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17년 U-18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7년 U-18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는 2017년 4월 13일부터 4월 23일까지 슬로바키아의 포프라트와 스피슈스카노바베스에서 개최되었다. 챔피언십, 디비전 I, 디비전 II, 디비전 III으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디비전은 다시 A, B 그룹으로 세분화되어 경기가 펼쳐졌다. 미국이 핀란드를 꺾고 챔피언십에서 우승했으며, 각 디비전별로 상위 팀은 상위 디비전으로, 하위 팀은 하위 디비전으로 승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7년 아이스하키 - 2017년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2017년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는 독일과 프랑스에서 개최되어 스웨덴이 금메달, 캐나다가 은메달, 러시아가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챔피언십 외 디비전 I, II, III 그룹으로 나뉘어 승격과 강등이 결정되었다.
  • 대한민국에서 개최된 아이스하키 대회 - 2018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는 남자부에서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여자부에서 미국이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여자 아이스하키에서는 대한민국과 북한 단일팀 구성, 남자 아이스하키에서는 NHL 선수 불참으로 주목을 받았다.
  • 대한민국에서 개최된 아이스하키 대회 - 2014년 디비전 1 IIHF 챔피언십
    2014년 IIHF 세계 선수권 디비전 I A는 슬로베니아에서 개최된 아이스하키 대회로, 슬로베니아와 오스트리아가 2015년 탑 디비전으로 승격하고 대한민국이 디비전 I B로 강등되었으며, 박계훈, Adam Borzęcki, 호르바트 야노시가 개인상을 수상했다.
2017년 U-18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대회 정보
대회 이름IIHF U18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연도2017년
2017 IIHF 세계 U18 선수권 대회
2017 IIHF 세계 U18 선수권 대회
개최 국가슬로바키아
개최 기간2017년 4월 13일 – 2017년 4월 23일
참가 팀 수10
경기장 수2
도시 수2
유형ih18
이전 시즌2016
다음 시즌2018
결과
우승미국
우승 횟수10
준우승핀란드
3위러시아
4위스웨덴
통계
경기 수31
총 득점196
총 관중 수49469
득점 선두크리스티안 베살라이넨 (핀란드)
포인트13
최우수 선수크리스티안 베살라이넨 (핀란드)

2. 챔피언십

16개국 최상위권 국가들이 참가하는 챔피언십 대회는 슬로바키아 포프라트스피슈스카노바베스에서 4월 13일부터 4월 23일까지 열렸다.[9][2]

2. 1. 예선전

예선전에서는 각 그룹 상위 4팀이 준준결승에 진출하며, 두 그룹의 마지막 순위 팀은 강등전을 치른다.[9][2]

2017년 U-18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A조
연장전 승연장전 패득점실점
핀란드40002310
캐나다21011813
슬로바키아20111310
스위스1003914
라트비아0004319


  • 핀란드가 4승으로 1위, 캐나다가 2승 1연장승 1패로 2위, 슬로바키아가 2승 1연장패 1패로 3위, 스위스가 1승 3패로 4위를 기록하며 준준결승에 진출했고, 라트비아가 4패로 최하위를 기록하여 강등전을 치르게 되었다.


경기 결과
2017년 4월 13일라트비아 1–4 캐나다 (포프라드 아이스 스타디움)
2017년 4월 13일슬로바키아 4–5 핀란드 (포프라드 아이스 스타디움)
2017년 4월 14일스위스 4–0 라트비아 (포프라드 아이스 스타디움)
2017년 4월 15일핀란드 5–1 스위스 (포프라드 아이스 스타디움)
2017년 4월 15일캐나다 4–3 슬로바키아 (포프라드 아이스 스타디움)
2017년 4월 16일라트비아 2–7 핀란드 (포프라드 아이스 스타디움)
2017년 4월 17일캐나다 7–3 스위스 (포프라드 아이스 스타디움)
2017년 4월 17일슬로바키아 4–0 라트비아 (포프라드 아이스 스타디움)
2017년 4월 18일핀란드 6–3 캐나다 (포프라드 아이스 스타디움)
2017년 4월 18일스위스 1–2 슬로바키아 (포프라드 아이스 스타디움)



B조 순위
연장승연장패득점실점
미국4000227
러시아21011611
스웨덴2002812
체코10121517
벨라루스0004721


  • 미국이 4승으로 1위, 러시아가 2승 1연장승 1패로 2위, 스웨덴이 2승 2패로 3위, 체코가 1승 1연장패 2패로 4위를 기록하며 준준결승에 진출했고, 벨라루스가 4패로 최하위를 기록하여 강등전을 치르게 되었다.


