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14년 아시안 게임 대한민국 선수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1. 개요

2014년 아시안 게임 대한민국 선수단은 대한민국 선수들이 참가한 2014년 아시안 게임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대한민국은 금메달 79개, 은메달 70개, 동메달 79개를 획득하여 종합 2위를 기록했다. 주요 종목별로 사격, 펜싱, 볼링, 정구, 태권도, 양궁, 유도, 요트, 사이클, 레슬링, 조정, 복싱, 우슈, 농구, 체조, 골프, 배드민턴, 근대5종, 카누, 핸드볼, 하키, 축구, 배구, 야구, 테니스, 육상, 세팍타크로, 수영, 다이빙, 탁구, 역도, 트라이애슬론, 가라테, 스쿼시, 카바디, 럭비, 크리켓, 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 수구, 소프트볼, 가라테, 크리켓, 탁구 등에서 메달을 획득하거나 경기를 치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수구 국가대표팀 - 2018년 아시안 게임 대한민국 선수단
    2018년 아시안 게임에 참가한 대한민국 선수단은 펜싱, 태권도, 양궁, 사이클, 유도 등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며, 구기 종목에서도 좋은 결과를 얻어 금메달 49개, 은메달 58개, 동메달 70개로 종합 3위를 기록했다.
  • 2014년 아시안 게임 선수단 - 2014년 아시안 게임 아프가니스탄 선수단
    2014년 아시안 게임 아프가니스탄 선수단은 크리켓 은메달 1개와 태권도 동메달 1개를 포함하여 총 2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 2014년 아시안 게임 선수단 - 2014년 아시안 게임 중화 타이베이 선수단
    2014년 아시안 게임 중화 타이베이 선수단은 인천 아시안 게임에 참가한 중화 타이베이 선수단의 활동을 보여주며, 특히 여자 축구 대표팀이 조별 리그에서 1승 2패로 조 3위를 기록하고 8강에서 대한민국에 패한 결과를 설명한다.
  • 아시안 게임 대한민국 선수단 - 2018년 아시안 게임 대한민국 선수단
    2018년 아시안 게임에 참가한 대한민국 선수단은 펜싱, 태권도, 양궁, 사이클, 유도 등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며, 구기 종목에서도 좋은 결과를 얻어 금메달 49개, 은메달 58개, 동메달 70개로 종합 3위를 기록했다.
  • 아시안 게임 대한민국 선수단 - 1954년 아시안 게임 대한민국 선수단
    1954년 아시안 게임 대한민국 선수단은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 대회에 참가하여 육상, 복싱, 축구, 역도, 레슬링 종목에서 금메달 8개, 은메달 6개, 동메달 5개를 획득했다.
2014년 아시안 게임 대한민국 선수단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 대한민국 선수단

2. 메달 집계

wikitable

종목centercentercenter합계
사격811827
펜싱86317
볼링71614
정구71412
태권도62210
양궁5319
유도52815
승마4116
요트4116
사이클3418
레슬링33612
조정2507
복싱2316
우슈2237
농구2002
체조1348
골프1304
배드민턴1225
근대5종1225
카누1113
핸드볼1102
하키1012
축구1012
배구1012
야구1001
테니스1001
육상04610
세팍타크로0404
수영0112
다이빙0145
탁구0134
역도0112
트라이애슬론0101
가라테0044
스쿼시0011
카바디0011
럭비0011
합계797079228


2. 1. 메달리스트

대한민국은 2014년 아시안 게임에서 금메달 79개, 은메달 71개, 동메달 84개를 획득하여 종합 2위를 기록하였다.

2. 2. 종목별 메달 집계

종목합계
20px 사격811827
20px 펜싱86317
20px 볼링71614
20px 정구71412
20px 태권도62210
20px 양궁5319
20px 유도52815
20px 승마4116
20px 요트4116
20px 사이클3418
20px 레슬링33612
20px 조정2507
20px 복싱2316
20px 우슈2237
20px 농구2002
20px 체조1348
20px 골프1304
20px 배드민턴1225
20px 근대5종1225
20px 카누1113
20px 핸드볼1102
20px 하키1012
20px 축구1012
20px 배구1012
20px 야구1001
20px 테니스1001
20px 육상04610
20px 세팍타크로0404
20px 수영0112
20px 다이빙0145
20px 탁구0134
20px 역도0112
20px 트라이애슬론0101
20px 가라테0044
20px 스쿼시0011
20px 카바디0011
20px 럭비0011
합계797079228


3. 주요 종목별 경기 결과

3. 1. [[파일:Shooting_pictogram.svg|30px]] 사격

30px
2014년 아시안 게임에서 '''사격''' 종목은 9월 20일부터 9월 30일까지 옥련국제사격장과 경기도종합사격장에서 진행되었다.

대한민국은 남자 50m 권총 단체전에서 진종오, 최영래, 이대명이 은메달을 획득했다. 진종오는 남자 50m 권총 개인전에서 7위를 기록했고, 남자 10m 공기권총 개인전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김청용은 남자 10m 공기권총 개인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진종오, 이대명과 함께 남자 10m 공기권총 단체전 금메달을 획득했다.

여자 25m 권총 단체전에서는 김장미, 곽정혜, 이정은이 금메달을 획득했다. 정지혜는 여자 10m 공기권총 개인전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김장미는 여자 10m 공기권총 개인전 7위, 여자 25m 권총 개인전 5위를 기록했다. 김설아, 김계남, 정미라는 여자 10m 공기소총 단체전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김준홍, 송종호, 장대규는 남자 25m 속사권총 단체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김준홍은 남자 25m 속사권총 개인전에서 금메달, 25m 스탠다드 권총 개인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김상도, 김현준, 한진섭은 남자 10m 공기소총 단체전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권준철, 박봉덕, 유재진은 남자 50m 소총 복사 단체전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김종현, 한진섭, 권준철은 남자 50m 소총 3자세 단체전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정미라는 여자 50m 소총 3자세 개인전에서 은메달을 획득했고, 음빛나, 나윤경과 함께 여자 50m 소총 복사 단체전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정미라, 유서영, 김설아는 여자 50m 소총 3자세 단체전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김미진은 여자 더블 트랩 개인전에서 금메달(세계 신기록)을 획득했고, 손혜경, 이보나와 함께 여자 더블 트랩 단체전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김민지는 여자 스키트 개인전에서 동메달을 획득했고, 손혜경, 곽유현과 함께 여자 스키트 단체전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신현우는 남자 더블 트랩 개인전 5위를 기록했다.

3. 2. [[파일:Fencing_pictogram.svg|30px]] 펜싱

대한민국은 2014년 아시안 게임 펜싱에서 금메달 8개, 은메달 6개, 동메달 3개를 획득했다.

남자 에페 종목에서는 정진선이 개인전 금메달, 박경두가 개인전 은메달을 획득했고, 단체전에서도 금메달을 획득했다. 남자 사브르 종목에서는 구본길이 개인전 금메달, 김정환이 개인전 은메달을 획득했고, 단체전에서도 금메달을 획득했다. 남자 플러레 종목에서는 허준이 개인전 동메달을 획득했고, 단체전에서는 4강에서 일본에 패하여 동메달을 획득했다.

여자 사브르 종목에서는 이라진이 개인전 금메달, 김지연이 개인전 동메달을 획득했고, 단체전에서도 금메달을 획득했다. 여자 플뢰레 종목에서는 전희숙이 개인전 금메달, 남현희가 개인전 동메달을 획득했고, 단체전에서도 금메달을 획득했다. 여자 에페 종목에서는 신아람이 개인전 은메달, 최인정이 개인전 동메달을 획득했고, 단체전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3. 3. [[파일:Bowling_pictogram.svg|30px]] 볼링

대한민국은 2014년 아시안 게임 볼링에서 남자 개인전, 2인조, 3인조, 5인조, 개인종합, 마스터즈, 여자 개인전, 2인조, 3인조, 5인조, 개인종합, 마스터즈 경기에 참가했다.

남자부 경기에서는 박종우가 개인종합에서 동메달, 마스터즈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강희원은 개인종합에서 5위를 기록했다.

여자부 경기에서는 이나영이 개인전 금메달, 2인조 은메달, 3인조 금메달, 5인조 은메달, 개인종합 금메달, 마스터즈 금메달을 획득하며 4관왕에 올랐다. 손연희는 2인조 은메달, 3인조 금메달, 5인조 은메달, 개인종합 4위, 마스터즈 동메달을 획득했다. 이영승과 정다운은 2인조 동메달, 3인조 금메달, 5인조 은메달을 획득했다. 김진선과 전은희는 5인조 은메달을 획득했다.

