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대량절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대량절멸은 고생대와 중생대의 경계에서 발생한 지구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멸종 사건이다. 이 멸종은 약 2억 5,190만 년 전에 시작되어 6만 년가량 지속되었으며, 해양 무척추동물의 90% 이상, 척추동물의 82%, 곤충을 포함한 육상 생물의 다수가 멸종했다. 주요 멸종 원인으로는 시베리아 트랩의 화산 폭발, 메탄 하이드레이트 가스화, 고탄산혈증과 해양 산성화, 무산소증과 유황화, 건조화, 오존층 파괴, 소행성 충돌, 메탄 생성균의 활동 등이 제시되고 있다. 이 멸종으로 인해 생물 다양성의 회복이 지연되었으며, 멸종 전 해양 생태계와 육상 생태계의 구조가 크게 변화했다. 현재의 지구 온난화와 비교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본에서도 페름기-트라이아스기 경계가 여러 지역에서 발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설상의 충돌사건 - 테이아 (천체)
    테이아는 달의 여신 셀레네의 어머니 이름을 딴 가상의 천체로, 지구와 충돌하여 달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 가설상의 충돌사건 - 후기 대폭격
    후기 대폭격은 약 41억 년 전부터 38억 년 전까지 태양계 내부 행성, 특히 달에 소행성과 혜성 충돌이 집중적으로 발생했던 시기로, 달 표면 충돌구 형성을 설명하며 지구 초기 지각과 생명체 탄생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되나, 그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 기상학 가설 - 가이아 이론
    가이아 이론은 지구를 생물권, 대기권, 수권, 지권이 상호작용하며 항상성을 유지하는 하나의 거대한 자기조절 시스템으로 보는 이론으로, 지구 시스템 과학의 연구 대상이자 환경 운동 등 다양한 영역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기상학 가설 - 대량절멸
    대량절멸은 지구 역사에서 생물 다양성이 급격히 감소하는 현상으로, 5번의 주요 멸종과 현재 진행 중인 홀로세 멸종을 포함하여 지구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치며, 특히 홀로세 멸종은 인간 활동으로 인해 멸종 속도가 자연 멸종 속도보다 훨씬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 충돌사건 - 칙술루브 충돌체
    칙술루브 충돌체는 백악기-고생대 대멸종을 일으킨 것으로 추정되며, 소행성 충돌체의 기원에 대한 여러 가설이 존재한다.
  • 충돌사건 - 2014 AA
    2014 AA는 2014년 1월 1일에 발견된 지구 근접 소행성으로, 지구와 1:1 공명 상태였을 가능성이 높고 대서양에 충돌하여 대부분 소멸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지구 충돌 가능성이 있는 천체 발견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대량절멸

2. 멸종 연대

1990년대 이후 새로운 연대 분석 기술이 도입되면서 페름기-트라이아스기 경계(P-T 경계)에 대한 연구가 크게 발전하였다. 초기에는 이 사건이 수백만 년 동안 지속되었다고 추정되었으나, 1994년 스탠리와 양은 페름기 말의 멸종이 800만~1,000만 년 간격을 두고 두 번에 걸쳐 일어났다고 발표하였다. 1996년에는 미국의 노르가 사이언스지에 멸종이 약 2억 6,000만 년 전과 약 2억 5,000만 년 전에 두 번 일어났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최초의 멸종은 약 2억 6,000만 년 전 페름기 중기에 발생하였는데, 해수면이 갑자기 낮아져 많은 해양 생물이 멸종하였고, 육상 생물 또한 환경 변화로 인해 대량 멸종이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두 번째 멸종은 고생대 생태계를 완전히 파괴한 대멸종이었다.

중국 남부 메이산 지역의 화산재 분석 결과, 2억 5,190만 년 전에 갑자기 멸종이 시작되어 이후 6만 ± 4만 8,000년 동안 대멸종이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24] 일부 연구에서는 멸종이 두 번의 파동으로 나뉘어 발생했으며, 각 파동의 원인이 다르다고 주장한다.[50][51]

3. 대멸종

고생대 육상 생물은 양서류단궁류가 주를 이루었고, 중생대공룡을 비롯한 파충류가 번성했다. 페름기-트라이아스기 경계(P-T 경계)는 이러한 생물군의 교체를 야기한 대멸종이 발생한 시기이다. 해양 무척추동물은 종 수준에서 90% 이상[611], 속 수준에서 82%[612], 과 수준에서 50%가 멸종했다. 삼엽충, 고생대형 산호, 푸줄리나 등 고생대에 번성했던 생물종이 이 시기에 멸종했다.[611] 척추동물은 과 수준에서 82%가 멸종했으며,[613] 곤충은 11개 목이 멸종하였고,[614] 식물 등 육상 생물도 많은 종류가 멸종했다.

이는 캄브리아기 이후 최대 규모의 멸종으로, 공룡 멸종으로 유명한 백악기-팔레오기 경계(K-Pg 경계)보다 훨씬 크다.[534] 대멸종의 원인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이 제시되고 있으나, 현재 지질학자 대다수가 동의하는 가설은 시베리아 트랩 가설이다.

페름기에는 곤충과 다른 무척추동물 종의 다양성이 컸으며, 역대 가장 큰 곤충을 포함한다. 페름기 말 대멸종은 곤충에게 알려진 가장 큰 규모의 대멸종이며,[122][123] 일부 자료에서는 곤충 다양성에 큰 영향을 미친 유일한 대멸종이라고도 한다.[124][125] 8~9개의 곤충 이 멸종되었고, 10개가 더 다양성이 크게 감소했다. 고생시목류 (입이 찌르고 빨아먹는 곤충)는 페름기 중기에 감소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식물의 변화와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가장 큰 감소는 페름기 후기에 발생했으며 날씨와 관련된 식물 변화로 직접 발생하지는 않았을 것이다.[20] 다만,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대멸종에서 관찰된 일부 곤충군 감소는 완전한 멸종보다는 생물지리적 변화였다.[126]

고생대 마지막 시기인 페름기('''P'''ermian)와 중생대 첫 시기인 트라이아스기('''T'''riassic)의 경계에 위치한 시기라는 점에서, 두 시기의 머리글자를 따서 "'''P-T 경계'''"라고 명명되었다.

1990년대 이후 새로운 분석 기술에 기반한 연구가 발전하면서, 이전까지 수백만 년 동안 이어진 사건이라고 생각되어 왔던 P-T 경계 대멸종이[535], 실제로는 더 짧은 기간 동안 두 차례의 대량 멸종으로 발생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1996년 미국의 노르(Nor)는 "멸종 사건은 약 2억 6000만 년 전과 약 2억 5000만 년 전의 두 차례에 걸쳐 일어났다"고 사이언스에 발표했다.[537]

첫 번째 사건은 페름기 중기 과달루페세 말기에 해당하며, 해수면이 갑자기 낮아져 다수의 해양 생물이 멸종하고 육상 생물도 환경 변화로 대량 멸종했다. 두 번째 사건은 고생대 생태계를 궤멸시킨 파국적인 대량 멸종에 해당한다.[535] 중국 남부 메이산 암초 지층[538] 분석 결과, 2억 5160만 년 전에 갑자기 멸종이 시작되어 백만 년 동안 대멸종이 일어났다고 추정된다.[540][541] 하이준 쏭(Haijiun Song) 외 (2013)의 연구에서는, 이 멸종 사건은 페름기 말 (252.28Myr)과 트라이아스기 최전기 (252.10Myr)의 두 차례로 나뉘며, 전자의 경우 대부분의 부유 생물 및 약간의 저서 생물을 중심으로 56.5%의 종이 멸종했고, 후자의 경우, 남은 종의 70.9%가 멸종했다고 결론짓고 있다.[543]

현생 누대 생물 다양성(과 수준)의 추이. 가로축은 연대를 나타내며 단위는 백만 년. 회색은 세프코스키의 데이터, 녹색은 "well-defined" 데이터, 노란색 삼각형은 5대 대멸종 사건. 2억 5천만 년 전에 위치한 계곡이 P-T 경계, 오른쪽 6천만 년 전의 계곡이 공룡이 멸종한 K-Pg 경계


고생대에 번성했던 바다나리의 화석

3. 1. 해양 생물

해양 생물 멸종멸종된 비고
절지동물
바다전갈100%페름기-트라이아스기 경계 직전에 멸종되었을 수 있음
오스트라코드74% 
삼엽충100%데본기부터 감소, 멸종 전에는 5속만 생존
완족동물
완족류96%정형강, 정형사강 및 생산강 멸종
태형동물
태형동물류79%창구태형류, 관공태형류 및 은폐태형류 멸종
척삭동물
극어류100%데본기부터 감소, 단 하나의 과만 생존
자포동물
산호충류96%판상산호 및 주름산호 멸종
극피동물
블라스토이드100%
바다나리98%부적합 아강 및 실내 아강 멸종
연체동물
암모나이트97%곡석 및 전원석류 멸종
이매패류59% 
복족류98% 
세포질생물
유공충97%방추충 멸종, 하지만 대재앙 전에 거의 멸종
방사충99%[71]



무척추동물은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대량절멸 동안 가장 큰 손실을 입었다. 페름기 이빨화석을 포함하는 마지막 두 개의 퇴적층 내에서 329개 해양 무척추동물 속 중 286개가 사라졌다.[12] 생물 다양성의 감소는 종분화의 감소보다는 멸종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발생했을 것이다.[72]

멸종은 주로 탄산 칼슘 골격을 가진 유기체, 특히 골격을 생성하기 위해 안정적인 CO2 수준에 의존하는 유기체에 영향을 미쳤다. 이들 유기체는 대기 중 CO2 증가로 인한 해양 산성화의 영향에 취약했다.[73] 산소 운반을 위해 헤모시아닌 또는 헤모글로빈에 의존하는 유기체는 헤메리트린 또는 산소 확산을 이용하는 유기체보다 멸종에 더 강했다.[74] 또한 특정 지역에 고유하고 국한된 이매패류 분류군은 범세계적인 분류군보다 멸종될 가능성이 더 높았다.[75]

저서생물 중, 멸종 사건은 배경 멸종률을 증가시켰고, 따라서 높은 배경 멸종률을 가진 분류군, 즉 높은 개체수 변동을 가진 분류군에서 최대 종 손실을 야기했다.[78][79] 해양 유기체의 멸종률은 참혹했다.[12][80][81]

생존한 해양 무척추동물 그룹에는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멸종 이후 개체수가 서서히 감소한 완족동물 (경첩이 있는 것),[83] 암모나이트의 세라티티다목,[84] 그리고 거의 멸종될 뻔했지만 나중에 풍부해지고 다양해진 바다나리가 포함되었다.[84] 생존율이 가장 높은 그룹은 일반적으로 순환계를 능동적으로 제어하고, 정교한 가스 교환 메커니즘을 가지며, 가벼운 석회화를 보였다. 더 무겁게 석회화되고 호흡 장치가 더 단순한 유기체는 종 다양성이 가장 크게 감소했다.[85][86]

암모노이드는 로드기 (중기 페름기) 이후 3천만 년 동안 장기적인 감소를 겪었고, 주요 사건 1천만 년 전에 카피타니안 단계 말기에 선택적인 멸종 급증을 겪었다. 다양성과 격차는 페름기-트라이아스기 경계까지 더욱 감소했다. 여기서의 멸종(P–Tr)은 비선택적이었고, 참혹한 시작과 일치했다. 트라이아스기 동안 다양성은 빠르게 증가했지만 격차는 낮게 유지되었다.[89]

매미류는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대량절멸(PTME)이 시작되기 전 창싱기 동안 지속적인 다양성 교란을 겪었고, 이때 엄청난 비율의 매미류가 갑자기 사라졌다.[91] 최소 74%의 매미류가 PTME 자체 동안 멸종되었다.[92]

이끼벌레는 PTME 동안 훨씬 더 참혹한 손실을 겪기 전 후기 페름기 전체에 걸쳐 장기적인 감소를 겪었으며,[93] 로포포라타 중 가장 심각한 영향을 받은 클레이드였다.[232]

심해 해면류는 상당한 다양성 손실을 겪었고 PTME 과정에서 골침 크기가 감소했다. 얕은 물 해면류는 훨씬 덜 심각한 영향을 받았다.[94]

유공충은 심각한 다양성 병목 현상을 겪었다.[95] 최후 페름기 유공충의 약 93%가 멸종되었으며, 텍스툴라리나(Textulariina) 클레이드의 50%, 라게니다(Lagenida)의 92%, 푸줄리니다(Fusulinida)의 96%, 밀리오리다(Miliolida)의 100%가 사라졌다.[98] 석회질 유공충은 91%의 멸종률을 겪었다.[99]

클라드돈토모프 상어는 초기 백악기 클라드돈토모프가 깊고 바깥쪽 선반 환경에서 발견된 것을 바탕으로 한 가설에 따라, 깊은 바다의 피난처에서 생존함으로써 멸종을 견뎌냈을 가능성이 있다.[101] PTME 직전에 진화한 어룡 또한 PTME 생존자였다.[102]

릴리풋 효과, 대량 멸종 사건 동안과 직후 종의 왜소화 현상은 페름기-트라이아스기 경계에서 관찰되었으며,[103][104] 특히 유공충,[105][106][107] 완족류,[108][109][110] 이매패류,[111][112][113] 및 매미류에서 발생했다.[114][115]

3. 2. 육상 생물

고생대부터 현재까지 가장 크게 번성한 동물인 절지동물을 제외하고, 고생대의 육상 생물은 양서류단궁류, 중생대공룡으로 대표되는 파충류가 주요했다. 페름기-트라이아스기 경계기는 고생대의 생물이 중생대의 생물로 전환되는 바탕을 제공해 준 대멸종이 있었다.

육상 척추동물은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대량절멸로부터 회복하는 데 유난히 오랜 시간이 걸렸다. 고생물학자 마이클 벤턴은 회복이 대멸종 이후 3000만 년이 지나서야 완료되었다고 추정했다.[8]

''리스트로사우루스''는 초기 트라이아스기 육상 척추동물 중 가장 흔했다.


돼지 크기의 초식 이치룡류 수궁류인 ''리스트로사우루스''는 트라이아스기 초기의 일부 육상 척추동물 화석군의 90%를 차지했지만, 최근 증거에 따르면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대멸종(PTME) 이후의 재앙 분류군으로서의 지위에 의문이 제기되었다.[286] 카루 분지에서 트라이아스기 초기의 흔적학적 증거는 생물 위기 직후 이치룡류가 풍부했음을 보여준다.[292] 작은 육식 견치류 수궁류 또한 살아남았으며, 이에는 포유류의 조상이 포함되었다.[297] 테로케팔리아 역시 살아남았으며, 땅굴을 파는 것은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대멸종을 헤쳐나가는 데 도움이 된 핵심 적응이었을 수 있다.[294]

공룡상목(여기에는 공룡크로커다일의 조상이 포함됨)은 처음에는 수궁류보다 드물었지만, 중생대 트라이아스기 중반에 수궁류를 대체하기 시작했다. 중생대 트라이아스기 중후기에 공룡은 한 무리의 공룡상목으로부터 진화하여 쥐라기백악기 동안 육상 생태계를 지배하게 되었다.[300] 이 "트라이아스기 장악"은 살아남은 수궁류와 그들의 포유류형 후손들이 작고 주로 야행성 곤충으로 살도록 강요함으로써 포유류의 진화에 기여했을 수 있다. 야행성 생활은 적어도 포유류형류가 털, 더 나은 청각 및 더 높은 대사율을 발달시키도록 강요했을 것이며,[301] 파충류와 조류가 보존한 차등적인 색상 감지 망막 수용체의 일부를 잃게 되었다.

석형류 양서류는 빠르게 회복되었다. 화석 기록에서 매우 많은 석형류 분기군이 나타나는 것은 이들이 황폐화된 생태계를 재식민화하는 데 이상적인 개척자 종이었음을 시사한다.[303] ''마스토돈사우루스''와 진동룡류는 트라이아스기 대부분 동안 주요 수생 및 반수생 포식자였으며, 일부는 사지형류를, 다른 일부는 물고기를 잡아먹었다.[307]

페름기에는 곤충과 다른 무척추동물 종의 다양성이 컸으며, 이는 역대 가장 큰 곤충을 포함한다. 페름기 말 대멸종은 곤충에게 알려진 가장 큰 규모의 대멸종이다;[122][123] 일부 자료에 따르면, 곤충 다양성에 큰 영향을 미친 유일한 대멸종일 수 있다.[124][125] 8개 또는 9개의 곤충 이 멸종되었고, 10개가 더 다양성이 크게 감소했다. 고생시목류 (입이 찌르고 빨아먹는 곤충)는 페름기 중기에 감소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멸종은 식물의 변화와 연관되어 있다. 가장 큰 감소는 페름기 후기에 발생했으며 날씨와 관련된 식물 변화로 직접적으로 발생하지는 않았을 것이다.[20]

일반적으로 고생대의 육상 생물은 양서류단궁류, 중생대는 공룡으로 대표되는 파충류의 시대라고 말한다. 페름기-트라이아스기(P-T) 경계에서는 이러한 교체의 원인이 되는 대량 절멸이 일어났다. 육상 동물에서도 페름기 말에 2단계의 대량 절멸이 일어났다.