경기 결과
2017년 4월 13일벨라루스 0–7 미국 (스피슈스카노바베스 슈피스 아레나)
2017년 4월 13일러시아 3–1 스웨덴 (스피슈스카노바베스 슈피스 아레나)
2017년 4월 14일체코 7–4 벨라루스 (스피슈스카노바베스 슈피스 아레나)
2017년 4월 15일미국 5-4 러시아 (스피슈스카노바베스 슈피스 아레나)
2017년 4월 15일스웨덴 3-2 체코 (스피슈스카노바베스 슈피스 아레나)
2017년 4월 16일벨라루스 2-3 스웨덴 (스피슈스카노바베스 슈피스 아레나)
2017년 4월 17일미국 5-2 체코 (스피슈스카노바베스 슈피스 아레나)
2017년 4월 17일러시아 4-1 벨라루스 (스피슈스카노바베스 슈피스 아레나)
2017년 4월 18일스웨덴 1-5 미국 (스피슈스카노바베스 슈피스 아레나)
2017년 4월 18일체코 4-5 OT 러시아 (스피슈스카노바베스 슈피스 아레나)



2. 1. 1. 그룹 A

2017년 U-18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A조에는 핀란드, 캐나다, 슬로바키아, 스위스, 라트비아가 속했다.

2017년 U-18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A조
연장전 승연장전 패득점실점
핀란드40002310
캐나다21011813
슬로바키아20111310
스위스1003914
라트비아0004319


  • 핀란드가 4승으로 1위, 캐나다가 2승 1연장승 1패로 2위, 슬로바키아가 2승 1연장패 1패로 3위, 스위스가 1승 3패로 4위를 기록하며 준준결승에 진출했고, 라트비아가 4패로 최하위를 기록하여 강등전을 치르게 되었다.


경기 결과
2017년 4월 13일라트비아 1–4 캐나다 (포프라드 아이스 스타디움)
2017년 4월 13일슬로바키아 4–5 핀란드 (포프라드 아이스 스타디움)
2017년 4월 14일스위스 4–0 라트비아 (포프라드 아이스 스타디움)
2017년 4월 15일핀란드 5–1 스위스 (포프라드 아이스 스타디움)
2017년 4월 15일캐나다 4–3 슬로바키아 (포프라드 아이스 스타디움)
2017년 4월 16일라트비아 2–7 핀란드 (포프라드 아이스 스타디움)
2017년 4월 17일캐나다 7–3 스위스 (포프라드 아이스 스타디움)
2017년 4월 17일슬로바키아 4–0 라트비아 (포프라드 아이스 스타디움)
2017년 4월 18일핀란드 6–3 캐나다 (포프라드 아이스 스타디움)
2017년 4월 18일스위스 1–2 슬로바키아 (포프라드 아이스 스타디움)



2. 1. 2. 그룹 B

B조 순위
연장승연장패득점실점
{{국기나라4000227
{{국기나라21011611
{{국기나라2002812
{{국기나라10121517
{{국기나라0004721