3. 4. [[파일:Tennis_pictogram.svg|20px]] 정구

2014년 아시안 게임 정구 종목에서 대한민국은 남자 단체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남자 단체전에는 김형준, 김동훈, 김범준, 이상권, 박규철이 출전하여 몽골, 라오스, 일본을 차례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는 중국을 2-0 (5-1, 4-0), 일본을 2-0 (5-3, 4-2)으로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다.

여자 단체전에서도 대한민국은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주옥, 김애경, 김보미, 윤수정이 출전하여 네팔, 일본을 꺾고 결승에 진출, 타이완을 2-0 (5-2, 4-0), 일본을 2-1 (5-2, 1-4, 5-2)로 이기고 금메달을 차지했다.

남자 단식에서는 김동훈이, 여자 단식에서는 김보미가 각각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남자 복식에서는 김동훈, 김범준 조가, 여자 복식에서는 김애경, 주옥 조가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혼합 복식에서는 김범준, 김애경 조가 금메달을 차지했다.

3. 5. [[파일:Taekwondo_pictogram.svg|30px]] 태권도

2014년 아시안 게임 태권도에서 대한민국은 금메달 6개, 은메달 2개, 동메달 2개를 획득하여 종합 1위를 차지하였다.

남자부에서는 김태훈이 -54kg급에서, 이대훈이 -63kg급에서, 조철호가 +87kg급에서 각각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송영건은 -74kg급에서 동메달을 획득했고, 박용현은 -80kg급, 신영래는 -87kg급에서 메달 획득에 실패했다.

여자부에서는 김소희가 -46kg급에서, 이아름이 -57kg급에서, 이다빈이 -62kg급에서 각각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윤정연은 -53kg급에서 은메달을 획득했고, 이원진은 -67kg급에서 은메달을 획득하였다. 박선아는 -49kg급에서 메달 획득에 실패했다.

3. 6. [[파일:Archery_pictogram.svg|30px]] 양궁

대한민국은 2014년 아시안 게임 양궁 종목에서 금메달 5개, 은메달 3개, 동메달 1개를 획득하였다.

'''남자'''

선수종목랭킹 라운드
점수
랭킹 라운드
순위
32강전16강전8강전준결승결승순위
오진혁개인전13622 자심 모하메드 마무드 자심
6-0
갱킨 데니스
6-2
다스 아타누
6-0
쿠오 쳉 웨이
6-0
용 지웨이
6-4
#넘겨주기
구본찬, 이승윤, 오진혁단체전41011부전승
6-0

6-0

4-5

5-3
#넘겨주기
최용희개인전7062 에바라힘 무슬림
145-134
사프리앗노
146-140
버마 압히셰크
142-147
진출 실패
최용희, 민리홍, 양영호단체전21061경기 없음부전승
238-231

228-227

225-227
#넘겨주기



'''여자'''

선수종목랭킹 라운드
점수
랭킹 라운드
순위
32강전16강전8강전준결승결승순위
정다소미개인전13641부전승 록 타이 다오
6-2
렉스 미라니
6-2
하야카와 렌
7-3
장혜진
7-1
#넘겨주기
장혜진, 정다소미, 이특영단체전40811경기 없음부전승
5-1

6-0

6-0
#넘겨주기
최보민개인전6951 폴론 스카야
138-124
란 티
142-140
황 위 조우
145-139
석지현
145-144
#넘겨주기
최보민, 김윤희, 석지현단체전20821경기 없음부전승
238-215

229-222

229-226
#넘겨주기


3. 7. [[파일:Judo_pictogram.svg|30px]] 유도

30px
유도 종목에서 대한민국은 금메달 5개, 은메달 2개, 동메달 8개를 획득하였다.

'''남자'''

남자 -60kg급의 김원진은 동메달 결정전에서 승리하여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66kg급의 최광현은 16강전에서 패배하여 탈락했다. -73kg급 방귀만은 동메달 결정전에서 승리하며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81kg급 김재범은 결승에서 Nassif Elias영어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90kg급 곽도한은 동메달 결정전에서 승리하여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100kg급 조구함은 동메달 결정전에서 승리하여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100kg급 김성민은 동메달 결정전에서 승리하여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남자 단체전에서는 결승에서 카자흐스탄을 꺾고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여자'''

여자 -48kg급 정보경은 동메달 결정전에서 승리하여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52kg급 정은정은 동메달 결정전에서 승리하여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57kg급 김잔디는 결승에서 山本 杏일본어에게 패배하여 은메달을 획득하였다. -63kg급 정다운은 결승에서 杨俊霞중국어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70kg급 김성연은 결승에서 新井 千鶴일본어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78kg급 정경미는 결승에서 설경한국어을 꺾고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78kg급 김은경은 동메달 결정전에서 승리하여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여자 단체전에서는 결승에서 일본에 패배하여 은메달을 획득하였다.

3. 8. [[파일:Sailing_pictogram.svg]]|20px]] 요트



2014년 아시안 게임에서 대한민국은 남자 레이저, 미스트랄, RS:X, 옵티미스트, 딩기 420, 딩기 470, 여자 RS:One, RS:X, 레이저 레이디얼, 옵티미스트, 딩기 420, 29er, 그리고 오픈 호비-16 종목에 참가하였다.
남자

선수종목레이스포인트순위
123456789101112
하지민레이저231112113113117align=center|
서동우미스트랄242355446645444
이태훈RS:X324125356422334
박성빈옵티미스트211222111111216align=center|
김우엽, 김인수딩기 420657777888887788
김창주, 김지훈딩기 47031322231361324align=center|


여자

선수종목레이스포인트순위
123456789101112
이유진RS:One666556575656616
천새빈RS:X443444443444424
이경진레이저 레이디얼767599136444566
김다정옵티미스트575574643755565
이나경, 최서은딩기 420551543113123align=center|
김지아, 강재현29er566545463545525


오픈매치

선수종목레이스포인트순위
123456789101112
김근수, 송민재오픈 호비-1611391111232218align=center|



3. 9. [[파일:cycling_pictogram.svg]]|20px]] 사이클

대한민국은 2014년 아시안 게임 사이클 종목에 참가하여 남자 도로 경기, 트랙 경기, MTB, BMX 경기에서 다양한 성적을 거두었다.

남자 개인 타임트라이얼에서 최형민은 52분 50초 49의 기록으로 6위를 차지했다. 남자 로드레이스에서는 장경구가 4시간 7분 52초로 완주했고, 박성백은 4시간 14분 29초로 16위를 기록했다. 여자 개인 타임트라이얼에서는 나아름이, 여자 로드레이스에서는 나아름과 구성은이 각각 3시간 39분 33초를 기록했다.

남자 경륜에서 강동진은 1차 라운드를 통과했으나 최종 9위를 기록했고, 임채빈은 패자부활전을 거쳐 최종 7위에 올랐다. 여자 경륜에서는 김원경이 5위, 이혜진이 4위를 차지했다.

남자 스프린트에서 임채빈은 5위, 최래선은 7위를 기록했다. 남자 팀 스프린트에서는 손제용, 강동진, 임채빈이 은메달을 획득했다. 여자 스프린트에서는 이은지와 이혜진이 순위 경쟁을 펼쳤고, 여자 팀 스프린트에서는 이혜진, 김원경이 은메달을 획득했다.

남자 단체 추발에서는 장선재, 임재연, 박상훈, 박건우가 은메달을 획득했고, 여자 단체 추발에서는 이채경, 손희정, 김유리, 나아름이 금메달을 획득했다.

남자 옴니엄에서 조호성은 은메달을, 여자 옴니엄에서 나아름은 금메달을 획득했다.

MTB 남자 크로스컨트리에서 권순우는 1시간 48분 58초로 5위, 유범진은 1시간 49분 15초로 6위를 기록했다. 여자 크로스컨트리에서는 유다정이 1시간 36분 36초로 6위를 차지했다.

BMX 남자 모토스에서 김영은 6위, 제갈현은 8위를 기록했고, 여자 모토스에서는 박민이가 5위를 차지했다.