  • 파충류: 페름기 중기에 서식했던 26속 중, 과달루피안 말에 해당하는 약 2억 6천만 년 전에 9속이 절멸했다. 그 후 다양성이 회복되어 44속이 되었지만 P-T 경계 이후 다시 큰 영향을 받아 살아남은 것은 7속뿐이었다.[558]
  • 단궁류: 디키노돈 등의 단궁류는 P-T 경계에서 35속이 2속으로 줄었다.[559]
  • 곤충류: 곤충류의 역사에서 P-T 경계는 유일한 대량 절멸 사건이다. 페름기에 22목이 서식했다고 여겨지지만 그 중 8목이 소멸했고, 다른 5목이 많은 과를 잃었다. 곤충류는 그 후 1, 2목밖에 절멸하지 않았다.[560]

3. 3. 식물

지질 기록에 따르면, 육상 식물에 대한 기록은 희소하며 주로 꽃가루포자 연구에 근거한다. 페름기-트라이아스기 경계에서의 식물상 변화는 특정 지역의 보존 품질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127] 식물은 대량 멸종에 비교적 면역력이 있어, 모든 주요 대량 멸종의 영향이 과 수준에서 "미미"했다.[18] 그러나 생태계의 대대적인 재편이 발생하여 식물의 개체수와 분포가 심오하게 변화하고 모든 숲이 사실상 사라졌다.[130][18] 지배적인 식물군이 변화하여, ''Cordaites'' (겉씨식물)와 ''Glossopteris'' (씨앗 고사리)와 같은 많은 육상 식물군이 급격히 감소했다.[131][132]

고위도 곤드와나 대륙을 특징짓는 ''Glossopteris''가 지배적인 식물군은 페름기-트라이아스기 경계 약 37만 년 전에 호주에서 붕괴되었으며, 이 식물군의 붕괴는 서부 곤드와나 대륙에서는 덜 제한적이지만 여전히 경계 수십만 년 전에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다. 이 식물군의 붕괴는 굽이치는 강 시스템에서 땋은 강 시스템으로의 갑작스러운 강 형태 변화로 간접적으로 나타나며, 이는 뿌리 식물의 광범위한 소멸을 의미한다.[134]

멸종 기간 동안 그린란드 동부의 퇴적암 지층에서 채취한 꽃가루 연구는 사건 이전에 조밀한 겉씨식물 수림을 나타낸다. 해양 무척추 동물이 감소하는 동시에 이러한 거대한 수림이 사라지고 Lycopodiophyta, Selaginellales와 Isoetales를 포함한 작은 초본 식물의 다양성이 증가했다.[40]

시베리아에 해당하는 안가란 식물구계를 지배했던 ''Cordaites'' 식물군은 멸종 과정에서 붕괴되었다.[270] 중국 북부에서는 석탄 습지가 사라졌다. 북중국 식물 멸종은 남중국의 ''Gigantopteris'' 식물군의 감소와 상관관계가 있다.[137] 남중국에서는 아열대 Cathaysian 자이언트엽이 지배하는 열대 우림이 갑자기 붕괴되었다.[138][275] 남중국에서의 식물 멸종은 토양 및 인근 호수 생태계에서 박테리아 번식과 관련이 있으며, 식물의 고사로 인한 토양 침식이 그 원인일 가능성이 높다. 산불 또한 ''Gigantopteris''의 쇠퇴에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높다.[470]

사해 근처의 화석으로 알려진, 요르단에 있는 침엽수 식물군은 페름기-트라이아스기 전환기에 걸쳐 특이한 안정성을 보여주었고, 위기에 최소한의 영향만 받은 것으로 보인다.[141]

고생대에는 늪지림의 고사리류, 석송류 및 목본 고사리가 번성했지만, 중생대에는 침엽수, 은행나무, 소철 및 현생 고사리로 대체되었다. 고생대의 석탄기부터 이어진 페름기의 지층에는 석탄이 대량으로 매장되어 있지만, P-T 경계를 경계로 석탄이 갑자기 사라졌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동시에 일어나며, 남극, 오스트레일리아, 인도, 중국 등에서 확인되었다. 두꺼운 석탄층이 다시 나타나는 것은 중기 트라이아스기 말 또는 후기 트라이아스기부터이다.[561]

P-T 경계를 경계로 평야부의 하천의 흐름이 급격하게 변했다. 페름기의 습윤한 평야부의 하천은 현재와 마찬가지로 사행하면서 천천히 흐르고, 유역에는 이암이 많이 퇴적되어 있었지만, P-T 경계를 경계로 갑자기 이암이 줄고 사암역암이 나타난다. 또한 하천의 흐름도 사행이 줄어들고 망상형으로 흐르는 타입으로 변했다.[533] 이는 P-T 경계에서 유역의 식물이 괴멸적으로 감소하여 토양이 없어졌다는 것과 기후가 더욱 온난・건조해졌다는 것에 의한 빗물에 의한 침식이 격화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 갑작스러운 변화는 남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유럽, 우랄 산맥의 남부, 인도 등 세계 각지의 P-T 경계 지층에서 확인되고 있다.[562]

전기 트라이아스기 지층에서는 현재까지 석탄이 발견되지 않고 있다. 석탄의 원료가 되는 이탄지의 식물이 격감한 것으로 여겨진다.[605] 오스트레일리아의 트라이아스기 초기의 지층에서는 작은 부레옥잠, 키가 작은 석송, 씨앗 고사리, 속새, 소수의 구과식물이 발견되고 있다. 특히 부레옥잠류인 아이소에스테스는 13개의 새로운 종이 전기 트라이아스기의 습지, 범람원, 사막 등으로 확산되었다. 당시 열대 지역에 위치했던 유럽에서도 부레옥잠은 석송과 함께 주요 식물이었다. 이러한 전기 트라이아스기에 특유한 식물에서 중생대를 대표하는 구과식물로 식생이 변화하는 것은 오스트레일리아와 유럽에서는 중기 트라이아스기 초, 중국에서는 중기 트라이아스기 후반이었다.[606]

4. 멸종 원인 가설

고생대 말 페름기에 일어난 대멸종은 고생대의 생물들이 중생대의 생물들로 바뀌는 계기가 되었다. 바다에서는 무척추동물 종의 90% 정도가 사라졌고,[611] 육상에서도 11개 목의 곤충을 포함한 많은 생물들이 멸종했다.[614] 이는 캄브리아기 이후 가장 큰 규모의 멸종이었다.

이 대멸종의 원인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이 있지만, 현재 지질학자 대부분은 시베리아 트랩 가설에 동의한다.

2억 5천만 년 전의 사건을 설명하기는 매우 어렵다. 육상 증거는 대부분 침식되었거나 깊이 묻혀 있고, 해저 확장은 2억 년 이상 완전히 재활용되어 바다 밑에 유용한 지표가 없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과학자들은 원인에 대한 상당한 증거를 수집했고, 여러 가지 기작을 제안했다. 여기에는 대격변적 과정과 점진적 과정이 모두 포함된다.


  • 대격변적 과정: 하나 이상의 대형 유성체 충돌 사건, 증가된 화산 활동, 메탄 하이드레이트 침전물의 해리 또는 메탄 생성 세균에 의한 유기 탄소 침전물의 대사를 통한 해저의 메탄 급증 등이 있다.
  • 점진적 과정: 해수면 변화, 증가하는 저산소증, 증가하는 건조함 등이 있다.


어떤 가설이든 석회질 골격을 가진 유기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사건의 선택성, 회복이 시작되기 전의 긴 기간(4~6백만 년), 회복 시작 후 생물학적 광물화의 최소 정도를 설명해야 한다.[73]

고생대 마지막 시기인 페름기중생대 첫 시기인 트라이아스기의 경계에 위치한 시기라는 점에서, 두 시기의 머리글자를 따서 "'''P-T 경계'''"라고 부른다. 지질학에서는 시대 경계를 규정하기 위해 새로운 생물 종[528]의 출현 시기를 이용한다. 따라서, 지질학상의 시대 경계 지층과 생물의 대량 절멸 시기의 지층은 일치하지 않는다. 하지만, 지질학자들 사이에서도 이 사건을 P-T 경계의 대멸종이라고 부르는 것에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은 적다.[529]

2억 5천만 년 전, 지표면에 존재하는 거의 모든 육지가 한 곳에 모여 초대륙 판게아 대륙을 형성했다. 판게아 이외의 지표면은 하나의 거대한 바다 판탈라사가 되었다. 판게아 대륙 내부에는 테티스 해가 지중해처럼 존재했다. 그 전까지 여러 개 존재하던 대륙과 해양이 하나씩으로 줄어들면서 서식 환경의 다양성이 감소하고, 생물 다양성이 감소하여 종의 수가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P-T 경계에서는 대량 절멸이 백만 년 이내에 발생했으므로, 초대륙 형성과 절멸의 관련성은 작다고 생각된다.

4. 1. 화산 활동

시베리아 트랩은 거대 화성암 지역으로, 사우디아라비아와 비슷한 약 2000000km2에 용암을 분출한, 알려진 가장 큰 화산 활동 중 하나였다.[311][312][313][314][315] 시베리아 트랩 분출 시기는 대멸종 사건과 시기적으로 일치한다.[24][316][317][318][319] 화산 활동은 더 규칙적인 흐름이 아닌 몇 차례의 거대한 마그마 분출 동안 발생했다.[320]

시베리아 트랩은 지질 기록상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가장 빠르게 증가한 사건 중 하나를 유발했으며,[321] 이산화탄소 배출 속도는 에메이산 트랩의 분출보다 5배 더 빨랐던 것으로 추정된다.[323][324][325] 이산화탄소 농도는 대멸종 이전에는 500~4,000ppm 사이에서 대멸종 이후에는 약 8,000ppm까지 급증했을 수 있다.[326] 또 다른 연구에서는 3,900~12,000 기가톤의 탄소가 해양-대기 시스템에 추가되었다고 추정했다.[398] 극심한 온도 상승이 뒤따랐을 것이지만,[349] 일부 증거에서는 화산 이산화탄소 배출량 증가와 지구 온난화 사이의 12,000~128,000년의 지연을 시사한다.[327] 지구 평균 표면 온도는 최대 35°C까지 치솟았고, 이러한 초열적 상태는 500,000년 동안 지속되었다.[398]

코로넨-수은 스파이크[337][338]와 지리적으로 광범위한 수은 이상 및 동위원소적으로 가벼운 탄소 증가가 일치하는 것을 바탕으로 지하 화석 연료 매장량의 화산 연소가 있었다.[339] Te/Th 값은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대량절멸(PTME)을 거치면서 20배 증가하여 극심한 화산 활동과 동시에 발생했음을 더욱 나타낸다.[340]

시베리아 트랩 분출은 할로겐이 풍부하여 오존층에 매우 파괴적이었다.[342] 약 18 테라톤의 염산이 배출되었고,[343] 먼지 구름과 산성 에어로졸을 유발하는 황이 풍부한 휘발성 물질과 함께 햇빛을 차단하고 육지와 해양의 유광대에서 광합성을 방해하여 먹이 사슬이 붕괴되었다. 이러한 화산성 황 분출은 또한 짧지만 심각한 지구 냉각을 유도했으며,[344] 빙상-해수면 하강을 동반했다.[342][345]

분출은 또한 대기에서 씻겨나온 에어로졸로 인해 산성비를 유발했을 수도 있다.[347] 이는 육상 식물과 연체동물플랑크톤 유기체(탄산칼슘 껍질)를 죽였을 수 있다. 시베리아 트랩 분출량의 20%가 대기 상층으로 던져진 화산쇄설암 재였으며, 이는 단기 냉각 효과를 증가시켰다.[348]

탄화수소 매장량의 연소는 멸종을 악화시켰을 수 있다. 시베리아 트랩은 초기-중기 고생대 시대의 두꺼운 탄산염암 및 증발암 퇴적층과 석탄기-페름기 시대의 석탄 함유 쇄설암으로 덮여 있다. 화성암 관입과 같은 열을 받으면 이러한 암석은 다량의 온실 가스 및 유독 가스를 방출할 수 있다.

시베리아 트랩의 실이 지배적인 부착은 온난화 효과를 연장했다. 압출성 화산 활동은 규산염 풍화 과정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효율적으로 격리하는 풍부한 수중 현무암을 생성하는 반면, 지하 실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격리하고 지구 온난화를 완화할 수 없다.[362]

해양 1차 생산성의 감소는 다이메틸 설페이트와 다이메틸설포니오프로피오네이트의 배출을 감소시켜 온난화를 강화했다.[363]

시베리아 트랩 활동 시기에 해당하는 수은 이상 현상이 지리적으로 다양한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어,[365][366][367] 이러한 화산 분출이 상당한 양의 유독성 수은을 대기 및 해양으로 방출하여 육상 및 해양 생물의 대규모 사망을 초래했음을 나타낸다.[368][369][370]

시베리아 트랩이 초래한 황폐화는 페름기-트라이아스기 경계 이후에도 끝나지 않았다. 탄소 동위원소 변동은 초기 트라이아스기 동안 시베리아 트랩 활동이 여러 번 반복되었음을 시사하며,[378][379] 이는 수은 스파이크로 확인되어[380] 이 시대에 추가적인 멸종 사건을 유발했다.[381]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대량절멸 시기에 발생한 두 번째 대규모 현무암 분출 사건으로, 약 2억 8600만 년 전부터 2억 4700만 년 전 사이에 곤드와나 남서부에서 발생한 초이오이 규장질 대규모 화성암 지대(Choiyoi Silicic Large Igneous Province)가 추가적인 멸종 기작으로 제안되었다. 이 현무암 분출은 곤드와나의 '글로소프테리스'(''Glossopteris'') 식물상의 지역적 쇠퇴와 관련이 있다.[383]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대량절멸 이전에 수은 이상이 발견되었는데, 당시 이는 남중국 순상지와 인도차이나 판의 경계였으며, 섭입대와 화산호가 위치한 곳이었다. 이 화산 활동으로 생성된 화산재층에서 발견된 동시퇴적 마그마성 저어콘의 하프늄 동위원소는 이 화산 활동이 대규모 화성암 지역 활동이 아닌 섭입대 화산 활동에서 기원했음을 확인시켜준다.

4. 2. 메탄 하이드레이트 가스화

메탄 클라트레이트(메탄 수화물)는 얼음의 결정 격자에 갇힌 메탄 분자로 구성된다. 이 메탄은 메탄 생성 미생물에 의해 생성되며, 정상치보다 약 6% 낮은 13C/12C 동위원소 비(δ13C −6.0%)를 가진다. 적절한 압력과 온도의 조합에서 클라트레이트는 영구 동토층 표면 근처, 대륙붕과 해저면에서 최소 수심, 해저면에서 최대 깊이의 퇴적물에 대량으로 형성된다.[386]

과학자들은 이러한 클라트레이트에서 메탄이 대량으로 방출된 것이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대량절멸(PTME)에 기여했을 수 있다는 증거를 발견했다. 탄산염 암석의 13C/12C 비가 페름기 말부터 약 1% 급격히 감소했다는 것이다.[81][387] 이는 일련의 이동(감소와 증가) 중 첫 번째, 가장 크고 가장 빠른 이동이며, 트라이아스기 중반에 갑자기 안정되었고, 그 직후 석회화 껍질을 가진 해양 생물의 회복으로 이어졌다.[85] 해저에는 아마도 메탄 수화물 퇴적물이 있었고, 용암이 퇴적물을 분해시켜 막대한 양의 메탄을 방출했을 것이다.[388]

메탄은 매우 강력한 온실 가스이므로 메탄의 대량 방출은 상당한 지구 온난화를 유발할 수 있다. 강력한 증거에 따르면 지구 온도가 적도 근처에서 약 6°C 상승했으며, 따라서 고위도에서는 더 많이 상승했다. 산소 동위원소비(18O/16O)가 급격히 감소했다.[389] 추운 기후를 필요로 하는 ''Glossopteris'' 식물상(''Glossopteris''와 같은 지역에서 자란 식물)이 멸종하고, 더 낮은 고위도 전형적인 식물상으로 대체되었다.[390] 또한 해양에서 대기 중으로 메탄과 기타 온실 가스가 대규모로 방출된 것은 당시의 무산소 사건 및 유황화 사건과 관련이 있으며, 그 정확한 메커니즘은 1986년 니오스 호수 재해와 비교되었다고 제안되었다.[391]

클라트레이트 가설은 지구 전체의 13C/12C 비가 1% 감소하는 것을 유발할 수 있는 유일하게 제안된 메커니즘으로 보였다.[392][20]

그러나 클라트레이트 가설도 비판을 받아왔다. 화산 활동으로 인한 탄산염 퇴적물의 로스팅을 고려한 탄소 순환 모델은 관찰된 감소를 생성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확인했다.[395][396] 또한 메탄의 대량 방출로 인해 예상되는 동위원소 이동 패턴이 초기 트라이아스기 전체에서 나타나는 패턴과 일치하지 않는다.[85]

4. 3. 고탄산혈증 및 산성화

해양 생물은 육상 생물보다 이산화 탄소(CO2) 농도 변화에 더 민감하다. 물이 이산화 탄소를 산소보다 28배 더 잘 용해시키고, 해양 동물은 체내 이산화 탄소 농도가 육상 동물보다 낮기 때문이다. 또한, 공기 호흡을 하는 동물의 경우 이산화 탄소가 호흡계의 막(폐포, 기관 등)을 통과해야 하므로 제거가 어렵다.[154]