  • 2017년 4월 13일 15:30, 0–7 '''''' (스피슈스카노바베스 슈피스 아레나)
  • * 21:44 – 파스투요프 (배럿, 길돈)
  • * 22:26 – 리디 (파라비, 크노프케)
  • * 27:50 – 왈스트롬 (취척, 배럿)
  • * 33:00 – 드후 (파라비, 크노프케) (SH)
  • * 36:33 – 왈스트롬 (노리스, 미시매시)
  • * 42:34 – 미시매시 (배럿, 파스투요프)
  • * 44:55 – 파란스 (포엘링, 리디)
  • 2017년 4월 13일 19:30, '''''' 3–1 (스피슈스카노바베스 슈피스 아레나)
  • * 42:13 – 막시모프 (슬레페츠)
  • * 51:02 – 스베치니코프 (체코비치)
  • * 59:58 – 스베치니코프 (체코비치) (ENG)
  • * 09:05 – 브란스트룀 (룬데스트룀, 휴그) (PP)
  • 2017년 4월 14일 19:30, '''''' 7–4 (스피슈스카노바베스 슈피스 아레나)
  • * 02:13 – 흐라비크 (크바스니카, 네차스) (PP)
  • * 05:41 – 흐라도니크 (칠틸, 부카츠) (SH)
  • * 30:25 – 콘델리크 (슈크브르네, 샬다)
  • * 30:49 – 크랄 (자디나, 칠틸)
  • * 33:38 – 카우트 (자디나) (PP)
  • * 34:01 – 컨 (갈바스)
  • * 50:17 – 칠틸 (네차스, 콘델리크)
  • * 19:59 – 마르티노프 (사브리츠키) (SH)
  • * 36:18 – 코트 (마르티노프)
  • * 58:26 – 마르티노프 (PS)
  • * 59:51 – 발트루크
  • 2017년 4월 15일 15:30, '''''' 5-4 (스피슈스카노바베스 슈피스 아레나)
  • * 33:57 – 미시매시 (배럿, 파스투요프)
  • * 36:28 – 포엘링 (드후, 파라비)
  • * 39:30 – 포엘링 (밀러, 크노프케) (SH)
  • * 41:16 – 노리스 (취척, 드후)
  • * 49:59 – 배럿 (미시매시, 드후)
  • * 10:59 – 콜티긴 (루빈치크, 토로프첸코) (SH)
  • * 45:19 – 비차제 (사모루코프, 페렐레예프)
  • * 56:33 – 슬레페츠 (루빈치크, 리파노프) (PP)
  • * 57:09 – 체코비치 (스베치니코프, 콜티긴)
  • 2017년 4월 15일 19:30, '''''' 3-2 (스피슈스카노바베스 슈피스 아레나)
  • * 03:40 – 페테르손 (엘베네스, 베스터룬드)
  • * 20:35 – 제테를룬드
  • * 47:30 – 구스타프손 (기닝)
  • * 37:30 – 자디나 (크바스니카, 콘델리크) (PP)
  • * 46:08 – 컨 (사핀)
  • 2017년 4월 16일 19:30, 2-3 '''''' (스피슈스카노바베스 슈피스 아레나)
  • * 12:38 – 예르요멘코 (코트, 마르티노프)
  • * 33:11 – 발트루크 (파블렌코, 드로즈도프)
  • * 01:12 – 구스타프손 (제테를룬드)
  • * 04:09 – 미케티나크 (페테르손)
  • * 59:48 – 벰스트룀 (휴그, 룬데스트룀) (PP)
  • 2017년 4월 17일 15:30, '''''' 5-2 (스피슈스카노바베스 슈피스 아레나)
  • * 12:24 – 취척 (켐프) (SH)
  • * 13:46 – 길돈 (미시매시)
  • * 23:43 – 토르토라 (파란스)
  • * 31:22 – 길돈 (코커릴, 토르토라)
  • * 58:00 – 길돈 (휴즈, 왈스트롬) (PP)
  • * 01:51 – 마할라 (컨)
  • * 31:50 – 사핀 (컨, 마할라)
  • 2017년 4월 17일 19:30, '''''' 4-1 (스피슈스카노바베스 슈피스 아레나)
  • * 28:11 – 체코비치 (리파노프, 스베치니코프) (PP)
  • * 29:28 – 슬레페츠
  • * 50:11 – 스베치니코프 (루빈치크)
  • * 55:01 – 체코비치 (사모루코프) (PP)
  • * 26:12 – 아노소프 (아즈기레이)
  • 2017년 4월 18일 15:30, 1-5 '''''' (스피슈스카노바베스 슈피스 아레나)
  • * 39:01 – 베스터룬드 (브란스트룀, 엘베네스) (PP)
  • * 08:40 – 드후 (파스투요프, 코커릴)
  • * 19:37 – 왈스트롬 (미시매시, 길돈)
  • * 22:40 – 파라비 (PS)
  • * 50:45 – 포엘링 (드후) (SH)
  • * 58:05 – 왈스트롬 (휴즈) (PP)
  • 2017년 4월 18일 19:30, 4-5 OT '''''' (스피슈스카노바베스 슈피스 아레나)
  • * 17:21 – 크바스니카 (콘델리크, 사핀) (EA)
  • * 33:43 – 자디나 (칠틸) (PP)
  • * 44:43 – 흐라비크 (크랄, 카우트) (EA)
  • * 48:40 – 컨 (크바스니카, 콘델리크)
  • * 10:48 – 루빈치크 (갈레뉴크, 비차제) (PP)
  • * 29:31 – 샤쉬코프 (바라노프)
  • * 43:23 – 스베치니코프 (리파노프, 체코비치)
  • * 57:55 – 막시모프 (슬레페츠, 루빈치크)
  • * 64:06 – 루빈치크 (무라노프, 콜티긴)