3. 10. [[파일:Wrestling_pictogram.svg]]|20px]] 레슬링

20px
레슬링 종목에서는 그레코로만형, 남자 자유형, 여자 자유형으로 나뉘어 경기가 진행되었다.
그레코로만형

선수종목16강전8강전준결승패자부활전동메달 결정전결승순위
김영준- 59kg P. 에르덴에빌리그
4-1
Z. 카니벡
3-0
하세가와 코헤이
0-5
경기없음 티안 키예
0-3
진출실패5
류한수- 66kg 젠 팡
5-0
바뱡가드 아프신
3-0
타스무라토프 엘무랏
3-1
경기없음 마츠토모 류타로
3-0
#넘겨주기
정지현- 71kg경기없음 야다프 크리샹칸트
4-0
압드발리 새이드
3-1
경기없음 투르디예프 딜리쇼드존
4-0
#넘겨주기
김현우- 75kg경기없음 쉬르다코프 사메트
3-0
카르티코프 독잔
5-0
경기없음 카나쿠보 타케히로
3-0
#넘겨주기
이세열- 85kg 오카 타이치
3-0
카림파 모즈타바
5-0
베이쉐베코프 아자트
3-0
경기없음 아싸칼로프 러스탐
0-4
#넘겨주기
구학봉- 98kg경기없음 이스카코프 예루란
0-3
진출실패
김영민- 130kg경기없음 M. 라만
3-0
멘 키앙
3-1
경기없음 티날리예프 누르마칸
0-3
#넘겨주기


자유형

선수종목16강전8강전준결승패자부활전동메달 결정전결승순위
윤준식- 57kg 홍 시아오빈
4-1
라히미 핫산
3-0
칼리예프 라수르
1-3
경기없음 노예프 니콜라이
3-1
진출실패#넘겨주기
이승철- 61kg G. 아메드
4-1
E. 마소우드
1-3
진출실패 켄쟈에프 잠시드
3-1
니야즈베코프 다울렛
4-1
진출실패#넘겨주기
오만호- 70kg경기없음 D. 엘라만
3-1
장명성
3-1
경기없음 A. 벡조드
1-3
#넘겨주기
이상규- 74kg D. 곰보도리
3-1
장 총야오
3-1
아크바리자린콜라엘 에자톨라
1-3
경기없음 B. 아세드
3-1
진출실패#넘겨주기
김관욱- 86kg 마츠모토 신야
3-0
P. 우스크바이터
3-1
모스타파조르카 메이삼
1-3
경기없음 장 펭
4-0
진출실패#넘겨주기
윤채욱- 97kg경기없음 카라타예프 너야디
3-0
야즈다니 레자
1-3
경기없음 도르즈칸드 쿠더불가
1-3
진출실패5
남경진- 125kg경기없음 레자예프 아이엘
3-0
H. 파비즈
1-3
경기없음 J. 출룬바트
3-1
진출실패#넘겨주기


여자 자유형

선수종목16강전8강전준결승패자부활전동메달 결정전결승순위
이유미- 48kg 도사카 에리
1-3
진출실패 에르데넨수크 나랑제렐
1-3
진출실패
엄지은- 55kg경기없음 정인선
1-3
진출실패
김경은- 63kg 라트솜포우 오데이
4-0
와타리 리오
0-5
진출실패 첸 웬 링
3-1
수키 서렌치메드
0-4
진출실패5
황은주- 75kg경기없음 만유로바 구잘
0-5
진출실패경기없음 유 팅
3-0
진출실패#넘겨주기



3. 11. [[파일:Rowing_pictogram.svg]]|20px]] 조정

대한민국은 2014년 아시안 게임 조정에서 남자 싱글 스컬, 더블 스컬, 쿼더러플 스컬, 경량급 싱글 스컬, 여자 싱글 스컬, 경량급 싱글 스컬, 페어, 쿼더러플 스컬 등 다양한 세부 종목에 참가했다.

'''남자'''

김동용은 남자 싱글 스컬 결승에서 7:06.17을 기록했다. 이학범은 남자 경량급 싱글 스컬 결승에서 7:25.95를 기록했다. 김휘관과 최도섭은 남자 더블 스컬 결승에서 6:35.95로 4위를 기록했다. 김인원, 김휘관, 이선수, 최도섭은 남자 쿼더러플 스컬 결승에서 6:36.44를 기록했다. 김인원, 강태윤, 이서원, 박태현은 남자 경량급 쿼더러플 스컬 결승에서 6:10.35로 4위를 기록했다.

'''여자'''

김예지는 여자 싱글 스컬 결승에서 8:46.52를 기록했다. 지유진은 여자 경량급 싱글 스컬 결승에서 8:01.00을 기록했다. 전서영과 김서희는 여자 페어 결승에서 7:45.73을 기록했다. 김슬기, 마세롬, 전서영, 김아름은 여자 쿼더러플 스컬 결승에서 6:46.54를 기록했다. 전지혜, 정혜원, 김솔지, 박연희는 여자 경량급 쿼더러플 스컬 결승에서 8:14.13으로 6위를 기록했다.

3. 12. [[파일:Boxing_pictogram.svg]]|20px]] 복싱

대한민국은 2014년 아시안 게임 복싱 종목에 남자 10명, 여자 3명의 선수를 출전시켰다. 남자부에서는 함상명이 -56kg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였고, 신종훈이 -49kg급, 임현철이 -64kg급에서 각각 은메달을 획득했다. 김형규는 -81kg급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여자부에서는 박지나가 57-60kg급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대한민국 여자 복싱 사상 첫 아시안 게임 메달을 기록했다.

선수세부 종목32강16강8강준결승결승
상대 선수
결과
상대 선수
결과
상대 선수
결과
상대 선수
결과
상대 선수
결과
순위
신종훈-49kg경기없음함정혁한국어
3-0
L. 싱그영어
3-0
B. 안도니영어
3-0
자키포프 버잔kk
3-0
align=center|
최상돈-52kg겔 첸영어
3-0
B. 클락영어
3-0
S. 일랴스kk
1-2
진출실패
함상명-56kg경기없음권철국한국어
3-0
N. 투그소크mn
3-0
Y. 캐라트kk
3-0
장지아웨이중국어
3-0
align=center|
한순철-60kg한상룡한국어
3-0
아디 살롬th
3-0
A. 무스타파영어
0-3
진출실패
임현철-64kg경기없음리 콴롱중국어
3-0
사케노프 에르메크ky
3-0
카와치 마사츠구일본어
3-0
마수크 위티차이th
1-2
align=center|
구교성-69kg스즈키 야스히로일본어
0-3
진출실패
김대환-75kg와히드영어
0-3
진출실패
김형규-81kg경기없음부전승A. 아스란벡tk
3-0
M. 오이벡uz
3-0
니야짐토프 아딜벡kk
1-2
align=center|
박남형-91kg경기없음암 리트프릿영어
2-1
사나울라영어
3-0
핀추크 안톤kk
0-3
진출실패align=center|
김도현+91kg경기없음부전승델라바리 자삼fa
1-2
진출실패



선수세부 종목32강16강8강준결승결승
상대 선수
결과
상대 선수
결과
상대 선수
결과
상대 선수
결과
상대 선수
결과
순위
김예지48-51kg청내이장 메리 콤영어
0-3
진출실패
박지나57-60kg부전승라나 사라스와티ne
TKO
데비 샤리타영어
3-0
잉 준화중국어
0-3
align=center|
최수연69-75kg쉔 다라 플로라중국어
0-3
진출실패


3. 13. [[파일:Wushu_pictogram.svg]]|20px]] 우슈

대한민국은 2014년 아시안 게임 우슈 종목에 참가하여 남자 투로, 산타, 여자 투로, 산타 경기를 치렀다.

남자 투로 종목에서는 이하성이 장권에서 9.71점을 획득했다. 이용현은 도술&곤술에서 19.36점으로, 이용문은 남권&남곤에서 19.25점으로 6위를 기록했다. 김동영은 태극권&태극검에서 19.13점으로 7위를 차지했다.

여자 투로 종목에서는 임성은이 남도&남권에서 18.90점으로 8위를 기록했고, 서희주는 검술&창술에서, 김옥진은 태극권&태극검에서 18.87점으로 9위를 차지했다.

남자 산타 종목에서는 강영식이 -60kg급에서 동메달을 획득했고, 유상훈이 -70kg급에서 은메달, 김명진이 -75kg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박승모는 -65kg급에 출전했으나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

여자 산타 종목에서는 김혜빈이 -52kg급에서 동메달을 획득했고, 송선영은 -60kg급에 출전했으나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

3. 14. [[파일:Basketball_pictogram.svg]]|30px]] 농구

2014년 아시안 게임에서 대한민국 농구 국가대표팀은 남녀 모두 금메달을 획득하는 쾌거를 달성했다.

남자 대표팀은 본선 리그 D조에서 몽골과 요르단을 꺾고 2승으로 8강에 진출했다. 8강 리그 H조에서는 카자흐스탄, 필리핀, 카타르를 모두 이기고 3승으로 4강에 올랐다. 4강전에서는 일본을 71:63으로 이겼으며, 결승전에서는 이란을 79:77로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다.