해양 생물의 경우, 이산화 탄소 농도가 비교적 완만하게 증가하더라도 단백질 합성을 방해하고, 수정률을 감소시키며, 석회질 껍질에 기형을 유발할 수 있다.[154] 또한, 높은 이산화 탄소 농도는 활동적인 해양 동물의 활동 수준을 감소시켜 먹이 획득 능력을 저하시킨다.[401]

페름기 말 창싱기 단계의 해양 화석 분석 결과, 고탄산혈증(높은 이산화 탄소 농도)에 대한 내성이 낮은 해양 생물(특히 석회질 해면동물, 주름산호, 판상산호, 방해석을 침전시키는 완족류, 태형동물, 극피동물)의 멸종률이 높았고, 내성이 높은 생물은 손실이 적었다. 반면, 석회질 껍질이 없는 말미잘과 같은 생물은 약간의 손실만 겪었고, 높은 대사율과 잘 발달된 호흡계를 가진 동물은 거의 손실이 없었다.[154]

이산화 탄소 농도 증가는 해양 산성화를 유발하며,[402] 이는 석회화가 심한 분류군의 멸종과 일치한다.[403][404] 해양 pH는 최대 0.7 단위 감소했으며,[405] 극심한 아라고나이트 바다가 형성되었다.[406] 해양 산성화는 중위도에서 가장 심했고, 페름기 말 멸종과 관련된 주요 해양 침강은 무산소증과 함께 얕은 해양 생태계를 파괴한 것으로 여겨진다.[407] 그러나 일부 지역에서는 해양 산성화가 발생하지 않았다는 증거도 있으며,[408] 산성화가 주요 멸종 원인이 아니라는 주장도 있다.[410]

토양에서 이산화 탄소 농도 증가와 빗물에 이산화황이 녹아 생성된 산성비는 육상 생물에게도 치명적이었다.[412] 토양 산성화는 토양 침식을 증가시켰고,[413] 토양 내 산성 대사 산물을 제거하는 무척추동물의 감소로 인해 더욱 강화되었다.[415]

4. 4. 무산소증 및 유황화

무산소 사건

후기 페름기에서 초기 트라이아스기까지 광범위한 해양 무산소증(산소 심각 결핍)과 유시니아(황화 수소 존재)에 대한 증거가 발견된다.[419][420][421] 대부분의 테티스 해와 판탈라사 해에서 무산소증의 증거는 멸종 사건에서 나타나며, 여기에는 작은 황철석 딸기 모양, 음의 δ238U 편차, 음의 δ15N 편차, 양의 δ82/78Se 동위원소 편차,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에서 비교적 양의 δ13C 비율, 높은 Th/U 비율, 양의 Ce/Ce* 이상, 바닷물에서 몰리브덴, 우라늄 및 바나듐 고갈, 퇴적물의 미세한 층상 구조 등이 포함된다.[422][423][429][424][425][426][427][428][430][431] 그러나 무산소증의 증거는 인도 스피티, 중국 상시, 중국 메이산, 앨버타 오팔 크릭, 그리고 그린란드 Kap Stosch를 포함한 일부 다른 장소에서 멸종 이전에 나타난다.[432][433][434][435][436]

생지화학적 증거 또한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대량절멸(PTME) 동안 유시니아의 존재를 가리킨다.[437] 녹황세균의 생체 지표(예: isorenieratene의 속성 작용 생성물인 isorenieratane)는 녹황세균이 생존하기 위해 햇빛과 황화 수소 모두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광합성대 유시니아의 지표로 널리 사용된다. 페름기-트라이아스기 경계에서 채취한 퇴적물에서의 풍부함은 유시니아 상태가 광합성대의 얕은 물에서도 존재했음을 나타낸다.[438][439] 음의 수은 동위원소 편차는 PTME 동안 광범위한 유시니아에 대한 증거를 더욱 뒷받침한다.[440] 고위도 해양 종의 불균형적인 멸종은 산소 고갈이 주요 원인임을 더욱 입증한다. 따뜻하고 산소가 적은 물에 사는 저위도 종은 자연적으로 산소 수준이 낮은 환경에 더 잘 적응하여 지구 온난화 기간 동안 고위도로 이동할 수 있지만, 고위도 생물체는 극지방의 온난화되고 저산소 수괴에서 벗어날 수 없다.[441] 화산 수은 투입과 생물학적 전환 사이의 지연 증거는 멸종의 주요 원동력이 화산 활동과 고탄산혈증일 경우 멸종이 화산 수은 방출과 동기화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무산소증과 유시니아를 주요 원인으로 더욱 뒷받침한다.[442] 일부 단면에서 심해 생물이 먼저 영향을 받고, 그 다음으로 얕은 물, 마지막으로 저층 생물이 영향을 받는 멸종의 순서는 산소 최소 구역의 이동을 반영하는 것으로 여겨진다.[443]

해양 화학 모델은 무산소증과 유시니아는 고탄산혈증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황화 수소에 의한 중독, 무산소증, 고탄산혈증이 함께 작용했음을 시사한다. 고탄산혈증은 멸종의 선택성을 가장 잘 설명하지만, 무산소증과 유시니아는 사건의 높은 사망률에 기여했을 것이다.[444]

무산소 해양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사건은 시베리아 트랩의 분화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 배출에 의해 촉발되었을 수 있다. 그 시나리오에서 온실 효과 증진으로 인한 온난화는 바닷물에서 산소의 용해도를 감소시켜 산소 농도를 감소시켰을 것이다. 연안 증발 증가는 산소와 영양소가 고갈된 따뜻한 염수 저층수(WSBW)의 형성을 유발하여 깊은 해양을 통해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WSBW의 유입은 해수면을 상승시키는 물의 열팽창을 유발하여 무산소 수괴를 얕은 대륙붕으로 가져오고 양성 되먹임 루프에서 WSBW의 형성을 촉진했다.[445] 토양 침식으로 인해 테리지성 물질의 해양 유입이 증가하여 과영양화가 촉진되었을 것이다;[446] 해양 회귀 또한 테리지성 물질 유입을 증가시켰다.[447] 온난화와 물 순환의 가속화로 인한 대륙의 화학적 풍화 증가는 강에서 해양으로의 영양소 유입을 증가시켰을 것이다.[448] 또한 시베리아 트랩은 철과 인을 직접 해양에 비료로 공급하여 생물 번성과 해양 폭풍을 유발했다. 인산염 수준 증가는 표층 해양의 1차 생산성을 지원했을 것이다.[449] 유기물 생산량의 증가는 더 많은 유기물이 심해로 가라앉게 하여 호흡을 통해 산소 농도를 더욱 감소시켰을 것이다. 무산소증이 일단 확립되면 양성 되먹임 루프에 의해 유지되었을 것이다. 깊은 물 무산소증은 인산염의 재활용 효율을 높여 생산성을 더욱 높이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450] 남중국 판탈라사 해안을 따라 산소 감소는 또한 다양한 영양소가 풍부한 심층수의 대규모 용승에 의해 발생하여 이 지역의 해양을 특히 심각한 무산소증으로 만들었다.[451] 대류 전복은 물기둥 전체에 무산소증의 확산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페름기 말의 심각한 무산소 사건은 황산염 환원 박테리아가 번성하게 하여 무산소 해양에서 대량의 황화 수소를 생성하게 하여 유시니아로 만들었을 것이다. 일부 지역에서는 화산 황 배출로 인한 일시적인 한파로 인해 무산소증이 잠시 사라졌다.

초기 트라이아스기를 통한 무산소증의 지속은 멸종 후 해양 생물의 느린 회복과 낮은 생물 다양성 수준을 설명할 수 있으며,[456][457] 특히 저서 생물의 경우 더욱 그렇다.[458][204] 무산소증은 깊은 해양보다 얕은 물에서 더 빠르게 사라졌다.[459] 산소 최소 구역의 재확장은 늦은 스파티안까지 중단되지 않아 생물학적 회복 과정을 주기적으로 지연시키고 재시작했다.[460] 스파티안 말로 갈수록 대륙 풍화의 감소는 마침내 재발하는 무산소증으로부터 해양 생물을 개선하기 시작했다.[461] 판탈라사의 일부 지역에서는 안시안까지 원양대 무산소증이 재발했으며,[462] 아마도 생산성 증가와 풍성 용승의 재발 때문일 것이다.[463] 일부 단면은 비교적 빠르게 산소가 풍부한 수괴 상태로 돌아가는 것을 보여주므로, 무산소증이 얼마나 오래 지속되었는지는 논쟁의 대상이다.[464] 초기 트라이아스기 황 순환의 변동성은 해양 생물이 유시니아의 재발에도 계속 직면했음을 시사한다.[465]

일부 과학자들은 오래 지속되는 무산소 조건이 고위도에서 냉각을 특징으로 하는 "열 모드"를 따르는 후기 페름기 열염분 해양 순환이 지원될 수 없었을 것이라는 근거로 무산소증 가설에 이의를 제기했다. 무산소증은 아열대 증발에 의해 순환이 유도되는 "할린 모드" 하에서 지속되었을 수 있지만, "할린 모드"는 매우 불안정하며 후기 페름기 해양 순환을 나타낼 가능성이 낮았다.[466]

광범위한 미생물 번식을 통한 산소 고갈은 해양 생태계뿐만 아니라 담수 생태계의 생물학적 붕괴에도 역할을 했다. 멸종 사건 이후 지속적인 산소 부족은 초기 트라이아스기 시대의 상당 부분 동안 생물학적 회복을 지연시키는 데 도움이 되었다.[467]

4. 5. 건조화

대륙의 건조화는 초대륙 판게아의 합체로 인해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대량절멸(PTME) 이전부터 진행되던 추세였으며, 페름기 말 화산 활동과 지구 온난화로 인해 더욱 악화되었다.[468] 지구 온난화와 건조화의 조합은 산불 발생률 증가를 초래했다.[469] 중국 남부와 같은 열대 해안 습지 식물은 산불 증가로 인해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받았을 수 있지만,[470] 산불 증가가 분류군 멸종의 원인에 역할을 했는지는 불분명하다.[471]

건조화 추세는 그 속도와 지역적 영향에 있어 광범위한 차이를 보였다. 카루 분지의 범람원 화석 강 퇴적물 분석 결과, 사행천에서 교차형 하천 패턴으로의 변화가 나타났으며, 이는 기후가 매우 급격하게 건조해졌음을 나타낸다.[472] 기후 변화는 10만 년 이내에 일어났을 수 있으며, 독특한 ''글로소프테리스'' 식물과 그와 관련된 초식 동물의 멸종을 촉발했고, 뒤이어 육식 동물이 멸종되었다.[473] 카루 분지 생층서학으로부터 건조화로 인한 멸종 패턴이 먹이 사슬을 따라 점진적으로 상위로 진행되었음이 추론되었다.[145]

그러나 페름기-트라이아스기 경계에서 카루 분지의 건조화에 대한 증거가 보편적인 것은 아니며, 일부 고생토 증거는 두 지질 시대의 전환기 동안 지역 기후가 습윤해졌음을 나타낸다.[474] 반면, 호주 동부의 시드니 분지의 증거는 판게아 전역에 걸쳐 반건조 및 건조 기후대의 확장이 즉각적인 것이 아니라 점진적이고 장기적인 과정이었음을 시사한다. 이탄지 소실 외에는 페름기-트라이아스기 경계에서 퇴적 양식에 상당한 변화가 있었다는 증거는 거의 없었다.[475] 대신, 이 지역의 후기 페름기 및 전기 트라이아스기 퇴적물로부터의 풍화 지표를 기반으로 한 고기후 모델에 의해 증폭된 계절성과 더 더운 여름으로의 완만한 변화가 제시되었다.[476]

시베리아 남서부의 쿠즈네츠크 분지에서는 건조화 증가로 인해 페름기-트라이아스기 경계 수십만 년 전에 이 지역의 습윤 환경에 적응한 ''코르다이테스'' 숲이 사라졌다. 이 분지의 건조화는 멸종의 더 급격한 주 단계 이전에 늦은 창싱기 동안 더 건조하고 건조한 기후가 극쪽으로 이동한 것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열대 및 아열대 종에 불균형적인 영향을 미쳤다.[136]

초건조성의 지속 기간 또한 지역적으로 달랐다. 북중국 분지에서는 페름기 말, 페름기-트라이아스기 경계 부근에서 고도로 건조한 기후 조건이 기록되었으며, 전기 트라이아스기 동안 강수량 증가로 변화했는데, 후자는 대량 멸종 이후 생물 회복에 도움을 주었을 가능성이 높다.[477][478] 카루 분지와 같은 다른 지역에서는 전기 트라이아스기에 건조한 기후의 에피소드가 정기적으로 반복되었으며, 이는 육상 사지동물에 심오한 영향을 미쳤다.[468]

어떤 지역의 생흔 화석의 유형과 다양성은 건조도를 측정하는 지표로 사용되어 왔다. 사르데냐 섬의 생흔 화석 지점인 누라에서는 갑각류에서 심각한 가뭄 관련 스트레스의 증거가 나타난다. 누라의 페름기 하위 네트워크는 광범위한 수평적 매립 흔적과 높은 생흔 다양성을 보이지만, 전기 트라이아스기 하위 네트워크는 매립 흔적이 없고 건조화의 생흔학적 징후를 특징으로 한다.[479]

4. 6. 오존층 파괴

화산 활동으로 인해 할로겐, 황산염 에어로졸, 메틸 브로마이드, 메틸 클로라이드 등이 방출되면서 오존층 파괴가 일어났을 수 있다.[34] 오존층이 파괴되면 자외선 복사량이 증가하는데, 이는 생물, 특히 식물에게 해로운 영향을 미친다.[480][481][482] 실제로 페름기 말 화석 포자에서는 자외선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변형이 나타나며,[484][34] 변형된 식물 포자는 자외선 B 흡수 화합물의 증가를 보여준다.[485] 이는 환경 재앙에서 자외선 복사의 증가가 영향을 주었음을 보여주며, 이러한 변형된 포자에서 중금속 독성과 같은 다른 돌연변이 유발 가능성은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485]

컴퓨터 모델링에 따르면 높은 대기 중 메탄 농도는 오존층 감소와 관련이 있으며,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대량 절멸 동안 오존층 감소에 영향을 주었을 수 있다. 성층권으로 화산 기원의 황산염 에어로졸이 방출되면 오존층에 심각한 파괴가 발생했을 것이다.[484] 시베리아 트랩 화산 활동이 메틸 브로마이드 및 메틸 클로라이드와 같은 유기할로겐이 풍부한 퇴적층에 침투하는 것도 오존 파괴의 또 다른 원인이었을 것이다.[34]

4. 7. 소행성 충돌

백악기-고생대 대량 절멸의 원인이 충돌 사건일 수 있다는 증거는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대량 절멸(P–Tr 대량 절멸)을 포함한 다른 대량 절멸 사건의 원인이 비슷한 충돌일 수 있다는 추측으로 이어졌고, 다른 멸종 시기에 해당하는 적절한 연대의 대형 충돌구와 같은 충돌의 증거를 찾게 되었다.[494] 그러나 소행성 충돌이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대량 절멸의 방아쇠였다는 주장은 현재 대부분 거부되고 있다.[495][57]

P–Tr 경계면의 충돌 사건에 대한 보고된 증거에는 호주와 남극 대륙에서 발견된 드문 충격 석영 입자,[496][497] 외계의 불활성 기체를 가두는 풀러렌,[498] 남극 대륙의 운석 파편,[499] 충돌로 생성되었을 수 있는 철, 니켈, 규소가 풍부한 입자가 포함된다.[500] 그러나 이러한 주장의 정확성 대부분이 의문을 제기받았다.[501][502][503][504] 예를 들어, 한때 "충격"을 받은 것으로 여겨졌던 남극 대륙의 그래파이트 피크에서 발견된 석영은 광학 및 투과 전자 현미경으로 재검사되었다. 관찰된 특징은 충격이 아니라 소성 변형에 의한 것으로 결론났으며, 이는 화산 활동과 같은 구조 운동 환경에서 형성된 것과 일치한다.[505] 페름기-트라이아스기 경계에 걸쳐 있는 많은 지역의 이리듐 수치가 비정상적이지 않다는 것은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대량절멸의 원인으로서의 외계 충돌에 대한 증거가 부족하다는 것을 보여준다.[506]

해저에 충돌구가 있다면 P–Tr 대량 절멸의 가능한 원인에 대한 증거가 되겠지만, 그러한 충돌구는 현재 사라졌을 것이다. 현재 지구 표면의 70%가 바다이므로, 소행성이나 혜성 파편이 육지에 떨어질 확률보다 바다에 떨어질 확률이 두 배 이상 높을 수 있다. 그러나 지구의 가장 오래된 해저 지각은 단지 2억 년밖에 되지 않는데, 이는 해양 확산과 섭입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파괴되고 갱신되기 때문이다. 또한, 매우 큰 충돌로 인해 생성된 충돌구는 지각이 관통되거나 약화된 후 하부에서 광범위한 홍수 현무암으로 가려질 수 있다.[507] 하지만 섭입이 증거 부족에 대한 설명으로 완전히 받아들여져서는 안 된다. K-T 사건과 마찬가지로, 친철원소(이리듐 등)가 풍부한 배출물 담요 지층이 당시의 지층에서 예상될 것이다.

