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AA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4 AA는 2014년 1월 1일에 발견된 지구 근접 소행성으로, 발견된 지 며칠 지나지 않아 지구 대기권에 진입하여 충돌했다. 발견 당시 2014 AA는 지구에서 약 40만 km 떨어진 곳에 위치했으며, 궤도는 지구와 화성 궤도 안쪽에 근일점을 가지는 형태였다. 2014 AA는 2008 TC3에 이어 지구 충돌 전에 발견된 두 번째 소행성으로, 대기권 진입 시 11.7km/s의 속도로 진입했으며, 충돌 지점은 베네수엘라 카라카스에서 동쪽으로 약 3,000km 떨어진 대서양 해상으로 추정된다. 2014 AA의 크기는 직경 1~4m로 추정되며, 충돌 시 위력은 TNT 500~1000톤에 달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4년 발견한 천체 - 486958 아로코트
486958 아로코트는 2014년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발견된 카이퍼 벨트 천체로, 뉴 허라이즌스 탐사선의 탐사 대상이 되었으며, 좁은 목으로 연결된 두 개의 엽으로 구성된 접촉쌍성 형태를 보이고 붉은색 표면에 톨린과 같은 유기 화합물이 존재한다. - 2014년 발견한 천체 - 글리제 229
글리제 229는 적색 왜성 A와 두 개의 갈색 왜성으로 이루어진 B로 구성된 쌍성계이며, A 주위에는 슈퍼 해왕성 질량의 b와 생물권 내에 위치한 슈퍼 지구 질량의 c 두 행성이 공전하고 있다. - 충돌사건 - 칙술루브 충돌체
칙술루브 충돌체는 백악기-고생대 대멸종을 일으킨 것으로 추정되며, 소행성 충돌체의 기원에 대한 여러 가설이 존재한다. - 충돌사건 -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대량절멸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대량절멸(P-T 대량절멸)은 약 2억 5천만 년 전에 발생한 지구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절멸 사건으로 해양 생물 90% 이상과 육상 척추동물 70% 이상이 멸종했으며, 다양한 원인 가설이 제시되고 현재 지구 온난화와 비교되기도 한다.
2014 AA | |
---|---|
개요 | |
명칭 | 2014 AA |
분류 | 지구 근접 천체 아폴로 소행성군 |
발견 | 발견자: 리처드 코왈스키 관측 기관: 레먼 산 천문대 (G96) 발견일: 2014년 1월 1일 |
![]() | |
궤도 정보 | |
기준점 | 2014년 1월 1일 (JD 2456658.5) |
궤도 긴반지름 | 1.1623 AU |
근일점 거리 | 0.9163 AU |
원일점 거리 | 1.4080 AU |
공전 주기 | 1.25년 (457.26일) |
목성 최소 궤도 교차 거리 | 3.58092 AU |
궤도 경사 | 1.4156° |
궤도 이심률 | 0.2116 |
승교점 경도 | 101.6086° |
평균 근점 이각 | 324.1460° |
근일점 인수 | 52.3393° |
물리적 특징 | |
추정 크기 | ~3 m |
추정 질량 | ~4×10^4 kg |
절대 등급 | 30.9 |
기타 | |
참고 자료 | NASA/JPL 뉴스 기사 |
2. 발견
2014 AA는 2014년 1월 1일 6시 18분경( UTC) 레몬산 서베이에 의해 발견되었다. 발견 당시 2014 AA는 지구로부터 약 40만 km 떨어진 위치에 있었으며, 겉보기 등급은 19.1등급이었다. 2014년에 들어 처음 발견된 소행성이므로, 이와 같은 가부호가 붙여졌다.
2014 AA는 지구 궤도 안쪽을 근일점, 화성 궤도 바깥쪽을 원일점으로 하는 지구 근접 소행성이다. 지구 및 화성 궤도와 약간 겹쳐 있으며, 공전 주기는 459일 (±12일)이다. 2012년 11월 1일부터 25일 사이에 근일점을 통과한 것으로 추정된다. 지구 궤도와의 최소 거리는 불과 80km이다.[12]
2014 AA는 발견된 지 몇 시간 후인 2014년 1월 2일, 지구 대기권에 진입하여 충돌하였다.[24][23] JPL 소천체 데이터베이스는 충돌 시각을 2014년 1월 2일 02:33 (UT) ± 01:05로,[24] 소행성체 센터는 05:00 (UT) ± 10:00로 추정하였다.[23] 여러 독립적인 계산 결과 충돌은 확실히 발생한 것으로 검증되었다.[23]
3. 궤도
2014 AA는 지구 궤도와 교차하는 아폴로 소행성군에 속하지만, 발견 직후 짧은 관측 자료만으로는 궤도를 정확히 계산하기 어려웠다. 2014 AA는 발견 이후 7번밖에 관측되지 않아 궤도 정보가 대략적으로만 알려져 있는데,[11] 이는 발견부터 충돌까지의 시간이 짧았고 연말연시였기 때문에 많은 천문학자들이 관측에 참여하지 못했기 때문이다.[16]
4. 충돌
2014 AA는 11.7km/s의 속도로 지구 대기권에 진입하였다.[28] 이는 2008년 10월 7일 누비아 사막 상공에서 폭발한 2008 TC3과 비슷한 크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수학적 계산 결과 중앙아메리카에서 동아프리카 사이, 가장 가능성 있는 지역은 서아프리카 해변에 낙하했을 것으로 산출되었다.[23] 2014 AA는 대기권 진입 40분 전 지구의 본그림자에 진입했다.[25]
포괄적 핵실험 금지 조약 기구(CTBTO)의 관측소 3곳에서 저주파음이 감지되었다.[26] 피터 브라운과 피터 제니스켄스는 볼리비아, 브라질, 버뮤다에서 약한 저주파음 신호를 감지했다.[27] 충돌 지점은 베네수엘라 카라카스에서 동쪽으로 약 3,000km 떨어진 대서양 해상으로 추정되며,[26][20] 이는 CTBTO의 저주파음 관측 자료와 일치한다. 선박이나 항공기의 관측 보고는 없었다.[26] 저주파음 기록을 기반으로 충돌 상황을 재구성한 결과, 충돌 지점은 트리니다드 토바고 포트오브스페인 동쪽 1900 km (1030 해리) 지점(서경 44º, 북위 11º)이며, 충돌 시간은 2456659.618 JD UTC였다.[21]
4. 1. 역학적 관계
2014 AA는 충돌 전 여러 공명 상태에 있었고, 2011 GJ3, 2011 JV10, 2012 DJ54, 2013 NJ4와 비슷한 궤도를 돌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21][3] 이 천체들은 근일점에서 지구를, 원일점에서 화성을 만나는 공통점이 있으며, 역학적 군을 이루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21][3]
5. 물리적 성질