경기승점
220188126+626
211140164-243
202143181-380



경기승점
330239213+269
312192198-63
312230239-93
312190201-113



여자 대표팀은 8강전에서 몽골을 124:41로 대파하고 4강에 진출했다. 4강전에서는 일본을 58:53으로 꺾었으며, 결승전에서 중국을 70:64로 누르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3. 15. [[파일:Gymnastics_pictogram.svg]]|30px]] 체조

2014년 아시안 게임 체조는 남자 기계체조, 여자 기계체조, 리듬체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남자 기계체조 단체전에서는 대한민국 대표팀이 350.875점으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개인종합에서는 이상욱이 87.200점으로 동메달을 획득했고, 박민수는 82.300점으로 10위를 기록했다. 종목별 결승에서는 양학선이 도마에서 15.200점으로 금메달을, 박민수가 안마에서 14.700점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신동현은 마루(14.900점)와 안마(14.666점)에서 각각 4위를 기록했고, 이상욱은 철봉에서 15.000점으로 4위를 차지했다. 박민수는 평행봉에서 15.266점으로 5위를, 김희훈은 도마에서 14.033점으로 6위를, 양학선은 마루(14.100점)와 링(14.700점)에서 각각 7위를 기록했다. 박민수는 철봉에서 14.366점으로 6위를 기록했다.

여자 기계체조 단체전에서는 대한민국 대표팀이 208.725점으로 4위를 기록했다. 개인종합에서는 윤나래가 55.000점으로 동메달을 획득했고, 박지수는 51.575점으로 8위를 기록했다. 종목별 결승에서는 윤나래가 마루에서 13.700점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엄다연은 이단평행봉에서 13.300점으로 6위를, 박지수는 마루에서 13.333점으로 6위를 기록했고, 윤나래는 이단평행봉에서 13.125점으로 7위를 기록했다.

리듬체조에서는 손연재가 개인종합에서 71.699점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김윤희는 63.666점으로 9위를 기록했다. 손연재, 김윤희, 이나경, 이다애로 구성된 대한민국 대표팀은 단체전에서 164.046점으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3. 16. [[파일:Golf_pictogram.svg]]|20px]] 골프

3. 17. [[파일:Badminton_pictogram.svg]]|20px]] 배드민턴

20px
배드민턴 종목에서는 남자, 여자 단식, 복식, 단체전 및 혼합 복식 경기가 진행되었다. 대한민국은 남자 단체전에서 금메달, 남자 복식에서 은메달, 여자 단체전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남자 복식의 김기정/김사랑, 여자 단식의 배연주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남자

선수종목64강32강16강8강준결승결승순위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전혁진
김기정
김사랑
고성현
이동근
이현일
이용대
신백철
손완호
유연성
단체경기 없음경기 없음
인도
3–0

일본
3–2

중화 타이베이
3–0

중국
3–2
]]}}

|-

|이동근

|rowspan="2"|단식

|
'''승''' '''2'''–0
21–8, 21–5

|
'''패''' 0–'''2'''
12–21, 26–28

|colspan=5 align="center"|진출 실패

|-

|손완호

| 부전승

|
'''승''' ''2'''–0
21–8, 21–10

|
'''승''' '''2'''–1
19–21, 11–21, 18–21

|
'''패''' 0–'''2'''
16–21, 19–21

|colspan=3 align="center"|진출 실패

|-

|이용대
유연성

|rowspan="2"|복식

| 경기 없음

| 부전승

|

'''승''' '''2'''–0
21–17, 21–18

|

'''승''' '''2'''–0
21–16, 21–11

|

'''승''' '''2'''–0
21–6, 21–15

|

'''패''' 1–'''2'''
16–21, 21–16, 17–21

|align=center|}]]}}

|-

|김기정
김사랑

| 경기 없음

| 부전승

|

'''승''' '''2'''–0
21–14, 21–15

|

'''승''' '''2'''–0
21–15, 21–15

|

'''패''' 1–'''2'''
21–19, 16–21, 18–21

|align="center"|진출 실패

|align=center|}]]}}

|}
여자

선수종목32강16강8강4강결승순위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배연주
장예나
고아라
정경은
김하나
김효민
김소영
고은별
성지현
유해원
단체경기 없음부전승
중화 타이베이
3–0

인도
3–1

중국
3–0
]]}}

|-

|성지현

|rowspan="2"|단식

|
'''승''' '''2'''–0
21–12, 21–12

|
'''승''' '''2'''–0
21–16, 21–13

|
'''패''' 1–'''2'''
14–21, 21–9, 17–21

|colspan=3 align="center"|진출 실패

|-

|배연주

|
'''승''' ''2'''–0
21–19, 21–12

|
'''승''' ''2'''–1
18–21, 21–18, 21–15

|
'''승''' '''2'''–1
21–4, 18–21, 21–8

|
'''패''' 1–'''2'''
10–21, 21–12, 16–21

|align=center|진출 실패

|align=center|}]]}}

|-

|장예나
김소영

|rowspan="2"|복식

| 부전승

|

'''패''' 0–'''2'''
17–21, 18–21

|colspan=4 align="center"|진출 실패

|-

|정경은
김하나

| 부전승

|

'''승''' '''2'''–0
21–17, 21–19

|

'''패''' 1–'''2'''
13–21, 21–19, 19–21

|colspan=3 align="center"|진출 실패

|}
혼합 복식

선수종목32강16강8강4강결승순위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고성현
김하나
혼합 복식

2–0
21–6, 21–6


2–0
21–13, 21–15


1–2
9–21, 21–9, 15–21
진출 실패
신백철
장예나


2–0
21–2, 21–11


2–1
16–21, 21–11, 21–18


1–2
21–19, 16–21, 9–21
진출 실패


3. 18. [[파일:Modern_pentathlon_pictogram_(pre-2025).svg]]|20px]] 근대5종

2014년 아시안 게임 근대5종 경기는 펜싱, 수영, 승마, 복합(크로스컨트리+사격) 종목으로 진행되었다. 남자 개인전에는 정진화, 이우진, 황우진, 정훤호가 출전하였고, 여자 개인전에는 양수진, 최민지, 정미나, 김선우가 출전하였다.

남자 단체전에서는 895점(펜싱), 1341점(수영), 839점(승마), 2312점(복합)을 획득하여 합계 5387점으로 2위를 기록했다. 여자 단체전에서는 930점(펜싱), 1165점(수영), 1141점(승마), 1884점(복합)을 획득하여 합계 5120점으로 2위를 기록했다.

{| class="wikitable"

|-

! 남자 개인전 세부 경기 결과

|-

|

선수펜싱수영
(200m 자유형)
승마복합
(크로스컨트리+사격)
합계최종 순위
점수순위기록점수순위기록점수순위기록점수순위
정훤호251723042:06.4932112EL02023:32.705912114219
정진화241822572:00.6133941:03.38293323:38.4958441443
이우진231922091:59.6534221:11.762681223:57.67566913969
황우진231922092:00.3533931:04.732781123:55.03569814065



|}

{| class="wikitable"

|-

! 여자 개인전 세부 경기 결과

|-

|

선수펜싱수영
(200m 자유형)
승마복합
(크로스컨트리+사격)
합계최종 순위
점수순위기록점수순위기록점수순위기록점수순위
양수진301026032:18.1728671:02.94293226:38.6847391312
최민지281225052:14.2829811:03.63300127:02.10450131298
정미나2020210122:15.1529531:04.20285626:42.194701112608
김선우2020210122:18.1528661:12.352631126:21.53491712509



|}

3. 19. [[파일:Canoeing_pictogram.svg]]|20px]] 카누/카약

카누 종목에서는 남자 및 여자 스프린트, 슬라럼 경기가 진행되었다.

남자 스프린트 C-1 200m에 출전한 김태은은 결승에서 41.942초로 6위를 기록했고, C-1 1000m에서는 4분 09.332초로 4위를 차지했다. 박승진과 구재욱은 C-2 1000m에서 4분 10.641초로 8위에 올랐다. K-1 200m의 조광희는 35.464초로 금메달을 획득했고, K-1 1000m의 박정훈은 3분 54.436초로 6위를 기록했다. 조민규와 송긍호는 K-2 200m에서 33.220초로 4위를, 조정현과 김지원은 K-2 1000m에서 3분 29.053초로 7위를 차지했다. 이현우, 최재영, 이현우, 박정훈은 K-4 1000m에서 3분 14.335초로 7위에 올랐다.

여자 스프린트 K-1 200m의 김국주는 42.036초로 4위를 기록했고, K-1 500m의 이순자는 1분 54.852초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혜란과 김유진은 K-2 500m에서 1분 50.049초로 5위를 차지했으며, 이민, 이순자, 이혜란, 김유진은 K-4 500m에서 1분 36.890초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남자 슬라럼 카누 종목의 오예찬은 16강에서 챙 유 추안(대만)에게 패하여 탈락했고, 김범수는 16강 진출에 실패했다. 카약 종목의 이정현은 16강에서 탈락했고, 송민형은 패자부활전을 거쳐 16강에 진출했으나 탈락했다.