대규모 충돌은 위에서 설명한 다른 멸종 메커니즘을 촉발했을 수 있으며,[349] 예를 들어 충돌 지점[508]이나 충돌 지점의 대척점에서 일어나는 시베리아 트랩 분출과 같은 것이다.[349][509]

4. 8. 메탄 생성균

2014년에 발표된 가설에 따르면, ''메타노사르시나''(Methanosarcina)라는 혐기성 호흡을 하는 메탄 생성 고세균이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대량 절멸의 원인일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세 가지 증거를 통해 이 미생물이 대략 그 시기에 유전자 전달을 통해 아세테이트를 메탄으로 효율적으로 대사할 수 있는 새로운 대사 경로를 획득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메타노사르시나의 기하급수적인 번식으로 이어져 해양 퇴적물에 축적된 방대한 유기 탄소를 빠르게 소비할 수 있게 했을 것이다. 그 결과 해양과 대기 중에 메탄과 이산화탄소가 급격하게 축적되었으며, 이는 탄소 동위원소(13C/12C) 기록과 일치할 수 있다. 대규모 화산 활동은 메탄 생산에 관여하는 효소의 보조 인자인 니켈을 대량으로 방출하여 이 과정을 촉진했다.[520] 차오톈(Chaotian) 지역의 페름기-트라이아스기 경계 퇴적층에 대한 화학층서 분석 결과는 메탄 생성의 폭발이 탄소 동위원소 변동의 일부를 담당했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521] 그러나 전형적인 메이산(Meishan) 단면에서는 탄소 동위원소 농도가 감소하기 시작한 후 니켈 농도가 다소 증가한다.[522]

5. 현재의 지구 온난화와 비교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대량절멸은 현재의 인위적 지구 온난화 상황 및 홀로세 멸종과 비교되는데, 이는 이산화 탄소의 급격한 방출이라는 공통적인 특징을 공유하기 때문이다. 현재의 온실 가스 배출 속도는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대량절멸 기간 동안 측정된 속도보다 10배 이상 빠르다.[321]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대량절멸 당시와 마찬가지로, 현재 바다는 pH 및 산소 수치가 감소하는 현상을 겪고 있다.[524] 이러한 유사성은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대량절멸과 유사한 사건이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여야 할 필요성이 시급하다는 지질학자들의 경고로 이어졌다.[321]

지질학자 리 컴프는 다음과 같이 강조한다.

>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대량 멸종은 급격한 이산화탄소 배출의 결과를 분명하게 상기시켜 줍니다.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대량 멸종 동안 화산 활동은 막대한 양의 CO₂를 방출하여 해양 산성화, 탈산소화, 광범위한 생태계 붕괴를 초래했습니다. 오늘날 우리는 인간의 활동이 이와 유사한 과정을 훨씬 더 빠른 속도로 유발하는 것을 보고 있습니다. 지질 기록은 이러한 임계점에 도달하면 생태계에 대한 연쇄적인 영향이 수백만 년 동안 지속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526] [527]

이산화탄소 수치가 계속 상승하면 현대 해양 생태계에 재앙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6. 생물 다양성 회복 지연

과거의 모든 대멸종 사건 이후에는 멸종된 생물종을 대신하여 차세대 생물이 번성하며 생물 다양성이 회복되었다. 예를 들어 K-Pg 경계에서는 공룡으로 대표되는 대형 파충류 대부분이 멸종한 후 수십만 년 만에[591][592] 포유류조류가 다양성을 회복했다. 하지만 P-T 경계에서는 생물 다양성 회복이 매우 늦어져[593] 400만 년 후에도 종의 수가 회복되지 않았으며, 본격적으로 회복된 것은 약 1,000만 년 후였다.[591] 이러한 회복 지연의 원인은 P-T 경계 이후에도 지구 환경이 생물 생존에 가혹한 조건이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594]

멸종으로부터의 회복 속도는 논쟁의 대상이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비교적 빠른 회복이 나타나기도 했다. 아이다호주 베어레이크 군과 그 인근 지역의 연구에서는 국지적인 초기 트라이아스기 해양 생태계에서 약 130만 년 만에 회복이 일어났다는 결과가 나왔다.[175][176] 또한, 중국 구이양 근처의 구이양 생물군 역시 대량 멸종 이후 불과 100만 년 만에 생명체가 번성했음을 보여준다.[178][179]

회복 속도와 시기는 분류군과 생활 방식에 따라 달랐다. 암모노이드와 같은 유영 생물은 위기 이후 200만 년 만에 멸종 이전 다양성을 초과했지만,[191] 해저 생물군은 초기 트라이아스기 말까지 비교적 낮은 다양성을 유지했다.[189] 최근 연구에 따르면 회복 속도는 종 간의 경쟁 강도에 의해 결정되며, 초기 트라이아스기에 회복이 느렸던 이유는 낮은 수준의 생물학적 경쟁 때문으로 설명될 수 있다.[194] 또한, 초기 트라이아스기 동안 주기적으로 심각한 상태가 반복되어 추가적인 멸종 사건이 발생했기 때문에 회복이 지연되었다는 주장도 있다.[197][198]

대부분의 해양 생태계는 중기 트라이아스기에 완전히 회복되었지만, 전 세계 해양 다양성은 대멸종 사건 이후 약 7,500만 년이 지난 중기 쥐라기에야 비로소 멸종 이전 수준에 도달했다.

석탄기 바다나리 ''Agaricocrinus americanus''와 같은 정착성 여과 섭식자는 P-Tr 멸종 이후 현저히 적었다.


멸종 이전에는 해양 동물 중 약 2/3가 착생성이었지만, 중생대 동안에는 약 절반만이 착생성이었다. 완족류와 바다 백합과 같은 착생성 표생물 현탁 섭식자는 감소하고, 달팽이, 성게, 와 같은 더 복잡한 이동성 종이 증가했다.[211]

6. 1. 화석 발견 종 수 감소

이매패류 ''Claraia clarai''가 있는 조개층, 초기 트라이아스기 재앙 분류군


미국 텍사스주의 페름기 해양 지층에서는 수천 종의 저서생물이 확인되었고, 그 중에서도 수백 종의 복족류가 확인되었다. 반면, 유타주의 사암·석회암 지대에서 채취된 대멸종 후의 트라이아스기 초기 지층에서는 저서 생물 22속, 복족류 화석 종류는 9~10종밖에 발견되지 않았다.[595][596] 세계 각지의 트라이아스기 초기 지층에서는 이매패류 ''클라라이아''와 완족류 ''린굴라''만이 수백만 개 이상 뭉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597] 이 두 종류는 일반적으로 저산소 조건에서 서식하는 생물로, 당시 얕은 바다가 계속 저산소 상태였을 가능성이 시사된다.[598] 이는 슈퍼 아녹시아(Super Anoxia)가 P-T 경계 후에도 약 1000만 년 동안 지속되었다는 사실과 일치한다.[599]

''클라라이아''와 ''린굴라''는 유타주, 북이탈리아, 이란, 중국 남부, 일본 등 세계 각지에서 트라이아스기 초기 화석으로 발견되며,[600] 이 기간 동안 종 다양성이 현저하게 감소했음을 보여준다. 이들은 다른 생물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전기 트라이아스기 말기에는 드물게 발견된다.[601]

6. 2. 스트로마톨라이트 번성

스트로마톨라이트는 원생대에 번성했던 미생물 군집에 의해 만들어진 퇴적암이다. 캄브리아기 이후에는 그 수가 줄어들었지만, 트라이아스기 초기의 바다에서는 넓게 퍼져 있었다. 스트로마톨라이트는 현재도 오스트레일리아의 샤크만 등에서 볼 수 있지만,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능력이 부족하여 다른 생물이 살기 어려운 조건[602]에서 살아남았다.

트라이아스기 초기의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은 독일[603], 미국 서부, 터키, 그린란드, 중국 남부, 이란, 일본에서 발견되었으며, 400만에서 500만 년 동안 얕은 바다에서 번성했다.[604] 이 시기 바다에서는 스트로마톨라이트를 먹는 생물이 크게 줄었을 것으로 보인다.

6. 3. 식물 상황

지질 기록에 따르면, 육상 식물에 대한 기록은 희소하며 주로 꽃가루포자 연구에 근거한다. 페름기-트라이아스기 경계에서의 식물상 변화는 특정 지역의 보존 품질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127] 식물은 대량 멸종에 비교적 면역력이 있어, 모든 주요 대량 멸종의 영향이 과 수준에서 "미미"했다.[18] 심지어 종 다양성 감소(50%)도 대부분 화석화 과정 때문일 수 있다.[129][18] 그러나 생태계의 대대적인 재편이 발생하여 식물의 개체수와 분포가 심오하게 변화하고 모든 숲이 사실상 사라졌다.[130][18]

고생대에는 늪지림의 고사리류, 석송류 및 목본 고사리가 번성했지만, 중생대에는 침엽수, 은행나무, 소철 및 현생 고사리로 대체되었다. 고생대의 석탄기부터 이어진 페름기의 지층에는 석탄이 대량으로 매장되어 있지만, 페름기-트라이아스기 경계를 경계로 석탄이 갑자기 사라진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동시에 일어나며, 남극, 오스트레일리아, 인도, 중국 등에서 확인되었다. 두꺼운 석탄층이 다시 나타나는 것은 중기 트라이아스기 말 또는 후기 트라이아스기부터이다.[561]

페름기-트라이아스기 경계를 경계로 평야부 하천의 흐름이 급격하게 변했다. 페름기의 습윤한 평야부 하천은 현재와 마찬가지로 사행하면서 천천히 흘렀고, 유역에는 이암이 많이 퇴적되어 있었지만, 페름기-트라이아스기 경계를 경계로 갑자기 이암이 줄고 사암역암이 나타난다. 또한 하천의 흐름도 사행이 줄어들고 망상형으로 흐르는 타입으로 변했다.[533] 이는 페름기-트라이아스기 경계에서 유역의 식물이 괴멸적으로 감소하여 토양이 없어졌고, 기후가 더욱 온난・건조해졌기 때문에 빗물에 의한 침식이 격화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 갑작스러운 변화는 남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유럽, 우랄 산맥 남부, 인도 등 세계 각지의 페름기-트라이아스기 경계 지층에서 확인되고 있다.[562]

전기 트라이아스기 지층에서는 현재까지 석탄이 발견되지 않고 있다. 석탄의 원료가 되는 이탄지의 식물이 격감한 것으로 여겨진다.[605] 오스트레일리아의 트라이아스기 초기 지층에서는 작은 부레옥잠, 키가 작은 석송, 씨앗 고사리, 속새, 소수의 구과식물이 발견되고 있다. 특히 부레옥잠류인 아이소에스테스는 13개의 새로운 종이 전기 트라이아스기의 습지, 범람원, 사막 등으로 확산되었다. 당시 열대 지역에 위치했던 유럽에서도 부레옥잠은 석송과 함께 주요 식물이었다. 이러한 전기 트라이아스기에 특유한 식물에서 중생대를 대표하는 구과식물로 식생이 변화하는 것은 오스트레일리아와 유럽에서는 중기 트라이아스기 초, 중국에서는 중기 트라이아스기 후반이었다.[606]

7. 일본 내 P-T 경계

일본 내 페름기-트라이아스기(P-T) 경계는 기후현, 아이치현, 교토부, 도쿠시마현, 고치현, 에히메현, 오이타현, 미야자키현 등지에 분포한다.[607][608][609][610]

위치암석특징
기후현 가카미가하라시아이치현 이누야마시의 현 경계미노대 흑색 차트흑색 유기질 이암
기후현 오가키시 아카사카석회암5mm 산성 응회암
교토부 후쿠치야마시단바대 차트
도쿠시마현 덴진마루지치부대 차트
고치현 이노정지치부대 차트
오이타현 쓰쿠미시 사이키시지치부대
에히메현 히가시우와군 시키가와정돌로마이트
미야자키현 니시우스키군 다카치호정 가미무라지치부대 돌로마이트1~3mm 담녹색 점토층