2. 2. 강등전

벨라루스라트비아가 3전 2선승제로 강등전을 치렀다. 벨라루스가 2승 1패로 잔류에 성공하고, 라트비아가 디비전 I A로 강등되었다.

2017년 4월 20일 스피시스카 노바 베스의 스피시 아레나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 벨라루스는 이고르 마르티노프와 블라디슬라프 예르요멘코의 득점에 힘입어 라트비아에 2-0으로 승리했다. 4월 21일 같은 장소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라트비아가 베르너스 에글레의 2골 1도움 활약에 힘입어 벨라루스에 3-2로 승리했다. 4월 23일 같은 장소에서 열린 마지막 3차전에서는 벨라루스가 이반 드로즈도프, 드미트리 데랴빈, 안드레이 파블렌코의 득점을 묶어 라트비아에 3-1로 승리했다.

2. 3. 플레이오프 라운드

'''8강전'''

2017년 4월 20일에 준준결승전이 열렸다. 핀란드체코를 연장전 끝에 6-5로 꺾었다. 러시아슬로바키아를 연장전 끝에 3-2로 이겼다. 미국스위스를 4-2로, 스웨덴캐나다를 7-3으로 꺾고 준결승에 진출했다.

일시팀1결과팀2경기장
2017년 4월 20일 13:30핀란드6-5
(연장)
체코포프라트 빙상 경기장(포프라트)
2017년 4월 20일 15:30캐나다3-7스웨덴슈피스 아레나(스피슈스카노바베스)
2017년 4월 20일 17:30러시아3-2
(연장)
슬로바키아포프라트 빙상 경기장(포프라트)
2017년 4월 20일 19:30미국4-2스위스슈피스 아레나(스피슈스카노바베스)



'''4강전'''

2017년 4월 22일, 포프라트의 포프라트 빙상 경기장에서 열린 준결승전에서 핀란드러시아를 연장전 끝에 2-1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핀란드는 윌뢰넨과 우투넨이 득점을 기록했고, 러시아는 슬레페츠가 한 골을 넣었다.

같은 날, 미국스웨덴을 연장전 끝에 4-3으로 이기고 결승에 진출했다. 미국은 파스투조프, 길돈, 휴즈, 드후게가 득점을 기록했고, 스웨덴은 올로프손, 제테를룬, 실베가르가 득점을 기록했다.

'''동메달 결정전'''

2017년 4월 23일 15시 30분, 포프라트 포프라트 빙상 경기장에서 열린 동메달 결정전에서 '''러시아'''가 스웨덴을 3-0으로 꺾고 동메달을 획득했다. 러시아의 골리 키릴 우스티멘코와 스웨덴의 골리 아담 오만이 출전했다. 러시아는 1피리어드 16분 27초에 갈레뉴크가 (체호비치, 스베치니코프) 선제골을 기록했고, 2피리어드 24분 21초에 사모루코프가 추가 득점을 올렸다. 3피리어드 59분 45초에는 막시모프가 쐐기골을 넣으며 승리했다. 관중은 2,923명이 입장했다.