여자 슬라럼 카누 종목의 추민희는 8강에서 첸 시(중국)에게 패하여 탈락했고, 카약 종목에서도 8강에서 야자와 아키(일본)에게 패하며 탈락했다.

3. 20. [[파일:Handball_pictogram.svg]]|20px]] 핸드볼

2014년 아시안 게임에서 대한민국 핸드볼 국가대표팀은 남자부 은메달, 여자부 금메달을 획득했다.

남자 대표팀은 D조 예선에서 일본, 인도, 차이니스 타이베이를 차례로 꺾고 3전 전승으로 본선에 진출했다. 본선 2조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오만을 모두 이기고 3승으로 4강에 올랐다. 4강전에서 바레인을 27:23으로 꺾었으나, 결승전에서 카타르에 21:24로 패하며 은메달을 획득했다.

여자 대표팀은 A조 예선에서 인도, 태국, 중국을 꺾고 3전 전승을 기록했다. 4강전에서 카자흐스탄을 41:30으로 이기고, 결승에서 일본을 29:19로 꺾으며 금메달을 차지했다.

3. 21. [[파일:Hockey_pictogram.svg]]|20px]] 하키

하키2014년 아시안 게임에서 남자부와 여자부 경기가 모두 진행되었다. 남자 대표팀은 A조 예선에서 4승을 거두며 조 1위로 4강에 진출했지만, 인도에 0:1로 패했다. 이후 동메달 결정전에서 말레이시아를 3:2로 꺾고 동메달을 획득했다.

경기승점
4400251+2412
4301186+129
4202228+146
4103321-183
4004335-320



'''4강전'''

'''동메달 결정전'''

동메달을 획득한 대한민국 남자 하키 국가대표팀 명단은 다음과 같다. 이명호, 오대근, 이남용, 강문권, 이승일(주장), 윤성훈, 유효식, 정만재, 강문규, 현혜성, 홍은성, 김영진, 이승훈, 김성규, 장종현, 남현우, 감독은 신석교였다.

여자 대표팀은 B조 예선에서 3승으로 조 1위를 기록하고, 4강전에서 인도를 3:1로 꺾었다. 결승전에서는 중국을 1:0으로 이기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9월 22일, 여자 하키 대한민국 대 카자흐스탄


경기승점
3300210+219
3201222+206
3102519-143
3003027-270



'''4강전'''

'''결승전'''

금메달을 획득한 대한민국 여자 하키 국가대표팀 명단은 다음과 같다. 허재성, 김현지, 심혜정, 안효주, 한혜령, 박미현, 김종은(주장), 김다래, 조은비, 서정은, 김옥주, 오선순, 박기주, 장수지, 이영실, 천은비, 감독은 한진수였다.

3. 22. [[파일:Football_pictogram.svg]]|20px]] 축구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에서 대한민국은 남자부 금메달, 여자부 동메달을 획득했다.

남자 대표팀은 조별 리그에서 말레이시아, 사우디아라비아, 라오스를 차례로 꺾고 3전 전승으로 16강에 진출했다. 16강에서 홍콩을 3-0으로, 8강에서 일본을 1-0으로 이겼다. 준결승에서는 태국을 2-0으로 꺾고 결승에 진출, 결승전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연장 접전 끝에 1-0으로 누르고 금메달을 차지했다. 임창우는 결승전에서 결승골을 기록했다.

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330060+69
320161+56
310246-23
300309-90



여자 대표팀은 조별 리그에서 태국, 인도, 몰디브를 모두 이기고 3전 전승으로 8강에 진출했다. 8강에서 중화 타이베이를 1-0으로 꺾었으나, 준결승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1-2로 패했다. 동메달 결정전에서 베트남을 3-0으로 이기고 동메달을 획득했다.

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3300280+289
3201205+156
21021520-53
3003038-380


3. 23. [[파일:Volleyball_pictogram.svg]]|20px]] 배구

대한민국은 2014년 아시안 게임 배구 종목에서 남자 실내 배구 동메달, 여자 실내 배구 금메달을 획득했다.

남자 배구 대표팀은 예선 A조에서 카자흐스탄, 중화 타이베이, 카타르를 차례로 꺾고 3승으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플레이오프 E조에서는 인도에게 승리하였으나, 이란에게 1-3으로 패했다. 8강전에서 태국을 3-1로 꺾었으나, 준결승에서 일본에게 1-3으로 패하며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동메달 결정전에서는 중국을 3-1로 꺾고 동메달을 차지했다.

국가세트 득실점수 득실승점
30090+9225183+429
20163+3213200+136
10238-5224254-303
00329-7230255-250


  • 9월 20일 '''''' '''3'''(25-16, 25-21, 25-23)'''0'''
  • 9월 24일 '''''' '''3'''(25-22, 25-18, 25-20)'''0'''
  • 9월 27일 '''''' '''3'''(25-22, 25-19, 25-22)'''0'''
  • 9월 28일 '''''' '''3'''(25-22, 27-25, 25-18)'''0'''
  • 9월 29일 '''1'''(21-15, 19-25, 25-23, 19-25)'''3'''
  • 10월 1일 '''''' '''3'''(25-21, 25-27, 25-21, 25-19)'''1'''
  • 10월 2일 '''1'''(19-25, 25-18, 18-25, 23-25)'''3'''
  • 10월 3일 '''3'''(20-25, 25-20, 25-13, 25-22)'''1'''


15px
대한민국 남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박기원 감독의 지휘 아래 한선수 (주장), 송명근, 신영석, 이민규, 박상하, 곽승석, 부용찬, 최민호, 전광인, 박철우, 서재덕, 정민수 선수로 구성되었다.

여자 배구 대표팀은 예선 A조에서 인도, 태국, 일본을 모두 3-0으로 꺾고 3전 전승을 거두었다. 8강전에서 홍콩을 3-0, 준결승에서 일본을 3-0으로 완파하고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는 중국을 3-0으로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국가세트 득실점수 득실승점
30090+9225143+829
20164+2237202+356
10246-2211204+73
00306-6101225-1240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이선구 감독과 어창선 코치의 지휘 아래 김연경 (주장), 이효희, 김희진, 김해란, 이재영, 남지연, 이다영, 한송이, 박정아, 양효진, 배유나, 백목화 선수로 구성되었다.

남자 비치발리볼에서는 문정현/이희윤 조와 김대경/차영민 조가 출전했으나, 두 조 모두 예선에서 탈락했다. 여자 비치발리볼에서는 윤혜숙/이은아 조와 김가연/전하늘 조가 출전했으나, 두 조 모두 16강 진출에 실패했다.

3. 24. [[파일:Baseball_pictogram.svg]]|20px]] 야구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은 2014년 아시안 게임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조별 리그 B조에서 태국, 대만, 홍콩을 상대로 모두 콜드게임 승리를 거두며 3전 전승으로 준결승에 진출했다. 9월 22일 태국과의 경기에서 15:0(5회 콜드게임), 9월 24일 대만과의 경기에서 10:0(8회 콜드게임), 9월 25일 홍콩과의 경기에서 12:0(7회 콜드게임)으로 승리했다. 특히 대만전에서는 강정호, 오재원, 박병호가 홈런을 기록했다.

준결승에서는 중국을 7:2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9월 27일 열린 준결승전에서 강정호와 박병호가 홈런을 기록하며 팀 승리에 기여했다. 결승전에서는 대만을 6:3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9월 28일에 열린 결승전에서 대한민국은 8회에 4점을 얻어 경기를 뒤집었다.

3. 25. [[파일:Tennis pictogram.svg|20px]] 테니스

대한민국은 2014년 아시안 게임 테니스 남자 단식에 조민혁정현이 출전하였으나, 각각 3회전과 2회전에서 탈락했다. 남자 복식에서는 정현과 임용규가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들은 결승에서 인도의 미네미 사이와 크리스탄 싱 조를 2-0으로 꺾었다. 남자 단체전에서는 정현과 임용규가 출전했으나, 8강에서 우즈베키스탄에 패해 탈락했다.

여자 단식에서는 장수정과 이예라가 각각 3회전에서 탈락했다. 여자 복식에서는 이소라와 최지희 조, 유미한나래 조 모두 1, 2회전에서 탈락했다. 여자 단체전에서는 장수정, 한나래, 유미가 출전했으나, 8강에서 일본에 패해 탈락했다.