참조

[1] 논문 Age and Paleoenvironmental Significance of the Frazer Beach Member – A New Lithostratigraphic Unit Overlying the End-Permian Extinction Horizon in the Sydney Basin, Australia 2021-01-08
[2] 논문 Multiple drivers and lineage-specific insect extinctions during the Permo-Triassic 2011-12-06
[3] 뉴스 "Great Dying" lasted 200,000 years http://news.national[...] 2014-04-01
[4] 뉴스 After Earth's worst mass extinction, life rebounded rapidly, fossils suggest https://www.nytimes.[...] 2017-02-17
[5] 논문 The P–T Extinction was a Slow Death https://www.astrobio[...] 2012-02-05
[6] 논문 Quantitative stratigraphic correlation of Tethyan conodonts across the Smithian-Spathian (Early Triassic) extinction event https://www.scienced[...] 2022-10-28
[7] 논문 Estimates of the magnitudes of major marine mass extinctions in earth history 2016-10-18
[8] 서적 When Life Nearly Died: The greatest mass extinction of all time Thames & Hudson
[9] 서적 Evolution https://books.google[...] Norton
[10] 논문 Recovery from the most profound mass extinction of all time
[11] 논문 Forty years later: The status of the "Big Five" mass extinctions 2023-01-05
[12] 논문 Pattern of marine mass extinction near the Permian–Triassic boundary in south China https://www.science.[...] 2023-03-05
[13] 논문 End-Permian marine extinction due to temperature-driven nutrient recycling and euxinia https://www.nature.c[...] 2021-10-28
[14] 논문 Explosive eruption of coal and basalt and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15] 논문 A Mesozoic fossil lagerstätte from 250.8 million years ago shows a modern-type marine ecosystem https://www.science.[...]
[16] 논문 Unexpected Early Triassic marine ecosystem and the rise of the Modern evolutionary fauna
[17] 논문 Large Perturbations of the Carbon Cycle During Recovery from the End-Permian Extinction http://pangea.stanfo[...]
[18] 논문 Mass extinction events and the plant fossil record
[19] 논문 Global coal gap between Permian–Triassic extinctions and middle Triassic recovery of peat forming plants
[20] 서적 The great Paleozoic crisis; Life and death in the Permian Columbia University Press
[21] 논문 The global stratotype section and point (GSSP) of the Permian–Triassic boundary
[22] 서적 Permo–Triassic Events in the Eastern Tethys: Stratigraphy, classification, and relations with the western Tethys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07-03
[23] 논문 Palaeogeographic variation in the Permian–Triassic boundary microbialites: A discussion of microbial and ocean processes after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2017-04-01
[24] 논문 High-precision timeline for Earth's most severe extinction 2014-02-10
[25] 논문 Revised conodont-based integrated high-resolution timescale for the Changhsingian Stage and end-Permian extinction interval at the Meishan sections, South China https://www.scienced[...] 2023-08-10
[26] 논문 13C minima follow extinction events: A clue to faunal radiation
[27] 논문 Stable carbon isotope signature in mid-Panthalassa shallow-water carbonates across the Permo–Triassic boundary: Evidence for 13C-depleted ocean https://www.scienced[...] 2023-07-03
[28] 논문 The Permian-Triassic boundary in Western Slovenia (Idrijca Valley section): magnetostratigraphy, stable isotopes, and elemental variations
[29] 논문 Changhsingian conodont succession and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event at the Daijiagou section in Chongqing, Southwest China https://linkinghub.e[...] 2024-06-18
[30] 논문 Carbon-isotope stratigraphy across the Permian–Triassic boundary: A review https://www.scienced[...] 2023-06-26
[31] 논문 Diagenetic overprint on negative δ13C excursions across the Permian/Triassic boundary: A case study from Meishan section, China https://www.scienced[...] 2023-09-20
[32] 서적 Chemostratigraphy Across Major Chronological Boundaries https://agupubs.onli[...] American Geophysical Union 2023-09-20
[33] 웹사이트 Daily CO2 https://www.co2.eart[...] Mauna Loa Observatory
[34] 논문 Environmental mutagenesis during the end-Permian ecological crisis 2004-08-31
[35] 논문 The terminal Paleozoic fungal event: Evidence of terrestrial ecosystem destabilization and collapse
[36] 논문 The Permian–Triassic palynological transition in the Guryul Ravine section, Kashmir, India: implications for Tethyan–Gondwanan correlations https://www.scienced[...] 2015-10
[37] 논문 A revision of Reduviasporonites Wilson 1962: Description, illustration, comparison and biological affinities
[38] 논문 Anisian floras from the NE Iberian Peninsula and Balearic Islands: A synthesis https://www.scienced[...] 2010-10
[39] 논문 Permian–Triassic transition in Spain: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40] 논문 Life in the end-Permian dead zone
[41] 논문 Vertebrate extinction across Permian-Triassic boundary in Karoo Basin, South Africa
[42] 논문 Chemical constitution of a Permian-Triassic disaster species
[43] 논문 The fungal and acritarch events as time markers for the latest Permian mass extinction: An update https://www.research[...] 2018-01
[44] 논문 Two pulses of oceanic environmental disturbance during the Permian–Triassic boundary crisis https://linkinghub.e[...] 2024-06-18
[45] 논문 The end-Permian regression in South China and its implication on mass extinction https://linkinghub.e[...] 2023-09-20
[46] 논문 Multiple Organic Carbon Isotope Reversals across the Permo-Triassic Boundary of Terrestrial Gondwana Sequences: Clues to Extinction Patterns and Delayed Ecosystem Recovery https://www.journals[...] 2023-09-20
[47] 논문 The protracted Permo-Triassic crisis and multi-episode extinction around the Permian–Triassic boundary https://www.scienced[...] 2022-10-29
[48] 논문 Abrupt and gradual extinction among late Permian land vertebrates in the Karoo Basin, South Africa http://www.gps.calte[...]
[49] 논문 Tempo of the end-Permian event: High-resolution cyclostratigraphy at the Permian–Triassic boundary
[50] 논문 Different triggers for the two pulses of mass extinction across the Permian and Triassic boundary 2021-03-23
[51] 논문 'Early and late phases of the Permian–Triassic mass extinction marked by different atmospheric CO2 regimes' https://www.nature.c[...] 2023-04-20
[52] 논문 Confidence intervals for pulsed mass extinction events http://www.swarthmor[...]
[53] 논문 Environmental change in the late Permian of Queensland, NE Australia: The warmup to the end-Permian Extinction 2022-05-15
[54] 논문 The stability and collapse of marine ecosystems during the Permian-Triassic mass extinction 2023-02-24
[55] 논문 Calibrating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https://www.science.[...] 2023-05-26
[56] 논문 High-precision U-Pb CA-TIMS calibration of Middle Permian to Lower Triassic sequences, mass extinction and extreme climate-change in eastern Australian Gondwana https://www.scienced[...] 2023-05-31
[57] 논문 Environmental crises at the Permian–Triassic mass extinction https://www.nature.c[...] 2022-12-20
[58] 논문 Catastrophic event sequences across the Permian-Triassic boundary in the ocean and on land https://www.scienced[...] 2023-11-24
[59] 논문 A close-up view of the Permian–Triassic boundary based on expanded organic carbon isotope records from Norway (Trøndelag and Finnmark Platform) https://www.scienced[...] 2023-08-10
[60] 논문 Is the vertebrate-defined Permian-Triassic boundary in the Karoo Basin, South Africa, the terrestrial expression of the end-Permian marine event? 2015-10-01
[61] 논문 End-Permian terrestrial ecosystem collapse in North China: Evidence from palynology and geochemistry 2023-03
[62] 논문 The terrestrial end-Permian mass extinction in the paleotropics postdates the marine extinction 2024-02-02
[63] 논문 Cycles in fossil diversity https://www.nature.c[...] 2023-01-14
[64] 논문 The mid-Capitanian (Middle Permian) mass extinction and carbon isotope record of South China
[65] 논문 Middle-Late Permian mass extinction on land 2006-11
[66] arXiv Tectonic cause of mass extinctions and the genomic contribution to biodiversification 2012-12-18
[67] 논문 A double mass extinction at the end of the Paleozoic Era
[68] 논문 Fusuline biotic turnover across the Guadalupian–Lopingian (Middle–Upper Permian) boundary in mid-oceanic carbonate buildups: Biostratigraphy of accreted limestone in Japan 2006-03
[69] 논문 Paleobiogeographical extinction patterns of Permian brachiopods in the Asian-western Pacific region
[70] 논문 Diversity and extinction patterns of Permian coral faunas of China 2000-12
[71] 논문 Silica-secreting biota and mass extinctions: survival processes and patterns
[72] 논문 Origination, extinction, and mass depletions of marine diversity http://www.bioone.or[...] 2004-12
[73] 서적 Reviews in Mineralogy and Geochemistry http://www.geochem.g[...]
[74] 논문 Respiratory protein-driven selectivity during the Permian-Triassic mass extinction 2024-05-06
[75] 논문 Increased bivalve cosmopolitanism during the mid-Phanerozoic mass extinctions https://www.scienced[...] 2023-02-20
[76] 논문 Estimating spatial variation in origination and extinction in deep time: a case study using the Permian–Triassic marine invertebrate fossil record 2023-02-10
[77] 논문 A delayed end-Permian extinction in deep-water locations and its relationship to temperature trends (Bianyang, Guizhou Province, South China) https://linkinghub.e[...] 2024-10-13
[78] 논문 Predation defeats competition on the seafloor http://paleobiol.geo[...] 2008-05-13
[79] 논문 An Analysis of the History of Marine Animal Diversity http://paleobiol.geo[...]
[80] 논문 Taxonomic selectivity and continuous variation in mass and background extinctions of marine taxa
[81] 논문 Rapid and synchronous collapse of marine and terrestrial ecosystems during the end-Permian biotic crisis
[82] 논문 Loss of the sedimentary mixed layer as a result of the end-Permian extinction https://www.scienced[...] 2022-12-19
[83] 웹사이트 Permian: The Marine Realm and The End-Permian Extinction http://paleobiology.[...] 2016-01-26
[84] 웹사이트 Permian extinction https://www.britanni[...] 2016-01-26
[85] 논문 Large Perturbations of the Carbon Cycle During Recovery from the End-Permian Extinction http://pangea.stanfo[...]
[86] 논문 Comparative Earth history and Late Permian mass extinction
[87] 논문 Taxon characteristics that promote survivorship through the Permian–Triassic interval: transition from the Paleozoic to the Mesozoic brachiopod fauna
[88] 논문 Morphological innovation after mass extinction events in Permian and Early Triassic conodonts based on Polygnathacea https://linkinghub.e[...] 2024-05-21
[89] 논문 Morphological Disparity of Ammonoids and the Mark of Permian Mass Extinctions 2004-10
[90] 논문 Morphologic and taxonomic history of Paleozoic ammonoids in time and morphospace
[91] 논문 Ostracods (Crustacea) through the Permian-Triassic boundary in South China: the Meishan stratotype (Zhejiang Province) https://www.tandfonl[...] 2023-07-03
[92] 논문 Ostracods (Crustacea) associated with microbialites across the Permian-Triassic boundary in Dajiang (Guizhou Province, South China) https://europeanjour[...] 2023-07-03
[93] 논문 Bryozoan paleoecology indicates mid-Phanerozoic extinctions were the product of long-term environmental stress https://pubs.geoscie[...] 2023-12-30
[94] 논문 Decline of Siliceous Sponges and Spicule Miniaturization Induced by Marine Productivity Collapse and Expanding Anoxia During the Permian-Triassic Crisis in South China https://pubs.geoscie[...] 2023-05-31
[95] 서적 Nature through Time https://link.springe[...] Springer Cham 2021-07-29
[96] 논문 Two episodes of foraminiferal extinction near the Permian–Triassic boundary at the Meishan section, South China http://www.tandfonli[...] 2024-10-28
[97] 논문 Migration controls extinction and survival patterns of foraminifers during the Permian-Triassic crisis in South China https://linkinghub.e[...] 2024-10-28
[98] 논문 End-Permian mass extinction of foraminifers in the Nanpanjiang basin, South China https://www.cambridg[...] 2023-03-23
[99] 논문 Survival and recovery of calcareous foraminifera pursuant to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https://www.scienced[...] 2024-10-28
[100] 논문 Extinction, Survival, and Recovery of Lagenide Foraminifers in the Permian–Triassic Boundary Interval, Central Taurides, Turkey https://www.cambridg[...] 2023-03-23
[101] 논문 Cretaceous stem chondrichthyans survived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2013-10-29
[102] 논문 Earliest Triassic ichthyosaur fossils push back oceanic reptile origins 2023-03-13
[103] 논문 The Lilliput effect in the aftermath of the end-Permian extinction event https://www.scienced[...] 2023-01-13
[104] 논문 Comparative size evolution of marine clades from the Late Permian through Middle Triassic https://pubs.geoscie[...] 2023-01-13
[105] 논문 Size variations in foraminifers from the early Permian to the Late Triassic: implications for the Guadalupian–Lopingian and the Permian–Triassic mass extinctions 2020-11-01
[106] 논문 Evolutionary dynamics of the Permian–Triassic foraminifer size: Evidence for Lilliput effect in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and its aftermath https://www.scienced[...] 2023-01-13
[107] 논문 Within- and among-genus components of size evolution during mass extinction, recovery, and background intervals: a case study of Late Permian through Late Triassic foraminifera https://www.cambridg[...] 2023-03-23
[108] 논문 Controls on body size during the Late Permian mass extinction event https://onlinelibrar[...] 2023-01-13
[109] 논문 Size variation of brachiopods from the Late Permian through the Middle Triassic in South China: Evidence for the Lilliput Effect following the Permian-Triassic extinction https://www.scienced[...] 2023-01-13
[110] 논문 Nearshore–offshore–basin species diversity and body size variation patterns in Late Permian (Changhsingian) brachiopods 2016-04-15
[111] 논문 Temporal shell-size variations of bivalves in South China from the Late Permian to the early Middle Triassic https://www.scienced[...] 2023-01-13
[112] 논문 The Earliest Post-Paleozoic Freshwater Bivalves Preserved in Coprolites from the Karoo Basin, South Africa 2012-02-02
[113] 논문 Evolutionary and ecophenotypic controls on bivalve body size distributions following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https://www.scienced[...] 2023-01-13
[114] 논문 Lilliput effect in freshwater ostracods during the Permian–Triassic extinction https://www.scienced[...] 2023-01-13
[115] 논문 Precocious sexual dimorphism and the Lilliput effect in Neo-Tethyan Ostracoda (Crustacea) through the Permian–Triassic boundary https://onlinelibrar[...] 2023-05-23
[116] 논문 Evolutionary dynamics of gastropod size across the end-Permian extinction and through the Triassic recovery interval https://www.cambridg[...] 2023-03-23
[117] 논문 Gastropod evidence against the Early Triassic Lilliput effect https://pubs.geoscie[...] 2023-01-13
[118] 논문 Gastropod evidence against the Early Triassic Lilliput effect: COMMENT 2011-01-01
[119] 논문 Gastropod evidence against the Early Triassic Lilliput effect: REPLY 2011-01-01
[120] 논문 Early Triassic Gulliver gastropods: Spatio-temporal distribution and significance for biotic recovery after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https://www.scienced[...] 2023-01-20
[121] 논문 Body size changes in bivalves of the family Limidae in the aftermath of the end-Triassic mass extinction: the Brobdingnag effect https://onlinelibrar[...] 2023-01-20
[122] 논문 The fossil record of insect extinction: New approaches and future directions 2005-01-01
[123] 논문 Insects during the time around the Permian—Triassic crisis http://link.springer[...] 2024-10-13
[124] 논문 Insect diversity in the fossil record
[125] 서적 Encyclopedia of Global Environmental Change, The Earth System Wiley
[126] 논문 On Permian and Triassic insect faunas in relation to biogeography and the Permian-Triassic crisis https://link.springe[...] 2024-06-18
[127] 논문 Land-plant diversity and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https://pubs.geoscie[...] 2023-05-31
[128] 논문 Changes in terrestrial biota before the Permian-Triassic ecological crisis https://link.springe[...] 2024-10-13
[129] 논문 No mass extinction for land plants at the Permian–Triassic transition 2019-01-23
[130] 웹사이트 The Dino Directory – Natural History Museum http://www.nhm.ac.uk[...]
[131] 논문 Paleoclimate-induced stress on polar forested ecosystems prior to the Permian–Triassic mass extinction 2022-05-24
[132] 논문 Permian–Triassic life crisis on land
[133] 논문 Plant fossil record and survival analyses
[134] 논문 Altered River Morphology in South Africa Related to the Permian-Triassic Extinction https://www.science.[...] 2024-10-13
[135] 논문 Palynofloral associations before and after the Permian–Triassic mass extinction, Kap Stosch, East Greenland https://linkinghub.e[...] 2024-09-11
[136] 논문 Climate and biotic evolution during the Permian-Triassic transition in the temperate Northern Hemisphere, Kuznetsk Basin, Siberia, Russia https://www.scienced[...] 2022-12-19
[137] 논문 Plant resilience and extinctions through the Permian to Middle Triassic on the North China Block: A multilevel diversity analysis of macrofossil records https://www.scienced[...] 2023-03-28
[138] 논문 The terrestrial end-Permian mass extinction in South China https://www.scienced[...] 2016-04-15
[141] 논문 A hidden cradle of plant evolution in Permian tropical lowlands 2018-12-21
[142] 논문 Evidence from South Africa for a protracted end-Permian extinction on land 2021-04-27
[143] 논문 Pattern of vertebrate extinctions across an event bed at the Permian-Triassic boundary in the Karoo Basin of South Africa https://pubs.geoscie[...] 2023-05-23
[144] 논문 Reduction of vertebrate coprolite diversity associated with the end-Permian extinction event in Vyazniki region, European Russia https://linkinghub.e[...] 2024-06-18
[145] 논문 Anatomy of a mass extinction: Sedimentological and taphonomic evidence for drought-induced die-offs at the Permo-Triassic boundary in the main Karoo Basin, South Africa https://www.scienced[...] 2023-05-23
[146] 논문 Comment on: "Anatomy of a mass extinction: Sedimentological and taphonomic evidence for drought-induced die-offs at the Permo–Triassic boundary in the main Karoo Basin, South Africa" by R.M.H. Smith and J. Botha-Brink,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396:99-118 2016-04-01