2014 AA의 절대등급은 30.944로 매우 작았으며, 지름은 1~4m로 추정된다.[18] 이 정도 크기의 소행성은 지구 대기권에서 대부분 타서 없어지기 때문에, 운석 형태로 지표면에 도달하지는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13] 만약 지표면에 충돌했을 경우, 그 위력은 TNT 환산으로 500톤에서 1000톤 정도였을 것으로 추정된다.[14][16]
6. 의의
2014 AA는 인류 역사상 두 번째로 지구 충돌 전에 발견된 소행성이다.[13] 처음으로 발견된 소행성은 2008 TC3이다.[26] 2014 AA와 비슷한 크기의 소행성은 매년 수차례 지구에 충돌하는 것으로 추정되지만,[27] 대부분 대기 중에서 소멸하거나 인적이 드문 지역에 떨어진다.[14] 이러한 사건은 지구 근접 천체에 대한 감시 및 추적 시스템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7. 같이 보기
- 2008 TC3
- 2018 LA
참조
[1]
뉴스
Tiny Asteroid Discovered Saturday Disintegrates Hours Later Over Southern Africa
https://www.jpl.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2018-06-04
[2]
논문
The trajectory and atmospheric impact of asteroid 2014 AA
2016-08-01
[3]
논문
Homing in for New Year: impact parameters and pre-impact orbital evolution of meteoroid 2014 AA
2016-10-13
[4]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2014 AA)
http://ssd.jpl.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2016-04-04
[5]
웹사이트
MPEC 2014-A02 : 2014 AA
http://www.minorplan[...]
IAU Minor Planet Center
2014-01-02
[6]
웹사이트
JPL Close-Approach Data: (2014 AA)
http://ssd.jpl.nasa.[...]
2014-01-02
[7]
웹사이트
Small asteroid 2014 AA hit the Earth's atmosphere
http://remanzacco.bl[...]
Associazione Friulana di Astronomia e Meteorologia
2014-01-02
[8]
웹사이트
Small Asteroid 2014 AA Hits Earth
http://www.skyandtel[...]
Sky & Telescope
2014-01-02
[9]
웹사이트
The First Discovered Asteroid of 2014 Collides With The Earth – An Update
https://web.archive.[...]
NASA/JPL
2014-01-03
[10]
웹사이트
2014 AA at 2014-Jan-02 03:04 UT
https://ssd.jpl.nasa[...]
JPL Horizons
[11]
웹사이트
MPEC 2014-A02 : 2014 AA
https://www.minorpla[...]
[12]
웹사이트
(2014 AA)
https://ssd.jpl.nasa[...]
[13]
웹사이트
First 2014 Asteroid Discovered
http://www.nasa.gov/[...]
[14]
웹사이트
Let’s Start 2014 with a Bang! Hello and Goodbye to Asteroid 2014 AA
http://minorplanetce[...]
[15]
웹사이트
Asteroid 2014 AA
http://orbit.psi.edu[...]
[16]
웹사이트
Small Asteroid 2014 AA Hits Earth
http://www.skyandtel[...]
[17]
웹사이트
The First Discovered Asteroid of 2014 Collides With The Earth - An Update
http://neo.jpl.nasa.[...]
[18]
웹사이트
Minor Planet Center
http://www.minorplan[...]
[19]
뉴스
Tiny Asteroid Discovered Saturday Disintegrates Hours Later Over Southern Africa
https://www.jpl.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2018-06-04
[20]
논문
The trajectory and atmospheric impact of asteroid 2014 AA
2016-08-01
[21]
논문
Homing in for New Year: impact parameters and pre-impact orbital evolution of meteoroid 2014 AA
2016-10-13
[22]
웹인용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2014 AA)
http://ssd.jpl.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2016-04-04
[23]
웹인용
MPEC 2014-A02 : 2014 AA
http://www.minorplan[...]
IAU Minor Planet Center
2014-01-02
[24]
웹인용
JPL Close-Approach Data: (2014 AA)
http://ssd.jpl.nasa.[...]
2014-01-02
[25]
웹인용
Small asteroid 2014 AA hit the Earth's atmosphere
http://remanzacco.bl[...]
Associazione Friulana di Astronomia e Meteorologia
2014-01-02
[26]
웹인용
Small Asteroid 2014 AA Hits Earth
http://www.skyandtel[...]
Sky & Telescope
2014-01-02
[27]
웹인용
The First Discovered Asteroid of 2014 Collides With The Earth – An Update
https://web.archive.[...]
NASA/JPL
2014-01-03
[28]
웹인용
2014 AA at 2014-Jan-02 03:04 UT
https://ssd.jpl.nasa[...]
JPL Horizo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