혼합 복식에서는 김청의와 한나래 조, 임용규와 유미 조 모두 8강에서 탈락했다.

3. 26. [[파일:Triathlon_pictogram.svg]]|20px]] 트라이애슬론

대한민국은 2014년 아시안 게임 트라이애슬론 남자 개인전에 김지환과 허민호가 출전하였다. 김지환은 수영 17분 59초(8위), 트랜스1 18분 27초(8위), 사이클 1시간 17분 21초(4위), 트랜스2 1시간 17분 44초(4위), 달리기 34분 09초(6위)로 최종 1시간 51분 53초의 기록으로 6위를 차지했다. 허민호는 수영에서 19분 18초(10위), 트랜스1에서 19분 45초(10위)를 기록했으나, 사이클 경기 도중 기권했다.

여자 개인전에는 조아름이 출전하여 수영 19분 30초(1위), 트랜스1 20분 4초(1위), 사이클 1시간 26분 39초(6위), 트랜스2 1시간 27분 5초(5위), 달리기 39분 50초(7위)로 최종 2시간 6분 55초를 기록하며 6위를 차지했다.

혼성 릴레이에는 정혜림, 허민호, 김규리, 김지환이 출전하여 1시간 18분 39초의 기록으로 2위를 차지했다.

3. 27. [[파일:Diving_pictogram.svg]]|30px]] 다이빙

다이빙 종목에서는 남자 1m 스프링보드, 3m 스프링보드, 10m 플랫폼, 싱크로나이즈 3m 스프링보드, 싱크로나이즈 10m 플랫폼 경기가 진행되었다. 우하람은 남자 1m 스프링보드에서 은메달, 10m 플랫폼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김영남우하람은 싱크로나이즈 3m 스프링보드에서 은메달, 싱크로나이즈 10m 플랫폼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총 4개의 은메달을 획득했다.

여자부 경기에서는 1m 스프링보드, 3m 스프링보드, 10m 플랫폼, 싱크로나이즈 3m 스프링보드, 싱크로나이즈 10m 플랫폼 경기가 진행되었다. 김나미는 여자 1m 스프링보드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선수세부 종목점수최종 순위
우하람1m 스프링보드410.00#넘겨주기
우하람10m 플랫폼499.30#넘겨주기
김영남
우하람
싱크로나이즈 3m 스프링보드399.09#넘겨주기
싱크로나이즈 10m 플랫폼403.50#넘겨주기
김나미1m 스프링보드269.85#넘겨주기


3. 28. [[파일:Rugby pictogram.svg]]|30px]] 럭비

2014년 아시안 게임 럭비에서 대한민국 럭비 국가대표팀은 남자팀과 여자팀이 모두 참가했다.

남자팀은 예선에서 레바논, 대만, 스리랑카를 차례로 꺾고 조 1위로 8강에 진출했다. 8강에서는 태국을 31-12로 이겼으나, 준결승에서 홍콩에 7-15로 패했다. 이후 동메달 결정전에서 스리랑카를 다시 만나 17-14로 승리하여 동메달을 획득했다. 남자 대표팀 선수로는 한건규, 윤태일, 오윤형, 김성수, 박완영, 정연식, 양영훈, 김광민, 김현수, 김남욱, 이용승이 참가하였다.

여자팀은 예선에서 싱가포르, 일본, 중국, 우즈베키스탄에 모두 패하여 9-10위 결정전으로 밀려났다. 9-10위 결정전에서는 라오스를 34-0으로 크게 이기고 최종 9위를 기록했다. 여자 대표팀 선수로는 임재원, 최민정, 정시윤, 최예슬, 서보희, 김동리, 서미지, 이지수, 유진수, 정혜수, 이주연, 황수진이 참가하였다.

3. 29. [[파일:Weightlifting_pictogram.svg]]|30px]] 역도

역도 종목에서는 남자 8체급, 여자 7체급으로 나누어 경기가 진행되었다. 각 체급별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자'''

선수세부 종목인상용상합계
1차 시기2차 시기3차 시기기록순위1차 시기2차 시기3차 시기기록순위합산 기록순위
고석교- 56kg10511211711210135140143140925210
한명목- 62kg138142143143215716616615773005
원정식- 69kg1431481481435170183align=center|17073136
사재혁- 85kg165171align=center|1712207207210align=center|align=center|--
정태홍157157157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DNF
이창호- 94kg1551601601605200207align=center|2073367#넘겨주기
김민재- 105kg17718218218222102152212152397#넘겨주기
함상일+ 105kg170177177170922022022022083908



'''여자'''

선수세부 종목인상용상합계
1차 시기2차 시기3차 시기기록순위1차 시기2차 시기3차 시기기록순위합산 기록순위
임정화- 48kg787878787961011029661747
서정미- 58kg85909185510310811010361887
김수경- 63kg90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DNF
김수현- 69kg9410010094612212713113132254
황푸름- 75kg105110112105513313414113452395
손영희+ 75kg111115120120715315916216222824
이휘솔116121124124514815515515562796



3. 30. [[파일:Swimming_pictogram.svg]]|30px]] 수영

30px
2014년 아시안 게임 수영 종목에서 대한민국 선수단은 남자, 여자 자유형, 배영, 평영, 접영, 개인혼영, 계영, 혼계영 등 다양한 세부 종목에 참가하여 경기를 펼쳤다.

남자부 경기에서는 박태환이 자유형 100m, 200m, 400m, 1500m에 출전하였고, 양정두는 자유형 50m와 접영 50m에서, 박선관은 배영 50m, 100m에서, 임태정은 배영 100m, 200m에서 결선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박태환은 자유형 1500m에서 4위를 기록하였다. 평영 종목에서는 최규웅이 100m와 200m 모두 결선에 진출했고, 접영에서는 장규철이 100m, 200m에서 결선에 진출하여 각각 5위와 6위를 기록했다. 정원용은 개인혼영 200m와 400m 모두 결선에 진출하여 각각 7위와 6위를 기록했다. 계영 4x100m, 4x200m, 혼계영 4x100m에는 여러 선수들이 팀을 이루어 출전하였다.

여자부 경기에서는 이재영이 자유형 50m에서 4위를 기록하였고, 고미소는 자유형 100m 결선에 진출했다. 김정혜는 자유형 200m 결선에 진출하였으며, 김수연은 자유형 400m에서, 조현주는 자유형 800m에서 4위를 기록했다. 배영에서는 박한별이 50m에서 4위를 기록하고, 이다린이 100m, 200m에서, 이도륜이 배영 200m에서 결선에 진출했다. 평영에서는 양지원이 50m, 100m에서, 권민지가 100m, 200m에서, 백수연이 200m에서 결선에 진출했다. 접영에서는 안세현이 50m, 100m, 200m에서 모두 결선에 진출하는 저력을 보였다. 개인혼영에서는 김서영과 남유선이 200m, 400m에 출전하여 결선에 진출했다. 계영 4x100m, 4x200m, 혼계영 4x100m에도 여러 선수들이 팀을 이루어 출전하여 경기를 치렀다.

3. 31. [[파일:Sepaktakraw_pictogram.svg]]|20px]] 세팍타크로

2014년 아시안 게임 세팍타크로에서 대한민국은 남자 더블, 레구, 단체전 및 여자 레구 종목에서 은메달을 획득하였다.

남자 더블 종목에서는 김영만, 정원덕 조가 결승에서 미얀마에 패했다. 남자 레구 종목에서는 김영만, 정원덕, 심재철 조가 결승에서 태국에 패했다. 임안수, 박형은, 정원덕, 김영만, 심재철, 신승태, 신추광, 전영만, 김현준, 우경한, 고재욱, 홍승현이 출전한 남자 단체전에서는 결승에서 태국에 패했다.