[147] 논문 Permian and Early Triassic extinction of non-marine tetrapods
[148] 논문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149] 논문 New reptile material from the Lower Triassic of Madagascar: implications for the PermianTriassic extinction event https://pubs.geoscie[...] 2024-10-13
[150] 논문 Did gorgonopsians survive the end-Permian "Great Dying"? A re-appraisal of three gorgonopsian specimens (Therapsida, Theriodontia) reported from the Triassic Lystrosaurus declivis Assemblage Zone, Karoo Basin, South Africa https://linkinghub.e[...] 2024-05-21
[151] 논문 Vertebrates and the Permo-Triassic extinction https://www.scienced[...] 2024-10-13
[152] 논문 Actinopterygians from the continental Permian–Triassic boundary section at Babiy Kamen (Kuznetsk Basin, Siberia, Russia) https://www.scienced[...] 2024-10-13
[153] 웹사이트 Bristol University – News – 2008: Mass extinction http://www.bristol.a[...]
[154] 논문 Paleophysiology and end-Permian mass extinction https://earthscience[...] 2021-12-13
[155] 논문 The recovery of terrestrial vertebrate diversity in the South African Karoo Basin after the end-Permian extinction https://www.scienced[...] 2023-05-26
[156] 논문 Rapid vertebrate recuperation in the Karoo Basin of South Africa following the End-Permian extinction https://www.scienced[...] 2023-05-26
[157] 논문 A kinetic model of Phanerozoic taxonomic diversity. III. Post-Paleozoic families and mass extinctions 2016-02-08
[158] 논문 Permian marine paleoecology and its implications for large-scale decoupling of brachiopod and bivalve abundance and diversity during the Lopingian (Late Permian) https://www.scienced[...] 2023-04-02
[159] 논문 Permian–Triassic Osteichthyes (bony fishes): diversity dynamics and body size evolution https://hal.science/[...] 2016-02-01
[160] 논문 Early Triassic Marine Biotic Recovery: The Predators' Perspective 2014-03-19
[161] 논문 Lower Triassic bivalve assemblages after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in South China and North Vietnam https://bioone.org/j[...] 2022-11-06
[162] 논문 Clams and brachiopodsships that pass in the night 1980-01-01
[163] 논문 Lessons from the past: Evolutionary impacts of mass extinctions 2001-05-08
[164] 논문 Dead bellerophontids walking – The short Mesozoic history of the Bellerophontoidea (Gastropoda) 2011-07-01
[165] 논문 The first scallop https://www.zora.uzh[...] 2009-09-29
[166] 논문 Geologically oldest oysters were epizoans on Early Triassic ammonoids 2017-08-01
[167] 논문 Two cosmopolitanism events driven by different extreme paleoclimate regimes https://www.scienced[...] 2023-05-26
[168] 논문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ecological dominance of benthic disaster taxa in the aftermath of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https://pubs.geoscie[...] 2023-03-23
[169] 논문 Conodont succession and reassessment of major events around the Permian-Triassic boundary at the Selong Xishan section, southern Tibet, China https://www.scienced[...] 2023-11-24
[170] 논문 End-Permian mass extinction of lagenide foraminifers in the Southern Alps (Northern Italy) https://www.cambridg[...] 2023-03-23
[171] 논문 Permian-Triassic biofacies of the Teočak section, Bosnia and Herzegovina https://www.scienced[...] 2023-11-24
[172] 논문 Aftermath of the Permian-Triassic mass extinction event: Paleoecology of Lower Triassic carbonates in the western USA https://dx.doi.org/1[...] 2023-04-02
[173] 논문 Flat latitudinal diversity gradient caused by the Permian–Triassic mass extinction 2020-07-28
[174] 뉴스 It took Earth ten million years to recover from greatest mass extinction https://www.scienced[...] ScienceDaily 2012-05-28
[175] 논문 Unexpected Early Triassic marine ecosystem and the rise of the Modern evolutionary fauna 2017-02-15
[176] 논문 Exceptional fossil assemblages confirm the existence of complex Early Triassic ecosystems during the early Spathian 2021-10-04
[177] 논문 New trace fossil evidence for an early recovery signal in the aftermath of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https://www.scienced[...] 2022-12-20
[178] 논문 Sea life bounced back fast after the 'mother of mass extinctions' https://www.nature.c[...] 2023-02-23
[179] 논문 A Mesozoic fossil lagerstätte from 250.8 million years ago shows a modern-type marine ecosystem https://www.science.[...]
[180] 논문 An unusually diverse mollusc fauna from the earliest Triassic of South China and its implications for benthic recovery after the end-Permian biotic crisis https://www.scienced[...] 2023-04-02
[181] 논문 A new Early Triassic fossil Lagerstätte from Wangmo, Guizhou Province https://www.cgsjourn[...]
[182] 논문 Palaeoecological significance of a new Griesbachian (Early Triassic) gastropod assemblage from Oman https://onlinelibrar[...] 2023-04-08
[183] 논문 Early Triassic Trace Fossils of the Western United States and their Implications for Prolonged Environmental Stress from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https://pubs.geoscie[...] 2024-06-18
[184] 논문 Global diversity dynamics in the fossil record are regionally heterogeneous 2022-05-18
[185] 논문 Lower Triassic large sea-floor carbonate cements: Their origin and a mechanism for the prolonged biotic recovery from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https://pubs.geoscie[...] 2023-11-24
[186] 논문 The interaction of recovery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An analysis of the outer shelf edge of western North America during the early Triassic https://www.scienced[...] 2022-12-20
[187] 논문 Quantifying functional diversity in pre- and post-extinction paleocommunities: A test of ecological restructuring after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https://www.scienced[...] 2023-04-02
[188] 논문 Decoupled taxonomic and ecological recoveries from the Permo-Triassic extinction 2018-10-10
[189] 논문 Recovery of benthic marine communities from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at the low latitudes of eastern Panthalassa https://www.zora.uzh[...] 2014-05
[190] 논문 Resilience of infaunal ecosystems during the Early Triassic greenhouse Earth 2022-06-29
[191] 논문 Good genes and good luck: Ammonoid diversity and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2009-08-27
[192] 논문 The timing and pattern of biotic recovery following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https://www.nature.c[...] 2023-03-28
[193] 논문 Competition in slow motion: The unusual case of benthic marine communities in the wake of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2015-09
[194] 논문 New data from Oman indicate benthic high biomass productivity coupled with low taxonomic diversity in the aftermath of the Permian–Triassic Boundary mass extinction https://onlinelibrar[...] 2023-04-08
[195] 논문 The main stage of recovery after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taxonomic rediversification and ecologic reorganization of marine level-bottom communities during the Middle Triassic 2021-07-20
[196] 논문 Increasing returns, ecological feedback and the Early Triassic recovery https://www.scienced[...] 2023-07-03
[197] 논문 Environmental controls on marine ecosystem recovery following mass extinctions, with an example from the Early Triassic https://linkinghub.e[...] 2024-06-18
[198] 논문 Evidence from ammonoids and conodonts for multiple Early Triassic mass extinctions 2009-09-08
[199] 논문 High amplitude redox changes in the late Early Triassic of South China and the Smithian–Spathian extinction https://www.scienced[...] 2023-11-24
[200] 논문 Gradual changes in the Olenekian-Anisian continental record and biotic implications in the Central-Eastern Pyrenean basin, NE Spain https://www.scienced[...] 2023-11-24
[201] 논문 Biotic impacts of temperature before, during, and after the end-Permian extinction: A multi-metric and multi-scale approach to modeling extinction and recovery dynamics https://www.scienced[...] 2022-12-02
[202] 논문 Persistent late Permian to Early Triassic warmth linked to enhanced reverse weathering https://www.research[...] 2023-04-20
[203] 논문 Innovation not recovery: dynamic redox promotes metazoan radiations https://onlinelibrar[...] 2023-04-20
[204] 논문 Oceanic Anoxia and the End Permian Mass Extinction 1996-05-24
[205] 논문 Recovery dynamics of benthic marine communities from the Lower Triassic Werfen Formation, northern Italy 2015-10
[206] 논문 Subsequent biotic crises delayed marine recovery following the late Permian mass extinction event in northern Italy 2017-03-15
[211] 논문 Abundance Distributions Imply Elevated Complexity of Post-Paleozoic Marine Ecosystems
[212] 논문 Bromalites from the Middle Triassic of Poland and the rise of the Mesozoic Marine Revolution https://linkinghub.e[...] 2023-11-24
[213] 논문 Coprolites from the upper Osawa Formation (upper Spathian), northeastern Japan: Evidence for predation in a marine ecosystem 5Myr after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https://linkinghub.e[...] 2024-06-18
[214] 논문 First occurrence of hybodontid teeth in the Luoping Biota (Middle Triassic, Anisian) and recovery of the marine ecosystem after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2023-05-01
[215] 논문 Early Triassic ichthyopterygian fossils from the Russian Far East 2022-04-01
[216] 논문 Taxonomic and ecological variations of Permian-Triassic transitional bivalve communities from the littoral clastic facies in southwestern China https://www.scienced[...] 2023-04-02
[217] 논문 Structural changes of marine communities over the Permian–Triassic transition: Ecologically assessing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and its aftermath https://www.scienced[...] 2022-11-06
[218] 논문 Bayesian analyses indicate bivalves did not drive the downfall of brachiopods following the Permian-Triassic mass extinction https://www.research[...] 2023-11-24
[219] 논문 Prolonged Permian–Triassic ecological crisis recorded by molluscan dominance in Late Permian offshore assemblages 2007-08-07
[220] 논문 Morphophysiological Peculiarities of Articulated Brachiopods and Marine Bryozoans as a Reason for Their Different Evolutionary Consequences of the Permian–Triassic Crisis https://link.springe[...] 2024-06-18
[221] 논문 The Mesozoic return of Paleozoic faunal constituents: A decoupling of taxonomic and ecological dominance during the recovery from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https://www.scienced[...] 2023-04-02
[222] 논문 Decoupled diversity and ecology during the end-Guadalupian extinction (late Permian) http://gsa.confex.co[...] 2008-03-28
[223] 논문 Triassic bivalves and the initial marine Mesozoic revolution: A role for predators? https://pubs.geoscie[...] 2023-09-20
[224] 논문 Adaptive strategies and environmental significance of lingulid brachiopods across the late Permian extinction https://www.scienced[...] 2023-01-14
[225] 논문 Global brachiopod palaeobiogeographical evolution from Changhsingian (Late Permian) to Rhaetian (Late Triassic) https://www.scienced[...] 2023-07-03
[226] 논문 A New Genus of Rhynchonellid Brachiopod from the Lower Triassic of South China and Implications for Timing the Recovery of Brachiopoda After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2003-11-24
[227] 논문 Recovery pattern of brachiopods after the Permian–Triassic crisis in South China https://www.scienced[...] 2023-06-26
[228] 논문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nd-Permian and end-Ordovician brachiopod mass extinctions and survivals in South China https://www.scienced[...] 2023-04-18
[229] 논문 Lower Triassic ostracods (Crustacea) from the Meishan section, Permian–Triassic boundary GSSP (Zhejiang Province, South China) https://www.tandfonl[...] 2023-05-23
[230] 논문 Ostracods (Crustacea) through Permian–Triassic events https://www.scienced[...] 2023-05-23
[231] 논문 Ostracods (Crustacea) and water oxygenation in the earliest Triassic of South China: implications for oceanic events at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https://www.tandfonl[...] 2023-05-23
[232] 논문 Behavior of lophophorates during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and recovery https://www.scienced[...] 2024-10-28
[233] 논문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Triassic bryozoans in the aftermath of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https://www.cambridg[...] 2023-12-30
[234] 논문 Morphophysiological Peculiarities of Articulated Brachiopods and Marine Bryozoans as a Reason for Their Different Evolutionary Consequences of the Permian–Triassic Crisis https://link.springe[...] 2024-10-28
[235] 논문 Morphological diversity in the evolutionary radiation of Paleozoic and post-Paleozoic crinoids
[236] 논문 Early Triassic recovery of echinoderms https://www.scienced[...] 2023-04-02
[237] 논문 Crinoid Ecological Morphology
[238] 논문 A new stem group echinoid from the Triassic of China leads to a revised macroevolutionary history of echinoids during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2017-12-21
[239] 논문 Echinoids from the Tesero Member (Werfen Formation) of the Dolomites (Italy): implications for extinction and survival of echinoids in the aftermath of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2019-08-30
[240] 논문 Current perspectives on the Permian–Triassic boundary and end-Permian mass extinction: Preface https://www.scienced[...] 2023-11-24
[241] 논문 New insights into the diversity dynamics of Triassic conodonts http://www.tandfonli[...] 2023-11-24
[242] 논문 Early Triassic conodonts of Jiarong, Nanpanjiang Basin, southern Guizhou Province, South China https://www.scienced[...] 2023-11-24
[243] 논문 Proteromorphosis of Neospathodus (Conodonta) during the Permian–Triassic crisis and recovery https://www.scienced[...] 2023-11-24
[244] 논문 Triassic For 2021-12-01
[246] 논문 Transient metazoan reefs in the aftermath of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https://www.nature.c[...] 2023-05-08
[247] 논문 Morphological diversity of microbialites and the significance of sponge remains in the Permian Triassic transition interval from Hambast Range, Central Iran https://doi.org/10.2[...] 2024-09-11
[248] 논문 Microbialites and global environmental change across the Permian–Triassic boundary: a synthesis https://onlinelibrar[...] 2024-08-01
[249] 논문 Polybessurus-like fossils as key contributors to Permian–Triassic boundary microbialites in South China https://www.scienced[...] 2023-11-24
[250] 논문 Sponge-microbial build-ups from the lowermost Triassic Chanakhchi section in southern Armenia: Microfacies and stable carbon isotopes https://www.scienced[...] 2023-05-08
[251] 논문 A Permian-Triassic boundary microbialite deposit from the eastern Yangtze Platform (Jiangxi Province, South China): Geobiologic features, ecosystem composition and redox conditions https://www.scienced[...] 2023-05-08
[252] 논문 Keratose sponge fabrics from the lowermost Triassic microbialites in South China: Geobiologic features and Phanerozoic evolution https://www.scienced[...] 2023-05-08
[253] 논문 Sponge Takeover from End-Permian Mass Extinction to Early Induan Time: Records in Central Iran Microbial Buildups 2021-05-28
[254] 논문 New keratose sponges after the end-Permian extinction provide insights into biotic recoveries https://onlinelibrar[...] 2024-09-11
[255] 논문 The survival, recovery, and diversification of metazoan reef ecosystems following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event https://www.scienced[...] 2022-12-02
[256] 논문 Anisian (middle triassic) buildups of the Northern Dolomites (Italy): The recovery of reef communities after the permian/triassic crisis http://link.springer[...] 2023-09-20
[257] 논문 Biosedimentological features of major microbe-metazoan transitions (MMTs) from Precambrian to Cenozoic https://www.scienced[...] 2023-02-20
[258] 논문 Prolonged and gradual recovery of metazoan-algal reefs following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https://pubs.geoscie[...] 2024-05-12
[259] 논문 Proliferation of MISS-related microbial mats following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in the northern Paleo-Tethys: Evidence from southern Qilianshan region, western China https://www.scienced[...] 2023-05-08
[260] 논문 Facies selectivity of benthic invertebrates in a Permian/Triassic boundary microbialite succession: Implications for the "microbialite refuge" hypothesis https://onlinelibrar[...] 2024-06-18
[261] 논문 Early Triassic trace fossils from the Three Gorges area of South China: Implications for the recovery of benthic ecosystems following the Permian–Triassic extinction https://www.scienced[...] 2023-01-20
[262] 논문 Anisian (Middle Triassic) marine ichnocoenoses from the eastern and western margins of the Kamdian Continent, Yunnan Province, SW China: Implications for the Triassic biotic recovery https://www.scienced[...] 2023-01-20
[263] 논문 Diverse Ichnofossil Assemblages Following the P-T Mass Extinction, Lower Triassic, Alberta and British Columbia, Canada: Evidence for Shallow Marine Refugia on the Northwestern Coast of Pangaea https://pubs.geoscie[...] 2023-01-20
[264] 논문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and its aftermath on an equatorial carbonate platform: insights from ichnology https://onlinelibrar[...] 2023-01-20
[265] 논문 Complex marine bioturbation ecosystem engineering behaviors persisted in the wake of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https://www.research[...] 2023-04-08
[266] 논문 Middle Permian trace fossil assemblages from the Carnarvon Basin of Western Australia: Implications for the evolution of ichnofaunas in wave-dominated siliciclastic shoreface settings across the Permian-Triassic boundary https://www.scienced[...] 2023-01-20
[267] 논문 End-Permian terrestrial disturbance followed by the complete plant devastation, and the vegetation proto-recovery in the earliest-Triassic recorded in coastal sea sediments 2021-10
[268] 논문 Paleoenvironmental and paleoclimatic evolution and cyclo- and chrono-stratigraphy of upper Permian–Lower Triassic fluvial-lacustrine deposits in Bogda Mountains, NW China — Implications for diachronous plant evolution across the Permian–Triassic boundary https://www.scienced[...] 2024-10-13
[269] 논문 Severest crisis overlooked—Worst disruption of terrestrial environments postdates the Permian–Triassic mass extinction 2016-06-24