'''결승전'''

'''미국/USA영어'''이 2017년 4월 23일 포프라트 포프라트 빙상 경기장에서 열린 2017년 U-18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결승전에서 핀란드를 4-2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경기는 19시 30분에 시작되었으며, 3,904명의 관중이 입장했다.

미국은 1피리어드에 노리스와 패러비의 연속 득점으로 2-0으로 앞서나갔다. 2피리어드에는 패러비와 미스마시가 추가 득점을 기록하며 4-1로 점수 차를 벌렸다. 핀란드는 래사넨과 바아카나이넨이 득점을 기록했지만, 경기를 뒤집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미국의 골키퍼 딜런 세인트 시르는 24개의 슛을 막아내며 팀의 승리를 이끌었다. 핀란드의 골키퍼 우코-페카 루코넨는 21개의 슛을 막았다.

이 경기의 주심은 알렉상드르 가론, 부심은 트르피미르 피라기치, 선심은 마이클 해링턴과 에밀 일레티넨이 맡았다.

2. 3. 1. 준준결승

2017년 4월 20일에 준준결승전이 열렸다. 핀란드체코를 연장전 끝에 6-5로 꺾었다. 러시아슬로바키아를 연장전 끝에 3-2로 이겼다. 미국스위스를 4-2로, 스웨덴캐나다를 7-3으로 꺾고 준결승에 진출했다.

일시팀1결과팀2경기장
2017년 4월 20일 13:30핀란드6-5
(연장)
체코포프라트 빙상 경기장(포프라트)
2017년 4월 20일 15:30캐나다3-7스웨덴슈피스 아레나(스피슈스카노바베스)
2017년 4월 20일 17:30러시아3-2
(연장)
슬로바키아포프라트 빙상 경기장(포프라트)
2017년 4월 20일 19:30미국4-2스위스슈피스 아레나(스피슈스카노바베스)


2. 3. 2. 준결승

2017년 4월 22일, 포프라트의 포프라트 빙상 경기장에서 열린 준결승전에서 핀란드러시아를 연장전 끝에 2-1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핀란드는 윌뢰넨과 우투넨이 득점을 기록했고, 러시아는 슬레페츠가 한 골을 넣었다.

같은 날, 미국스웨덴을 연장전 끝에 4-3으로 이기고 결승에 진출했다. 미국은 파스투조프, 길돈, 휴즈, 드후게가 득점을 기록했고, 스웨덴은 올로프손, 제테를룬, 실베가르가 득점을 기록했다.

2. 3. 3. 동메달전

2017년 4월 23일 15시 30분, 포프라트 포프라트 빙상 경기장에서 열린 동메달 결정전에서 '''러시아'''가 스웨덴을 3-0으로 꺾고 동메달을 획득했다. 러시아의 골리 키릴 우스티멘코와 스웨덴의 골리 아담 오만이 출전했다. 러시아는 1피리어드 16분 27초에 갈레뉴크가 (체호비치, 스베치니코프) 선제골을 기록했고, 2피리어드 24분 21초에 사모루코프가 추가 득점을 올렸다. 3피리어드 59분 45초에는 막시모프가 쐐기골을 넣으며 승리했다. 관중은 2,923명이 입장했다.

2. 3. 4. 결승

'''미국/USA영어'''이 2017년 4월 23일 포프라트 포프라트 빙상 경기장에서 열린 2017년 U-18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결승전에서 핀란드를 4-2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경기는 19시 30분에 시작되었으며, 3,904명의 관중이 입장했다.

미국은 1피리어드에 노리스와 패러비의 연속 득점으로 2-0으로 앞서나갔다. 2피리어드에는 패러비와 미스마시가 추가 득점을 기록하며 4-1로 점수 차를 벌렸다. 핀란드는 래사넨과 바아카나이넨이 득점을 기록했지만, 경기를 뒤집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미국의 골키퍼 딜런 세인트 시르는 24개의 슛을 막아내며 팀의 승리를 이끌었다. 핀란드의 골키퍼 우코-페카 루코넨는 21개의 슛을 막았다.