여자 레구 종목에서는 박선주, 이진희, 이민주 조가 결승에서 태국에 패했다. 여자 더블 종목에서는 김이슬, 이민주 조가 예선에서 1승 1패를 기록하여 3위로 준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박선주, 김동희, 배한울, 송미정, 최지나, 이민주, 빈원영, 심수연, 김민정이 출전한 여자 단체전에서는 예선에서 1승 2패를 기록하여 3위로 준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선수종목그룹/예선준결승결승/3위 결정전
상대 선수
스코어
상대 선수
스코어
상대 선수
스코어
상대 선수
스코어
순위상대 선수
스코어
상대 선수
스코어
순위
김영만
정원덕
더블
2-1
(18-21, 21-16, 21-7)

2-0
(21-11, 21-6)

2-0
(21-4, 21-9)
경기없음1 Q
DSQ

0-2
(19-21, 18-21)
#넘겨주기
김영만
정원덕
심재철
레구
DSQ

2-1
(14-21, 21-16, 21-10)

2-0
(21-13, 21-6)

2-0
(21-16, 21-15)
1 Q
2-1
(21-11, 17-21, 21-16)

0-2
(16-21, 14-21)
#넘겨주기
임안수
박형은
정원덕
김영만
심재철
신승태
신추광
전영만
김현준
우경한
고재욱
홍승현
단체
0-3
(0-2, 1-2, 1-2)

3-0
(2-0, 2-0, 2-0)

3-0
(2-0, 2-0, 2-0)
경기없음2 Q
2-0
(2-1, 2-1)

0-2
(0-2, 0-2)
#넘겨주기



선수종목그룹/예선준결승결승/3위 결정전
상대 선수
스코어
상대 선수
스코어
상대 선수
스코어
순위상대 선수
스코어
상대 선수
스코어
순위
김이슬
이민주
더블
2-1
(21-16,17-21,21-9)

0-2
(20-22,16-21)
경기없음3진출실패
박선주
이진희
이민주
레구
0-2
(10-21, 9-21)

2-0
(21-6, 21-9)

2-0
(21-17, 21-14)
2 Q
2-1
(19-21, 21-12, 21-13)

0-2
(12-21, 16-21)
#넘겨주기
박선주
김동희
배한울
송미정
최지나
이민주
빈원영
심수연
김민정
단체
0-3
(0-2, 1-2, 0-2)

1-2
(2-0, 1-2, 0-2)

3-0
(2-0, 2-0, 2-0)
3진출실패


3. 32. [[파일:Softball_pictogram.svg]]|30px]] 소프트볼

대한민국 여자 소프트볼 대표팀은 A조 예선에서 1승 3패를 기록했다. 9월 27일 필리핀과의 경기에서 1:3으로 패배했지만, 9월 28일 태국과의 경기에서는 7:0으로 승리했다. 같은 날 중국과의 경기에서는 0:1로 패했다. 9월 29일 일본과의 경기에서는 0:8로 패배했다.

경기승점
413812-43


3. 33. [[파일:Water_polo_pictogram.svg]]|30px]] 수구

대한민국 남자 수구 대표팀은 조별 리그에서 카자흐스탄, 싱가포르, 홍콩과 함께 A조에 편성되었다. 9월 25일 카자흐스탄과의 경기에서 6:18로 패배했지만, 9월 26일 싱가포르를 9:8로, 9월 27일 홍콩을 15:6으로 꺾고 조 2위로 8강에 진출했다. 8강전에서는 쿠웨이트를 11:9로 이겼으나, 준결승에서 일본에 5:13으로 패했다. 동메달 결정전에서는 중국에 6:14로 패하며 최종 4위를 기록했다.

경기승점
33006215+479
32013032-26
31023033-33
30031052-420



송근호, 박정민, 유병진, 이선욱, 윤영관, 정주화, 권영균, 김원민(주장), 주민종, 강준원, 송원호, 이현우, 이승헌이 대표팀 명단에 포함되었다.

3. 34. [[파일:Athletics_pictogram.svg]]|30px]] 육상

2014년 아시안 게임 육상 종목은 아시안 게임 육상 경기에서 진행되었다. 대한민국은 남자 24명, 여자 20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트랙, 필드, 도로 경기에서 다양한 성적을 거두었다.
남자

  • 트랙 & 도로 경기
  • 100m: 김국영은 예선에서 10.30초로 5위를 기록하여 준결선에 진출했으나, 10.35초로 10위를 기록하여 결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오경수는 예선 10.50초(12위), 준결선 10.44초(11위)를 기록했다.
  • 110m 허들: 김병준은 예선 13.53초(1위)로 결선에 진출, 13.43초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박태경은 예선 13.77초(9위)로 탈락했다.
  • 200m: 여호수아는 예선 20.82초(4위), 준결선 21.18초(2위)를 거쳐 결선에서 20.82초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조규원은 실격(완주 못함) 처리되었다.
  • 400m: 박봉고는 예선 46.15초(2위), 준결선 46.06초(5위), 결선 46.19초(6위)를 기록했다. 성혁제는 예선 46.41초(4위), 준결선 46.40초(8위), 결선 46.74초(8위)를 기록했다.
  • 400m 허들: 이승윤은 예선 51.19초(9위)로 탈락했다.
  • 800m: 김준영 (예선 1:51.81, 13위)과 최현기 (예선 1:50.15, 9위)는 결선 진출에 실패했다.
  • 1500m: 김영구는 예선 3:50.05(5위)로 결선에 진출하여 3:50.33(7위)를 기록했다. 신상민은 예선 3:57.19(14위)로 탈락했다.
  • 3000m 장애물: 김영진은 9:05.38로 8위를 기록했다.
  • 5000m: 배승호는 14:06.76(10위), 김민은 14:20.24(13위)를 기록했다.
  • 10000m: 배승호는 29:33.15(6위), 김민은 29:38.77(7위)를 기록했다.
  • 4x100m 릴레이: 여호수아, 조규원, 오경수, 김국영은 실격 처리되었다.
  • 4x400m 릴레이: 박세정, 박봉고, 최동백, 성혁제, 여호수아는 예선 3:05.89(4위)를 거쳐 결선에서 3:04.03으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 20km 경보: 김현섭은 1:21:37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최병광은 실격 처리되었다.
  • 50km 경보: 박칠성은 3:49:15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 마라톤: 심종섭은 2:23:11(10위), 노시완은 2:31:29(13위)를 기록했다.
  • 필드 경기
  • 해머 던지기: 이윤철은 70.36m로 6위를 기록했다.
  • 원반 던지기: 최종범은 54.30m로 11위를 기록했다.
  • 포환 던지기: 정일우는 18.17m로 8위를 기록했다.
  • 창 던지기: 박재명은 74.68m(8위), 김예람은 74.42m(10위)를 기록했다.
  • 멀리뛰기: 김덕현은 7.90m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 세단뛰기: 김덕현은 16.93m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 높이뛰기: 우상혁은 2.20m(10위), 윤승현은 2.20m(6위)를 기록했다.
  • 장대높이뛰기: 진민섭은 5.45m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한두현은 실격(넘지 못함) 처리되었다.
  • 10종 경기: 배상화는 총점 7405점으로 7위를 기록했다.

여자

  • 트랙 & 도로 경기
  • 100m: 강다슬(11.85초, 9위)과 이선애(11.98초, 10위)는 결선 진출에 실패했다.
  • 100m 허들: 정혜림은 예선 13.17초(2위)로 결선에 진출하여 13.39초(4위)를 기록했다. 이연경은 예선 13.67초(6위), 결선 13.73초(6위)를 기록했다.
  • 200m: 정한솔(24.73초, 14위)과 김민지(23.77초, 9위)는 결선 진출에 실패했다.
  • 400m: 민지현(55.91초, 16위)과 오세라(55.92초, 17위)는 결선 진출에 실패했다.
  • 400m 허들: 조은주는 예선 59.93초(8위)로 결선에 진출하여 59.89초(7위)를 기록했다. 손경미는 예선 1:01.01(9위)로 탈락했다.
  • 800m: 박영선은 2:10.48(10위)로 결선 진출에 실패했다.
  • 1500m: 최보운(4:28.45, 10위)과 오달님(4:25.47, 9위)은 결선에서 각각 10위와 9위를 기록했다.
  • 3000m 장애물: 이세정은 10:35.78로 9위를 기록했다.
  • 5000m: 김도연(16:09.72, 12위)과 현서용(16:37.80, 14위)은 각각 12위와 14위를 기록했다.
  • 10000m: 김도연(34:47.31, 10위)과 현서용(35:06.35, 11위)은 각각 10위와 11위를 기록했다.
  • 4x100m 릴레이: 이선애, 강다슬, 정한솔, 김민지는 44.60초로 5위를 기록했다.
  • 4x400m 릴레이: 민지현, 오세라, 박미진, 조은주는 3:39.90으로 7위를 기록했다.
  • 20km 경보: 전영은은 1:33:18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 마라톤: 최보라(2:45:04, 12위)와 김성은(2:38:16, 8위)은 각각 12위와 8위를 기록했다.
  • 필드 경기
  • 포환 던지기: 이미영은 16.65m로 6위를 기록했다.
  • 해머 던지기: 강나루는 58.80m로 5위를 기록했다.
  • 원반 던지기: 김민(41.79m, 10위)과 정예림(49.65m, 7위)은 각각 10위와 7위를 기록했다.
  • 창 던지기: 김경애는 56.07m로 6위를 기록했다.
  • 멀리뛰기: 정순옥(6.34m, 4위)과 배찬미(6.34m, 5위)는 각각 4위와 5위를 기록했다.
  • 세단뛰기: 배찬미는 12.81m로 12위를 기록했다.
  • 높이뛰기: 석미정은 1.75m로 10위를 기록했다.
  • 장대높이뛰기: 임은지는 4.15m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최예은은 4.05m로 4위를 기록했다.
  • 7종 경기: 정연진은 총점 4975점으로 8위를 기록했다.

