투표에서 부결되어 무산되었고, 리스본 조약으로 대체되었다. - 2004년 10월 - 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는 빅토르 야누코비치와 빅토르 유셴코 간의 경쟁에서 부정 선거 논란과 시민들의 저항인 오렌지 혁명으로 이어져 우크라이나 민주주의 발전과 독립, 주권 수호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2004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이름 | AFC 청소년 챔피언십 |
연도 | 2004 |
다른 이름 | Kejohanan Remaja AFC 2004 2004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
개최국 | 말레이시아 |
개최 기간 | 9월 25일 – 10월 9일 |
참가 팀 수 | 16 |
대륙 연맹 | 1 |
경기장 수 | 5 |
도시 수 | 4 |
총 경기 수 | 32 |
총 득점 수 | 82 |
결과 | |
우승 | 대한민국 (11번째 우승) |
준우승 | 중국 |
3위 | 일본 |
4위 | 시리아 |
개인 수상 | |
최다 득점 선수 | 박주영 (6골) |
최우수 선수 | 박주영 |
대회 통계 | |
이전 대회 | 2002 |
다음 대회 | 2006 |
2. 개최 도시 및 경기장
2004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는 말레이시아의 조호르바루, 쿠알라룸푸르, 프탈링자야, 이포에서 개최되었다.
2. 1. 경기장 목록
경기는 다음 네 개 도시의 다섯 개 경기장에서 열렸다.조호르바루 | ||
---|---|---|
탄 스리 다토 하지 하산 유노스 스타디움 | 파시르구당 코퍼레이션 스타디움 | |
수용 인원: 30,000 | 수용 인원: 15,000 | |
![]() | ![]() | |
쿠알라룸푸르 | 프탈링자야 | 이포 |
쿠알라룸푸르 스타디움 | 프탈링자야 스타디움 | 페락 스타디움 |
수용 인원: 18,000 | 수용 인원: 25,000 | 수용 인원: 42,500 |
![]() | ![]() |
2004년 AFC U-20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을 통해 총 16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대한민국은 예선 N조에서 1위를 차지하며 본선에 진출했다.[1] 원래 예선 H조에서 1위를 차지했던 투르크메니스탄이 본선 개막을 앞두고 기권함에 따라, 2위를 차지했던 인도가 본선 진출 자격을 승계받았다.[1]
3. 예선
3. 1. 본선 진출팀
2004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본선 진출팀은 다음과 같이 결정되었다.[1]
순위 | 국가 |
---|---|
1 | Malaysia|말레이시아ms (개최국) |
2 | قطر|카타르ar (예선 A조 1위) |
3 | العراق|이라크ar (예선 B조 1위) |
4 | سوريا|시리아ar (예선 C조 1위) |
5 | اليمن|예멘ar (예선 D조 1위) |
6 | नेपाल|네팔ne (예선 E조 1위) |
7 | Oʻzbekiston|우즈베키스탄uz (예선 F조 1위) |
8 | ایران|이란fa (예선 G조 1위) |
9 | भारत|인도hi (예선 H조 2위)1 |
10 | Việt Nam|베트남vi (예선 I조 1위) |
11 | ປະເທດລາວ|라오스lo (예선 J조 1위) |
12 | Indonesia|인도네시아id (예선 K조 1위) |
13 | ประเทศไทย|태국th (예선 L조 1위) |
14 | 日本|일본일본어 (예선 M조 1위) |
15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예선 N조 1위) |
16 | 中国|중국중국어 (예선 O조 1위) |
1 원래 예선 H조에서 1위를 차지했던 투르크메니스탄이 본선 개막을 앞둔 상황에서 기권함에 따라 2위를 차지했던 भारत|인도hi가 본선 진출 자격을 승계받았다.[1]
4. 조별 예선
2004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조별 예선은 16개 팀이 4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조 상위 2개 팀이 8강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 A조: 일본 (3승, 1위), 말레이시아 (2승 1패, 2위) 8강 진출. 네팔, 베트남 탈락.
- B조: 中國|중국중국어 (2승 1무, 1위), قطر|카타르ar (2승 1패, 2위) 8강 진출. ایران|이란fa, Indonesia|인도네시아id 탈락.
- D조: العراق|이라크ar (3승, 1위), 대한민국 (1승 1무 1패, 2위) 8강 진출. 대한민국은 이라크에 0-3 패배.[1] 태국, 예멘 탈락 (대한민국과 태국은 승점, 골득실, 다득점 동률, AFC 규정에 따라 추첨).