이 경기의 주심은 알렉상드르 가론, 부심은 트르피미르 피라기치, 선심은 마이클 해링턴과 에밀 일레티넨이 맡았다.

2. 4. 득점 상위 선수

다음은 득점과 골 수를 기준으로 정렬한 상위 10명의 스케이터 목록이다.

선수출장 경기득점어시스트득점+/−페널티 시간
크리스티안 베살라이넨/Kristian Vesalainenfi76713+58
미로 헤이스카넨/Miro Heiskanenfi721012+80
이반 체호비치/Ivan Chekhovichru7549+34
안드레이 스베치니코프/Andrei Svechnikovru7459+310
예세 일로넨/Jesse Ylönenfi7459+60
숀 도게/Sean Dhooghe영어7369+82
요니 이코넨/Joni Ikonenfi7448+48
그랜트 미스매시/Grant Mismash영어7358+410
매켄지 엔트위슬/MacKenzie Entwistle영어5437+16
아르네 탈비티에/Aarne Talvitiefi7437+16



''출장 경기 = Games played; 득점 = Goals; 어시스트 = Assists; 득점 = Points; +/− = 플러스-마이너; 페널티 시간 = Penalties In Minutes''
Source: [https://stats.iihf.com/Hydra/506/IHM506000_85B_26_0.pdf IIHF.com]

2. 5. 상위 골텐더

팀 시간의 40% 이상을 뛴 골텐더 중 세이브 비율 기준 상위 5명의 골텐더는 다음과 같다.

선수TOISAGAGAASv%SO
막심 주코프319:19189142.6392.590
딜런 세인트 시르429:39177141.9692.091
니클라브스 라우자316:49193173.2291.190
안드레이 그리셴코416:38243233.3190.531
아키라 슈미드153:169293.5290.220



''TOI = 링크 (분:초); SA = 상대 슛; GA = 실점; GAA = 경기당 실점; Sv% = 세이브 성공률; SO = 셧아웃''
Source: [https://stats.iihf.com/Hydra/506/IHM506000_85A_27_0.pdf IIHF.com]

2. 6. 토너먼트 상

'''MVP'''

  • 포워드: 크리스티안 베살라이넨


'''올스타 팀'''

  • 골텐더: 딜런 세인트 시르
  • 디펜스맨: 미로 하이스카넨, 맥스 길든
  • 포워드: 크리스티안 베살라이넨, 숀 도, 이반 체코비치


'''IIHF 베스트 플레이어 어워드'''

  • 골텐더: 막심 주코프
  • 디펜스맨: 미로 하이스카넨
  • 포워드: 크리스티안 베살라이넨

2. 7. 결승 진출

wikitable



2018년 디비전 I A로 강등


3. 디비전 1

디비전 1에 속한 12개 국가들은 2개 그룹으로 나누어 별도로 경기를 치를 예정이다. 상위권의 A그룹 국가들은 슬로베니아 블레트에서 4월 7일 ~ 4월 13일, 하위권의 B그룹 국가들은 4월 15일 ~ 4월 21일 경기를 치른다.

2017년 U-18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디비전 I A 경기는 2017년 4월 7일부터 4월 13일까지 슬로베니아 블레트에서 열렸다.[3] 프랑스가 4승 1패로 우승하여 2018년 최상위 디비전으로 승격되었고, 헝가리가 5패로 최하위를 기록하여 2018년 디비전 I B로 강등되었다.[3]

순위국가경기연장승연장패득점실점득실차승점
1 프랑스540011714+312
2 카자흐스탄53101188+1011
3 덴마크530111715+210
4 노르웨이521022213+98
5 독일510132321+24
6 헝가리50005632-260



2018년 최상위 디비전으로 승격
2018년 디비전 I B로 강등



2017년 U-18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디비전 I B는 4월 15일부터 4월 21일까지 슬로베니아 블레트에서 열렸다.[4] 슬로베니아가 4승 1패로 우승하여 2018년 디비전 I A로 승격되었고, 폴란드가 2연장패 3패로 최하위를 기록하여 2018년 디비전 II A로 강등되었다.[4]