3. 35. [[파일:Squash_pictogram.svg]]|30px]] 스쿼시

대한민국은 2014년 아시안 게임 스쿼시에 남자 단식, 남자 단체전, 여자 단식, 여자 단체전에 참가하였다.
남자

선수종목32강16강8강준결승결승/3위 결정전
상대 선수
스코어
상대 선수
스코어
상대 선수
스코어
상대 선수
스코어
상대 선수
스코어
순위
이승준남자 단식 후쿠이 유타
3-0
(11-8, 11–3, 11-4)
리 호 이안
1-3
(6-11, 11–7, 8-11, 5-11)
진출 실패align=center|
이세현 M. 사르한
3-0
(11-7, 11–4, 11-1)
I. 나시르
1-3
(11-6, 1–11, 4-11, 6-11)
진출 실패align=center|



선수종목예선 1차전예선 2차전예선 3차전예선 4차전순위8강전4강전결승
상대 선수
스코어
상대 선수
스코어
상대 선수
스코어
상대 선수
스코어
상대 선수
스코어
상대 선수
스코어
상대 선수
스코어
순위
유재진
이승준
이세현
황중원
남자 단체전
1-2
(3-2, 2–3, 1-3)

0-3
(1-3, 1–3, 0-3)

0-3
(0-3, 0–3, 0-3)

2-1
(3-0, 3–0, 1-3)
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


여자

선수종목16강8강준결승결승/3위 결정전
상대 선수
스코어
상대 선수
스코어
상대 선수
스코어
상대 선수
스코어
순위
송선미여자 단식 C. 조사다
0-3
(9-11,7-11,7-11)
진출 실패align=center|
박은옥 L. 런
0-3
(6-11,9-11,6-11)
진출 실패align=center|



선수종목예선 1차전예선 2차전순위4강전결승
상대 선수
스코어
상대 선수
스코어
상대 선수
스코어
상대 선수
스코어
순위
송선미
박은옥
양연수
이지연
여자 단체전
2-1
(1-3, 3–1, 3-1)

0-3
(0-3, 0–3, 0-3)
align=center|
0-2
(0-3, 1–3)
진출실패#넘겨주기


3. 36. [[파일:Synchronized_swimming_pictogram.svg]]|30px]] 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

30px
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에는 구슬과 김가영이 출전하였다. 여자 듀엣에서 테크니컬 루틴 73.6881점, 프리 루틴 75.4000점을 받아 총점 149.0881점으로 7위를 기록했다.

3. 37. [[파일:Karate pictogram.svg]]|30px]] 가라테

가라테 종목에서는 남자 쿠미테 -55kg급 구주영이 말레이시아의 S. 쿠마란에게 1-3으로 패했다. -60kg급 이지환은 우즈베키스탄의 P. 사르도르와 중화 타이베이의 리우 충 치앙을 꺾었으나, 이란의 M. 아미르에게 2-3으로 패했다. 동메달 결정전에서 중국의 왕 지웨이를 11-3으로 꺾었다. -67kg급 김도원은 일본의 시노하라 히로토에게 2-3으로 패했으나, 패자부활전에서 키르기스스탄의 뒤시프 바카리, 인도네시아의 시마준타크 진타르, 마카오의 팡 랏 롱을 차례로 꺾었다. -84kg급 장민수는 일본의 아라가 료타로에게 0-2로 패했으나, 패자부활전에서 중국의 쿠이 웬쥬와 베트남의 응구엔 민 풍을 꺾었다.

여자 쿠미테 -50kg급 장소영은 중화 타이베이의 쿠 취핑에게 0-2로 패했으나, 패자부활전에서 베트남의 T. 바이, 중국의 마 지닝, 홍콩의 창 이팅을 꺾었다. -55kg급 안태은은 키르기스스탄의 프리바 아이제림에게 3-1로 승리했으나, 카자흐스탄의 자카로바 사비나에게 0-0(0-5)로 패했다. 패자부활전에서 인도네시아의 S. 아궁에게 1-2로 패했다. -61kg급 신수정은 카자흐스탄의 우텔바예바 마디나와 중화 타이베이의 창 팅을 꺾었으나, 우즈베키스탄의 미르자에바 바르노에게 0-5로 패했다. 동메달 결정전에서 이란의 채라키 파테메흐에게 2-3으로 패하며 5위를 기록했다. +68kg급 천한나는 중국의 젠 퀴랑에게 2-7로 패했고, 동메달 결정전에서 일본의 우에쿠사 아유미에게 0-8로 패하며 5위를 기록했다.

3. 38. [[파일:Kabaddi_pictogram.svg]]|30px]] 카바디

대한민국은 2014년 아시안 게임 카바디 남자 및 여자 경기에 모두 참가하였다.

남자 대표팀은 김기동, 엄태덕, 박현일, 이장군, 홍동주, 안환기, 김성렬로 구성되었다. 남자 대표팀은 조별 예선에서 일본을 44-17로, 말레이시아를 38-32로 이겼으나, 이란에 22-41로 패하여 조 2위로 준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에서 인도에 25-36으로 패하여 결승 진출에는 실패했다.

여자 대표팀은 조현아, 김희정, 서은혜, 신소민, 윤유리, 이현정, 임재원으로 구성되었다. 여자 대표팀은 조별 예선에서 방글라데시에 18-30으로, 인도에 26-45로 패하여 준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3. 39. [[파일:Cricket_pictogram.svg]]|30px]] 크리켓

대한민국 크리켓 국가대표팀은 남자부와 여자부가 2014년 아시안 게임에 참가하였다. 남자 대표팀은 예선에서 말레이시아에 71-72로 패배, 중국에 88-82로 승리하여 조 2위로 8강에 진출했으나, 8강에서 스리랑카에 55-172로 패배하여 탈락했다. 여자 대표팀은 예선에서 중국에 49-50, 홍콩에 57-92로 패배하여 8강 진출에 실패했다.

'''남자'''

선수그룹/예선8강준결승결승/3위 결정전
상대 선수
스코어
상대 선수
스코어
순위상대 선수
스코어
상대 선수
스코어
상대 선수
스코어
순위
조성훈, 서일환, 이상욱, 성대식, 최지원, 박태관, 방수인, 이환희, 김경식, 박수찬, 차인호
71-72

88-82
2 Q
55-172
진출실패



'''여자'''

선수그룹/예선8강준결승결승/3위 결정전
상대 선수
스코어
상대 선수
스코어
순위상대 선수
스코어
상대 선수
스코어
상대 선수
스코어
순위
오인영, 박진숲, 이지나, 이은진, 송승민, 정혜지, 안나, 김정윤, 허미진, 가예빈, 정아름
49-50

57-92
3진출실패


3. 40. [[파일:Table_tennis_pictogram.svg]]|30px]] 탁구

30px
탁구 종목에는 남녀 단식, 복식, 단체전 및 혼합 복식 경기가 열렸다.

'''남자'''

주세혁은 남자 단식 8강에서 미즈타니 준(일본)을 4-2로 꺾었으나, 준결승에서 쉬 신(중국)에게 0-4로 패했다. 김동현은 남자 단식 16강에서 추앙 친 유안(중화 타이베이)에게 2-4로 패했다. 남자 복식에서는 김동현/정상은 조가 16강에서, 이정우/김민석 조가 8강에서 탈락했다. 주세혁, 이정우, 김동현, 김민석, 정상은이 출전한 남자 단체전에서는 준결승에서 중화 타이베이를 3-1로 이겼으나, 결승에서 중국에 0-3으로 패해 은메달을 획득했다.

'''여자'''

양하은은 여자 단식 8강에서 이시카와 카스미(일본)를 4-1로 이겼으나, 준결승에서 류스원(중국)에게 0-4로 패했다. 서효원은 여자 단식 8강에서 주 유링(중국)에게 0-4로 패했다. 여자 복식에서는 박영숙/양하은 조와 전지희/이은희 조 모두 8강에서 탈락했다. 양하은, 서효원, 전지희, 박영숙, 이은희가 출전한 여자 단체전에서는 8강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1-3으로 패했다.

'''혼합 복식'''

김민석/전지희 조는 혼합 복식 준결승에서 리 호칭/지앙 티안이(홍콩) 조에게 3-4로 패했다. 이정우/양하은 조는 혼합 복식 16강에서 김혁봉/김정(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에게 1-3으로 패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