4. 1. A조
'''2004년 9월 25일'''영어
일본 | 3 - 0 | 네팔 |
---|
고케구치 다쿠야 득점, 히라야마 소타 득점, 나카야마 히로키 득점.[1]
베트남 | 0 - 1 | 말레이시아 |
---|
크리슈난 링감 득점.[1]
'''2004년 9월 27일'''영어
네팔 | 1 - 0 | 베트남 |
---|
프라디프 마하잔 페널티킥 득점.[1]
말레이시아 | 0 - 3 | 일본 |
---|
고케구치 다쿠야 득점, 다카하기 요지로 득점, 모리모토 다카유키 득점.[1]
'''2004년 9월 29일'''영어
일본 | 1 - 0 | 베트남 |
---|
모리모토 다카유키 득점.[1]
네팔 | 3 - 0 | 말레이시아 |
---|
노르샤룰 이들란 탈라하 득점, 아맛 아즐란 자이날 득점, 자나크 싱 자책골.[1]
4. 2. B조
中國|중국중국어이 2승 1무로 조 1위를 차지하며 8강에 진출했다. قطر|카타르ar는 2승 1패로 조 2위를 기록하며 8강에 진출했다.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中國|중국중국어 | 3 | 2 | 1 | 0 | 6 | 1 | +5 | 7 |
قطر|카타르ar | 3 | 2 | 0 | 1 | 3 | 1 | +2 | 6 |
ایران|이란fa | 3 | 1 | 1 | 1 | 7 | 4 | +3 | 4 |
Indonesia|인도네시아id | 3 | 0 | 0 | 3 | 3 | 12 | -9 | 0 |
2004년 9월 25일 | |||
---|---|---|---|
中國|중국중국어 | 0 - 0 | ایران|이란fa | |
قطر|카타르ar | 1 - 0 | Indonesia|인도네시아id | |
2004년 9월 27일 | |||
ایران|이란fa | 1 - 2 | قطر|카타르ar | |
Indonesia|인도네시아id | 1 - 5 | 中國|중국중국어 | |
2004년 9월 29일 | |||
中國|중국중국어 | 1 - 0 | قطر|카타르ar | |
ایران|이란fa | 6 - 2 | Indonesia|인도네시아id |
4. 3. C조
- 2004년 9월 26일
- * 프탈링자야 스타디움
- ** 우즈베키스탄 5 – 2 라오스
- ** 시리아 2 – 1 인도
- 2004년 9월 28일
- * 프탈링자야 스타디움
- ** 라오스 1 – 4 시리아
- ** 인도 1 – 2 우즈베키스탄
- 2004년 9월 30일
- ** 우즈베키스탄 1 – 1 시리아 (쿠알라룸푸르 스타디움)
- ** 라오스 1 – 0 인도 (프탈링자야 스타디움)
4. 4. D조
العراق|이라크ar가 3전 전승으로 조 1위를 차지하며 8강에 진출했다. 대한민국은 1승 1무 1패로 조 2위를 기록, 8강에 진출했다. 특히, 이라크와의 경기에서 0-3으로 패배한 것은 아쉬운 결과였다.[1]- 대한민국과 태국은 승점, 골득실, 다득점까지 모두 같았으나, AFC 규정에 따라 추첨으로 순위가 결정되었다.
2004년 9월 26일 | ||
---|---|---|
대한민국 | 0 - 3 | العراق|이라크ar |
태국 | 2 - 1 | 예멘 |
2004년 9월 28일 | ||
العراق|이라크ar | 2 - 0 | 태국 |
예멘 | 0 - 4 | 대한민국 |
2004년 9월 30일 | ||
대한민국 | 1 - 1 | 태국 |
العراق|이라크ar | 2 - 0 | 예멘 |
2004년 9월 26일, 페락 스타디움에서 열린 대한민국과 이라크의 경기에서 대한민국은 무슬림 무바라크에게 2골(42분, 84분), 파리드 마지드에게 1골()을 허용하며 0-3으로 패배했다.[1]
같은 날, 태국은 틴텝 위노타이의 2골(3분, 39분 페널티킥)에 힘입어 예멘을 2-1로 꺾었다. 예멘은 압도 알에드레시가 37분에 득점했다.[1]
9월 28일, 이라크는 위삼 자키(7분)와 하이다르 사바흐(32분)의 득점으로 태국을 2-0으로 이겼다. 같은 날 대한민국은 김승용(9분), 김진규(13분), 박주영(37분, 79분)의 연속골로 예멘을 4-0으로 대파했다.[1]
9월 30일, 대한민국은 박주영이 41분에 선제골을 넣었으나, 김태원의 7분 자책골로 태국과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같은 날 이라크는 오메르 카드힘(33분)과 알리 유시프(87분)의 골로 예멘을 2-0으로 제압했다.[1]
5. 결선 토너먼트
2004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결선 토너먼트는 8강전부터 결승전까지 진행되었다. 8강전에서는 대한민국, 일본, 중국, 시리아가 각각 승리하여 준결승전에 진출했다. 대한민국은 일본과의 한일전에서 승부차기 끝에 승리하였고, 중국은 시리아를 꺾고 결승에 올랐다. 결승전에서는 대한민국이 박주영의 연속골로 중국을 2-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일본은 시리아와의 3·4위전에서 승부차기로 승리하여 3위를 기록했다.