[270] 논문 Extinction and recovery patterns of the vegetation across the Cretaceous–Palaeogene boundary — a tool for unravelling the causes of the end-Permian mass-extinction https://www.scienced[...] 2022-12-24
[271] 논문 The delayed resurgence of equatorial forests after the Permian–Triassic ecologic crisis
[272] 논문 Rapid demise and recovery of plant ecosystems across the end-Permian extinction event https://www.scienced[...] 2022-12-24
[273] 논문 Recovery of the Triassic land flora from the end-Permian life crisis https://www.scienced[...] 2022-12-24
[274] 논문 End Permian to Middle Triassic plant species richness and abundance patterns in South China: Coevolution of plants and the environment through the Permian–Triassic transition https://www.scienced[...] 2023-06-26
[275] 논문
[281] 논문 Tetrapod turnover during the Permo-Triassic transition explained by temperature change https://www.scienced[...] 2023-05-31
[282] 논문 Permo-Triassic tetrapods and their climate implications https://www.scienced[...] 2023-08-10
[283] 논문 Ecosystem remodelling among vertebrates at the Permian–Triassic boundary in Russia https://www.nature.c[...] 2023-05-31
[284] 논문 Vertebrate coprolites from Middle Triassic Chang 7 Member in Ordos Basin, China: Palaeobiological and palaeoecological implications https://www.scienced[...] 2023-01-08
[285] 논문 Provincialization of terrestrial faunas following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2013-04-29
[286] 논문 The Disaster Taxon Lystrosaurus: A Paleontological Myth 2020-12-16
[287] 논문 The stratigraphic and geographic occurrences of Permo-Triassic tetrapods in the Bogda Mountains, NW China — Implications of a new cyclostratigraphic framework and Bayesian age model 2022-11
[288] 논문 Origin and palaeoenvironmental significance of Lystrosaurus bonebeds in the earliest Triassic Karoo Basin, South Africa https://www.scienced[...] 2023-05-31
[289] 논문 Do extraordinarily high growth rates in Permo-Triassic dicynodonts (Therapsida, Anomodontia) explain their success before and after the end-Permian extinction? 2010-07-26
[290] 논문 Breeding Young as a Survival Strategy during Earth's Greatest Mass Extinction 2016-04-05
[291] 논문 The Triassic dicynodont Kombuisia (Synapsida, Anomodontia) from Antarctica, a refuge from the terrestrial Permian-Triassic mass extinction https://link.springe[...] 2023-05-31
[292] 논문 Permian-Triassic vertebrate footprints from South Africa: Ichnotaxonomy, producers and biostratigraphy through two major faunal crises 2019-08
[293] 논문 Oxygen isotopes suggest elevated thermometabolism within multiple Permo-Triassic therapsid clades 2017-07-18
[294] 논문 The manus of Tetracynodon (Therapsida: Therocephalia) provides evidence for survival strategies following the Permo-Triassic extinction https://www.tandfonl[...] 2023-05-31
[295] 논문 Lystrosaurus species composition across the Permo–Triassic boundary in the Karoo Basin of South Africa http://www.nasmus.co[...] 2008-07-02
[296] 논문 A new specimen of Promoschorhynchus (Therapsida: Therocephalia: Akidnognathidae) from the Lower Triassic of South Africa and its implications for theriodont survivorship across the Permo-Triassic boundary https://www.tandfonl[...] 2023-05-31
[297] 논문 Body Size Reductions in Nonmammalian Eutheriodont Therapsids (Synapsida) during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2014-02-03
[298] 논문 Bone microstructure and the evolution of growth patterns in Permo-Triassic therocephalians (Amniota, Therapsida) of South Africa 2014-04-08
[299] 논문 A diverse diapsid tooth assemblage from the Early Triassic (Driefontein locality, South Africa) records the recovery of diapsids following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2023-05-01
[300] 서적 Vertebrate Paleontology Blackwell Publishers
[301] 논문 Selectiv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Origin of Fur and Feathers
[302] 논문 The origin of endothermy in synapsids and archosaurs and arms races in the Triassic 2021-12
[303] PhD Temnospondyl ontogeny and phylogeny, a window into terrestrial ecosystems during the Permian-Triassic mass extinction https://www.proquest[...] University of Iowa 2023-09-20
[304] 논문 Early Triassic Conchostracans (Crustacea: Branchiopoda) from the terrestrial Permian–Triassic boundary sections in the Moscow syncline https://www.scienced[...] 2023-11-24
[305] 논문 Calibrated Diversity, Tree Topology and the Mother of Mass Extinctions: The Lesson of Temnospondyls 2011-11-19
[306] 논문 Taxonomic and ecomorphological diversity of temnospondyl amphibians across the Permian–Triassic boundary in the Karoo Basin (South Africa) https://onlinelibrar[...] 2023-05-31
[307] 논문 The phylogeny of the 'higher' temnospondyls (Vertebrata: Choanata)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monophyly and origins of the Stereospondyli
[308] 논문 The variations of terrestrial trace fossils and sedimentary substrates after the end-Permian extinction in the Dengfeng area, North China https://www.x-mol.ne[...] 2023-04-08
[309] 논문 Microbial mats in the terrestrial Lower Triassic of North China and implications for the Permian–Triassic mass extinction https://www.scienced[...] 2022-12-23
[310] 논문 Controls on the formation of microbially induced sedimentary structures and biotic recovery in the Lower Triassic of Arctic Canada 2019-08-30
[311] 웹사이트 The Siberian Traps – area and volume http://www.le.ac.uk/[...] 2009-10-18
[312] 웹사이트 Largest Countries in the World (by area) https://www.worldome[...] 2023-05-25
[313] 논문 The Siberian Traps and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a critical review http://www.le.ac.uk/[...] 2009-01
[314] 논문 The timing and extent of the eruption of the Siberian Traps large igneous province: Implications for the end-Permian environmental crisis http://www.le.ac.uk/[...]
[315] 논문 The main pulse of the Siberian Traps expanded in size and composition 2019-12-10
[316] 논문 Rapid eruption of Siberian flood-volcanic rocks and evidence for coincidence with the Permian–Triassic boundary and mass extinction at 251 Ma
[317] 논문 Siberian Traps volcaniclastic rocks and the role of magma-water interactions 2015-04-30
[318] 논문 High-precision geochronology confirms voluminous magmatism before, during, and after Earth's most severe extinction 2015-08-01
[319] 간행물 Giant eruptions and giant extinctions http://www.scientifi[...] 2016-03-11
[320] 논문 Geomagnetic Secular Variations at the Permian-Triassic Boundary and Pulsed Magmatism During Eruption of the Siberian Traps https://agupubs.onli[...] 2023-02-20
[321] 논문 'Volume and rate of volcanic CO2 emissions governed the severity of past environmental crises' 2022-07-25
[322] 논문 'Ecosystem responses of two Permian biocrises modulated by CO2 emission rates' 2023-01-15
[323] 논문 Volcanism, Mass Extinction, and Carbon Isotope Fluctuations in the Middle Permian of China https://www.science.[...] 2023-02-20
[324] 논문 Submarine palaeoenvironments during Emeishan flood basalt volcanism, SW China: Implications for plume–lithosphere interaction during the Capitanian, Middle Permian ('end Guadalupian') extinction event https://www.scienced[...] 2022-12-19
[325] 논문 A temporal link between the Emeishan large igneous province (SW China) and the end-Guadalupian mass extinction https://www.scienced[...] 2023-02-20
[326] 논문 Global warming and the end-Permian extinction event: Proxy and modeling perspectives 2015-10
[327] 논문 Siberian Trap volcanism, global warming and the Permian-Triassic mass extinction: New insights from Armenian Permian-Triassic sections https://pubs.geoscie[...] 2023-05-26
[328] 논문 A geochemical view into continental palaeotemperatures of the end-Permian using oxygen and hydrogen isotope composition of secondary silica in chert rubble breccia: Kaibab Formation, Grand Canyon (USA) 2018-01-16
[329] 논문 Pace, magnitude, and nature of terrestrial climate change through the end-Permian extinction in southeastern Gondwana https://pubs.geoscie[...] 2024-03-26
[330] 논문 Climate warming in the latest Permian and the Permian–Triassic mass extinction https://pubs.geoscie[...] 2024-03-26
[331] 논문 Palaeotethys seawater temperature rise and an intensified hydrological cycle following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https://www.scienced[...] 2023-05-31
[332] 논문 Mega El Niño instigated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2024-09-12
[333] 논문 Prolonged Late Permian–Early Triassic hyperthermal: failure of climate regulation? 2018-09-03
[334] 논문 Circum-Tethyan magmatic provinces, shifting continents and Permian climate change https://www.scienced[...] 2023-05-31
[335] 뉴스 Driver of the largest mass extinction in the history of the Earth identified https://phys.org/new[...] 2020-11-08
[336] 논문 Permian–Triassic mass extinction pulses driven by major marine carbon cycle perturbations https://www.nature.c[...] 2020-11-08
[337] 뉴스 Large volcanic eruption caused the largest mass extinction https://phys.org/new[...] 2020-12-08
[338] 논문 Pulsed volcanic combustion events coincident with the end-Permian terrestrial disturbance and the following global crisis 2020-11-04
[339] 논문 Mercury evidence of intense volcanic effects on land during the Permian-Triassic transition https://pubs.geoscie[...] 2023-05-26
[340] 논문 Tellurium in Late Permian-Early Triassic Sediments as a Proxy for Siberian Flood Basalt Volcanism https://agupubs.onli[...] 2024-03-13
[341] 논문 Zinc isotope evidence for intensive magmatism immediately before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https://pubs.geoscie[...] 2023-03-28
[342] 논문 End-Permian extinction amplified by plume-induced release of recycled lithospheric volatiles https://www.nature.c[...] 2023-03-28
[343] 논문 Linking mantle plumes, large igneous provinces and environmental catastrophes https://www.nature.c[...] 2023-09-20
[344] 논문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A rapid volcanic CO2 and CH4-climatic catastrophe' https://www.scienced[...] 2023-03-05
[345] 논문 Timing of global regression and microbial bloom linked with the Permian-Triassic boundary mass extinction: implications for driving mechanisms 2017-03-06
[346] 논문 The great catastrophe: causes of the Permo-Triassic marine mass extinction 2023-10-25
[347] 논문 Sulfur geochemistry across a terrestrial Permian–Triassic boundary section in the Karoo Basin, South Africa https://www.scienced[...] 2023-05-31
[348] 웹사이트 Volcanism http://hoopermuseum.[...] Carleton University
[349] 논문 Earth's biggest 'whodunnit': Unravelling the clues in the case of the end-
[351] 논문 Siberian gas venting and the end-Permian environmental crisis https://www.scienced[...] 2023-01-13
[352] 논문 Paleomagnetism of trap intrusions, East Siberia: Implications to flood basalt emplacement and the Permo–Triassic crisis of biosphere https://linkinghub.e[...] 2014-05
[353] 논문 High temperature methane emissions from Large Igneous Provinces as contributors to late Permian mass extinctions 2022-11-12
[354] 논문 Initial pulse of Siberian Traps sills as the trigger of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2017-07-31
[355] 논문 Permo–Triassic boundary carbon and mercury cycling linked to terrestrial ecosystem collapse 2020-06-11
[356] 논문 Role of volcanism and impact heating in mass extinction climate shifts 2024-04-30
[357] 뉴스 Ancient mass extinction tied to torched coal http://content.usato[...] 2011-01-24
[358] 논문 Catastrophic dispersion of coal fly ash into oceans during the latest Permian extinction 2011-01-23
[359] 간행물 Researchers find smoking gun of world's biggest extinction: Massive volcanic eruption, burning coal and accelerated greenhouse gas choked out life http://www.eurekaler[...] University of Calgary 2011-01-26
[360] 논문 Latest Permian chars may derive from wildfires, not coal combustion https://pubs.geoscie[...] 2023-05-31
[361] 논문 The chemical compositions and abundances of volatiles in the Siberian large igneous province: Constraints on magmatic CO2 and SO2 emissions into the atmosphere 2013
[362] 논문 The effects of large igneous provinces on the global carbon and sulphur cycles https://www.scienced[...] 2024-01-12
[363] 논문 Transition into a Hothouse World at the Permian–Triassic boundary—A model study https://www.scienced[...] 2024-10-13
[364] 논문 Marine siliceous ecosystem decline led to sustained anomalous Early Triassic warmth 2022-06-18
[365] 논문 Mercury anomalies across the end Permian mass extinction in South China from shallow and deep water depositional environments https://www.scienced[...] 2024-10-13
[366] 논문 Mercury evidence from southern Pangea terrestrial sections for end-Permian global volcanic effects 2023-01-03
[367] 논문 Global mercury cycle during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and subsequent Early Triassic recovery https://linkinghub.e[...] 2024-06-18
[368] 논문 Progressive environmental deterioration in northwestern Pangea leading to the latest Permian extinction https://pubs.geoscie[...] 2023-01-14
[369] 논문 Mercury anomalies associated with three extinction events (Capitanian Crisis, Latest Permian Extinction and the Smithian/Spathian Extinction) in NW Pangea
[370] 논문 Latest Permian mercury anomalies https://pubs.geoscie[...] 2023-01-14
[371] 논문 Toxic mercury pulses into late Permian terrestrial and marine environments 2020-05-19
[372] 논문 Volcanogenic mercury and plant mutagenesis during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Palaeoecological perturbation in northern Pangaea https://www.scienced[...] 2024-10-13
[373] 논문 Metal-induced stress in survivor plants following the end-Permian collapse of land ecosystems 2021-02-05
[374] 논문 Mercury deposition through the Permo–Triassic Biotic Crisis https://www.scienced[...] 2023-05-31
[375] 논문 Role of degassing of the Noril'sk nickel deposits in the Permian–Triassic mass extinction event 2017-02-21
[376] 논문 Global nickel anomaly links Siberian Traps eruptions and the latest Permian mass extinction 2017-09-29
[377] 논문 Nickel isotopes link Siberian Traps aerosol particles to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2021-04-01
[378] 논문 A new high-resolution δ13C record for the Early Triassic: Insights from the Arabian Platform https://www.scienced[...] 2023-05-26
[379] 논문 An integrated biostratigraphy (conodonts and foraminifers) and chronostratigraphy (paleomagnetic reversals, magnetic susceptibility, elemental chemistry, carbon isotopes and geochronology) for the Permian–Upper Triassic strata of Guandao section, Nanpanjiang Basin, south China https://linkinghub.e[...] 2024-06-18
[380] 논문 Mercury enrichments provide evidence of Early Triassic volcanism following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https://linkinghub.e[...] 2024-06-18
[381] 논문 Early Triassic fluctuations of the global carbon cycle: New evidence from paired carbon isotopes in the western USA basin https://www.scienced[...] 2022-11-13
[382] 논문 Tracking voluminous Permian volcanism of the Choiyoi Province into central Antarctica 2019-03-29
[383] 논문 The Choiyoi magmatism in south western Gondwana: implications for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 a review 2017-09-29
[386] 논문 The potential volume of oceanic methane hydrates with variable external conditions
[387] 논문 Carbon isotope anomaly at the Triassic–Jurassic boundary from a marine section in Hungary
[388] 논문 "Ar ⁄ Ar dates from the West Siberian Basin: Siberian flood basalt province doubled" http://eprints.gla.a[...]
[389] 논문 A unique geochemical record at the Permian/Triassic boundary
[390] 논문 Phytogeography of Eurasia during the early Triassic
[391] 논문 Methane-driven oceanic eruptions and mass extinctions 2003-09
[392] 논문 "13C depth profiles from paleosols across the Permian–Triassic boundary: Evidence for methane release" https://pubs.geoscie[...] 2023-07-03
[393] 논문 Dissociation of oceanic methane hydrate as a cause of the carbon isotope excursion at the end of the Paleocene
[394] 논문 On the initiation of a snowball Earth
[395] 논문 Examination of hypotheses for the Permo-Triassic boundary extinction by carbon cycle modeling
[396] 논문 How to kill (almost) all life: The end-Permian extinction event
[397] 논문 "Massive and rapid predominantly volcanic CO2 emission during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2021-09-07
[398] 논문 "Six-fold increase of atmospheric ''p''CO2 during the Permian–Triassic mass extinction" https://www.research[...] 2024-03-26
[399] 논문 End-Permian mass extinction pattern in the northern peri-Gondwanan region https://www.scienced[...] 2023-05-26
[400] 논문 Gas hydrate contribution to Late Permian global warming https://www.scienced[...] 2024-01-12
[401] 논문 Marine clade sensitivities to climate change conform across timescales https://www.nature.c[...] 2023-03-26
[402] 논문 Initial assessment of the carbon emission rate and climatic consequences during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https://www.scienced[...] 2023-06-26
[403] 논문 Calcium isotope constraints on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404] 논문 Millennial-scale sedimentary evolution of carbonate platforms during the Permian–Triassic boundary hyperthermal event https://linkinghub.e[...] 2024-10-13
[405] 논문 Ocean acidification and the Permo-Triassic mass extinction http://eprints.white[...] 2015-04-10
[406] 논문 Global oolite deposits across the Permian–Triassic boundary: A synthesis and implications for palaeoceanography immediately after the end-Permian biocrisis https://linkinghub.e[...] 2024-06-18
[407] 논문 Permian lysocline shoaling and ocean acidification along NW Pangea led to carbonate eradication and chert expansion https://www.scienced[...] 2024-03-26
[408] 논문 Death in the shallows: The record of Permo-Triassic mass extinction in paralic settings, southwest China 2020-06
[409] 논문 Bioindicators of severe ocean acidification are absent from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2022-01-24
[410] 서적 The Worst of Times: How Life on Earth Survived Eighty Million Years of Extinction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5-09-29
[411] 논문 Elevated atmospheric CO2 and the delayed biotic recovery from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https://www.scienced[...] 2023-05-31
[412] 논문 Mantle plume: The invisible serial killer — Application to the Permian–Triassic boundary mass extinction https://www.scienced[...] 2023-05-26