순위국가경기연장승연장패득점실점득실차승점
1 슬로베니아54001228+1412
2 오스트리아522011413+110
3 일본512111523-88
4 이탈리아52012171707
5 우크라이나51112151506
6 폴란드50023916-72



2018 디비전 I A에 진출
2018 디비전 II A로 강등


3. 1. 디비전 I A

2017년 U-18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디비전 I A 경기는 2017년 4월 7일부터 4월 13일까지 슬로베니아 블레트에서 열렸다.[3] 프랑스가 4승 1패로 우승하여 2018년 최상위 디비전으로 승격되었고, 헝가리가 5패로 최하위를 기록하여 2018년 디비전 I B로 강등되었다.[3]

순위국가경기연장승연장패득점실점득실차승점
1 프랑스540011714+312
2 카자흐스탄53101188+1011
3 덴마크530111715+210
4 노르웨이521022213+98
5 독일510132321+24
6 헝가리50005632-260



2018년 최상위 디비전으로 승격
2018년 디비전 I B로 강등


3. 2. 디비전 I B

2017년 U-18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디비전 I B는 4월 15일부터 4월 21일까지 슬로베니아 블레트에서 열렸다.[4] 슬로베니아가 4승 1패로 우승하여 2018년 디비전 I A로 승격되었고, 폴란드가 2연장패 3패로 최하위를 기록하여 2018년 디비전 II A로 강등되었다.[4]

순위국가경기연장승연장패득점실점득실차승점
1 슬로베니아54001228+1412
2 오스트리아522011413+110
3 일본512111523-88
4 이탈리아52012171707
5 우크라이나51112151506
6 폴란드50023916-72



2018 디비전 I A에 진출
2018 디비전 II A로 강등


4. 디비전 2

디비전 2에 속한 12개 국가들은 2개 그룹으로 나누어 별도로 경기를 치렀다. 상위권의 A그룹 국가들은 대한민국 강릉에서 4월 2일 ~ 4월 8일 경기를 치렀고, 하위권의 B그룹 국가들은 세르비아 노비사드에서 4월 13일 ~ 4월 19일 경기를 치렀다.

'''디비전 II A'''

디비전 II A 토너먼트는 2017년 4월 2일부터 4월 8일까지 대한민국 강릉에서 열렸다.[5] 루마니아가 4승 1패로 우승하여 2018년 디비전 I B로 승격되었고, 크로아티아가 1연장패 4패로 최하위를 기록하여 2018년 디비전 II B로 강등되었다.[5] 대한민국 대표팀은 2승 1연장패 2패로 4위를 기록했다.[5]

순위국가경기연장승연장패득점실점득실차
1루마니아54010208+12
2에스토니아513011716+1
3리투아니아521021512+3
4대한민국5201213130
5영국520121817+1
6크로아티아50014926-17



2018 디비전 I B에 진출
2018 디비전 II B로 강등



'''디비전 II B'''

2017년 U-18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디비전 II B는 세르비아 베오그라드에서 3월 13일부터 3월 19일까지 열렸다.[6] 오스트레일리아는 4승 1패로 우승하여 2018년 디비전 II A로 승격되었고, 벨기에는 5패로 최하위를 기록하여 2018년 디비전 III A로 강등되었다.[6]

순위국가경기연장승연장패득점실점득실차
122x20px 오스트레일리아54001197+12
222x20px 스페인540012410+14
322x20px 세르비아530021413+1
422x20px 네덜란드530021612+4
522x20px 아이슬란드51004823-15
622x20px 벨기에50005723-16



2018 디비전 II A 진출
2018 디비전 III A로 강등


4. 1. 디비전 II A

디비전 II A 토너먼트는 2017년 4월 2일부터 4월 8일까지 대한민국 강릉에서 열렸다.[5] 루마니아가 4승 1패로 우승하여 2018년 디비전 I B로 승격되었고, 크로아티아가 1연장패 4패로 최하위를 기록하여 2018년 디비전 II B로 강등되었다.[5] 대한민국 대표팀은 2승 1연장패 2패로 4위를 기록했다.[5]