5. 1. 8강전
2004년 10월 3일, 8강전 4경기가 진행되었다.대한민국은 쿠알라룸푸르 스타디움에서 우즈베키스탄과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김승용과 신영록의 골로 2-1 승리를 거두고 4강에 진출했다.[1]
일본은 탄 스리 다토 하지 하산 유노스 스타디움에서 카타르와 연장전까지 0-0으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5-3으로 승리하며 4강에 진출했다.
중국은 쿠알라룸푸르 스타디움에서 말레이시아를 천타오, 쩌우여우, 저우하이빈의 연속골로 3-0 완승을 거두고 4강에 진출했다.
시리아는 페락 스타디움에서 이라크를 마제드 알-하즈의 결승골로 1-0으로 꺾고 4강에 진출했다.
경기일 | 팀 1 | 결과 | 팀 2 | 경기장 |
---|---|---|---|---|
2004년 10월 3일 | 日本|일본일본어 | 0 - 0 (5-3 PK) | قطر|카타르ar | 탄 스리 다토 하지 하산 유노스 스타디움 (조호르바루) |
2004년 10월 3일 | Oʻzbekiston|우즈베키스탄uz | 1 - 2 | 대한민국 | 쿠알라룸푸르 스타디움 (쿠알라룸푸르) |
2004년 10월 3일 | 중국 | 3 - 0 | Malaysia|말레이시아ms | 쿠알라룸푸르 스타디움 (쿠알라룸푸르) |
2004년 10월 3일 | العراق|이라크ar | 0 - 1 | سوريا|시리아ar | 페락 스타디움 (이포) |
5. 2. 준결승전
2004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준결승전에서 대한민국은 일본과 맞붙었다. 백지훈과 박주영이 득점하고, 와타나베 가즈마일본어()와 히라야마 소타일본어()가 득점하여 양 팀은 2-2로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을 벌였다. 결국 승부차기에서 대한민국이 3-1로 승리하며 결승에 진출했다.[1] 이 경기는 한일전으로, 양 팀 모두에게 매우 중요했다.같은 날, 중국은 주팅의 득점에 힘입어 시리아를 1-0으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5. 3. 3·4위전
후나타니 게이스케가 득점하였으나, 마스시마 다쓰야의 자책골로 일본과 시리아는 1-1로 비겼다. 승부차기에서 일본이 4-3으로 승리하며 3위를 차지했다.승부차기에서 일본은 효도 신고, 나카야마 히로키, 데라다 신이치, 로버트 컬런이 득점에 성공하였고, 마스시마 다쓰야는 실축하였다. 시리아는 하산 알모스타파, 잘랄 알압디, 함제흐 알아이토니가 성공하였고, 아테프 제니아트, 메아타즈 카일루니는 실축하였다.
5. 4. 결승전
2004년 10월 9일, 쿠알라룸푸르 스타디움에서 열린 대회 결승전에서 대한민국이 중국을 2-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박주영은 이 경기에서 전반 37분과 44분에 연속으로 골을 넣어 대한민국의 승리를 이끌었다.6. 우승
대한민국 |
11번째 우승 |
7. 수상
대한민국한국어의 박주영 선수가 득점왕과 대회 MVP를 모두 차지하였다.
8. 2005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진출
2005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참가 자격을 획득한 팀은 다음과 같다.
- 대한민국 (2004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 중국 (2004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준우승)
- 일본 (2004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3위)
- 시리아 (2004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4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