[413] 논문 Terrestrial acidification during the end-Permian biosphere crisis? https://pubs.geoscie[...] 2022-12-23
[414] 논문 Abrupt chemical weathering increase across the Permian–Triassic boundary https://www.scienced[...] 2023-04-24
[415] 논문 Impact of Permian mass extinctions on continental invertebrate infauna https://onlinelibrar[...] 2022-12-23
[416] 논문 Clay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at the Permian–Triassic Shangsi section and their paleoenvironmental and/or paleoclimatic significance https://www.scienced[...] 2022-12-23
[417] 논문 Anomalous hopane distributions at the Permian–Triassic boundary, Meishan, China – Evidence for the end-Permian marine ecosystem collapse https://www.scienced[...] 2023-05-23
[418] 논문 Could acidity be the reason behind the Early Triassic biotic crisis on land? https://www.scienced[...] 2022-12-18
[419] 논문 Stagewise collapse of biotic communities and its relations to oxygen depletion along the north margin of Nanpanjiang Basin during the Permian–Triassic transition https://www.scienced[...] 2023-05-31
[420] 논문 End-Permian marine extinction due to temperature-driven nutrient recycling and euxinia https://www.nature.c[...] 2021-10-28
[421] 논문 Presidential Address 2007: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 events on land in Russia https://linkinghub.e[...] 2024-06-18
[422] 서적 Catastrophic Events and Mass Extinction: Impacts and Beyond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Special Papers No. 356 2024-02-17
[423] 논문 Episodic euxinia in the Changhsingian (late Permian) of South China: Evidence from framboidal pyrite and geochemical data https://linkinghub.e[...] 2024-06-18
[424] 논문 Constraining marine anoxia under the extremely oxygenated Permian atmosphere using uranium isotopes in calcitic brachiopods and marine carbonates https://www.scienced[...] 2023-05-31
[425] 논문 Enhanced nitrogen fixation in the immediate aftermath of the latest Permian marine mass extinction https://pubs.geoscie[...] 2023-05-26
[426] 논문 Selenium isotope ratios, redox changes and biological productivity across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https://linkinghub.e[...] 2024-03-13
[427] 논문 Source and significance of selected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sediments (Hovea-3 well, Perth Basin, Western Australia) spanning the Permian–Triassic boundary https://www.scienced[...] 2023-05-31
[428] 논문 Geochemical evidence from bio-apatite for multiple oceanic anoxic events during Permian–Triassic transition and the link with end-Permian extinction and recovery https://www.scienced[...] 2023-01-13
[429] 논문 Rapid expansion of oceanic anoxia immediately before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2011-10-10
[430] 논문 Manganous water column in the Tethys Ocean during the Permian-Triassic transition https://www.scienced[...] 2023-06-26
[431] 논문 Oceanic redox evolution around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at Meishan, South China https://linkinghub.e[...] 2024-08-01
[432] 논문 Frequent euxinia in southern Neo-Tethys Ocean prior to the end-Permian biocrisis: Evidence from the Spiti region, India 2019-02-15
[433] 논문 Periodic fluctuations of marine oxygen content during the latest Permian https://www.scienced[...] 2023-03-02
[434] 논문 Biogeochemical evidence for euxinic oceans and ecological disturbance presaging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event
[435] 논문 Cessation of a productive coastal upwelling system in the Panthalassic Ocean at the Permian–Triassic Boundary https://www.scienced[...] 2022-12-21
[436] 논문 Biomarker and isotopic trends in a Permian–Triassic sedimentary section at Kap Stosch, Greenland https://espace.curti[...]
[437] 논문 Evidence for photic zone euxinia through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in the Panthalassic Ocean (Peace River Basin, Western Canada) https://www.scienced[...] 2023-05-23
[438] 논문 Contrasting microbial community changes during mass extinctions at the Middle/Late Permian and Permian/Triassic boundaries https://www.scienced[...] 2023-01-04
[439] 논문 Relationships between carbon isotope evolution and variation of microbes during the Permian–Triassic transition at Meishan Section, South China http://link.springer[...] 2024-08-01
[440] 논문 Mercury isotope evidence for marine photic zone euxinia across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2023-05-08
[441] 논문 Temperature-dependent hypoxia explains biogeography and severity of end-Permian marine mass extinction 2018-12-07
[442] 논문 Evidence for a prolonged Permian–Triassic extinction interval from global marine mercury records 2019-04-05
[443] 논문 An end-Permian two-stage extinction pattern in the deep-water Dongpan Section, and its relationship to the migration and vertical expansion of the oxygen minimum zone in the South China Basin https://www.scienced[...] 2024-10-13
[444] 논문 Biogeochemical controls on photic-zone euxinia during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2008-09
[445] 논문 Causes and consequences of extreme Permo-Triassic warming to globally equable climate and relation to the Permo-Triassic extinction and recovery https://www.scienced[...] 2023-05-23
[446] 논문 Catastrophic soil erosion during the end-Permian biotic crisis https://pubs.geoscie[...] 2023-05-26
[447] 논문 Sedimentary records of sea level fall during the end-Permian in the upper Yangtze region (southern China): Implications for the mass extinction 2024-05-30
[448] 논문 Plankton and productivity during the Permian–Triassic boundary crisis: An analysis of organic carbon fluxes https://www.scienced[...] 2023-07-03
[449] 논문 Marine snowstorm during the Permian−Triassic mass extinction 2023-11-29
[450] 논문 A nutrient control on marine anoxia during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https://www.nature.c[...] 2023-01-08
[451] 논문 An extensive anoxic event in the Triassic of the South China Block: A pyrite framboid study from Dajiang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cause(s) of oxygen depletion https://www.scienced[...] 2023-05-08
[456] 논문 Anoxia as a cause of the Permian/Triassic mass extinction: facies evidence from northern Italy and the western United States https://www.scienced[...] 2023-01-20
[457] 논문 Complete biotic and sedimentary records of the Permian–Triassic transition from Meishan section, South China: Ecologically assessing mass extinction and its aftermath https://www.scienced[...] 2023-01-14
[458] 논문 High temperature and low oxygen perturbations drive contrasting benthic recovery dynamics following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https://www.scienced[...] 2023-04-02
[459] 논문 Terrestrial–marine teleconnections in the collapse and rebuilding of Early Triassic marine ecosystems https://www.scienced[...] 2023-11-24
[460] 논문 Reconstruction of Early Triassic ocean redox conditions based on framboidal pyrite from the Nanpanjiang Basin, South China https://www.scienced[...] 2023-05-08
[461] 논문 Integrated Sr isotope variations and global environmental changes through the Late Permian to early Late Triassic https://www.scienced[...] 2023-11-24
[462] 논문 High sediment input and possible oceanic anoxia in the pelagic Panthalassa during the latest Olenekian and early Anisian: Insights from a new deep-sea section in Ogama, Tochigi, Japan https://www.scienced[...] 2023-11-24
[463] 논문 Hyperthermal-driven anoxia and reduced productivity in the aftermath of the Permian-Triassic mass extinction: a case study from Western Canada 2023-12-13
[464] 논문 Fluctuations of redox conditions across the Permian–Triassic boundary—New evidence from the GSSP section in Meishan of South China https://www.scienced[...] 2023-05-26
[465] 논문 Volatile earliest Triassic sulfur cycle: A consequence of persistent low seawater sulfate concentrations and a high sulfur cycle turnover rate? https://www.scienced[...] 2023-05-26
[466] 논문 Could the Late Permian deep ocean have been anoxic?
[467] 논문 Lethal microbial blooms delayed freshwater ecosystem recovery following the end-Permian extinction 2021-09-17
[468] 논문 Taphonomy of drought afflicted tetrapods in the Early Triassic Karoo Basin, South Africa https://www.scienced[...] 2023-05-23
[469] 논문 Wildfire response to rapid climate change during the Permian-Triassic biotic crisis https://www.scienced[...] 2023-05-23
[470] 논문 Ecological disturbance in tropical peatlands prior to marine Permian-Triassic mass extinction 2020-01-03
[471] 논문 Impacts of global warming on Permo-Triassic terrestrial ecosystems https://www.scienced[...] 2023-05-26
[472] 논문 Changing fluvial environments across the Permian–Triassic boundary in the Karoo Basin, South Africa and possible causes of tetrapod extinctions 1999-11-16
[473] 서적 Forerunners of mammals : radiation, histology, biology Indiana University Press
[474] 논문 Calcic Vertisols in the upper Daptocephalus Assemblage Zone, Balfour Formation, Karoo Basin, South Africa: Implications for Late Permian Climate https://pubs.geoscie[...] 2023-05-31
[475] 논문 Sedimentology of the continental end-Permian extinction event in the Sydney Basin, eastern Australia https://onlinelibrar[...] 2022-10-30
[476] 논문 Age and pattern of the southern high-latitude continental end-Permian extinction constrained by multiproxy analysis 2019-01-23
[477] 논문 Latest Permian–Early Triassic paleoclimatic reconstruction by sedimentary and isotopic analyses of paleosols from the Shichuanhe section in central North China Basin https://www.scienced[...] 2022-11-06
[478] 논문 Improving paleoenvironment in North China aided Triassic biotic recovery on land following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2022-09
[479] 논문 Evolution of Crustaceans at the edge of the end-Permian crisis: Ichnonetwork analysis of the fluvial succession of Nurra (Permian–Triassic, Sardinia, Italy) https://www.scienced[...] 2023-04-08
[480] 논문 Acid rain and ozone depletion from pulsed Siberian Traps magmatism http://pubs.geoscien[...] 2024-06-18
[481] 논문 A tale of two extinctions: converging end-Permian and end-Triassic scenarios https://pubs.geoscie[...] 2023-05-26
[482] 논문 UV-B–induced forest sterility: Implications of ozone shield failure in Earth's largest extinction 2018-02-07
[483] 논문 Hyperthermal-driven mass extinctions: killing models during the Permian–Triassic mass extinction 2018-09-03
[484] 논문 Abnormal pollen grains: an outcome of deteriorating atmospheric conditions around the Permian–Triassic boundary https://www.lyellcol[...] 2023-05-26
[485] 논문 Dying in the Sun: Direct evidence for elevated UV-B radiation at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2023-01-06
[486] 논문 Atmospheric ozone destruction and the end-Permian crisis: Evidence from multiple sulfur isotopes https://linkinghub.e[...] 2024-05-21
[487] 논문
[491] 논문 Role of hydrogen sulfide in a Permian-Triassic boundary ozone collapse 2007-01-16
[492] 논문 Impacts of a massive release of methane and hydrogen sulfide on oxygen and ozone during the late Permian mass extinction https://linkinghub.e[...] 2024-06-18
[493] 논문 Massive release of hydrogen sulfide to the surface ocean and atmosphere during intervals of oceanic anoxia https://www.research[...] 2023-04-02
[494] 서적 Under a Green Sky: Global Warming, the Mass Extinctions of the Past, and What They Can Tell Us About Our Future HarperCollins 2007-04-17
[495] 논문 Theory and classification of mass extinction causation 2023-09-08
[496] 논문 Search for evidence of impact at the Permian–Triassic boundary in Antarctica and Australia
[497] 논문 Bedout: a possible end-Permian impact crater offshore of northwestern Australia
[498] 논문 Impact event at the Permian–Triassic boundary: Evidence from extraterrestrial noble gases in fullerenes
[499] 논문 Chondritic meteorite fragments associated with the Permian–Triassic boundary in Antarctica
[500] 논문 End-Permian catastrophe by a bolide impact: Evidence of a gigantic release of sulfur from the mantle
[501] 논문 An extraterrestrial impact at the Permian–Triassic boundary?
[502] 논문 End-Permian catastrophe by bolide impact: Evidence of a gigantic release of sulfur from the mantle: Comment and Reply
[503] 논문 Search for evidence of impact at the Permian–Triassic boundary in Antarctica and Australia; discussion and reply
[504] 논문 Geochemistry of the end-Permian extinction event in Austria and Italy: No evidence for an extraterrestrial component
[505] conference Reexamination of quartz grains from the Permian–Triassic boundary section at Graphite Peak, Antarctica http://www.lpi.usra.[...] 2007-07-13
[506] 논문 The Permian-Triassic boundary event: a geochemical study of three Chinese sections https://www.scienced[...] 2023-05-31
[507] 논문 Impact induced melting and the development of large igneous provinces
[508] conference Giant Impact Craters Lead To Flood Basalts: A Viable Model http://abob.libs.uga[...] 2008-04-06
[509] conference Large Oceanic Impacts As The Cause Of Antipodal Hotspots And Global Mass Extinctions http://abob.libs.uga[...] 2008-04-06
[510] 논문 Early Triassic terrestrial tetrapod fauna: a review https://www.scienced[...] 2023-01-04
[511] 논문 What caused Earth's largest mass extinction event? New evidence from the Permian-Triassic boundary in northeastern Utah https://www.scienced[...] 2023-04-02
[512] 논문 Permian–Triassic mascon in Antarctica https://www.research[...] 2006
[513] 논문 GRACE gravity evidence for an impact basin in Wilkes Land, Antarctica https://www.research[...] 2009-02-25
[514] 논문 Geochronological constraints on the age of a Permo–Triassic impact event: U–Pb and {{sup|40}}Ar ''/'' {{sup|39}}Ar results for the 40 km Araguainha structure of central Brazil 2012-06-01
[515] 간행물 Biggest extinction in history caused by climate-changing meteor http://www.news.uwa.[...] University of Western Australia 2013-07-31
[516] 논문 Shaking a methane fizz: Seismicity from the Araguainha impact event and the Permian–Triassic global carbon isotope record https://www.scienced[...] 2024-03-26
[517] 논문 End-Permian impactogenic earthquake and tsunami deposits in the intracratonic Paraná Basin of Brazil https://pubs.geoscie[...] 2024-03-26
[518] 논문 Geophysical evidence for a la impact structure on the Falkland (Malvinas) Plateau
[519] 논문 Comment on "Geophysical evidence for a large impact structure on the Falkland (Malvinas) Plateau" http://nora.nerc.ac.[...] 2023-03-26
[520] 논문 Methanogenic burst in the end-Permian carbon cycle 2014-03-31
[521] 논문 Carbon Isotope Chemostratigraphy Across the Permian-Triassic Boundary at Chaotian, China: Implications for the Global Methane Cycle in the Aftermath of the Extinction 2021-02-05
[522] 논문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A still unexplained catastrophe
[523] 서적 Alone in the Universe: Why our Planet is Unique John Wiley & Sons
[524] 논문 End-Permian Mass Extinction in the Oceans: An Ancient Analog for the Twenty-First Century? https://www.annualre[...] 2023-05-31
[525] 논문 The fossil record of plant-insect interactions and associated entomofaunas in Permian and Triassic floras from southwestern Gondwana: A review and future prospects https://linkinghub.e[...] 2024-06-18
[526] 웹사이트 Greatest mass extinction driven by acidic oceans, study finds https://www.scienced[...] 2024-11-24
[527] 뉴스 Opinion | When Life on Earth Was Nearly Extinguished https://www.nytimes.[...] 2017-07-29
[528] 문서 三畳紀の始まりは[[コノドント]]の種ヒンデオダス・パルヴスの化石で規定される、「大絶滅」P279
[529] 문서 「大絶滅」P278
[530] 문서 シカゴ大学のセプコスキの計算では最大96%の種が絶滅した。「生命と地球の歴史」P137
[531] 문서 「大絶滅」P8
[532] 문서 「生命と地球の歴史」P137
[533] 문서 「大絶滅」P153
[534] 문서 「生命と地球の共進化」P207
[535] 문서 「大絶滅」P10
[536] 논문 "A double mass extinction at the end of the Paleozoic era." 1994
[537] 문서 「生命と地球の共進化」P213
[538] 문서 この地層はペルム紀末から三畳紀にかけての[[国際標準模式層断面及び地点|国際模式層序地]] (GSSPs) に指定されている。
[539] 문서 この火山灰は、当時煤山の近くにあった[[火山]]の爆発的な噴火により供給されたもので、シベリア洪水玄武岩のものではない
[540] 문서 「大絶滅」P72、元データはBowring,S.A., D.H.Erwin, Y.G.Jin, M.W.Martin, K.L.Davidek, and W.Wang. 1998. "U/Pb zircon geochronology and tempo of end-Permian mass extinction.2 Science 280:1039-45
[541] 문서 火山灰中の[[ジルコン]]結晶に含まれる[[ウラン]]・[[鉛]]分析の結果から算出。
[542] 문서 「大絶滅」P95
[543] 학술지 Two pulses of extinction during the Permian-Triassic crisis 2013
[544] 문서 参考文献中ではアンモナイトとアンモノイドの表記が混在しているが、この項ではアンモナイトに統一して表記する
[545] 문서 「大絶滅」P108
[546] 문서 「大絶滅」P110
[547] 문서 「大絶滅」P111
[548] 문서 「大絶滅」P121
[549] 문서 「大絶滅」P114
[550] 문서 「大絶滅」P119
[551] 문서 「大絶滅」P122
[552] 문서 「大絶滅」P118
[553] 문서 「大絶滅」P123
[554] 문서 「大絶滅」P124
[555] 문서 「大絶滅」P126、元の論文は Bambach, R.K., A.H.knoll, and J.J.Sepkoski,Jr.2002."Anatomical and ecological constrains on Phanerozoic animal diversity in the marine realm."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USA 99:6854-59
[556] 문서 既に絶滅に近い状態にまで衰退していた三葉虫・ウミサソリ類・棘魚類などはこの時に完全に絶えてしまった。
[557] 문서 「大絶滅」P127
[558] 문서 「大絶滅」P146
[559] 문서 「大絶滅」P141
[560] 문서 「大絶滅」P160
[561] 서적 大絶滅
[562] 서적 大絶滅
[563] 서적 大絶滅
[564] 서적 大絶滅
[565] 문서
[566] 서적 大絶滅
[567] 논문 "Permo-Triassic intraplate magmatism and rifting in Eurasia: implications for mantle plumes and mantle dynamics."
[568] 논문 "Synchrony and casual relations between Permian-Triassic boundary crises and Siberian flood volcanism."
[569] 서적 大絶滅
[570] 서적 生命と地球の歴史
[571] 논문 "On the ages of flood basalt events."
[572] 서적 破局噴火 詳伝社新書
[573] 문서
[574] 서적 大絶滅
[575] 서적 大絶滅
[576] 서적 大絶滅
[577] 서적 生命と地球の歴史
[578] 서적 生命と地球の共進化
[579] 서적 地球環境46億年の大変動史
[580] 서적 大絶滅
[581] 문서
[582] 문서
[583] 문서
[584] 서적 大絶滅
[585] 서적 大絶滅
[586] 뉴스 Archaeageddon: how gas-belching microbes could have caused mass extinction Nature 2014
[587] 문서
[588] 서적 地球環境46億年の大変動
[589] 서적 絶滅恐竜からのメッセージ 地球大異変と人間圏 ワック株式会社
[590] 문서
[591] 서적 生命と地球の歴史
[592] 서적 大絶滅
[593] 뉴스 Ecosystem Recovery after Mass Extinction Slow 2008
[594] 서적 大絶滅
[595] 서적 大絶滅
[596] 서적 大絶滅
[597] 서적 大絶滅
[598] 서적 大絶滅
[599] 서적 大絶滅
[600] 서적 大絶滅
[601] 서적 大絶滅
[602] 서적 生命と地球の歴史
[603] 서적 大絶滅
[604] 서적 大絶滅
[605] 서적 大絶滅
[606] 서적 大絶滅
[607] 웹사이트 2億4500万年前の大絶滅 https://earth-geolog[...]
[608] 간행물 謎の大絶滅:P-T 境界 http://ext-web.edu.s[...]
[609] 웹사이트 化石のこばなし 生物の大量絶滅—P/T境界とK/Pg境界 http://www.mus-nh.ci[...]
[610] 논문 四国の北部秩父帯チャート相上部ペルム系の微化石層序 http://www.terrapub.[...]
[611] 서적 生命と地球の歴史
[612] 서적 大絶滅
[613] 서적 大絶滅
[614] 웹인용 스콧 R. 쇼. <곤충 연대기>(원제 ). 2015년 11월 6일. 행성B이오스. https://web.archive.[...] 2016-03-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