순위국가경기연장승연장패득점실점득실차
154010208+12
2513011716+1
3521021512+3
45201213130
5520121817+1
650014926-17



2018 디비전 I B에 진출
2018 디비전 II B로 강등


4. 2. 디비전 II B

2017년 U-18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디비전 II B는 세르비아 베오그라드에서 3월 13일부터 3월 19일까지 열렸다.[6] 오스트레일리아는 4승 1패로 우승하여 2018년 디비전 II A로 승격되었고, 벨기에는 5패로 최하위를 기록하여 2018년 디비전 III A로 강등되었다.[6]

순위국가경기연장승연장패득점실점득실차
1 오스트레일리아54001197+12
2 스페인540012410+14
3 세르비아530021413+1
4 네덜란드530021612+4
5 아이슬란드51004823-15
6 벨기에50005723-16



2018 디비전 II A 진출
2018 디비전 III A로 강등


5. 디비전 3

디비전 3에 속한 9개 국가들은 2개 그룹으로 나누어 별도로 경기를 치를 예정이다. 상위권의 A그룹 국가들은 중화 타이베이 타이베이에서 3월 21일 ~ 3월 27일, 하위권의 B그룹 국가들은 멕시코 멕시코 시티에서 3월 17일 ~ 3월 19일 경기를 치른다.

2017년 U-18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디비전 III A는 3월 21일부터 3월 27일까지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렸다.[7]

순위국가경기연장승연장패득점실점득실차승점
155000361+3515
254001218+1312
3521021613+38
452003181806
5510041939-203
6500141142-311



중국이 5승으로 우승하여 2018년 디비전 II B로 승격되었고, 뉴질랜드가 1연장패 4패로 최하위를 기록하여 2018년 디비전 III B로 강등되었다.[7]

2018 디비전 II B에 진출
2018 디비전 III B로 강등



2017년 디비전 III B 토너먼트는 멕시코 멕시코 시티에서 3월 17일부터 3월 19일까지 열렸다.[8]

경기연장승연장패득점실점득실차승점
멕시코22000183+156
홍콩21001413-93
남아프리카 공화국20002410-60



2018 디비전 III A에 진출



멕시코가 2승으로 우승하여 2018년 디비전 III A로 승격되었다.[8]

5. 1. 디비전 III A

2017년 U-18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디비전 III A는 3월 21일부터 3월 27일까지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렸다.[7]

순위국가경기연장승연장패득점실점득실차승점
155000361+3515
254001218+1312
3521021613+38
452003181806
5510041939-203
6500141142-311



중국이 5승으로 우승하여 2018년 디비전 II B로 승격되었고, 뉴질랜드가 1연장패 4패로 최하위를 기록하여 2018년 디비전 III B로 강등되었다.[7]

2018 디비전 II B에 진출
2018 디비전 III B로 강등


5. 2. 디비전 III B

2017년 디비전 III B 토너먼트는 멕시코 멕시코 시티에서 3월 17일부터 3월 19일까지 열렸다.[8]

경기연장승연장패득점실점득실차승점
멕시코22000183+156
홍콩21001413-93
남아프리카 공화국20002410-60



2018 디비전 III A에 진출



멕시코가 2승으로 우승하여 2018년 디비전 III A로 승격되었다.[8]

참조

[1] 통계 2017 Top Division statistics https://stats.iihf.c[...]
[2] 웹사이트 New format for U18, U20 Worlds http://www.iihf.com/[...] 2012-05-29
[3] 통계 2017 Division I A statistics https://stats.iihf.c[...]
[4] 통계 2017 Division I B statistics https://stats.iihf.c[...]
[5] 통계 2017 Division II A statistics https://stats.iihf.c[...]
[6] 통계 2017 Division II B statistics https://stats.iihf.c[...]
[7] 통계 2017 Division III A statistics https://stats.iihf.c[...]
[8] 통계 2017 Division III B statistics https://stats.iihf.c[...]
[9] 웹인용 New format for U18, U20 Worlds http://www.iihf.com/[...] 2012-05-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